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갈등가정 아동의 사회적 관계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효과비교

        이순욱,김춘경 대한문학치료학회 2013 대한문학치료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부부갈등 가정 아동의 사회적 관계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집단상답 프로그램을 구 성하고||| 독서치료와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부갈등 가정 아동 중 프로그 램에 참여의사를 밝힌 28명을 선정하여|||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10명|||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8 명||| 통제집단 10명으로 28명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계 변인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별로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았다. 프 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추후검사 를 종속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차이가 유의한 경우|||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Bonferroni의 사후검증 절차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부모-아동관계척도와 또래교제기술||| 학교흥미 척도이다. 연구결과 부모-아동 관계 친숙함 변인에서는 두 처치집단 모두에서 실시 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그 효과는 추후까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아동 관계 갈등 변인에서는 사후와 추후에 효과 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교제기술의 경우 두 처치집단 모두에서 사후와 추후에 효과가 나타났다. 학교흥미의 경 우||| 독서치료집단은 사후와 추후에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야기치료 집단은 추후에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인 염주용의 매체 활동과 『문예신문(文藝新聞)』

        이순욱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of Poet Yeom, Ju-yong, who practically led the modern regional literature of Busan and closely looking at the weekly literary magazine “Munye Sinmum” that he published. There has not been many studies on Poet Yeom, Ju-yong because it was difficult to find his literary works that can shed light on his literary achievement and to verify “Munye Sinmun” that established him as a practical leader and guardian of the Busan's regional literature, so much so that he was even equated with “Munye Sinmun”. To begin with, records of his life continue to cause confusion. The writing on the 5th edition of “Busan Munhak” published in 1973 by the Busan Branch of the Korean Literary Association intensified the confusion. Whenever Yeom, Ju-yong is mentioned, some incorrect information about him has been reproduced again and again base only on Jeong, Soeng-su’s recollection.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Yeom, Ju-yong contributed “Nodongja(Workers)” in the reader’s literary section of the “Chosun Ilbo” and since then he wrote 9 poems, 3 literary criticism and a playscript “The Day of the Fall of the Dongnae Fortress”. He was briefly a member of the literary coterie “Saengli” before he joined Manchu State around 1938 and turned to the puppet state. His status in the regional literary history was significantly heightened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After he secured a recognized place as a right-wing writer in the Gyeongnam Branch of the Chosun Association of Youth Writers and Samnam Literary Club, Yeom, Ju-yong began to make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regional literature by publishing “Munye Sinmun” since August 1946, which served as a key base sustaining the Busan's regional literary society. Second, the 2-page weekly tabloid “Munye Sinmun” was published every Monday mainly featuring literary works. Its publisher, located at 1-48, Daegyo-tong, Busan-bu, has a comprehensive system with editorial, printing, publicity, entertainment, general affairs, sales departments. As a literary magazine, its space was mostly covered with poems, novels, essays, criticism,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s songs, children’s verses and children’s stories) as well as with news from the local music, arts, theater and movie industries and latest trends of the schools. Third, “Munye Sinmun” did not support any particular faction, making it difficult to categorize it into left-wing, right-wing or moderate media by general standards. The magazine is rightly regarded as a middle-of-the-road media thanks to its line-up of the writers who tried to stay away from ideological biases. Given the fact that its writers had various ideological spectrum, it can be said that the publisher remained aloof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or pursued an apolitical editing style. It was quite a surprise to see this composition of writers because the first half of 1948 when the 6th edition, which is still in existence, was published, was considered the period when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writers were very conspicuous. Fourth, the media was marked by its bold projects and page layout designed to guide next-generation writers of the local community into the mainstream literary circles. For example, the annul spring literary contest was introduced to find promising local writers and encourage their literary activities, and competitions for students literary awards and children's literary awards were held to allocate space in the paper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discover future growth engines for the regional literature. It is fair to say, therefore, that “Munye Sinmun” played a key role in strengthening the base for the regional literature by discovering talented writers from the media landscape of Busan crowded with many newspapers and providing student writers with an opportunity to contribute their literary works. 이 글은 염주용의 삶과 문학 활동을 되짚고, 광복기 부산 지역문학의 핵심 매체인 『문예신문』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학적 여정에서 가장 치열했던 광복기의 매체 활동은 그를 근대 부산 지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문학인으로 규정하는 근거다. 논의의 바탕이 되는 일차문헌이 대부분 유실된 상태에서 일부자료만으로 매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은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도 제한된 자료만으로도 『문예신문』의 됨됨이와 필진 성격, 광복기 부산 지역 문학사회의 지형도와 지역문학의 성장 동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염주용은 1930년 『조선일보』 독자문예란에 시 「노동자」를 투고한 이래 9편의 시와 평문 3편, 연극대본 『동래성 함락의 날』을 남겼다. 1937년 잠시 『생리』 동인으로 활동하기도 했지만, 만주에서 돌아온 광복 초기 조선청년문학가동맹 경남지부와 삼남문학회에서 문단적 지위를 확보한 이후 『문예신문』을 발행함으로써 지역문학사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주간지 『문예신문』은 필진 구성에서 이념적 스펙트럼이 다양한 필진이 참여하고 있는 까닭에 좌우 편향성을 극복하고 있는 중도적인 성향의 매체라 볼 수 있었다. 제호에 걸맞게 시, 소설, 수필, 평론, 아동문학(동요, 동시, 동화)을 중심으로 지면을 구성했으며, 지역 안팎의 문단 소식뿐만 아니라 문화계, 교육계의 동향까지 전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문예신문』은 지역의 문학후속세대를 발굴하여 부산 지역 문학사회를 두텁게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신춘문예제도를 도입하여 지역작가를 발굴하고 그들의 문학적 실천을 북돋았으며, 학생문학상과 아동문학상을 제정하여 부산 지역문학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앞으로 제한된 자료의 한계를 넘어 매체 발굴을 통해 근대 부산 지역문학사를 새롭게 쓸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야 하겠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 한국전쟁기 독본 연구 2

        이순욱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6 No.-

        두루 알다시피 문학독본은 과거와 현재의 대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문학독본은 정전 형성 논리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매체 가운데 하나다. 편집자의 이념적 성향과 문학적 관점, 이를 뒷받침하는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사회 정치적 상황, 출판 매체자본과 교육제도 동에 따라 수록 작가와 내용 구성에서 일정한 차이를 노정한다.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19종의 문학독본의 성격과 특성을 개관하고, 『조선현대시선』을 중심으로 문학독본의 특이성과 문학교육의 관련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한국전쟁기 문학독본은 학교현장에서 국어과 부독본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발간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특정 이념이나 지식을 알기 쉽게 전달할 목적으로 출간되었다. 하지만 교과서에 비해 애국주의와 국가주의적 시선은 잃게 드리워져 있었다. 그런데도 문단재면의 논리를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특정한 문학 지식과 교양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훈적 성격 또한 지니고 있다. 중등학교 '국어 참고용' 혹은 '중등국어 부독본', '일반남녀 중학교 교재용', "고둥학교 국어 부독본"으로 사용하기 위해 발간된 문학독본이 바로 그것이다. 『중둥문예독본』, 『문학독본』, 『중동문학독본』, 『여학생문학독본』, 『중학생 문예독본』, 『고동 문예독본』, 『현대문예독본』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문학정전은 문학 내적요소와 사회 정치적 상황과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동의 외적 요소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해석과 선택과정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이러한 문학독본은 대체로 단정 수립 이후 국가이데올로기와 문학사회 재편의 결과를 반영한 문학정전을 구축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록 작가나 작품이 근대문학사를 재편하고 체계화한 문협정통파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반면, 대학 교재로 사용된 『조선현대시선』은 편집 원칙과 수록 대상에서 중고등 문학독본과는 일정한 차이점 을 지니고 있었다. 단정 수립 이 후 문학 정전의 형성이 이데올로기적 요청과 필연적인 관련성을 지닌다고 볼 때, 특히 『조선현대시선』의 경우에는 월북, 재북, 입북시인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분히 정치적이라 할 만하다. 비록 학회의 회원들에게 손에 넣기 어려운 시들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었고 유인본으로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단정 수립 이후 작동된 정전 형성의 논리를 여지없이 허물어뜨리고 있었다. 이는 서정주의 『현대조선명시선』이나 임학수의 『시집』을 통해 에서 구축된 근대 시문학 정전텍스트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자리다. 당대의 정치적 이념과 문학 재편 결과를 배제함으로써 온전한 근대시문학사를 구축하고자 한 노력의 산물로 읽힌다. Literary readers are known to feature the past and contemporary literary works. Just like textbooks, literary readers are one of the important media to find out the logic behind the canon formation. They revealed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writers and contents according to editor's ideological tendency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ideology supporting the literary circles, sociopolitical situation, publishing media capital and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 literary reader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and shedding a light 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literary readers and their connection with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Joseon contemporary Anthology』 During the Korean War peri여, literary readers were published not only as a supplementary reader for Korean Language at school but also as a medium to easily transmit knowledge or specific ideology to the public. Compared to textbooks, however, the patriotic and nationalistic views were less pervasive. In a way, they were like the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as they delivered specific knowledge and liberal arts to students based on the logic for the literary circles realignment. Literary readers in this sense include 'Reference for Korean Textbook' for middle school or 'Supplementary Reader fo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Textbook for Boys and Girls Middle Schools' or 'Supplementary Reader for High School Korean.' Cases in point are 『Middle School Literary Reader』, 『Literary Reader』, 『Middle School Literary Reader』, 『Girls' Literary Reader』, 『Middle School Students' Literary Reader』, 『High School Literary Selections』, 『Contemporary Literary Selections』. In general, literary canons can be seen as an outcome of interpretation and selection in the process of complicated interaction between literary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conditions including socipolitical situation and ideologies of the literary circles. These literary readers tend to form the literary canon that reflected the ideology chos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and the realignment of the literary circle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elected writers and literary works mirrored the ideology of the orthodox faction of the Korean Literary Association which restructured and systemized the modem literary history. On the other hand, 『Joseon Contemporary Poetry Anthology』which were used as college textbooks displayed some differences from liter따y read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terms of editing principles and selection of works. Given that the canon form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represent어 ideological requests and inevitable relevance, it is fair to say that 『Joseon Contemporary Poetry Anthology』was particularly political as it contains literary works of poets who defected to or stayed in North Korea. Even though its purpose was to introduce poems that were hard to find at the time to the members of the society as printed materials, it defied the dominant logic behind the canon formation at the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modem poetry canon texts established by Seo Jeong-ju's 『Contemporary Joseon Poetry Anthology』or Im Hak-su's 『Collection of Poem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roduct of efforts to write a complete literary history of modem poetry by excluding any political ideologies or outcomes from the literary circles realignment.

      • KCI등재

        부산지역 4월혁명과 민주문학

        이순욱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Busan had been one of the most critical domai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pieces of the April Revolution Literature based on the spirits of democracy and resistance. Most the poems, public opinions, juvenile works, records of protest events, and crticisms which had been put on the public math media of Busan area such as the Busan Ilbo, the International Newspaper, and the Democratic Newspaper, were full enthusiasm for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the Li SeungMan Government. The reason why Busan literature in the period of April Revolution took the lead of journalisms and literary criticisms against the state power seems due to the rich heritage of politics of literature which had been accumulated throught daily experiencing ideology struggles in the province since the Korean War. 4월혁명은 한국사회의 구조적 재편과 극적 전환을 마련해 준 역사적 사건이었으며, 문학의 좌표를 새롭게 설정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4월혁명문학은 이승만 정권과 비민주적인 가치 체계에 대한 단죄와 국가권력에 대한 비판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정치의식과 정치적 실천을 전면에 표출한 ‘힘의 선언’이자 피의 선언이었다. 혁명 당시 신문매체에서 지배적으로 생산된 시와 공론, 비평, 어린이문학, 청소년문학, 수기, 항쟁기 들은 그러한 정치의식의 적극적인 표명이었다. 부산은 4월혁명시기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시민들의 정치적 실천이 가장 폭넓게 전개된 지역으로, 마산과 더불어 혁명의 열기를 전국적으로 확산한 4월혁명의 진원지이자 거점이었다. 이 시기 부산은 한국전쟁 이후 문화지형의 변화와 시민의식의 성장, 청년학생운동 조직의 결성과 활동, 국가의 요구에 굴복하지 않은 언론 방송매체의 공론장 형성과 적극적인 여론 주도 들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4월혁명문학을 주도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