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중·고등교과과정에 있어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과 교수-학습방안에 관한 연구

        李聖允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vious generations had thought the concept of tradition by designat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lics by means of traditions transmitted from the past. I believe it is up to arts education to inform these generations of the superiority of our tradition and also assist both the correct and determined understanding of our roots. Traditional arts is the foundation to our artistic styles and consciousness which has evolved hand in hand with our history. Traditional art is currently living meticulously in our everyday lives, brings wealth in the present and will become the driving force of creation in the future therefore I believe it imperative to be aware of the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arts more than anything. In retrospect of reality, it is true to say that education on traditional arts on-site has been very much concerned with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and techniques to its followers. However, reflecting on today's multi-cultural transition, traditional arts is calling for a new significance in the meaning of this era and the change regards to value awareness which also corresponds to traditional arts education by means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guidance. Therefore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effects on the course of arts education inflicted by the understanding of art in this multi-cultural era, state the trends in contemporary arts education, analyze the 7th arts education course and the current textbooks, closely examine the interest levels of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discovering an appropriate way forward for traditional arts education. The transition into the era of post-modernism and a society based on Darwinism desperately calls for arts education to be liberated from its role as a mere utensil and pursue fundamental values in a pluralistic approach. The pluralistic approach specially means the democratic understanding method; within the diverse cultures the deman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a particular culture is evermore being underlined and for this very reason it has also become the linchpin for traditional arts education. Furthermore what was hitherto the alternative for expression-centered arts education, DBAE;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is has been highlighted which has led to its active role in the revision of the 7th education course. I have attempted to come up with an action plan for traditional arts education in-line with such trends approaching the issue i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learning by comparison with cultures of other nations in an integrated metho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means of improvement I have conducted a survey on prim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the 7th education course on their interest levels and research and analyze the awareness among teachers.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interest levels of the students in the five disciplines of conversation, carving and sculpture, craftsmanship, caligraphy and architecture all scored a disappointing below average. Results also showed clear distinc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al statistics such as sex, scholastic attainments, grades, final scholastic attainments of the parents etc. exist. On the other hand, the value awareness levels in teachers were generally high and significant distinctions were seen according to value awareness levels and material utilization levels; in terms of textbook utilization levels sex, age and experience.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results I have explored amendments that need to be made on the current tradition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s well as preparing a teaching guideline. Following are the details. The teaching guideline is focused on 9th grade students enrolling in the 7th education course of the Peoples Common Basic Education Process and in terms of class sanctions, the ornament technique instruction of lacquerware craftsmanship that was originally restricted to appreciation due to expertise and prejudice in the actual education site is being encouraged to be experienced first hand for the purpose of becoming familiar with the process of expression.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is teaching guideline li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manufacture process o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by on-site education as well as the learning of the artisan spirit, ultimately becoming conscious of the superiority of our culture as well as inculcating national pride. To reevaluate and verify traditional art through modern eyes in the voretex of a constantly evolving era where ever new styles and materials are spilling out is an extremely important mission which art education must accomplish and only when this is utilized in our everyday lives will the a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arts be properly attained concurrently being this researchs ultimate assignment 그간 전통이라는 개념은 과거로부터 전래되어온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지칭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온 세대들에게 우리 전통의 우수함을 일깨워주고 바로 알게 하여 자신의 뿌리에 대한 인식을 확고히 하는 것, 이것이 이 시대에게 부여된 미술교육의 중요한 과제중 하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미술은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미술양식 또는 미의식의 총체이다. 이러한 전통미술은 현재의 우리 삶 속에 면밀히 살아 숨쉬고 있으며 현재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나아가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므로 전통미술에 대한 교육적 가치는 무엇보다 크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간의 현실을 되돌아 볼 때 교육현장에서의 전통미술에 대한 지도는 전통미술에 관한 내용이나 기법을 답습하는데 치중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다문화시대의 변화적 상황에 비추어 전통미술은 새로운 시대적 의미와 가치인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고 전통미술교육에 있어서도 시대적 흐름에 적절한 교수방법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미술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친 다문화시대의 미술에 대한 이해와 현대미술교육의 흐름을 알아보고, 7차 미술 교육과정 및 현행교과서를 분석하는 한편 전통미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를 규명하여 이 시대에 바람직한 전통미술지도방안을 모색·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와 다원주의적 사회로의 새로운 이행은 미술교육에 있어서도 미술의 도구적 역할에서 벗어나 본질적 가치를 추구하며 다원적 접근으로서의 미술교육의 방향을 절실하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다원적 접근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민주적 방식을 말하는 것이며, 다양한 문화 안에서는 특정 문화가 갖는 고유성과 정체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강조되고 있기에 전통미술교육의 중요성이 여기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표현중심의 미술교육의 대안으로 통합적 미술교육인 DBAE이론이 부각되면서 그 영향이 우리나라에도 미쳐 7차 교육과정의 개편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는 전통미술교육의 방안으로써 역사적, 사회적 맥락으로서의 접근과 다른 나라 문화의 비교를 통한 학습, 그리고 통합적 방법으로서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전통미술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 7차 교육과정에 있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통미술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하고 교사의 인식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 전통미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는 회화, 조소, 공예, 서예, 건축 5개 영역전체에 걸쳐 보통수준 미만인 결과를 보여줌으로 학생들의 전통미술에 관한 관심은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학력별, 학업성적별, 부모의 최종학력별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라서 각기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통미술에 대한 교사들의 가치인식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인식도 및 자료활용도, 교과서 활용도에서는 성별, 연령별, 경력별 등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조사 및 분석결과를 토대로 현행 전통미술교육과정상의 개선점을 모색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업지도안은 7차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의 9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수업제재에 있어서는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전문성과 선입견 때문에 감상에만 제한했던 전통나전칠공예의 장식기법교수에서 벗어나, 보다 표현과정을 친숙하게 이해, 체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수업지도안의 핵심은 나전칠기의 현장학습을 통하여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장인정신을 배움으로써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자각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킨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변화하는 시대적 추세에 따라 새로운 양식과 재료들이 쏟아져 나오는 현대 사회속에서 전통미술을 당대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검증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미술교육의 사명이며 그것을 생활 속에서 활용할 때 비로소 전통미술의 계승, 발전이 올바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중심과제이다.

      • 진공플라즈마 처리된 MWCNT 복합재료의 물성에 관한 연구

        이성윤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sma 처리된 MWCNT(Multi-wall Cabon Nanptube)가 에폭시 수지 안에서의 분산성을 연구 하였다. MWCNT에서 Plasma 처리를 시간, watt를 다양한 조건을 주었다. 그리고 MWCNT/epoxy 복합재료를 제조 할 때는 wt%를 다르게 하였으며, 인장, 굽힘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It had been investigated dispersibility of MWCNT(multi-wall carbon nanotube) in epoxy resin which was treated with plasma. Plasma treatment had been varied expound time and intensity of watt. It had been made to MWCNT/epoxy composites which were different to quantity of MWCNT. It had been compared and analysed the variation of tensile and bending property of the composites.

      • 쉴러의 「심미적 교육」의 한 해석 : 심성함양으로서의 교육

        이성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aesthetic education' that is suggested in Friedrich Schill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a Series of Letters(hereafter, AE) as an ideal form of education of knowledge.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has been usually regarded as an art education. In this case beauty is restricted to art, and 'aesthetic state' as an aim of aesthetic education is considered an ability to create or enjoy a work of art. But this is not a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to clarify the concept of beauty as a core element of AE to understand aesthetic education. The concept of beauty has been continuously disputed since the Greek era. There has been a conflict of opinions between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In Critique of Judgement, Kant solved it. This achievement depends on his closely analysis of the concept of beauty and taste. In Kant's view, beauty is subjective state of mind, and at the same time, it is based on Idea. But Kant doesn't concretely explicate aesthetic state, which manifested beauty as Idea, and how man can reach such state. In AE, Schiller explains these problems clearly. According to him, beauty is the object of 'play-drive', which is the perfect reciprocal relation between 'sence-drive' and 'form-drive'. If human mind reaches 'play-drive', man can make beauty out of all existence including art. In fact, no one can reach this state since it is the perfect harmony with both drive. The perfect harmony is only possible for God. But then, all men are incompletely manifesting this state in their mind, more or less. This fact is revealed through schiller's explanation of logical connection between aesthetic state and cognition. He tries to deduce aesthetic state from human cognition. In conclusion, aesthetic state, as incompletely manifestation of God, is a condition, and at the same time, a standard of cognition. In the light of two-fold structure of the mind, the term aesthetic state elucidates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empirical mind and metaphysical mind. This dynamic relation reveals that seemingly a man grasps external objects by cognition, but in the other side of that cognition, metaphysical mind acts as the 'logical cause' of cognition. Eventually, aesthetic state is not different from the state of 'the cultivation of mind', that is the aim of education. The term aesthetic state implie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ultivation of mind' through education. Schiller defines an object as an 'aesthetic semblance', which leads man to aesthetic state. In Schiller's view, aesthetic semblance has a special attribute, i.e. 'superfluity'. This attribute is contrasted with 'utility'. Hence, art(educational-political art) must be interpreted as all kinds of activity that purport to be superfluity. Knowledge is the most remarkable thing within all empodiments of superfluity. Because, the nature of knowledge is to make free a man from the restraint of utility. In the light of Schiller's explication of beauty and aesthetic state, aesthetic education is not any special kinds of education but the education itself, that has been carried out by school. The way to attain Beauty through aesthetic sate is to acquire knowledge. 이 논문의 목적은 쉴러의「심미적 교육」(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a Series of Letters)에 제시된 ‘심미적 교육’(aesthetic education)을 지식교육의 이상적인 형태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해석하는 데에 있다. 쉴러의 심미적 교육은 주로 예술교육을 가리키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경우에 美는 오직 예술에 국한되는 개념으로 간주되며, ‘심미적 상태’(aesthetic state)는 예술작품을 창조하거나 감상하는 능력으로 한정되어 파악된다. 그러나 이는 심미적 교육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아니다. 심미적 교육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쉴러의 글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취급되는 美의 개념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美의 개념에 대하여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부터 끊임없는 논쟁이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그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방향, 즉 객관주의 미학과 주관주의 미학에서는 서로 다른 대답을 내어 놓고 있었다. 칸트는「판단력 비판」에서 美의 객관성과 주관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그는 美와 취미판단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통하여 美가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이면서 동시에 이념에 근거하는 것으로서 객관적인 것으로 표상된다고 하였다. 요컨대 美는 이념이요, 그것은 또한 인간의 마음속에 순수주관성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칸트는 美를 실현한 상태로서의 미적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이고 또 인간이 어떻게 그러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가는 설명하지 않는다. 이 문제는 쉴러의「심미적 교육」에 극명한 형태로 드러나 있다. 쉴러에 의하면 美는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의 완전한 견제와 균형의 상태인 유희충동의 대상으로서 ‘살아있는 형식’으로 규정된다. 만약 인간이 유희충동의 상태에 완전히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을 미적 대상으로 파악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신에게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쉴러에 의하면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 상태를 다소간 실현하고 있다. 이 사실은 심미적 상태와 개념적 인식 간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그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다. 심미적 상태가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외부 대상을 계기로 하여 촉발되며, 이 사실은 자연스럽게 외부 대상에 대한 개념적 인식과의 관련 문제를 제기한다. 쉴러에 의하면 심미적 상태는 개념적 인식의 조건이자, 기준으로 작용한다. 인간이 개념적 인식을 하는 한, 거기에는 심미적 상태가 가정되어 있다. 중층구조의 관점에 입각하여 보면 심미적 상태라는 용어는 경험적 마음과 형이상학적 마음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해명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역동적 상호작용은 마음의 표현과 획득이라는 두 가지 방향의 운동을 포함하고 있다. 인식사태는 표면적으로 인간이 외부 대상에 대한 개념을 획득하는 사태이지만 그 이면에는 본성의 실현이라는 정반대 방향의 운동이 가정되어 있다. 즉, 인간이 개념적 인식을 통하여 본성을 회복한 상태가 바로 심미적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그것은 지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심성함양과 다르지 않다. 심미적 상태라는 용어는 심성함양의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는 개념이다. 쉴러는 인간을 심미적 상태에 이르도록 만드는 대상을 ‘미적 모사품’이라고 부른다. 미적 모사품은 ‘장식’과 ‘여분’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속성은 ‘현실적 필요’와 대비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쉴러가 미적 교육의 방편으로 제시하는 ‘예술’(educational-political art)은 음악·미술 등의 순수예술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여분이나 과잉을 조건으로 하는 모든 활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간이 고안한 사물 중에서 이러한 현실적 필요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장식과 여분이라는 특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대상은 다름 아닌 교과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교과지식은 애초에 유용성에 의한 속박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본질로 한다. 요컨대 쉴러의「심미적 교육」은 지식교육과 종류를 달리하는 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글이 아니라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식교육이 여분이나 과잉에 해당하는 그 본래의 성격에 부합하도록 이루어져야 함을 뜻한다. 이는 곧, 교과를 교과답게 가르쳐야 한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감정과 조나단에드워즈의 신앙감정 비교연구

        이성윤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슐라이어마허와 조나단 에드워즈의 주된 신학사상인 '감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우선 그들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독특한 사상을 창출해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았다. 슐라이어마허는 신조나 교의 또는 성경 본문이 아닌 인간의 종교적 경험 혹은 기독교인의 자기 의식을 신학의 토대로 간주했다. 그는 교리적인 신조 배후에 있는 살아 있는 경험으로 돌아감으로써 신학의 새로운 토대를 확립하려 했다. 신학의 과제는 “기독교인의 생활에서 발견되는 종교적인 감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신학은 사변학이 아니라 기술학이기 때문이다. 또한 슐라이어마허는 신학을 과거의 도식의 단순한 반복으로 간주하지 않고 현대 세계와의 살아 있는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교의 신학은 주어진 시대의 기독교회에서 널리 유행하는 교리를 체계화하는 학문이다." 슐라이어마허는 현대의 상황에서 신학의 발전을 문제 삼았을 뿐만 아니라 현대 세계관을 수용하고 그 관점으로부터 기독교 진리를 재진술한 최초의 신학자였다. 그는 인간의 경험을 신학의 주된 자료로 받아들임으로써 신학에 새로운 활기와 관심을 불어넣었다. 또한 인간 감정에 나타난 자기 의식과 하나님 의식을 표현하는 것이 신학의 과제라고 주장함으로써 사변적인 철학으로부터 신앙과 신학의 독립을 확립했다. 슐라이어마허는 정통 신학을 도그마틱한 '위로부터의 신학'이라 혹평하고 계몽주의적 자연신학을 ‘아래로부터의 신학’이라 폄론하면서 절대의존의 감정을 핵심으로 하는 자신의 신학을 하나님과 인간을 잇는 진정한 신학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러한 신학 체계에는 우리가 믿는 계시관이 들어 갈 자리가 없음을 우리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신적 계시란 어떤 개념이나 문장으로 주어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은 모든 개념을 초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와 동일시하는 것은 일종의 권위주의적 발상이라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계시는 객관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항상 '우리를 위해서' 주어진다는 것이다. 계시는 어떤 외부적인 것이 아니며 또한 우리가 내적으로 받아지지 않는 것은 결코 나에게 계시가 될 수 없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을 어떤 객관적이고 외부적인 계시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는 성경을 한 종교(기독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경험 혹은 감정이지 문자로 기록된 성경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성경이 내적, 주관적 감정의 표현이라는 차원에서 슐라이어마허는 성경을 기독교 경전으로 본다. 심지어 성경에서 나오지 않는 교리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 고백서를 중요하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가 의미하는 진정한 계시란 자율적으로 해석되는 종교적 ‘감정’이라는 것이다. 단지 성경이나 고백서는 그 감정을 해석하는데 사용되는 상징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나님의 계시를 인간의 절대 의존적 감정의 차원에 두는 것은 사실은 '아래로부터의 신학'에 불과한 것이다. 슐라이어마허 자신이 비판한 자연주의 신학과 그의 신학은 다를 바 없는 것이다. 왜냐면 그가 말하는 감정이란 영원한 것 혹은 절대적인 것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그 영원하고 절대적인 것이 어디서 오느냐는 것이다. 결국 자신이 아니냐 하는 것이다. 유한하고 일시적인 것 안에 절대적이고 영원한 것에 존재한다는 것이 인간이 직접적으로 의식한다고 그는 주장하지만, 인간이 그 어떠한 것을 의식한다 해도 그것은 인간의 의식 일뿐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의식은 결국 자신의 자율적 판단내지는 순간적인 신념일 뿐이다. 결국 그가 말하는 감정은 일종의 인간에게서 나오는 추론(postulate)에 불과한 것이다. 에드워즈의 가장 큰 탁월성은 신앙에 있어 지성과 감성을 겸비한 점에 있다. 깊은 경건과 예리한 지성이 조화를 이룬 이상적인 경우라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천부적 지성으로써 신학적 영적 진리들을 해부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신학적 작업을 단지 이성의 능력만으로 행하지는 않았다. 그의 저술과 설교의 대다수는 자신의 깊은 영적 체험의 산물이었다. 자신이 직접 맛보고 깨닫고 감동받은 체험의 뒷받침 속에서 그는 성경의 계시와 진리들을 가르치고 제시했다. 에드워즈는 단지 복음에 대한 이론적 지식만으로 참된 믿음이 이루어 질 수는 없다고 믿었다. 그는 그 지식, 혹은 교리 위에 성령의 빛이 비칠 때 비로소 그 지식이 구원에 이르는 믿음이 된다고 보았다. “영적 눈”이 열려 복음의 진리를 “감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그것은 단순한 지적 이해가 아니라 “영적 이해”이며 사변적 지식이 아니라 “영적 지식”으로 일종의 “체험”이라는 것이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을 가지게 된다. 과연 감지되는 체험이 회심에 필수적인가? 감지되는 은혜의 역사가 내면에 있어야 참으로 회심한 것이라는 주장이 옳은 것인가? 이것은 회심보다는 구원의 확신에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김해시를 중심으로

        이성윤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김해시를 중심으로 - 이 성 윤 (지도교수 : 장 수 한)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양적 성장에 이은 질적 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김해지역을 대상으로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그 영향요인들을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수준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김해지역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김해지역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 학력, 혼인상태, 연령, 자격증에 대한 결과에서 여성이 65명(89%), 연령은 20대 32명(43.8%), 혼인상태는 기혼이 41명(56.2%), 학력은 대학교졸 42명(57.5%), 자격증 여부에는 사회복지사2급 43명(58.9%)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연령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변수는 보상, 근무환경, 업무량, 사회적 인식, 직무자체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전체의 수준은 5점을 기준으로 평균 3.28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중 가장 높은 것은 직무자체로서 평균 3.59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특성의 하위요인으로 역할갈등,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직무특성 하위요인으로 직무도전성, 직무적합성, 직무안정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도전성과 직무적합성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직무안정성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조직특성의 하위요인으로 보상공정성, 고용보장성, 조직명성, 참여가치, 상사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용보장성을 제외한 보상공정성, 조직명성, 참여가치, 상사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처우개선이다. 연구 결과 종사자들의 보상 공정성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보수는 개인적인 측면 뿐 아니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질을 낮추게 되는 원인이 되기에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시설장 포함)에 대한 인건비 지원이 현실화되어야 된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현재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지역주민들은 지역아동센터가 무엇을 하는 시설인지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인식개선 및 이용확대를 위한 홍보를 실시하여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하는 아동복지시설이 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확보이다. 현재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며, 그에 준하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보수교육과 재교육의 기회를 늘리고, 다양한 전문직과 원활한 협업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핵심어 : 직무만족도, 지역아동센터, 방과 후 교육, 생활복지사, 공부방 The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ern center - In the Gim hae city - Sung Youn Lee (Thesis director : Su Han Jang, Ph.D.)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Inje University This research is dedicated in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by showing the need for the research i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ren center, and se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ir influences based on the Gim hae area.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finding the things tha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workers in the children care center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ociology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ren center, Second, how is the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of the children center in the Gim hae area, Third, what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of the children center in the Gim hae area.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when seeing the sociological popul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gender, level of education, marriage status, age, and the existence of certificate, most were woman 65(89%), there were 32 people in their twenties(43.8%), the married were 41(56.2%), and majority graduated from university with 41 people(57.5%), and mass had second degree social welfare certificate with 43 people (43.8%).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population characteristic, other variables than age showed no meaningful change. Second, the lower variable that e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ren care center was reward, working environment, workload, social awareness, and the work itself. The workers of the local children center showed an average of 3.28 out of 5 i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st point in the lower variables was the work itself with an average of 3.59. Third, after the researching the correl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with the lower components of the role characteristic, the role conflict, role overload, and role ambiguity, it showed no meaningful relationship. Fourth, after researching the correl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with the lower componen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job challenge trait, job fit, and job safety, there were meaningful results in the job challenge trait and job fit,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result in job safety. Five, after researching there were meaningful changes in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with lower components of the characteristic of organization, Compensation Equity, employment grantee, value of participation, relationship with the boss. The way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children care cent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the improvement in treatment of the workers in social children care center is the first priorit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fair reward has the best effect in job satisfaction. Since low pay is the cause for not only in personal level, but decreases service in total service of the local children center, labor cost support is essential Second, in order for the local children care center to be vitalized, promotion to the local citizen should be strengthened. Currently the awareness in the local children center is lacking and people don't know the purpose of the facility.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awareness and public availability so that the children care center can improve with the local society is needed. Third, professional workers is needed. Current children care center needs various programs to meet the need of children and professional to meet that need is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and reeducation chances and collaboration with the professionals is needed. Key word : job satisfaction, local children care center, education after school, study room, social welfare

      • 우리나라 해운물류산업의 기업가치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이성윤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적외항선사들의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재무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기업가치의 대용변수인 경제적부가가치 산출에 산업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수행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운산업의 재무구조에 대한 진단결과 현금 및 당좌비율은 높으나, 유동비율은 낮은 특징을 보였다. 이는 현금거래의 원칙이 적용됨으로 인해 현금성 자산에 대한 비율은 높으나, 유동자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채비율에 있어서는 일반 제조업대비 비유동부채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영업용자산에 대한 타인자본비중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수익성과 생산성에 있어서는 제조업대비 연도별 변동폭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해운경기에 대한 영업위험이 높은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매출액, 당기순이익 및 성장성에 있어서는 해운경기의 변동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형자산 및 자기자본성장률은 경기변동과 무관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선박이 인도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과 선박에 투하된 자기자본의 규모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경제적부가가치 산정에 있어서는 해운산업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하며, 특히 선박단위의 수익-비용원칙이 적용되는 특성을 감안할 경우 실무적으로는 이를 보다 엄격히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부가가치의 규모에 큰 영향이 예상되는 산업특성과 조정방안을 요약하면 크게 4가지 관점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선박 확보 시 투하되는 초기비용이 높고, 일정 기간 후 선박이 영업활동에 투입되는 점을 고려하여 투자비용에 대한 기간배분을 보다 철저히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적외항선사의 경제적부가가치 산출에 있어서는 용선에 따른 용선료를 비용이 아닌 투하자본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용선료를 비용이 아닌 투하자본화하여 이에 대한 자본비용을 고려함으로써 선박확보의 적절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화비율이 높은 점을 반영하여 외환차손익 및 환산손익에 대한 보다 철저한 파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외항선사의 주요 자산은 선박임으로 이에 대한 감가상각이 경제적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 제조업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감채기금법 적용 등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선박에 대한 감가상각을 보다 현실화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본비용이 포함된 경제적부가가치와 당기순이익과의 차이에서는 경기 회복 전후 초과 이익을 달성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의 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경기회복기인 2007년 이전의 경우 부(-)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기업의 수는 샘플기업들 중 11% 정도였지만, 부(-)의 경제적부가가치를 차지한 기업은 샘플기업들 중 41%를 차지하였다. 2007년 이후 또한 여전히 부(-)의 경제적부가치를 창출한 기업의 수가 부(-)의 당기순이익을 창출한 기업의 수보다 많았다. 이는 결국 선박운항을 통해 타인자본비용은 충분히 충족하고 있으나, 자기자본비용까지 충족하는 선사의 수는 상대적으로 작음을 나타낸다. 넷째, 연구기간 동안 경제적부가가치와 0.0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존재한 재무요인은 총 6개로 나타났으나, 이들 중 매출채권회수기간과 영업위험은 회귀계수가 1%미만으로 나타나 경제적부가가치를 설명하기에는 한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1 유의수준에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현금순환주기, 차입금대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의 경우 또한 회귀계수가 매우 낮아 경제적부가가치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한계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졌다. 따라서 국적외항선사의 경제적부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재무요인은 매출액영업이익률, 총자산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다른 재무요인에 비해 경제적부가가치와 높은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출규모에 대한 영업관련 이익과 비용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해주었다. 즉, 선박에 의해서만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의 규모가 결정되고, 선박에 의해 창출될 수 있는 매출액 규모가 단기적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결국 선박운항에 소요되는 운항비와 포괄손익계산서 상에 명시되는 판관비가 매출액영업이익률의 주된 결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 예상된다. 또한 선박의 자산화 비중이 높은 특징이 반영된 총자산이익률의 높은 관련성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매출액영업이익률과 총자산이익률의 경우 정(+)의 관계를 보여주었으나, 매출액순이익률의 경우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부(-)의 관계는 매출액순이익률 산정에 포함된 금융비용 등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국적외항선사의 경우 영업이익창출을 위한 선박을 추가로 확보하거나 보유 선복량 이상의 매출을 창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선박 운항에 소요되는 영업관련 비용은 예측 가능하거나 고정비율적인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영업이익의 증감은 당기순이익의 증감으로 직결되게 되며, 만약 이에 대한 증감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는 경제적부가가치 산정에 포함되지 않은 재무 또는 투자관련 활동에 의한 것이 되게 된다. 결국 이러한 특징이 경제적부가가치와 총자산순이익률 간에 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 도시 NATM 터널의 지반거동 예측

        이성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three basic requirements for the design of a satisfactory tunnel is that its construction should cause as little damage as possible as to overlying or adjacent structures and services. With urban area and soft ground tunnelling settlement is often a problem in built-up areas, where buildings, old and new, important or otherwise, can be put at risk. To minimize overall project costs and the risk of damage or accident as a result of tunnel construction the engineer who designs a tunnel needs to be able to make reliable predictions of the extent and amount of settlement that are likely to arise from tunnelling in various conditions. For the reasons, shallow NATM tunnel-induced ground movement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This paper is mainly devoted to parametric study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shallow NATM tunnel in unconsolidated ground. And in this work, the author have tried to overcome some of problems in this tunnel and find accuracy design parameter by means of numerical model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 recently available numerical solution for ground displacements is described and extended to two cases : elasto-plastic model, strain-softening model. The effect of the ealstic modulus(E), friction angle(Φ) on the settlement trough is seen to be relevant, whereas the influence about degradation of strength properties, shear parameter(e^(ps)) seems to be small. The lateral earth pressure coefficient(K_(0)) has an important effect on both the settlement profile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Initially different standard models have been performed in excavations subjected to isotropic far field stresses in order to verify the obtained results, by comparing them each models. This technique of obtaining design parameter by means of FLAC has been extended to elliptical shape and elasto-plastic model, strain-softening model under isotropic far field stresses. Finally it has been applied to excavations under isotropic far field stresses with brittle and strain-softening behaviors. Conclusions concerning the use of numerical modeling to solve these problems and future work trends are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estimating of the complete stress-strain set of relations of a rock mass is found to be the foundation to improve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paper.

      •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한 새로운 음극 소재 CuNb2O6, ZnNb2O6, MnNb2O6의 전기화학적 평가

        이성윤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nsition metal oxides have been widely researched as replacements for carbon-based anode materials in Li-ion batteries. Among the transition metal oxides, niobium-based oxides have been investigated as intercalation-type an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due to their attractiv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y offer a safety advantage because of their low surface reactivity with the electrolyte toward forming a solid-electrolyte interphase (SEI) layer. In this study, Niobium-based transition metal oxides were synthesized by a solvothermal reaction followed by post-heat treatment at 700 ℃ for use as a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The prepared niobium-based transition metal oxides had the composition of MNb2O6, M is Cu, Zn, Mn among the transition metal elements in four cycles of the periodic table. The crystal structure of CuNb2O6, ZnNb2O6 and MnNb2O6 was investigated by XRD, XPS, SEM and TEM. MNb2O6, has never been used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Through this study, electrochemical analysis such as Voltage profile, DCPs, Cycling performance and EIS showed the possibility of anode material of lithium ion battery.

      • Paul Tillich 신학과 문화목회 방안 연구

        이성윤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Paul Tillich says that there are three form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ucture. They are below as (1) typical, secular, and formal structure of culture (autonomy) (2) an essential and meaning structure of the religion-culture (heteronomy) (3) between forms and essences well-matched structure of the culture (heteonomy) By the way, autonomy is the absoluteness of a finite form in order to a liberation of culture from religion. And also the heteronomy opposes against the autonomy. Or the heteronomy force itself to give in a hubris of the automomy unconditionally. But the heteronomy do not understand that the divine being is in autonomy for a unity with the pure form. Therefore, the heteronomy become a victim of the religious hybris against the cultural hybris. Realizing the limitations of autonomy and heteronomy, Paul Tillich called it to be the heteonomy that culture and religion united perfectly. Theology of culture has ultimate concern and correlation or interrelation method between gospel and culture. The core of Paul Tillich's theology of culture is new being through Jesus Christ. Cultural theology of ultimate concern intend to overcome uneasy and obscure essence through the existental experience of an alienation and distortion for courage to be. That is to say, That want to be true Christian being through correlational ques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by conquering existence. Cultural theology of correlation or interrelation method between gospel and culture correlate the contents of the Christian faith and an existental question. It must be a epoch-making mission strategy to dialogue between culture and gospel, so existence is correlated with essence that the estranged human will become a new being. If church do not avoid a culture of society, thus use a instrument of gospel, it is possible for them to receive easily the gospel. The Saddleback Church and Willow Creek Community Church in USA are applying the cultural theology. These two churches use the secular culture in order to deliver the gospel all over the world. By the way, the practicable presupposition of the cultural ministry is not only that the spirituality of gospel should not be reduce, but also that the usual and available cultural tool has to be satisfy with spiritual need. They successfully tided over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Korean church has been stagnant since recent years, For them successfully tide over their missional difficulties, they need to do mission of cultural. In twenty-one century, the trend of post-modernism age is culture and festival.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e or festival and gospel of church only can realize the ultimate concern(realization of new being). The cultural mission should be able to do modelling about mission, service, education, evangelism, home mission, social activity, cultural arts, ecumenical mission and so on. We should not neglect the secular culture by and large, and apply to the correlation method through the whole part of church and society. If the church ask a question to the social culture, it should be clever in reply for the Christian faith in accordance with culture and gospel. Church has to have a culture center, a culture class, a festival ground. “The externally focused church” must correlate to local society with partnership, and be of much help. Now, we should have the Parddigm Shift in missionary work. That is cultural missions and cultural preaching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