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응급실내 신속 대응을 위한 BPM 기반의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이수현(Sue-Hyun Lee),정인성(In-Sung Jung),김재권(Sue-Hyun Lee),박지송(In-Sung Jung),김시라(Jae-Kwon Kim),강운구(Jee-Song Park),이영호(Si-Ra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2

        의료기관의 응급실은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긴박한 현장으로 환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응급실 진료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해 BPM 아키텍처를 도입하여 응급실 업무들을 표준화, 가시화함으로써 의료진의 신속한 응급 업무 대응이 가능한 응급신속대응관리시스템(EQRMS-Emergency Quick Response Management System)를 제안한다. 의료기관에서 BPM의 도입은 단순히 병원 경영 목표나 병원 내외부의 운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이점 이외에 병원 업무의 이윤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임상위험수치 (CV-Critical Value)를 정의함으로써 복잡한 검사의 단순화와 검사 시간 단축, 검사의 오류 발생률 감소 등 환자의 안정성 제고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경험수집 소비행동에 대한 통합적 연구

        이수현 ( Sue Hyun Lee ),이유재 ( Youjae Yi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경험수집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경험수집 현황, 유형, 주요 동기, 가치, 그리고 경 험수집 단계와 확산과정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차례의 문화기술적 면담(ethnographic interview)과 3차례의 서술형 설문조사를 순환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수집을 해본 비율은 물질수집과 비슷했지만, 현재도 수집을 하고 있는 경우는 경험수집(76.0%)이 물질수집(58.7%)에 비해서 높았으며, 수집을 중단한 적이 있는 비율은 경험수집(67.4%)이 물질수집(93.6%)보다 낮았다. 경험수집 중단 이유로는 경제적, 시간적 제약이 가장 많이 언급된 것에 비해서, 물질수집 중단 이유로는 의미/재미가 없다고 느껴지게 되었다는 점과 경제적 제약, 공간 부족문제가 많이 언급되었다. 둘째, 경험수집의 유형은 체험(여행, 식당/카페 방문, 레저/스포츠 활동), 관람(영화, 공연, 전시회/박물관 등), 자기개발(스펙 쌓기와 관련된 경험)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고, 이 중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경험 수집은 ‘체험’과 관련된 것이었다. 셋째, 경험수집 동기는 크게 ‘나의 성장’, ‘삶의 즐거움’, ‘사회적 관계에서의 만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이 중 ‘삶의 즐거움’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물질수집과 가장 차이가 나는 동기는 ‘나의 성장’이었다. 넷째, 험수집의 만족도가 물질수집의 만족도에 비해 높았으며, 물질수집과 차별화되는 경험수집의 가치는 ‘내적 성장’, ‘추억의 보존’, ‘정서적 만족’,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 등의 순서였다. 특히 경험수집의 동기로서는 부각되지 않았던 ‘추억의 보존’이 두 번째로 중요한 가치로 나타났는데, 경험수집에서 좋았던 기억을 추억으로서 보존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 물질수집이 경험수집의 보완재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다섯째, <수집할 경험의 선정/계획 ⇒ 경험수집 ⇒ 수집한 경험의 보존(추억) ⇒ 수집한 경험의 공유>의 4단계로 이루어지는 경험수집은 축적될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며 끊임없이 가치가 창출되는 동태적 행동이다. 현재의 경험수집 행동과 만족도는 과거의 경험에 대한 추억과 미래의 경험수집에 대한 계획으로부터 전후방적인(forward-backward)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경험수집을 한 번 시작하면 지속할 가능성과 더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수집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여섯째,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개인적 수요의 증가와 매스미디어와 SNS를 통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경험수집은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들이자신의 경험을 주변 지인에게 공유하고, SNS/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함으로써 경험수집 행동이 더 확산되는 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학습, 대리 만족기회 제공,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서 행복감, 뿌듯함, 즐거움 등을 전파하는 선순환적인 매커니즘을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is a large-scaled phenomenon that can be observed easily.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garding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s, types, major motivations, values, processes and diffusion of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conducted three rounds of ethnographic interviews and three rounds of descriptive surveys rotationally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respondents who have collected experiences at least once appears to be similar with the ratio of respondents who have collected objects at least once. However, in terms of the current collection, the ratio of the experience collection (76.0%) is much higher than the one of the object collection (58.7%). In case of ever stopping the collecting process, the ratio of the experience collection (67.4%) is much lower than the one of the object collection (93.6%). The experience collecting process was stopped mainly due to problems such as the economic or time-related limitations, whereas the object collecting process was stopped mainly because it no longer provided any kind of meaning/fun or there were economic and spacerelated limitations. Second, the experience col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direct experience’ (such as travels, visits to extraordinary restaurants/cafes, and leisure/sporting activities), ‘watching experience’ (at such places as movies,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centers/museums) and ‘personal development experienc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personal skills useful for employment). Among such categories, ‘direct experience’ is the one which consumers tend to carry out the most. Third, the motives of experience col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growth,’ ‘pleasure in life’ and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 Among these three categories, ‘personal growth’ can be seen as the category with the biggest difference compared to object collection. Fourth, the values of the experience collec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nes of the object collection, include ‘the intrinsic growth,’ ‘the preservation of memories,’ ‘the emotional satisfaction’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In particular, ‘the preservation of memories,’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as the motivation of experience collection, is regarded as the second important value. When it is necessary to preserve good memories in the experience collecting process, object collection can play the role of a complementary good for experience collection. Fifth, experience collection can be regarded as a dynamic behavior which increa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reates values based on the level of accumulation. The current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and the related level of satisfaction are subj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fluence of the memories related to the past experience and the plans for the experience collection in the future. Last, once the experience collecting process is started, it is likely that the process is continuously carried out in more fields due to its high values and utility. Moreover, as consumers share their experience with their friends and other unspecified people through the SNS or online communities, the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is spread more.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consumer behavior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나를 위한 선물: 셀프기프트(Self-Gift) 소비행동에 대한 정성적 연구

        이수현 ( Sue Hyun Lee ),이유재 ( Youjae Yi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비자들의 셀프기프트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셀프기프트 동기, 셀프기프트 소비 후 감정, 셀프기프트의 주요 특징, 셀프기프트 소비행동의 진화과정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셀프기프트 소비행동 전반에 대해 문화기술적 면담(ethnographic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SNS 빅데 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을 시도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억 건의 SN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제로 셀프기프트와 관련된 표현의 언급빈도는 최근 3년간 급증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셀프기프트 현상의 증가 추세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셀프기프트의 동기는 보상, 투자, 여윳돈, 기념일, 위로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중 보상적 동기로 셀프 기프트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두세 가지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셀프기프트 동기와 관련 요인들을 원인연쇄분석(causal chain analysis)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각 동기들은 중간단계의 원인을 거쳐 ‘나는 소중하다’라는 심층적인 원인으로 수렴되고 있었고, 실제 셀프기프트 행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정당화’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기프트 후에는 대부분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지만, 위로 동기의 경우에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혼재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피드백에 따라서 소비자들은 셀프기프트 후의 감정이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경험을 하였다. 넷째, 셀프기프트 소비행동은 대중매체, 주변사례, 책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자기학습되고, 주변 관찰을 통해 쉽게 전염되는 특성을 보였다.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온라인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촉진되고 있었다. 또한 내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선물도 확장된 셀프기프트가 될 수 있었다. 다섯째, 셀프기프트 소비행동은 1) 셀프기프트 개념인식 단계, 2) 셀프기프트 첫경험 단계, 3) 셀프기프트 재시도 단계, 4) 적극적 셀프기프트 단계, 5) 셀프기프트 반복/습관화 단계 등을 거쳐 점점 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Self-gift behavior is a large-scaled phenomenon that can be observed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regarding such a trend especially in interdependent culture such as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otivation for self-gifts, the emotions following the consumption of self-gifts, the characteristics of self-gift behavior and the evolutionary process related to self-gift behavior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adopted an ethnographic interview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selfgift behavior. Also, the social media text mining has been appli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referring to the gifts given and the frequency of referring to self-gifts have been examined by analyzing 200 million cases of SNS big data over the last three years. It appears that the frequency of referring to gifts has not changed substantially over the last three years. However, the frequency of referring to self-gifts has increased rapidly. Based on such results,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check the increasing trend of self-gifts in Korea. Second, the motives of self-gifts can be divided into rewards (when you try to provide yourself with some rewards regarding personal achievements or efforts, or try to encourage yourself with incentives for the accomplishment of objectives), investment (when you try to increase your own competitiveness), extra money (when you get bonuses), anniversaries and holidays (when you try to celebrate special occasions), and therapies (when you try to relieve your own depression or stress). Among such categories, the type of self-gift behavior based on rewards has become the most frequent. Also, there are many cases of two or three motives combined together. By analyzing the motives of self-gifts and other related factors through the causal chain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ep-rooted cause of these motives is the awareness that ‘I am precious.’ Also, it has been found that justif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verting the five motives into the actual consumption of self-gifts. Third, the emotions after self-gifts have varied across motives. When the motives for selfgifts are rewards, investment, extra money, or anniversaries and holidays, most people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fter giving themselves self-gifts. However, when the motives are therapies, there are many case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mixed together. Also, people’s emotions after self-gifts are affected by feedback from others. Fourth, in addition to the major characteristics (e.g., the means to communicate with one’s self, a kind of self-contract, special meanings, a hedonic consumption and symbolic values) of self-gifts, which were commonly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hree more characteristics such as ‘cognitive self-learning,’ ‘contagion’ and ‘extended self-gifts’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various routes such as mass media, various anecdotal cases and books, the messages related to self-gifts can be recognized. If people are persuaded through such a process, they will experience cognitive self-learning. By acquiring, tuning and restructuring new information based on recognition of self-gifts, people can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self-gift behavior. Also, it has been found that the self-gift behavior can be easily contagious through observations. The case of self-gifts can be transferred to and empathized by one’s acquaintances through the mass media, causing more people to give themselves self-gifts. As online social interactions have become more active, self-gift behavior seems to have become more popular. Also,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extended self-gift behavior, including giving gifts to one’s family members or close friends. Last, self-gift behavior seems to evolve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1) the stage of recognizing the concept of self-gifts, 2) the stage of experiencing self-gifts for the first time, 3) the stage of re-attempting self-gifts, 4) the stage of actively giving self-gifts, and 5) the stage of repeated/ habituated self-gift behavior. Not all consumers who give self-gifts reach the stage of repeated/ habituated behavior. However, as long as they do not stop self-gifts after the first or second attempt, most of them seem to go through the above evolutionary stag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ands the research scope of self-gift consumption behavior by utilizing the ethnographic interview, causal chain analysis and the social media text mining. Second, while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motives for self-gifts individuall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related to each motive in a combined and systematic way through the causal chain analysis. Through such a proces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a deep-rooted cause for every motive is the concept that ‘I am precious.’ In the process of various motives of self-gifts being actually converted into the activities related to self-gifts, ‘justification’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Third,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motive of ‘investment’ which was not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this study makes the first attempt to propose the evolutionary stages of the self-gift behavior. Self-gifts provide consumers with vitality and comfort in their life. Also, they aid self-development among consumers and create newmarkets for corporations. However, when self-gifts are habituated, they could lead to negative results such as excessive consumption. By an in-depth analysis of self-gift consumption behavior, this study has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the discussion of whether the increasing trend of self-gift behavior is appropriate for the society.

      • KCI등재후보

        부산 1세대 서양화가 우신출 연구 -풍경화를 중심으로-

        이수현 ( Lee Sue-hyun ) 동아문화재단 2020 文物硏究 Vol.- No.37

        丹光우신출(禹新出, 1911~1991)은 부산지역 초기 서양화단을 대표하는 서양화가이다. 부산에서 서양화를 체득한 그는 부산 최초의 동인전 경남미술회를 시작으로 춘광회와 경남미술교육연구회, 후기전 등을 참가하며 화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한국전쟁기에는 종군화가로서 전쟁의 참상을 기록하였고, 전쟁후에는 13번의 개인전을 통해 끝없는 창작활동을 펼치며 부산화단의 맥을 이어 나갔다. 한편, 그는 생애 전반에 걸쳐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풍경화를 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아무리 악랄한 침략자도 향토의 풍물까지 떼어가겠느냐는 생각을 기저로 자연을 소재로 한 그림을 계속해서 그린 것이다. 따라서 본 논고는 우신출의 화가로서 생애와 풍경화를 대상으로 그의 화풍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종래 구체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부산 1세대 화가 우신출의 화업 전반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사실을 기반으로 제작된 그의 풍경화는 소재 및 화풍을 기준으로 볼 때 시대별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1930년대에는 근대적 소재가 다수 발견되며, 전반적으로 인상주의 경향을 답습하고 있지만 표현주의 특징이 정형화되지 않은 채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1940년대 들어서자 전근대적인 향토적 소재가 새롭게 등장하며, 일본의 관전풍 아카데미즘을 따르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산의 일상적 풍경을 주제로 점묘적 특징이 가미된 새로운 풍경화로 전개된다. 즉, 40년대 보이던 향토적 소재의 연장선상에서 60년대는 일상적 풍경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부산의 발전과 변모과정 속에서 화풍의 변화를 거친 우신출은 부산화단에서 크게 두 가지 역할을 지닌다. 첫째, 1930년대 초기 부산화단에서 활동한 작가들의 남아있는 자료는 매우 희소하여 당시 상황을 살펴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 근·현대를 관통하는 우신출의 생애를 추적함으로써 부산근대미술의 형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사례로써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경남미술교육연구회와 일요화가회를 통해 일반 시민들에게 보다 쉽고 친숙하게 미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술대중화에 일조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의 사회적, 대중적 성장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서양화가 우신출은 부산미술사에 있어 주목해야 할 인물로 그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Dankwang(丹光) Woo Shin Chul(禹新出, 1911~1991) is an artist of Western painting representing the original Busan painting circle. As non-being studied abroad, he was accepted for a major competition without systematic education on Western painting and stood shoulder to shoulder with the mainstream painters of Busan painting circle of the day. Not only, as a painter, he carried out flourishing activities as leading various group exhibitions centered on Busan area, but also he spent his effort to educate juniors as working in teaching profession for 40 years. Meanwhile, he produced his landscapes of the whole place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Busan city throughout his life. Woo Shin Chul, who lived a life through modern and contemporary Busan as a painter, has two significances in the Busan painting circle. First, he led the original Busan Western painting circle in 1930s. Although he could not go to study abroad on account of difficult family reasons, he completely learned modern ar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 paintings in Busan. Therefore, it was able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original Busan painting circle through the process of Woo Shin Chul acquiring Western paintings. Second, he led the popularization of art in Busan. He took the initiative in the popularization of art as teaching art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Gyeongnam Art Education Research Society and the Sunday Artists’Club.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점심식사 방식과 점심식사에 부여하는 의미

        이용숙(Lee, Yongsook),이수현(Lee, Sue Hyu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30여 개 대학에서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학교에서의 점심식사방식과 점심식사에 부여하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학교에서 보통 점심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31.5%나 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수업 및 다른 이유로 점심 먹을 시간이 없다는 것과 학교에는 먹고 싶은 메뉴가 없다는 것이다. 많은 학생들은 시간과 돈의 절약이 필요해서 ‘때우는’ 점심을 먹고 있었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때우는’ 점심을 먹는 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점심식사에 대해 학생들은 삶의 행복/즐거움/오아시스(29.7%), 힘/에너지/삶의 원동력(28.1%), 쉬는 시간/여유(22.7%),소통시간(15.2%) 등의 긍정적인 의미부여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배를 채우는 것/살기 위해 먹는 것’(12.5%)과 같이 특별한 의미부여를 하지 않거나, ‘스트레스/번거로움’(7.0%) 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결론에서는 대학생의 점심식사 문제가 사회적 문제임을 지적하고, 어떤 개선이 필요한지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question “what luncheon means to university students?” In this research,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observed through various method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dditional surveys were conducted in 30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turned out that only 68.5% of the students normally had proper lunch on campus. The major reasons for not having lunch on campus was that there was not enough time for lunch due to classes and/or other works, and that the menus provided at school did not satisfy the students. Venues most used for lunch were on-campus cafeteria, restaurants near the campus, and convenience stores. Only 70% of male students and 53% of female students answered that their ‘favorite place to eat’ and ‘the place they eat the most’ correspond. This, according to the analysis, was because students choose places to eat based on the distance, price, and whether they can finish their meals quickly rather than their preferences. Most students ascribed positive meanings to such lunch time such as happiness/joy/oasis (29.7%), strength/energy/motivation (22.7%), and recess/break (22.7%). At the same time, however, non-positive or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lunch on campus were also quite pervasive including ‘survival/satisfying hunger" (12.5%), "stress/burden" (7.0%) or "money" (6.3%).

      • KCI등재

        인도네시아 하이브리드 편의점의 태동과 소비문화

        이지혁 ( Lee Jihyouk ),이수현 ( Lee Sue Hyu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7 東亞 硏究 Vol.36 No.1

        미국에서 시작된 편의점은 1970년대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로 확산되기 시작해서 지금은 동남아로 그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소매업의 세계화를 선도하는 편의점은 근본적으로 프랜차이즈 체인 방식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각국이 처한 소매산업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상호의 편의점이라 하더라도 실제의 영업 형태에는 저마다 차이가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2009년 `7-Eleven Japan`의 진출을 기점으로 기존의 편의점과는 차별화된 `하이브리드 편의점`(hybrid convenience store)이 확산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편의점은 편의점에 의자와 테이블 등을 구비하고 간이식당과 카페의 기능이 추가된 형태의 편의점이다. 기존의 인도네시아 편의점이 식별 관리코드(SKU: stock keeping unit)로 관리되는 일용잡화, 즉석식품, 식료품을 판매하는 `그랩 앤 고`(grab and go)방식의 매장이라면, 지난 6-7년 동안 자카르타와 주변 도시로 확장되고 있는 편의점은 대형화된 매장에서 음식을 취식할 수 있고,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수 있고,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업태가 혼합된 편의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편의점이 태동한 배경으로 법률적 제약, 기존의 현지 편의점과의 차별화 전략, 편의점이 성숙기에 도달한 일본 기업의 영업 전략, 그리고 현지인들의 문화에 주목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하이브리드 편의점이 태동하게 된 배경과 개별 국가의 산업 환경에 따라 변형되는 국제경영에서의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현상을 조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이브리드 편의점에서 발견되는 인도네시아 현지의 독특한 문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Convenience stores originated from the United States, expanding to Northeast Asia, including Japan, in the 1970s and more recently across Southeast Asia. Convenience stores, leading the globalization of the retail industry, are basically spreading through franchising. Since the retail industry environment of each country is different, the same mutual convenience store may possess different business practices from country to country. With the arrival of `7-Eleven Japan` in 2009, `hybrid convenience store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existing convenience stores have been spreading in Indonesia. Hybrid convenience stores are equipped with chairs and tables, and snack bars and cafes. If traditional Indonesian convenience stores were a "grab and go" system that sold daily necessities, instant food, and groceries managed by a stock keeping unit (SKU), new convenience stores expanding to nearby cities provide a variety of food items in large-sized stores, Wi-Fi and a lounge for informal meetings. This study focuses on legal constraints, differentiation strategies from existing local convenience stores, sales strategies of Japanese companies reaching the maturity stage of convenience stores and local culture. We will also focus on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hybrid convenience stores in Indonesia and the globalization phenomenon in international management that ha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 of individual countries. In addition, we concentrate on the unique culture of Indonesia that is found in hybrid convenience stor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