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유족급여 수급권 - 서울고등법원 2021. 9. 8. 선고 2020누48149 판결을 중심으로 -

        이소은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5

        대상판결은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에게 산재보험법상 유족급여를 수령할 권리가 인정되는가 하는 쟁점을 다루었다. 위 쟁점은 대법원 판결에서 몇 차례 다루어진 적이 있으나, 판결마다 판단 기준이 같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상판결은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의 사회보장적 급여 수급권을 인정한 판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급심 판결이기는 하나, 대법원도 대상판결에 대한 피고의 상고를 심리불속행 기각함으로써 대상판결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하였다. 필자는 법률혼 배우자와 사이에 부부 공동생활의 실체가 존재하지 않고 이혼의사도 합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중혼적 사실혼을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되, 개별 법 규정의 취지를 고려하여 법률혼 배우자와 사이에 이혼의사의 합치에까지 이르지 못한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중혼적 사실혼을 보호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르면 법률혼이 객관적·주관적으로 실질적 파탄에 이르러 사실상 이혼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에게 산재보험법상 유족급여 수급권을 인정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가 법률혼 배우자와 사이에 이혼의사의 합치에까지 이르지 못한 경우에도, 사실혼 배우자에게 유족급여 수급권을 인정하는 산재보험법 규정의 취지를 고려하면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에게 산재보험법상 유족급여 수급권을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라고 하여 생활 보장의 필요성을 부정할 수는 없으며,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혼인장애사유의 부존재 또는 사실혼의 사회적 타당성과 같은 근거를 들어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의 유족급여 수급권을 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피재 근로자와 법률혼 배우자 사이에 이혼의사의 합치가 없었던 경우에도 법률혼이 ‘사실상 이혼 상태’에 있었다고 보아 중혼적 사실혼 배우자의 유족급여 수급권을 인정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둔 대상판결에 찬성한다. The Seoul High Court Decision 2020Nu48149 dated September 8, 2021 (hereinafter “the decision”) touched upon the issue of whether a spouse in a bigamous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is entitled to a survivors’ benefits under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hereinafter “the Act”). The said issue had been dealt with in the past few Supreme Court decisions; but the past decisions failed to present a consistent rule applicable to the issue. The decision recognized the right of a spouse in a bigamous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to a survivors’ benefits under the Act, and the Supreme Court approved the decision by dismissing the appeal filed by the plaintiff. In this paper, I argued that a bigamous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might stand valid, under circumstances where (a) the spouses of (former) legal marriage had not cohabited with each other for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b) the spouses had reached mutual agreement on divorce. I also maintained that a spouse in a bigamous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might claim his/her right even when the spouses of legal marriage had failed to reach agreement on divorce, considering the purpose of specific provisions of law which stipulate the right of a spouse. With due consideration for the purpose of the Act, I think the spouse in a bigamous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is entitled to a survivors’ benefits under the Act. The decision acknowledged that the (former) legal marital relationship was de facto dissolved in the given case, although the spouses of the legal marriage did not seem to have agreed to divorce, and properly recognized the right of the spouse in a bigamous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 KCI등재

        국내에서 출생한 이주 아동의 출생등록 문제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이소은 한국가족법학회 2023 가족법연구 Vol.37 No.3

        A child’s birth registration is a prerequisite for the child to achieve his/her civil status. The birth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has gone through important changes in the past few months. The Act on Registration of Family Relations was amended in June, 2023. Under the new registration law, a child’s birth can be registered by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The Act on Confidential Birth was legislated in October, 2023. Under the new law, a pregnant woman can give birth without giving her name to the hospital or civil registry. However, the new registration law does not apply to immigrant children, as the scope of law is limited to the civil registration of Korean nationals. Moreover, immigrant parents might not be able to benefit from the new system due to their fear of deportation. This paper studies legal system of other countries regulating nationality (or citizenship), birth registration, and immigration, in order to design a new registration law which guarantees every child’s birth registration. The countries where children acquire nationality based on his/her parents’ nationality allow birth registration of children of foreign parents. Japan, even though its nationality law and immigration law are as conservative as Korea’s, allows immigrant children’s birth registration. I suggest the Act on Registration of Family Relations be amended so as to allow immigrant children’s birth registration,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mmigration Act also be amended so that the information on foreign parents will not be transferred to the immigration office.

      • KCI등재

        역사적 탐구를 통해 시민적 참여의 증진을 모색하는 교육과정 분석 -Teaching History, Learning Citizenship을 중심으로-

        이소은 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논집 Vol.84 No.-

        This paper analyzed Teaching History, Learning Citizenship (THLC), a U.S. history curriculum aimed at promoting informed civic engagement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THLC curriculum aligns its goals with a democratic citizen approach, while adopting a disciplinary approach to achieve them. In addition, the THLC curriculum utilizes three organizing principles to promote informed civic engagement. First, the topics of study are chosen to capture historical moments of civic engagement. Second, series of documents are presented to promote historical literacy. Third, the THLC curriculum provides teachers with explicit strategies, including instructional materials and graphic organizers, to support students in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e THLC curriculum suggests th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history and historical inquir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ed civic engagement. Especially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is an increasing emphasis on the ability to effectively manage diverse information. Therefore, it is crucial to explore strategies for enhancing civic engagement through the promotion of historical inquiry and historical literacy.

      • KCI우수등재

        금전채권자의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와 보전의 필요성-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87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이소은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5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issue of whether a creditor of a co-owner may demand the division of the property to the other co-owner, exercising her right of subrogation under the Korean Civil Code (hereinafter “KCC”). A fairly recent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dated May 21, 2020, 2018Da879) dealt with the very issue.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aid Decision denied the availability of such claim, based on the reason that exercising the right of subrogation, in this case, did not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her claim. On the other hand, the dissenting opinion allowed the creditor to exercise her right of subrogation, in the way of demanding the division of the property to the other co-owner. The creditor/plaintiff of this case had a monetary claim, and the debtor did not have enough money (or any other asset) to repay her debt. The value of the share the debtor herself owned did not amount to the sum of the claim secured by mortgage. However, the value of the property as a whole exceeded the sum of the claim secured by mortgage; so the creditor could have collected the debt, if she had been allowed to exercise her right of subrogation, demanding the division of the property to the co-owner.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dissenting opinion may bring more desirable results, considering the interests of each stakeholder. Article 404 of the KCC, after all, is meant to provide the creditor with the means to collect the debt, as long as the requirements set upon are met. So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the dissenting opinion better serves the purpose of the subrogation right.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879 전원합의체 판결을 소재로 하여, 금전채권자의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 가능성과 그 당부를 다루었다. 대상판결은 공유물에 근저당권자 등 선순위 채권자가 있어 공유지분에 대한 경매가 남을 가망이 없을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민사집행법 제102조에 따라 취소된 경우, 공유자의 금전채권자가 자신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해서 공유자의 공유물분할청구권을 대위행사하려고 하는 매우 독특한 사안 유형을 다루었다. 이러한 사안 유형은 2015년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에서도 다루어진 적이 있는데, 2015년 판결에서 대법원은 채권자대위권 행사가 허용된다고 보았다. 대상판결은 채권자대위권 행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 2015년 판결을 변경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이 사건 유형의 경우 채권자대위권 행사가 허용되어야 한다는 반대의견이 있었다. 대상판결이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금전채권자의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 사안에서 문제 될 수 있는 여러 쟁점을 폭넓게 다루었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금전채권을 보전하기 위한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본 반면, 반대의견은 이 사건 유형의 경우에는 금전채권을 보전하기 위한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가 허용된다고 보았다. 필자는 대상판결의 사안에서는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가 채권의 현실적 이행을 확보하는 데 유효·적절한 수단이고, 공유물분할청구권 대위행사에 수반되는 법적 문제들이 채권자의 권리 보호를 외면할 정도로 중대한 문제라고는 볼 수 없으며, 채무자 및 공유자의 이익이 채권자의 이익보다 반드시 더 보호 필요성이 높지는 않다고 보아,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및 유아기 프로그램 평가

        이소은,하진희,류혜선,박영주,주은혜,이종순 충북대학교 교육생활연구소 2001 생활과학연구논총 Vol.4 No.-

        This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state of current administration and program contents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Using APECP(Assess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ssesment data were gathered from 27 apprentices in child care centers and 6 apprentices in Kindergarten in Cheongju.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n-Whitney test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distribution of percentile rate in administration was from 55% to 78%, and the area of Program Development scored the lowest. The assessments for Kindergarten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ld care center in the areas of Physical Facility, Food Service, and Program Management. (2) As for the program contents, percentile rate was from 62% to 80%, and generally the assessments for Kindergarten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ld care center. It appears that the cert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ealry childhood institutions should be supervised more strongly in order to improve the qulaity of those institutions.

      • KCI등재

        뉴스의 데이터화와 저널리즘 실천: 충돌 혹은 괴리

        이소은,박찬경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1

        언론의 디지털 혁신과 관련해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기술의 수용 또는 저항에 주목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혁신은 온라인 뉴스 형식의 변화와 그 형식이 유인하는 저널리즘 실천과 폭넓게 관련된다. 디지털 기술은 뉴스 정보가 생산, 유통, 매개되고, 맥락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며, 다시 저장, 가공되는 과정을 새롭게 구조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뉴스 데이터화’로 개념화하고, 뉴스 데이터화의 과정과 형식이 언론인들의 저널리즘 실천과 어떻게 조응하는지를살폈다. 이를 위해 언론종사자 15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고, 뉴스 데이터화 과정에서 기자의 역할과 뉴스 가치, 독자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재구성되고 있는지 분석했다. 데이터화의 흐름 속에서 뉴스는 내용뿐 아니라 형식 요소 자체에 의해 그 가치와 양식이 규정된다. 동시에, 언론인들은 각자의 판단과 관성, 타협과 조정, 수용과 저항을 통해 새로운 뉴스 가치와 양식을 오랜 시간 축적해 온 지면 위주 관습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조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언론인들이 지닌 저널리즘의 고유성에 대한 신념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디지털 콘텐츠로서의 뉴스 가치에 대한 고민과 실험이 존재함을 드러내고, 그 함의를 설명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