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문제기반학습에서의 학습행태 분석: 학습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이성혜,최경애,박민서,한정윤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Problem-based learning(PBL) by investigating students' learning types based on their online learning behaviors. A total of 1,34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engaged in a six-week-long PBL program run by K University. For the study, participants' online activ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ata, a total of 48 variables that represent their various online learning behavi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variable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types. Also, the differences in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were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ypes of learning. As a result, the learning types in online PBL were classified as 'high-level participation (cluster 1)', 'medium-level participation (cluster 2)', and 'low-level participation (cluster 3)'. In addition, the achievement level was found to be highest in 'high-level participation (cluster 1)' and lowest in 'low-level participation (cluster 3)'.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nline PBL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온라인 문제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행태에 따른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각 학습유형의 특징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6주 동안 K대학에서 운영된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1,341명의 초·중학생의 온라인 활동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행태를 나타내는 48개의 변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변인은 학습자들의 학습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계층적 군집분석 기법에 활용되었으며, 구분된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행태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유형은 학습참여 수준에 따라 ‘고수준 학습참여형(군집 1)’, ‘중수준 학습참여형(군집 2)’, ‘저수준 학습참여형(군집 3)’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학습참여 수준이 높은 군집이 높은 학업성취도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문제기반학습을 효과적으로 설계·운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春睡堂 鄭秀民의 삶과 학문

        이성혜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3 No.-

        Chunsudang Jeong Soo-min was born as a great-grandson of Ildu Jeong Yeo-chang at a head family based in Gaepyeong village. Jeong Yeo-chang was taught by Kim Jong-jik and later became a master of monarch Yeonsangun. But he was involved in a political purge, or muosahwa, and killed in Baeso. Even, his body was put out from his coffin and slashed into pieces when another political purge, or gapjasahwa occurred. He was reinstated after a political turnover, so-called Jungjong Banjeong. Nevertheless, however, the fact that Jeong Soo-min was a great grandson of Jeong Yeo-chang became dark clouds heavily hanging over the former's life. By the way, it seems that Jeong Soo-min voluntarily chose to accept the clouds. Thus, he gave up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instead, compiled 『Munheongong Silki』 under full responsibility for recording the later life of Jeong Yeo-chang. However, Jeong Soo-min made an great deal of accomplishments so that it's not enough to just say that he was a great-grandson of Jeong Yeo-chang or organized records about the later life of his great-grandfather. Among the accomplishm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Jeong Soo-min restored the personal records of Jeong Yeo-chang, which were fully disappeared when he became a victim of the above two political purges, by compiling 『Munehongong Silki』. In addition to being important to a particular family, the compilation was so meaningful in that it was to preserve the records of such historical figure that might have been permanently disappeared. The second important accomplishment is that Jeong Soo-min revealed how competent he was a human geographer by compiling the journal of Hamyang-gun, that is, 『Cheonryeongji』 which was the first literature on local geography that was edited by a person of the private sector. The third is that he left a collection of writings, 『Chunsudangjip』 in which we can see and understand how his world of literature was, how he lived, how was exchanges that he made with others and how was the times that he lived. In conclusion, Jeong Soo-min may be regarded a figure of sambulhu, which means the three never-rotten things in accordance with 『Chunchu Jwajeon』, respectively dubbed as ipdeok, ipgong and ipeon. 春睡堂 鄭秀民은 一蠹 鄭汝昌의 증손으로 개평마을 종택에서 태어났다. 정여창은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했고, 연산군의 스승이 되었으나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사망하고, 갑자사화로 剖棺斬屍되었다. 물론 정여창이 중종반정으로 복관되었지만 정여창의 증손이란 점은 정수민의 삶을 지배하는 커다란 그림자였고, 그는 스스로 이 그림자를 덮어쓰기로 한 듯하다. 따라서 그는 出仕를포기하면서 『文獻公實記』를 편찬하는 등 증조인 정여창의 後事를 도맡았다. 그러나 정수민은 단지 정여창의 증손이거나 정여창의 後事를 정리한 인물로만 치부하기에는 업적이 너무 크다. 그 업적의 첫 번째는 무오사화와 갑자사화에 희생되어 관련 자료가 민멸된 정여창의 사적을 정리한 『문헌공실기』를 편찬한 일이다. 이는 집안의 일을 넘어 사라질 수 있는 역사의 인물 사적을 정리한 의미있는 역사적 일이다. 두 번째는 함양 군지인 『天嶺誌』를 편찬하여 인문지리학자로서의 면모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춘수당집』을 남겨 후학들에게문인으로서 한 인간의 문학세계와 삶의 면모, 교유 및 시대를 이해할 수 있게했다는 점이다. 곧, 정수민은 『춘추좌전』에서 말한 三不朽, 立德․立功․立言을 이룬 인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찍이 출사를 포기하고 평생 덕행을 닦았으니 입덕이요, 집안을넘어 역사의 한 분인 문헌공 정여창의 실기를 정리하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작성하였으며, 지역의 문화와 역사, 풍속을 기록하여 지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니 이는 입공이다. 또한 시와 산문을 포함한 문학 작품을 남겼으니 입언도이루었다.

      • KCI등재후보

        룻기에 나타난 헤세드

        이성혜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The continued growth in the number of people and families from different countries challenges our attitude towards meeting thei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iblical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in the church and how to care for their spiritual needs, economic problems and social liv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book of Ruth and its theological messages and applications for a multicultural family in our faith community. The first part of the study research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book of Rut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Moab.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nt features and roles of key-words of the book of Ruth, including hesed and goel. Then, the study explores main characters (Foreigner Ruth, Naomi, Boaz and YHWH) of the Ruth narrative by focusing on hesed. Lastly, the study looks at the message of the book of Ruth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key word, he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God's hesed reaches the foreigner Ruth through the people of God who are already experiencing God's hesed. We find that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book of Ruth are that redemption and restoration occur within a family, community, and nation of God as they demonstrate God's hesed toward each other. And the hesed is not limited by national identities and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the study ends with the suggestion that a significant role of the church in the community is to practice the role of goel. And, as the community of God, the church needs to show God's hesed to our multicultural family in order to see God's redemption and restoration among them. 다양한 나라들에서 오는 외국인들과 다문화 가정들의 지속된 증가는 우리로 하여금 그들의 필요를 어떻게 돌보아야 할지 도전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을 이해하고 그들의 영적 필요들, 경제적 문제들, 사회생활을 돕는데 성경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룻기에 나타나는 신학적 메시지를 찾아 교회 공동체 속에 함께 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이해에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첫 부분에서는 룻기의 역사적 배경과 성경에 나타난 이스라엘과 모압 족속과의 관계를 조사한다. 두 번째로는 룻기의 중요 단어인 헤세드와 고엘의 의미들이 어떻게 본문 속에 나타나는지 연구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룻기 내러티브의 중요인물들(이방여인 룻, 나오미, 보아스, 여호와)을 헤세드와 연관하여 연구함으로 그 의미를 살펴보며, 룻기에 나타나는 신학적 메시지가 헤세드와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고찰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이방인 룻이 하나님의 헤세드를 경험 할 수 있었던 것은 먼저 헤세드를 경험한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헤세드를 룻에게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룻기연구를 통해 얻는 신학적 주제는 하나님의 헤세드를 서로가 서로에게 나타낼 때에 구원과 회복이 하나님의 가족과 공동체와 나라 안에서 일어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헤세드는 민족적 동질성과 문화적 배경에 한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마지막에는 교회 공동체가 고엘의 역할을 감당함으로 하나님의 헤세드를 지속하여 현대 이방인, 다문화 가정에 나타냄으로 그들 안에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을 경험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학습자의 SW 및 AI 흥미,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과 AI 자기효능감, AI 학습 지속 의사 간의 관계

        이성혜,한정윤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3 No.6

        The basic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problem-solving is regarded as the primary literacy in the future society. In this regard,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n AI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new to AI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AI efficacy, and persistence of AI learning. Learner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SW interest, AI interest, and level of programming skill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AI interests affect AI self-efficacy, and AI self-efficacy affects the persistence of AI learning. On the other hand, learners’ SW interests and programming skills did not affect AI 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AI literacy education were discussed.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활용 능력이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기본 소양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 교육을 처음 접하는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AI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고 학습자 특성과 AI 자기효능감 그리고 AI 학습 지속 의사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습자 특성은 AI 흥미, 소프트웨어(SW) 흥미,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설정하였으며, 이들 연구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AI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AI 흥미였으며, AI 자기효능감은 AI 학습 지속 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학습자의 SW 흥미와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은 AI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한다.

      • KCI등재

        조선전기 조선 문인과 유구사신 東自端과의 贈答詩

        이성혜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9 No.-

        There are some important ways to determine how two countries have related with each other. One of them is reviewing historical stuffs such as diplomatic documents. Another is inspecting pieces of literature, for example, poems. In the East Asian region of the medieval times, which was as a whole under the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Chinese poetry itself had quite a significant role. Further away from the manners of diplomacy, poems are in nature what appeal to human feelings even if they are used for diplomatic purposes in a sense. Of course, many of poems chanted within the contexts of diplomatic performance are about paying formal compliments to a counterpart nation. Nevertheless, poems are the means of interacting inner minds, strengthening friendships, competing literary skill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is was a case for diplomacy culture of the medieval times. Thus, a review of poems exchanged between envoys of two countries at the time could be meaningful because it is like opening a window to identify how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nations were from a historic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ems that were exchanged between Dongjadan as the Ryuku envoy to Joseon and literary scholars of the latter country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pieces of poetry, including farewell poem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present how early cultural exchanges which such scholars of Joseon and such state messengers from Ryuku made with each other. Poems and other writings by Dongjadan(東自端) reveal a unilateral admiration of both Joseon and Shin Suk-ju(申叔舟). In response in form of poetry, Shin Suk-ju highly appreciated Dongjadan’s talents as a poetry writer after suggesting a strong pride about Joseon. Similarly, Seo Geo-jeong(徐居正) wrote poems that depict how beautiful Ryuku is as a maritime kingdom and respect how familiar envoys from that kingdom are with the sea routes. In those poems, he also responded that such state messengers from Ryuku were excellent in poetic composition while implying his envisions as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East Asian region. In the meantime, Lee Seung-so(李承召) between of the lines he expressed his gratitude for Ryuku envoys to come through the turbulent waves to Joseon. Also, he satirically likened Dongjadan to a monk who was busy with politics of the secular world rather than stay in a meditation hall, while praising the Ryuku envoy for being so talented in both writing poems and performing the rituals of tea ceremony. During its early period, Joseon overwhelmed Ryuku over literary exchanges. This view has, of course, some limitation to be generalized. The limitation is that there were not so many works of literature which the two countries exchang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same period. In association, there are no official records made at the time regarding Ryuku natives who were envoys sent in to Joseon where they wrote poem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many of Ryuku envoys to Joseon were Japanese monks, which is presumedly attributed to the importance of proficiency in Chinese letters and characters. 두 나라의 관계사를 파악하는 통로에는 여러 학문 갈래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외교문서를 통한 역사학을 떠올릴 수 있겠으나, 시를 통한 문학 역시 중요한다. 특히 중세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는 한시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시는 인간의 감성에 관계된 것이므로 외교적이라 해도 내면의 감정이 표출될 수밖에 없다. 물론 외교 자리에서 읊조리는 시 역시 儀禮的이라 상대방에 대한 칭송이 많다. 그럼에도 시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전하고, 우호를 다지며, 문학적 실력을 겨루기도 하고, 정보를 교환하기도 한다. 이 또한 중세 외교의 한 문화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양국 사신과의 수창시 혹은 증답시를 고찰하는 것은 양국의 관계사를 고찰하는 또 다른 중요한 창문을 여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조선 문인과 유구 문인이 주고받은 시를 모두 고찰하고자 하는 거시적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전기 조선에 온 유구사신 東自端과 조선 문인들이 주고받은 증답시를 분석하였다. 동자단과의 전별시 및 증답시는 조선 문인과 유구사신과의 문학적 교류양상을 보여주는 초기모습으로 의미가 있다. 동자단의 시와 글에는 조선과 신숙주에 대한 일방적 칭송이 담겨있는 반면, 신숙주는 조선에 대한 강한 자부를 먼저 드러내고, 동자단의 詩的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서거정은 해양국가 유구를 아름답게 묘사하면서 바닷길에 익숙한 유구사신을 노래했다. 또한 유구사신의 시적 능력을 치켜세우면서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담았다. 이승소는 유구사신들이 험한 바닷길을 헤치고 조선에 옴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행간에 살짝 깔고, 동자단의 作詩와 茶道의 높은 실력을 칭송하면서도 禪房에 있어야 할 승려가 속세의 정치적 현장을 바쁘게 다님에 대해 슬쩍 찌르고 있다. 조선전기 조선과 유구의 문학교류 및 양상은 조선이 일방적인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당시 서로 간에 주고받은 작품이 많지 않다[혹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지만, 그 한계 역시 당시 상황을 보여준다. 당시까지 유구인으로 조선에 온 유구사신의 경우 시를 창작했다는 기사가 없다. 당시 유구는 일본승려를 유구사신으로 많이 보냈는데, 여기에는 한문 실력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고 보인다.

      • KCI등재

        청년기 남성의 지방 섭취 수준에 따른 혈중지질 함량, C-반응성 단백질 및 아디포넥틴 비교

        이성혜,박미영,김순경,민영기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t intake, anthropometric data, blood lip-ids, C-reactive protein, and adiponectin in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Forty-eight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dietary fat intake: UERF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AERF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ce). We collected dietary intake data using 24-hour dietary recall for 3 days.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by using standard methods. Segmental body composi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 8-electrode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of body fat estim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hropo-metric data and serum lipid profile between UERF and AERF group.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ERF group compared to the UERF group.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adiponec-tin level between UERF and AERF groups, subjects had lower adiponectin levels. Correlation data show that serum adi-ponec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egetable intake (p < 0.05). In addition, dietary fat intak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t (p < 0.01),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rain (p < 0.01), vegetables (p < 0.05), and fish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d fat intake of non-obese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is associated with their increased serum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 Therefore, proper guidelines on fat intake and nutrition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