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를 가진 아동의 행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장애와 아동기 경험의 교차점에서

        안재진(Ahn, Jaejin),이신혜(Lee, Shinhye),이아영(Lee, Ahyoung)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 상 아동기를 지나고 있으면서 장애인으로서의 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장애아동들의 ‘행복’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개 장애 유형(총 16명)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장애유형별 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 을 활용하여 5개의 핵심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핵심주제는 ‘장애아동들이 생각하는 행복’, ‘비장애아동과 다름없는 일상의 행복요인’,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약’, ‘주변인들의 인식과 태도’, ‘미래에 대한 준비’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동들은 비장애 아동들과 다르지 않은 일상을 살아가고, 소소한 취미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시험성적과 친구 및 가족과의 관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서의 제약을 경험하고, 주변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적 시선으로 인해 상처받은 경험이 있었다. 또한 앞으로 미래를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직면할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고민, 희망이 교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연구와 실천에 있어 ‘장애를 가진 아동’으로서, 아동기와 장애의 교차성과 개별성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하고, 장애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체계의 개선 및 장애 인식개선, 아동의 교육참여 및 진로탐색을 위한 지원과 참여권 증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happiness of disabled children at the intersection of their experiences as disabled throughout their childhoo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6 children with 5 types of disabilities, and categorized the daily live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five key topic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e daily lives that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children, feel joy in small hobbies, and are affected by test score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have experienced restrictions in their daily lives due to disabilities, and have been hurt by prejudice and negative views from people around them. Also, in preparing for the future, they showed mixed feelings of fears, worries and hope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an individualized approach based on the intersection and individuality of childhood and disability in research and practice of disabled children, and proposed the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system,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children 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연구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알뜨리 ( Park Altteuri ),이정인 ( Lee Jung-in ),이신혜 ( Lee Shinhy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연구에 대한 경험을 사례를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중등(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3인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연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하며,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는지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연구과정 및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인 스스로를 연구자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란 교수학습 및 생활지도에 대한 고민이라고 정의하였다. 교사가 연구를 하는 이유는 교과(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사의 효능감 및 전문성 신장과 교사로서의 부담감 및 책임감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 둘째, 교사의 연구 과정은 문제의식과 목표설정, 수업설계, 실행, 반성, 공유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교수설계의 어려움, 교사에 대해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로 인한 어려움, 교사 분위기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각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던 이유는, 협력연구 경험여부와 중등교사가 경험하는 입시 위주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별, 국공립학교 및 부설학교 등으로 소속을 고르게 선정하여, 각각에 따른 차별화된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확인하고, 연구의 주체자인 교사가 생각하는 교사 연구자로서의 인식과 연구과정 및 어려움을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질적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 기 위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에 토대가 될 교사연구자에 대한 후속사례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to examine their research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teacher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Teachers’ research perceptions, process, and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how teachers perceive and conduct thei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related their research to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The objectives of the teacher’s research was to induce student interest in the subject, to improve their own sense of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and also to study the burde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Second, the research process of the teacher was done in the order of problem consciousness, goal setting,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reflection, and sharing. In the process,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design, the role society expects teachers to have, teacher atmosphere, and so on.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ach teacher were the co-operative research experiences of the school teachers,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i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qualitative case study in that it selected teachers evenly belonging to elementary and secondary, national public and attached schools, confirming the perception and difficulty of teachers as researchers in detail based on the actual teacher’s experience.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us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teacher as a researcher and suggests follow-up case studies on teacher research.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청소년 직업가치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박민지(Park, Minji),이신혜(Lee, Shin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가정, 학교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6차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에서 고등학교 3학년(중1 패널) 중 직업가치문항에 응답한 2,056명(남1,041, 여1,015)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직업가치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한 결과 네 집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각 유형의 직업가치 요인 별 점수를 고려하여 “전반적 고중시형”(22.2%), “적성․안정 중시형(16.8%)”, “전반적 중시형”(56.8%), “내적보상 경시형”(4.2%)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 별로 영향 요인의 평균 점수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각 유형 간 영향 요인 또한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개인변인으로는 성별, 성적,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공동체 의식이, 가정변인으로는 부모의 감독적 양육방식과 애정적 양육방식, 아버지와의 진로 관련 대화 빈도가, 학교변인으로는 교우관계, 직업체험 활동의 참여 여부가 직업가치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대상의 진로상담 및 교육 시 상이한 직업가치 유형을 보이는 집단별로 대상의 개인, 가정 및 학교생활의 특성과 맥락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work valu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the profil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6th wave of data from the first-grade panel(selected 2,056 students) of middle school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types of profiles which were pursuing different work values were revealed: an across-the-board high pursuing type, an aptitude and stability pursuing type, an across-the-board pursuing type, and an intrinsic compensation ignored type. Following logistic regression, it was revealed that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impact upon the profiles, such as gender, academic grades,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life, community spirit, parental attitudes, conversation frequency with fath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work-related activity progra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iated career counseling services are necessar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the context of career counseling and co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