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丹陵 李胤永(1714-1759)의 繪畵世界

        이순미(Lee Soon-mi)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본 논문은 평생 出仕를 거부하고 벗들과 낭만적인 詩文과 書畵활동을 하며 명승명소를 유람하는 등 隱者的 삶을 살았던 文人畵家 丹陵 李胤永(1714-1759)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李胤永은 字가 胤之이며 號는 1741년경에 지었던 서재 이름을 따라 澹華齋, 1748년경에 明紹先生 그리고 단양에 은거한 이후로 丹陵山人, 丹丘處士라 했다. 단양에 은거하는 동안에는 蒼露亭과 棲碧을, 서울로 돌아와서는 水品樓라는 정지를 세웠다. 이윤영의 집안은 조선 후기 문예와 정치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金昌翕(1653-1722) 등 安東 金氏 집안과는 혼인으로, 李喜朝(1655-1724) 등 延安 李氏 집안과는 학맥으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가계의 배경은 이윤영의 문예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시인이자 서회수장가로 잘 알려진 族大父 李秉淵(1671-1751), 정치적으로 영향이 컸던 仲父 李台重(1694-1756), 處士的 삶을 살았던 스승 尹心衡(1698-1754) 등에게 학문과 서화 등 문예 전반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윤영은 스승 윤심형이 주장한 문장의 궁극적 목표는 道를 깨치는 것에 있다는 因文悟道를 계승하여 文을 통해 道로 나아가는 문예관을 문학, 서화 등 문예활동 전반에 적용하였다. 그는 그의 문예활동을 ‘대나무를 傅神하고 눈속의 芭蕉에 寫意한다.’라는 회화와 관련된 傅神과 寫意로서 요약하였다. 이것은 대상물의 외양을 배제하거나 요약하여 그 안에 정신을 구현하려는 것으로 창작자의 기교보다 마음가짐을 중시하는 寫意的 藝術觀이다. 이윤영은 서로의 집을 오가면서 詩文을 교환하고 서화를 함께 감상하고 제작할 만큼 절친했던 친구 李麟祚(1710-1760)과 이러한 사의적 문예관을 함께 추구하였다. 이윤영의 사의적 문예관은 그에게 周易을 배우면서 학문적으로 영향 받았던 朴趾源(1737-1805)을 비롯한 19세기 北學派의 사의적 예술관에 일정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윤영은 진흙에서 피어났음에도 아름다움을 뽐내는 연꽃을 혼탁한 세상에 홀로 서 있는 君子의 모습으로 보았다. 그는 〈西池白連圖〉를 비롯한 〈蓮花圖〉 등을 즐겨 그러면서 평생 소망했던 군자의 삶을 연꽃을 통해 표현하였다. 또한 그는 산수를 배경으로 한 芽亭圖나 峻石을 주제로 한 山水圖 등 절개를 상징하는 소재에 지신의 내면세계를 담아내었다. 그는 趙榮?(1686-1761) 등의 선배화가와 畵譜類, 明代 吳派와 安徽派 등 다양한 畵風을 섭렵하여 개성있고 문기있는 작품세계를 보여 주었다. 특히 그가 좋아했던 峻石의 표현에 안휘파의 암석 표현을 적극 수용하였다. 은거 이전의 〈樹石圖〉, 〈皐蘭寺圖〉에서는 굵은 필선의 둥근 윤곽선과 각이 진 형태의 암석으로 나타낸 반면에 1751년 단양 은거 이후의 〈龜潭圖〉. 〈道譚三峰圖〉에서는 거칠고 단단한 느낌의 필선으로 괴석과 같은 암석에 자신이 지향하는 정신성이 드러나도록 화면을 재구성하였다. 安徽派 화풍의 수용은 사물의 형태보다 작가의 정신성을 추구하는 그의 寫意的 藝術觀의 표현에 적절하였던 것이다. 이윤영은 조선시대 18세기 회단의 중요한 경향이었던 寫意的 文人畵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인물이다. 자신을 완성하는 道의 길과 문학, 서화 등 예술의 길을 동일시하였던 그의 예술관과 작품들에 대한 이해는 18세기는 물론 19세기 北學派의 寫意的 文人畵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ife and art of Lee Yun-yeong (李胤永, 1714-1759), a literati painter who lived as a hermit refusing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and devoting himself to writing and painting, and visiting beautiful and famous places for life time. His nickname was Yun-ji (胤之) and he had several pen names. For example he used pen name Damhwajae (澹華齋) after the name of his library in 1741, Myeongsoseonsaeng (明昭先生) in 1748, and Danreungsanin (丹陵山人) and Dangucheosa (丹丘處士) while living in retirement in Danyang (丹陽) province. He built pavilions such as Changhajeong (蒼霞亭) and Seobyeokjeong (棲碧亭) while living in Danyang, and constructed Sujeongru (水晶樓) when came back to Seoul. Lee Yun-yeong's family established close relationship with academically and politically influential families They had marital relations with Kim Chang-heup (金昌翕, 1653-1722) from Andong (安東) Kim family, the most influential family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academic relations with Lee Hui-jo (李喜朝, 1655-1724) from Yeonan (延安) Lee family. Such a family background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understand Lee Yun-yeong's art and literature. He was largely influenced by his elder relatives including Lee Byeong-yeon (李丙淵, 1671-1751) who was well known as a poet and fine art collector, Lee Tae-jung (李台重, 1694-1756) who was politically influential, and Yun Sim-hyeong (尹心衡, 1698-1754) who was a teacher of him and scholar in retirement. In particular, Lee Yun-yeong inherited his teacher Yun Sim-hyeong's Inmunodo (因文悟道) that ultimate goal of cut is to realize truth. He applied such a view to his art work as a whole including literature cu1d painting. He summarized his art ‘portray the inside of bamboo and express your mind through banana plant in snow (傅神盆上竹 寫意雪中蕉).’ This is an art view emphasizing artist' s mind rather than artistic skill by excluding or summarizing outward appearance of objects in order to represent soul hidden inside of them. He shared such view of art with his very close friend Lee In-sang (李麟祥, 1710-1760). They exchanged poems, appreciated and created paintings together. Lee Yun-yeong's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influenced, to some extend, advocates for Bukhak school (北學派) in 19th century pursuing pragmatic and reformist values, including Park Ji-won(朴趾源, 1737-1805) who was taught the Book of Changes (周易) and academically influenced by him. Lee Yun-yeong showed unique and literary painting style by being influenced by senior painters including Jo Yeong-seok (趙榮?, 1686-1767) and partially accepting painting styles of Wu school (吳派) and Anhui school (安徽派) in the Ming dynasty. He tended to paint very symbolic objects reflecting spiritual world. He painted many pavilions or big, beautiful stones against background of mountains and waters, When he tried to portray big and beautiful stones, one of his favorite objects, he adopted Anhui school style. Before going into hermitage, he portrayed angled stones and rocks very with thick round lines, as shown in Suseokdo (樹石圖) and Goransado (皐蘭寺圖). But, after going into retirement in Danyang (丹陽), he almost perfectly represented his own spiritual world by recomposing and recreating strangely-shaped rocks with rough line, as shown in Gudamdo (龜潭圖) and Dodamsambongdo (圖潭三峰圖). His adoption of the Anhui school' s painting style was very appropriate to his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by excluding or summarizing the outward appearance of objects. Lee Yun-yeong loved lotus flower very much. That is because he thought that as a flower blossoming in the mud, it resembles a Wise man (君子) who stands alone in the corrupt world. He tried to portray the life of a Wise man whim he wanted for life in Seojibaekyeondo (西池白蓮圖) and Yeonhwado (蓮花圖). Lee Yun-yeong is a crucial figure in understanding the stream of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which was a very important painting trend in 18th century. Understanding his art work and view of art identifying the way to truth

      • KCI등재
      • KCI등재

        시맨틱 웹 문서를 위한 관계형 저장 스키마 설계 및 질의 처리 기법

        이순미(Soon-Mi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

        최근 들어 온톨로지 문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시맨틱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질의 처리를 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W3C에서 제안한 온톨로지 언어인 RDF/RDFS를 기반으로 하는 시맨틱 웹 문서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저장 스키마를 제안한다. 특별히 제안한 저장스키마는 계층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질의 처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RQL 시맨틱 질의를 SQL로 변환하여 질의를 처리하는 메카니즘을 기술하며 MS-ACCESS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구현한다. 구현 결과를 통하여 트리플 모델에 기반한 데이터 질의 뿐 만 아니라 스키마나 계층정보에 대한 질의도 간단하게 SQL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idespread use of ontology documents, a management system which store ontology data and process queries is needed for retrieving semantic information efficiently. In this paper I propose a storage schema that stores and retrieves semantic web documents based on RDF/RDFS ontology language developed by W3C in a relational databases. Specially, the proposed storage schema is designed to retrieve efficiently hierarchy information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query processing. Also, I describe a mechanism to transform RQL semantic queries to SQL relational queries and build up database using MS-ACCESS and implement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we can blow that not only data query based on triple model but also query for schema and hierarchy information are transformed simply to SQL.

      • KCI등재

        소프트웨어 제품 계열 공학의 온톨로지 기반 휘처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 기법

        이순복(Soon-Bok Lee),김진우(Jin-Woo Kim),송치양(Chee-Yang Song),김영갑(Young-Gab Kim),권주흠(JuHum Kwon),이태웅(Tae-Woong Lee),김현석(Hyun-Seok Kim),백두권(Doo-Kw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3

        제품 계열 공학에서 제품의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을 결정짓게 하는 기준인 휘처(feature)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는 개발자의 직관이나 도메인 전문가의 경험에 근간으로 분석 기준이 객관적이지 못하며, 비정형적인 휘처 분석으로 인한 이해 당사자(stakeholder)의 공통된 휘처의 이해 부족 및 불명확한 휘처를 추출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 개발된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된 휘처의 재사용 개념이 부족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도메인의 휘처 모델을 온톨로지로 변환하여 의미 기반 유사성 분석 기준에 의해 휘처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공통된 휘처 중심의 메타 휘처 모델 기반으로 휘처의 속성을 정립하고, 메타 모델에 준거하여 휘처 모델을 생성하여 온톨로지로 변환 후, 휘처 온톨로지 리포지토리(Repository)에 저장한다. 이후, 동일 제품 계열 도메인의 휘처 모델 구축 시, 기존 생성 모델과 온톨로지의 의미 기반 유사성 비교 분석 기법을 통해 휘처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유사성 비교 알고리즘을 툴로 구현하였으며, 전자 결재 시스템 도메인의 실험 및 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보인다. 본 기법을 통해 메타 휘처 모델의 구문적 정립으로 이해성과 정확성을 제고시켜 고품질의 휘처 모델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의 의미 기반 매핑으로 휘처의 공통성 및 가변성 추출을 정형화할 수 있고,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oduct Line Engineering (PLE), current studies about an analysis of the feature have uncertain and ad-hoc criteria of analysis based on developer’s intuition or domain expert’s heuristic approach and difficulty to extract explicit features from a product in a product line because the stakeholders lack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in feature modeling.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analyzing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feature based on the Ontology. The proposed model in this paper suggests two approach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irst, the model explicitly expresses the feature by making an individual feature attribute list based on the meta feature modeling to understand common feature. Second, the model projects an analysis model of commonality and variability using the semantic similarity between features based on the Ontology to the stakeholder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reusability of distinguished features on developing products of same line hencefort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생엽과 덖음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이순임(Sun-Im Lee),전동복(Dong-Bok Jeon),김재성(Jae-Sung Kim),정인선(In-Sun Jung),홍영신(Young-Shin Hong),서혜영(Hye-Young Seo),박근형(Keun-Hyung Park),김경수(Kyong-Su Kim) 한국차학회 2011 한국차학회지 Vol.17 No.3

        2010년 전남 보성군 ○○다원에서 재배한 녹차의 생엽과 생엽을 덖어서 제다한 덖음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로 추출하여 이를 농축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생엽에서는 휘발성 향기성분 83종을 동정하였고 건시료기준 79.12 mg/kg으로 확인되었다. 풀냄새(green note)로 특정지어지는 (E)-2-hexenal이 다량 확인되었으며 linalool과 geraniol 등 monoterpene alcohol류 등이 주요 화합물로 분석되었다. 생엽의 주요 관능기적 분포는 leaf alcohol로 불리어지는 C6-alcohol 및 monoterpene alcohol류 등 alcohol류가 63%로 가장 많았고 23.3%인 aldehyde류가 다음을 차지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이 생엽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생엽에서는 지금까지 동정되지 않았던 theaspiran류가 동정되었으며 이는 osmanthus fragrance로 확인되었고 덖음 녹차에서는 동정되지 않았다. 이는 향이 진하고 독특하며 fruits, teas, 그리고 passionfruit에서 동정됨을 알 수 있었고 화장품과 식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덖음녹차로 부터 확인된 향기성분은 총 73종으로 건시료 기준 87.40 ㎎/㎏로 확인되었다. 덖음녹차에서 확인된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4-VP와 1-ethyl-1H-pyrrole-2-carbaldehyde로 각각 총 향기성분의 6.8% 및 6.5%를 차지하였으며, benzyl alcohol, (E)-nerolidol, indole, ethyl acetate 등도 다량 분석되었다. 주요 관능기별 분포는 alcohol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는 주로 terpene alcohol이었다. 생엽과 덖음녹차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한 결과, 생엽에서 확인된 (E)-2-hexenal과 (Z)-3-hexenol 비롯한 leaf aldehyde와 leaf alcohol 등 10여종이 덖음녹차에서는 현격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ster류, ketone류 및 함질소화합물 등은 덖음녹차에서 생엽보다 많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덖음과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반응생성물로 생각되었다. 덖음과정의 열에 의해 생성되는 카라멜 화합물이나 maillard product 등 한국인의 입맛에 길들여진 구수한 향기들이 확인되어, 이러한 화합물들의 변화를 고려하여 덖음과정의 조건을 수립하는데 활용함으로서 기호성 높은 차 가공 시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기본 생엽과 덖음녹차의 향기성분을 기본으로 과학적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으며 가공 전 생엽의 향기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는 발효차나 반발효차 또는 덖음차 등 여러 유형의 가공된 다류와 비교 분석하여 기호에 맞는 차를 제다할 때 응용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fresh and roasted leaves of Camellia sinensis L.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method using the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s an extract solvent. The volatile extracts were analyzed by GC/MS.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as mostly based on the RI of GC and mass spectrum of GC/MS. The total number of 8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fresh leaves, and (E)-2-hexenal characterized as green note was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 Also, mono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and geraniol etc.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unds. Major functional group was alcohols including C6-alcohols and monoterpene alcohols accounting for 63%, and aldehydes followed by second functional groups. They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compounds contributing fresh leaves like flavor. But unlike roasted leaves, theaspirans which is identified in Osmanthus fragrance were detected in fresh leave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73 were identified in roasted leaves of C. sinensis L., and the contents was 87.40 ㎎/㎏. 4-Vinyl phenol and 1-ethyl-1H-pyrrole-2-carbaldehyde were detected a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accounting for 6.8 and 6.5%, respectively. Appreciable amounts of benzyl alcohol, (E)-nerolidol, indole and ethyl acetate were detected in roasted leaves. The major functional group was alcohols almost consisting of terpene alcohols. Leaf aldehyde such as (E)-2-hexenal and leaf alcohol such as hexanol detected in fresh leav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oasted leaves. Esters, ketones, and N-containing compounds produced during heating in roasting process were detected higher than in fresh leaves.

      • KCI등재

        남성노인의 배우자 돌봄에 대한 연구

        이순미(Lee Soon-Mi),김혜경(Kim Hye-Kyung)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4

        이 연구는 최근 점증하는 남성노인의 배우자돌봄이라는 현실에 주목하여 그간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돌봄의 쌍방적 측면과 관계적 성격, 돌봄경험의 서사적 특징 및 남성돌봄자의 젠더정체성의 문제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남성들의 돌봄경험의 질을 ‘여성적 잣대’를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고 그 자체로 온전하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사례는 인지장애는 없으나 거동이 어려운 부인과 그를 돌보는 남편으로 이루어진 노부부 가구의 4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노부부들의 배우자 돌봄은 부부의 애정이나 부부관계의 역사와 같은 관계적 자원이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특히 돌봄 이전 부부관계의 친밀성의 정도와 유형, 과거와의 연속과 단절에 대한 인식, 서로간의 역할에 대한 상호인정과 평가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돌봄의 질과 의미를 다르게 구성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 이외에도 노부부간의 배우자 돌봄은 돌봄제공자 스스로가 노인이라는 점과 노인들만 있는 고립된 공간에서 거의 전적으로 혼자 돌봄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 크게 좌우되고 있었다. 비공식적 가족돌봄에 대한 정책의 부족, 여타 가족원의 지원 부재, 그럼에도 가족돌봄을 이상화하는 사회적 담론 등은 부부돌봄밖에 선택할 수 없게 만드는 구조적 제약요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부부관계가 친밀한 관계의 역사가 아닌 한, 부부돌봄은 오히려 가장 고립적이고 부담이 큰 돌봄형태가 될 수 있었음이 드러났다. 한편 남성들의 돌봄경험을 ‘여성적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고 온전하게 이해하고자 하였는데,사례 돌봄제공자들은 성역할 사회화에 기반하여 한정된, “남성적인”인 돌봄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적 요구에 대응하면서 신축적으로 돌봄행위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이상적 남성성과 현재의 처지 사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협상하여 자신의 남성성을 재규정, 유지하고 있었고, 여기에는 ‘남편’으로서의 의무와 책임감이라는 서사가 중요한 틀이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husbands' caregiving for their sick wives, focussing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 spousal care and the 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y in caring. Four couples of husbands, and wives who are physically sick but not with dementia are selected for this purpose. The eight narratives of husbands and wives on the life history and care history are analyzed each along the story lines without fragmenting the stories. The care is essentially a relational work, embedded in the specific human. In this study caring was examined in the perspective of the marital relationship of the couple and its history. Moreover how the men in the old age adjust their gender identities in times of transition to the new role of caring wives was also our inter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ousal cares at their old age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marital relationships before the transition to the caring phase. The relational resources like intimacy and recognition of the spousal contribution to marriage are important. So in case of the couples with poor relational resources the spousal cares by the old husbands are poor in quality and troublesome. Moreover the carer's old age and their separate living arrangement with no children make the care burdensome. Deficiency of the support for the family care and the dominance of the discourses idealizing the family care contribute to worsen the situation of the spousal care among old persons. Meanwhile this study also tried to understand men's care not by the 'feminine yardstick', but by their own experiences. Their care activities don't fit to the stereotype of male gender properly. They construct caring flexibly in different situations, and negotiate between ideal masculinity and their present positions.

      • KCI등재

        전문대 학생과 직장인의 영어 학습에 대한 의식 조사 및 요구 분석

        이순향(Lee Soon-Hyang) 한국비서학회 200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서 관련과에 재학 중인 학습자와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과 의식을 파악하고, 두 집단의 연구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졸업 후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내용의 학습을 위한 교과 과정 및 교수법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영어 능력에 대한 의식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실무 현장의 직장인들에 비해 재학생들의 경우 영어 능력이 채용과 업무, 급여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능력에 대한 기대 수준에 대해서는 재학생은 중상 정도의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반면, 직장인들은 그보다 조금 낮은 수준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의 결과, 재학생과 직장인 모두 회화 영역의 학습을 중심으로 취업 및 실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내용의 학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되며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교과 과정과 학습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n English teaching method and a college secretarial curriculum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on English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ir perception on English learn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 group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effect of the ability of English in employment, business and salary than the worker group. Secondly, the student group's English ability target level(upper intermediate) on English ability was higher than worker group's expectation level which is intermediate.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on English learning is that students and workers need basic and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retarial English curriculum and the teaching method toward learner-center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