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계사 소장 원통궁뎐탑도와 그 상징의 미학

        이성운(Lee, Seong-W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8

        이 논문은 화계사에 소장된 원통궁뎐탑도와 그 상징의 미학을 살펴본 글이다. 원통궁뎐탑도는 19세기 후반 묘련사(妙蓮寺) 결사의 법려(法侶)들에 의해 조성되었고, 그들은 관음보살의 명호를 염송하는 수행을 하였으며, 그 신앙심에 관음보살이 응현하여 가르침을 내려받아 그것을 펼쳤는데[承宣], 탑도목판의 조성과 더불어 『제중감로』의 편집으로 이어졌다. 10품으로 구성된 『제중감로』의 주 내용은 관음보살의 신묘력으로 중생을 제도한다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자각과 자비행의 실천, 감응사상과 성기사상의 융합, 다양한 종파 사상의 융합, 중생구제의 실천성이라고 할 수 있다. 원통궁뎐탑도의 상징미학은 탑도의 형태 구조에서 불교의 사상을 미학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첫째는 탑도를 구성하고 있는 옥개와 탑신을 상하의 성현과 중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상의 정점에 ‘옴’과 ‘람’을, 하부에는 중생의 발원과 좌우 천룡의 외부를 장엄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중심과 대칭의 장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시작의 ‘천’자와 마지막 보회향진언의 ‘훔’자가 중앙에서 끝맺고 있다. 또 좌우의 천룡은 옹호와 재자(齋者)의 작복(作福)을 짓게 하는 것이고, 하부에는 중생의 참회와 관음의 자비가 불신의 두 다리[兩足]처럼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이 인간본을 확인해준다. 한글로 음을 달아 원통궁뎐탑도목판을 조성한 것은 대중들이 그것을 모셔놓고 관음의 성호를 염하며 발원하는 신행과 사후의 증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aesthetics of Wontonggungdyeontapdo (pagoda iconography) and its symbols displayed in Hwagyesa Temple. In the late 19th century, Wontonggungdyeontapdo were created by the Buddhists practicing their teaching at Myoryeonsa Temple. They practiced reciting the name of Avalokiteśvara (the Bodhisattva Gwaneum), and in response to their devotion, Avalokiteśvara received and shared the teachings, which led to the compilation of “Jejunggamro” and the creation of woodblocks featuring the pagoda iconography. The main content of “Jejunggamro,” composed of ten divisions, is to liberate sentient beings with the divine power of Avalokiteśvara, which is characterized by self-awareness, the practice of compassion, the convergence between the concept of divine response and that which arises from Buddha’s nature, the convergence of a variety of sectarian ideas, and the practicality of salvation for all sentient beings. As for the symbolic aesthetics of Wontonggungdyeontapdo, Buddhist thought is visually presented in the shape and form of pagoda iconography. Firstly, the stone roof and the body of the pagoda represent the saint in the upper portion and sentient beings in the lower, respectively. “Om” and “Ram” are displayed at the pagoda’s apex with the prayer of sentient beings below. Both the left and right of its exterior are decorated with celestial dragons. Secondly, in the center, the first letter “cheon” and the final letter “Hum” in the Bohoehyang mantra convey the beauty of symmetry. In addition, the celestial dragons at the left and the right provide protection and empower the Buddhist worshipers to practice good deeds. The penitence of the sentient beings and the mercy of Avalokiteśvara displayed at the bottom represent the symmetry of Buddha’s two legs. It can be said that the woodblock of Wontonggungdyeontap, carved with the characters of Hangeul, was created to be used as a token of devotion and death enshrined by the public and prayed for by chanting the holy name of Avalokiteśvara.

      • KCI등재후보

        유가의 봉사를 만난 한국불교 시식의식의 원융성 ― 16세기 이후의 의문과 의례를 중심으로 ―

        이성운 ( Lee Seong-woon ),곽묘신 ( Kwak Myo-si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19 No.-

        유가(儒家)의 봉사(奉祀)를 만나 조선의 불교가 선택하고 있는 의례는 무엇이 있는가. 유가의 봉사에 대(對)하는 불교의례로는 일체의 망령들에게 음식을 베푸는 시식의례(施食儀禮)가 있다. 이 시식의례는 불교의 무차(無遮) 사상 아래 불교 신행의 첫째인 보시바라밀의 실천으로 일찍부터 권장되어 왔다. 유가의 봉사를 만난 한국불교의 시식의식은 불교사상의 연기철학을 십분 활용하여 유가의 봉사와 원융하였다. 시식에서 영반으로, 영반은 다시 고혼을 품은 시식의식으로 되돌아가고, 자신을 위한 예수재에도 조상을 위한 영반과 시식이 더해지면서 조상과 나는 불이(不二)를 체득하게 한다. 또 일체존재들이 본래 무일물임을, 일체는 마음이 만들어냈음을 설파하는 화엄산림을 마친 화엄시식도 현교의 방법만을 고수하지 않고 밀법의 변공방법을 수용하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고 한국불교의 시식의식의 본회(本懷)가 흐트러졌다고 단언해서는 안 된다. 그 모든 것은 일체 존재에게 보시하고 그 존재들이 너나없이 해탈 열반을 이루도록 하는 데서 한 걸음도 벗어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한국불교 시식의식의 원융성이 빛나는 점이다. This writing considers Korean Buddhist rites of Sisik(施食, banquet) accepting Confucian memorial service. Buddhist rites of Sisik, in which food is given to all ghosts, is a Buddhist ritual equivalent of Confucian memorial service. This rites has been encouraged as the first Buddhist practice of faith, the donation paramita since the Buddhist idea of None restriction. It is in utter harmony with Confucian memorial service utilizing the idea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 paṭicca-samuppāda) The rites of Sisik turns to Yeongban(靈飯, banquet for the soul of dead monks and nuns), which returns to The rites of Sisik for a lonely spirit of the deceased. And Yesujae(預修齋, performing the rites while in life in order to be reborn in Buddha’s land after death) praying for oneself comes to include the rites of Sisik and Yeongban. These lead us to realize non-duality between my ancesters and me. Again, the Hwaeom Sisik finishes up with the Hwaeom forest(Dharma talk for the Flower Adornment Sutra), which teaches all beings are essentially No-one-thing and all things are the creatures of Mind. It seems to accept Byeongong(變供, changing offerings) of the esoteric teaching, not just adhere to that of the exoteric teaching. However, it should not be asserted that the spirit of Korean Buddhist rites of Sisik has been disturbed. It can be said that it has not deviated a step from giving all of them to all beings and allowing them to achieve nirvana. This is the point that the utter harmony(圓融) of Korean Buddhist rites of Sisik.

      • KCI우수등재

        서울시 수유1동 국민주택단지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이성운(Lee, Seong-Woon),김경연(Kyuong-Yon),전병권(Jun, Byung-Kweo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5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characteristics of urban detached residential area. In the reality of South Korea in which the history of modern urbanization is not long, the densification that progressed together with sudden population growth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city plans became to reveal many problems. Thereafter, apartment-centered large scaled development plans have been implemented until now as an alternative for the foregoing.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old downtown areas that were excluded from the development have been gradually deteriorated, large scaled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adopted as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old downtown areas. On one hand, the development methods that damage the history of the detached housing areas have been resisted. With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he analysis of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Kookmin Housing Complex in Suyu 1-dong, Seoul with a view to playing the role of evidentiary materials for the disappearing urban detached housing areas or those urban detached housing areas that may be revived. This author hop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ead to careful development that presents measures to maintain and develop modern urban residential areas where the history of past residential areas and culture are disappearing due to full-scale redevelopment.

      • KCI등재

        예수재의 의문 구성과 의례 설행의 특성 -의문 자료와 청련사 예수재를 중심으로-

        이성운(Lee Seong-woo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6 No.-

        불교에는 중생을 구제하는 다양한 방법이 방편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 중 예수재는 사후에 다른 이들이 망자를 위해 시설하는 칠칠재(사십구재)를 본인이 살아 있을 때 직접 닦는 의례이다. 이 글은 예수재 의문의 구성과 설행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첫째 예수재의 의례가 성립된 것은 일반적인 시왕 신앙이나 예수 신앙의 측면이 아니라, 의문의 명칭에서 확인되듯이 수륙재 찬요(중례문)의 명부 시왕을 중심으로 한 수륙재의 형태로 16세기 초반 국내에서 성립되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둘째 예수재 의문은 천신의 공양이 중심이며, 소청과 예경의 차서와 위격의 변화가 일어나며, 의문과 달리 의식 설행은 현실적인 형편에 따라 설행되며, 화청으로 의례의 재설이 일어나고 있고, 금강경이 염송된다는 것이다. 셋째 의례 설행의 특성에 대해서는 양주 청련사 예수재 의문과 의례를 바탕으로 하였는데, 이는 다시 의문과 설행의 측면으로 나눠 분석하면, 의문의 측면으로는 어산 상진의 범패 계통이 드러나고, 현실적인 요소와 의문의 권위가 동시 반영되고 있고, 예의와 의례의 형식이 중시되고 있으며, 설행의 측면으로는 청련사라는 단일 사찰의 상주 승려들이 다 함께 의례에 참여한다는 것, 탁월한 능력을 가진 범패 어장 상진이 주도한다는 것, 사찰 당우와 중정(中庭)이 최대한 활용되고 있다는 특성을 찾을 수 있다. Buddhism has a variety of ways to relieve mankind, so-called expedient, one of which, Yesujae (預修齋) is a kind of Chilchiljae(七七齋, the weekly ritual for seven weeks). People perform Chilchiljae in order to pray for the deceased to be reborn in Buddha’s land while Yesujae is the ritual that one performs for oneself during life. This writing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the ritual program and performance of Yesujae. Initially, It is demonstrated that Yesujae was established as the form of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n the early 16th century, revolving around the ten kings of hell in Chanyo(纂要, the compilation of the gist) of Suryukjae, far from general belief of the ten kings or that of Yesu. Later the ritual oration(儀文) changes and becomes an offering to the aheavenly gods while Socheong(召請, invitation) and Yegyeong(禮敬, worship) undergo the change in their order and hierarchy. The ritual performance is practic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unlike the ritual oration and rebuild into Hwachung(和請, Buddhist gospel song). Also, The Diamond Su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is recited. The ritual oration and performance of Yesujae at Cheongnyeonsa is mainly examined on their characteristic. As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ritual oration, the line of Eosan (the monks or nuns singing a Buddhist ritual song) Sangjin’s Beompae(梵唄, the Buddhist music) is identified and both the element of reality and authentic ritual oration are reflected. Emphasis is placed upon the proprieties and formality. As a feature of its ritual performance, all monks resident in Cheongnyeonsa together take part in the ritual while the head Esan Sangjin of exceptional ability of Beompae is in control of the ritual. The ritual also takes full advantage of all the buildings and the courtyard at the temple.

      • 시지각적 접근에 의한 Müller House의 경계구조 연구

        이성운(Lee Seong-Woon),김경연(Kim Kyoung-Yon),곽경숙(Kwak Kyoung-Suk),전병권(Jun Byung-Kweo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Boundaries in architecture are the foundation for forming space. Physical boundaries are highly dependent on a spatial perception, and they generate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bound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elements of a boundary structure by approaching Adolf Loss"s Muller House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perceptions. It also analyzed boundary structures and derived the elements of psycho-social boundary elements from the analysis.

      • KCI등재후보

        불교사학 입문서 간행의 현황과 분석 ― 관점(觀點)과 그 거리(距離)를 중심(中心)으로 ―

        이성운 ( Lee Seong-wo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6 No.-

        이 글은 근대 이후 현재까지 한국불교사학 관련 입문서에 대해 불교사료의 집성기, 불교사학의 정초기, 불교사화의 만발기로 분류하였고, 저자의 관점을 불교 내부자의 관점, 유행자적 관점, 외부인의 관점으로 분류하고 그것을 세 가지 측면으로 그 특징을 분석해본 글이다. 첫 번째 측면 사화 선정과 그 거리를 보면, 내부자 관점자들은 지나칠 정도로 역사 사료의 액면 그대로와 교학 사상과 고승들의 활동이 주라고 할 수 있고, 유행자의 유추가 설득력이 있었고 다양한 민중의 역사를 복원하려고 하는 편이었으며, 외부인의 관점은 유행자의 관점과 근사했다고 보인다. 내부자의 관점은 긍정적인 측면 위주이고 그림자의 역사는 다루지 않는 경향이다. 이에 비해 유행자의 관점 사서는 어용승려니 무위도식이니 하는 표현을 아끼지 않고 있고, 외부인의 관점을 견지하는 사서는 사실적인 서술로 일관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측면 주체 복원과 그 거리를 보면 내부자 관점의 사서는 지나칠 정도로 고승 위주여서 여성 불자나 민중의 문제는 눈 돌리지 않고 있고, 유행자의 관점은 전직 승려출신과 순수 유행자의 관점과 차이가 있다고 보였으며, 외부인은 비교적 균형감각을 가지고 배불을 바라보고 있다고 보인다. 세 번째 측면 통사 추구와 그 거리를 보면 사서들의 차례를 통해서 보면 사화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 한국불교사가 왕조를 뛰어넘어 관통하는 역사로 기술되고 있다고 보이며, 전체 사서들이 국가불교 호국불교로 해석하나 한국불교통사만이 민중불교로 서술하고 있을 뿐인데 대체로 진정한 불교의 유지는 일재와 같은 불교 신앙인들의 신앙행위라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 불교사 주체들의 역할을 복원하여 온전한 불교사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고승 대덕의 학문과 선법활동과 같은 거시 담론에 갇혀 있어서는 어려울 것이다. 이 땅에서 불교 하는 이들의 삶-신앙의 방식이 다뤄져야 한국불교의 성격에 걸맞은 인식의 전환이 실제로 이뤄져야 온전한 불교통사는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s to the Buddhist history from modern times to the present. These writtings are classified into the agglomeration period of the Buddhist materials, the foundation period of the Buddhist historical studies and its full blossom period. The views of the authors are also further classified into those of the insider, the bystander and the outsider.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s of the Buddhist history and its distance, the viewpoint of the insider is positive, with the authors taking the materials at face value and mainly dealing with the activities of illustrious monks. The view of the bystander is persuasive. The bystander authors tend to restore a variety of histories of the public Buddhist, while criticizing government-patronized monks and their idle life. It seems that the viewpoint of the outsider is close to that of the bystander and consistent in the factual description. Secondly, in regarding to restoring its main agent and its distance, the insiders only focus on illustrious monks and are not interested in the female Buddhist and the issue of the public Buddhist.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bystander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monks. The view of the outsiders are relatively objective to anti-Buddhism. Thirdly, as for Buddhist synoptic history and its distance, the historical story of Korean Buddhism has been narrated throughout history not just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Buddhism is characterized as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and the synoptic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as Korean public Buddhism. It passes unnoticed that the act of faith of Japanese Buddhists maintained authentic Buddhism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whol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hould not be restricted to the studies of illustrious monks and their activities but include the religious life of the public Buddhist in Korea.

      • KCI등재

        메탄의 완전산화 반응을 위한 중공사형 페롭스카이트 촉매 제조

        이성운 ( Seong Woon Lee ),김은주 ( Eun Ju Kim ),이홍주 ( Hong Joo Lee ),박정훈 ( Jung Hoon Park )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3

        선행 연구를 통해서 우수한 메탄 완전 산화 특성을 보인 La<sub>0.1</sub>Sr<sub>0.9</sub>Co<sub>0.2</sub>Fe<sub>0.8</sub>O<sub>3-δ</sub> (LSCF1928) 페롭스카이트 분말 촉매로 비드형과 중공사형 촉매를 제조하였다. 중공사형 촉매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태이며, 상전이법을 통해 기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비표면적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Methyl Cellulose (MC)를 넣어 제조한 비드형 촉매의 경우 MC에서 배출되는 CO<sub>2</sub>와 촉매 성분인 Sr이 반응하여 원래 촉매 조성이었던 LSCF1928 조성 외에 SrCO<sub>3</sub>가 생성되었다. 중공사형 촉매의 경우 불순물 없이 단일상의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얻었다. 700~900 ℃에서 하소한 중공사형 촉매는 손가락구조-스펀지구조-손가락구조의 기공 형태를 보였으며, 모두 475 ℃에서 메탄의 완전 산화 반응을 통해 99.9% 산소 전화율을 달성하였다. 중공사형 촉매의 기공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 갭과 방사압력 조건을 변경하였다. 2 cm 에어 갭, 7 bar의 방사 압력으로 제조한 중공사형 촉매가 가장 우수한 촉매 성능을 보였으며, 425 ℃, 450 ℃ 및 475 ℃에서 각각 70.65%, 93.01%, 99.99% 이상의 산소 전화율을 달성하였다. Bead type and hollow fiber type catalyst (HFC, Hollow Fiber type Catalyst) was prepared by La<sub>0.1</sub>Sr<sub>0.9</sub>Co<sub>0.2</sub>Fe<sub>0.8</sub>O<sub>3-δ</sub> (LSCF1928) perovskite powder catalyst which showed excellent methane complete oxid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HFC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pores can be formed through Phase inversion method so the specific surface area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the case of the bead type catalyst prepared by adding Methyl Cellulose (MC), SrCO<sub>3</sub> was produced in addition to the original catalyst composition of LSCF1928 due to the reaction of CO<sub>2</sub> emitted from MC and Sr of the catalyst. In the case of the HFC, a single phase perovskite structure was obtained without impurities. The HFC calcined at 700~900 ℃ showed pore structure of finger-sponge-finger structure, and 99.9% oxygen conversion rate was achieved through complete oxidation of methane at 475 ℃. Air gap and spinning pressure condition were changed to control the HFC pore. 2 cm air gap and 7 bar spinning pressure showed the best catalytic performance and achieved oxygen conversion rates of more than 70.65%, 93.01%, and 99.99% at 425 ℃, 450 ℃ and 475 ℃, respectively.

      • KCI등재

        불교(佛敎) 의례의문(儀禮儀文)의 명칭(名稱)에 대한 고찰(考察)

        이성운 ( Seong-woon Lee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7 No.-

        이 글은 불교 의례의문의 명칭이 어떤 준거에 의해 命名되며, 의례의문이 실제 指稱되는 略稱과 異稱에는 어떠한 원리가 들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2장의 고찰 결과, 첫째 근현대 이전의 命名은 예불·송주·수계·상례·수륙재 등 내용을 드러내는 핵심술어로 명명되고 있지만 예문(禮文) 등 몇 가지는 본문을 확인해야 의미가 드러나며, 근현대 이후에는 『석문의범』이나 『법요집』과 같이 내용이 명명의 준거라고 할 수 있으며, 둘째 『작법절차』, 『제반문』등은 의례 순서와 방법, < 대소예참 >과 ``중례문``은 의례 규모와 내부 형식, ``龜鑑``·``儀範``·``三和`` 등은 교훈적 의미등이 명명의 준거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의 고찰 결과, 첫째 ``중례문``과 ``대소예참``은 수량으로, ``結手文``, ``供養文``, ``排備文`` 등은 행위로, ``志磐文``과 ``仔夔文``은 撰者로, ``千手``와 ``雲水`` 등은 簡稱이라는 기준으로 略稱되고 있었으며, 둘째 ``眞鑑遺風``이나 ``堪忍敎``에는 당해 본이 龜鑑이며 正本의 敎法으로 이해하거나, 作法의 절차를 바로 알아 태말충이 되지 말자는 경책의 이미를 담아 ``太末蟲``이라고 하여 수행의 좌표로 삼고 있으며, ``焚修``와 ``無遮法會``, ``侍輦``등에는 敎化意志가 드러나는데, ``供佛齋僧`` 등 信行儀禮의 異稱에는 본래 의미가 퇴색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writing considers by what standard the title of the Buddhist ritual programs are named and what principle the short title and the nick name for them used actually include. The second chapter results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naming prior to modern times indicated the core predicate which showed the contents of the ritual orations such as Yebul(禮佛; worship of the buddhas)ㆍSongju(誦呪; recitation of mantras)·ordination(受戒)ㆍfuneral rites(喪禮)ㆍ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lthough some require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to understand the meaning. Meanwhile, in more modern times the standard for the naming has reflected the contents such as Seokmuneubeom(釋門儀範; The Standard manual of the Buddhist rituals) and The Collection of the Manuals of Rituals. Secondly,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conduct(作法節次), Jebanmoon(諸般文; the oration for the general rituals) were named after their order and way, Daesoyecham(大小禮懺; worship and repentance in large or small) and Jungryemun(中禮文; the ritual program in epitome) were after the scale of the rituals and the format of them. Paragon(龜鑑), the standard of the rituals(儀範) and three kinds of the edification(三化) were after the lessons they contained. The third chapter sums up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short title of Jungryemun and Daesoyecham were named after the scale. Gyeolsumun(結手文, making mudras), offering(供養文) and the arrangement(排備文) were after the activity involved. The shorthand for Jibanmun(志磐文; the ritual program by Giban) and Jagimoon(仔夔文; the ritual program by Jagi) were after their compilers. The thousand hands(千手) and the cloud and water(雲水) are the abbreviation for the first two syllables of their full names. Besides, the names of Jingamyupoong(眞鑑遺風; the true example of the custom) and Kamingyo(堪忍敎; the teaching of endurance) mean that they are the paragons and the originals for the doctrinal teaching. Blowfly(太末蟲) was named in order to make it the strong warning for the discipline that we should know the correct procedure for the rules of conduct and not be like the blowfly. The extinction of hindrance of karma and the merit(焚修), Muchabeophoe(無遮法會; Buddhist ceremony without restriction)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have the meaning of the edification. The nickname of the ritual for the practice of faith(信行儀禮) like Gongbuljaeseung(供佛齋僧, offering to Buddha and donation to monks and nuns) has lost its original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