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의례로 읽는 화계사 안팎의 문화

        이성운 ( Sung Woon L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4 No.-

        이 글은 ‘의례’라는 키워드로 화계사 안팎의 역사와 문화를 읽어낸, 약간의 문학성을 띤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제일 먼저 ‘등촉(燈燭)’이라는 단어를 통해 화계사의 역사를 읽어보았다. 첫째, 1522년 서평군 이공(李公)의 제의로 신월 화상이 부허동에 있던 보덕암을 옮겨 현재의 화계사 자리로 옮겨 건립하여 화계사라 하였고, 1618년 화재로 전각이 소실되자 덕흥대원군 가문의 보시에 의해 1619년 초 중창되었으며, 1866년 흥선대원군(1820~1898)의 시주로 삼창된, 화계사의 역사에 대해, 등과 촛불을 밝히는, 의례의 행위에 빗대 풀어보았다. 희미하게나마 전승돼온 역사를 ‘희미한 등촉’이라고 하였고,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법등을 이어온 사실을 ‘풍전의 법등’이라고 하였으며, 그래도 법맥이 꺼지지 않고 이어온 사실을 ‘상승의 법등’이라 하며 화계사 안팎의 역사와 의례 문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불전(佛殿)에 공양하고 승려에게 재(齋)를 올리는 행위는, 부처님 재세 때부터 있어온 출가와 재가의 관계를 이어주는, 보시 행위이다. 부처님이나 수행자들은 신도들에게 법의 보시와 두려움 없음을 베풀고, 신도들은 공양물을 베풀어 승려들이 수행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불교시기에는 탁발에 의지하였으나 이후 사원에 기진(寄進)된 장원에서 생산된 생산물에 의해 승단이 유지되었는데, ‘궁절’이라고 불린 화계사에는 궁인들의 공불행위가 이어졌다. 화계사 관음전에 자수관세음보살을 모신원주(願主) 조대비(1808~1890)는 1880년 불전의 양식을 마련하기 위해 재산을 출연하여 농토로 바꿔 매년 공양 올리는 양식으로 삼도록 하였고, 또 관음전에 양식을 헌공하였다. 아울러 사중(寺中)의 스님들도 1905년 성도계를 조직하여, 자타의 성도를 위해 공양을 마련하는 등 사부대중이 공불에 흔연히 동참하고 있다. 셋째, 염불(念佛)은 부처님의 명호를 염송하는 수행인데, 난행도(難行道)로 알려진 참선과 달리, 염불은 ‘이행도(易行道)’로서 재가불자들도 쉽게 동참할 수 있는 수행이다. 화계사 대방은 염불방으로 궁인들이 상사(上寺)하여 염불을 수행하였다고 보인다. 만일 동안 염불을 수행하는 ‘만일염불회’가화계사에 결성된 것은 1910년이었으며, 입적을 앞 둔 염불행자 월명 화상이 평생 이룬 전답을 출연함으로써 가능하였다. 간경(看經)·참선(參禪)과 더불어 삼문(三門)수행으로 널리 행해진 염불은, 조선 중기 이후 한국불교의 주요한 수행이었으며, 그 공덕은 지대하다. 화계사 만일 염불이 회향되었다고 보이는 1930년대 후반 이후 20여 년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화계사에 고봉·숭산 등 눈 밝은 선지식들이 바랑을 내리게 된 것도 염불의 득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계사의 선사 숭산 스님이 국제포교 나서 큰 성과를 이룬 것도, 꽃이 아름답고 계곡이 아름답고 절이 아름다운 화계사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화계사에는 국제선원이 개원되어 세계불교의 한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국내외에서 화계사를 찾아 선대 덕 높은 수행자들의 수행과 의례를 따라, 불전에 공양하고, 염불하고, 참선하며 세계일화를 실천하는 이들이야말로, 꽃·계곡·절과[三美] 더불어 화계사의 사미(四美)라고 하겠다. This essay is a bit of literary writing on the history and the culture around Hwagye Temple in veiw of the keyword, ‘Euirye(儀禮, ritual)’. Above all, the history of Hwagye Temple is considered with the word, ‘a lamplight and a candlelight(燈燭)’. Firstly, Sinwol Hwasang(virtuous monk) moved Bodeok Hermitage located in Buheodong to the current site of Hwagye Temple, built it and named as Hwagye Temple with accepting Seopyonggun Mr. Lee`s suggestion in 1522, and it was reconstructed thanks to the donation(Dana) of Deokheung Daewongun`s family in the early 1619 after its sanctum was burned down by a fire in 1618, and then rebuilt again with Heungseon Daewongun(1820~1898) offering in 1866. This history of Hwagye Temple is illustrated compared to the practice of the protocol lightening a lamp and a candle. The history and the ritual culture around Hwagye Temple is considered in that the history passed down even faintly is described as ``dim light of a lampe and a candle``, the fact of having inherited Beopdeung(法燈, the lamp of Dharma) in the historical maelstrom as ``Beopdeung(the lamp of Dharma) in the wind``, and the case of Beopmaek(法 脈, the Dharma lineage) handed down without disconnection as ‘the inter-successissive lamp of Dharma`` Secondly, the practice of offering to Buljeon(佛殿, Buddha sanctum) and holding Jae(齋, offering ritual) to monks and nuns is that of donation(dana) which has been carried out since Buddha`s lifetime and liaises between Sangha and the laity. Buddha and practitioners give lay people Dharma-offering and fearlessness and lay people give offerings so that monks and nuns may devote themselves to the discipline. Sangha depended on Takbal(托鉢, mendicancy) during the Early Buddhism period but it was maintained with the produce from the manor contributed to the temple since then, and Hwagye Temple called as Palace Temple was supported by court ladies who kept Gongbul(供佛, offering to Buddha). Her highness, Cho(1808~1890), the devote patron who enshrined an embroidered image of Gwanseumbosal(觀世音菩薩, Avalokite.vara) at Gwaneumjeon(觀音 殿, Avalokite.vara sanctum) in Hwagye Temple, exchanged her contributed property into farm land in order to provide food to Buljeon(Buddha sanctum) and made it food for Gongyang (供養, offering) to dedicate every year and consecrated food to Gwaneumjeon( Avalokite.vara sanctum) again. Also, monks and nuns in the temple organized Seongdogye(成道., traditional private fund for attaining enlightenment) in 1905 so that they arranged offering for the sake of their own and others` Seongdo(成道, attaining enlightenment). Like this, Sabudaejung(四部大衆, the fourfold community) participate in offering to Buddha all together. Thirdly, Yeombul(念佛, chanting Buddha), which is to chant Buddha`s name, is the practice for the laity to take part in with ease as Ihaengdo(易行 道, easy path to enlightnement), contrary to Chamseon(參禪, meditation practice) known as Nanhangdo(難行道, difficult path to enlightenment). A large room in Hwagye Temple is a room for Yeombul(chnating Buddha) so that court ladies might visit it and practice it. ``Manil Yeombulhoe(ten thousand days Chanting Buddha assembly), which is to practice Yeombul(chnating Buddha) for ten thousand days, was organized in 1910 with Yeombul practioner, Wolmyong Hwasang(virtuous monk) contributing his lifelong farm land when he was about to do Ipjeok(入寂, Parinirvana). Yeombul(chnating Buddha) practiced widely as Sammun(三門, three gates) practice along with Gangyeong(看經, ardent reading of a sutra) and Chamseon(參禪, meditation practice), is the main practice of Koren Buddhism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nd its Virtue(Guna) is great. It can be the gains and the fruit(得果) for Seonjisik(善知識, learned and virtuous masters) such as Gobong, Sungsan, etc to take their Barang(a Buddhist sack) off at Hwagye Temple at the point of time when it hasn`t passed about 20 years after the late 1930s and when Hoihyang(廻向, Merit-transference) of ``Manil Yeombul(ten thousand days Chanting Buddha) was made. Sungsan Seonsa(禪師, Zen master) at Hwagye Temple has greatly accomplished international dissemination, which began at Hwagye Temple where flowers, the valley and the temple are beautiful. Since then, the interantional Seonwoen(禪院, Seon monastery) opens here and settles down as a center of World Buddhism. Those who visit Hwagye Temple at home and abroad, and give offerings to Buljeon(Buddha sanctum), practice Yeombul(chnating Buddha), meditation and Segye Ilhwa(世界一花,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following the discipline and the rites of virtuous foregoers, are one of four beauties(四美) along with flowers, the valley, and the temple[三美, three beauties] of Hwagye Temple.

      • KCI등재

        한국불교 시식의문의 성립과 특성

        이성운(Sung W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7

        이 글은 시식이라는 보시를 통해 타자를 해탈시킬 뿐만 아니라, 보시자는 복덕을 성취해 지혜를 이루게 하는 시식의식의 대본이라고 할 수 있는, 현행 한국불교의 ``시식의문(施食儀文)``의 성립과 변형, 그리고 특성과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영가 내지고혼을 천도하기 위해 밥을 베푸는 의식인 ``시식의``(施食儀)는 종교적 구원뿐만 아니라 ``보시``를 통해 사회적인 자비를 실천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례이다. 서언을 겸하고 있는 Ⅰ장에서는 시식의미와 목적을 기술하고, 한국불교의례에서 시식의식의 위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불교의례를 분류해 보고, 시식의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와 연구방향을 밝혔다. Ⅱ장에서는 현행 한국불교 시식의문을 살펴본 후, 한국불교 시식의문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이는 『증수선교시식의문』의 구조와 특징, 주요 수륙재 소재 시식의문 등 시식의문의 구조와 특징을 살폈다. Ⅲ장에서는 『진언권공』, 『권공제반문』, 『운수단가사』, 『작법귀감』, 『석문의범』, 『통일법요집』 등 한국불교의 주요한 시식의문의 구조를 비교하여 각 의문들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각 시식의문에서 보이는 인식과 특성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상단권공·중단퇴공·하단시식의 삼단공양법 가운데 하단에 속하는 한국불교의 시식의문은 청혼·시식·송혼의 삼단(三段) 삼청(三請)하고 삼밀가지(三密加持)하여 무외시·재시·법시로 진행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Ⅴ장은 결어로, 형식보다는 마음이라는 한국적 민중 정서에 부응하여 한국 고유의 시식의문으로 형성되었다고 맺고 있다. This article is the study for establishment, transformation, characterization and recognition of ``Sisiguimin`` on current Korean Buddhism to call a script for Sisig ritual, which not only it makes others be release from the suffering of Preta through giving alms such as Sisig(施食), but also one who gives alms fulfills the reward of virtue and completes wisdom. ``Sisigui(施食儀)`` which it supplies some foods for sending a spiritual or a lonely spirit of the deceased to the way of Heaven is Buddhist ritual to call the device which practices not only religious salvation but also social mercy through ``giving alms``. In Chapter 1 which includes a preface, it described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Sisig, and classified Korean buddhist rituals for finding the status of Sisig ritual in Korean Buddhist ritual and suggested how you have to understand Sisiguimun and which direction you need to study. In Chapter II, after it examined Sisiguimun of current Korean Buddhism, it studied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Jeungsuseongyo sisiguimun] which it is supposed to influence to establish Sisiguimun of Korean Buddhism, and studied the structure and features in sisiguimun of major Suryukjae subject. In Chapter III, it investigated each Uimun comparing with the structure of major Sisiguimun in Korea Buddhism such as Jineongwongong, Gwongongjebanmun, Woonsoodangasa, Jakbeompgwigam, Seokmunuibeom, Tongilbeopyojip. In Chapter IV, it put in order for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that shows up in each Sisiguimun. It found that Sisiguimun of Korean Buddhism which is on a lower level among Samdangongyangbeop such as Sangdangwongong, Jungdantoegong, Hadansisig has the characteristic which is in progress that is doing Samdan and Samcheong of invoking the spirit, Sisig and sending the spirit, and Sammilgaji, and then Muoesi, Amisa-dana, Dhamma-dana. As the conclusion,V is ended that it was formed to Korea``s own Sisiguimun for meeting the Korean public sentiments of heart rather than a form.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현행``천수경의 구조와 의미

        이성운 ( Sung Woon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禪文化硏究 Vol.7 No.-

        이 글은 연구자들에 의해 실시된 ``현행``천수경의 사상, 분과, 성립 등을 바탕으로 ``현행``천수경의 심층구조를 분석하여 ``현행``천수경의 위상과 의미를 밝혀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의례에서 ``천수주(다라니)``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은 ``현행``천수경의 성립 추이를 개관하고, ``현행`` 천수경 분과를 비교 검토하고, ``현행``천수경의 심층구조를 탐색하여, ``현행`` 천수경의 이해와 인식을 고찰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천수경 연구서와 『한국불교 의례자료총서』소재 의례들을 가능한 한 통시적 안목에서 분석할 것이다. 의례에 보이는 천수주는 삼매와 염불의궤를 위한 사전의궤로, 또는 도량을 깨 끗이 하는 엄정용, 악업이나 악취를 없애는 파악다라니 등으로 쓰였는데, 저녁 송주로 자리하면서 ``현행``천수경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현행``천수경의 완결성과 사전의궤로 분과하는 제 견해를 바탕으로 논자는 ``현행``천수경에는 발원성취의궤, 엄정도량 의궤, 참회서원 의궤, 준제행법 의궤와 전후 연결 의궤의 심층구조를 도출하였다. 그리하여 ``현행``천수경은 개인적 발원의궤에서 불사성취의궤로 확장되었으며, 그 과정에 사방찬과 도량찬의 비현실적 의궤까지 편입되기도 하고, 연결 과정에서 다음 의궤의 서두가 사전의궤의 귀결로 인식되기에 이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로 ``현행``천수경은 발원과 참회의식의 전반부와 관력을 증진하기 위한 준제지송의식의 후반부의 중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경전 독송과 불사작단 등을 위한 보편적으로 염송하는 사전 의궤임을 확인하는 데는 부족하지 않을 것이다. 천수경이 시대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성립돼 왔다는 것 자체가 완결성을 갖기보다는 비고정적이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천수주가 불교의례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듯이 천수경이 그 상황에 적합하게 운영될 수 있는 교학적 근거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될 때 천수경 각 구의 바른 번역이 가능하다. 그렇게 됨으로써, 다른 의궤를 봉행하기 위한 사전 의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불교 의례의 전반적인 체계를 이해하고 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help understand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correctly by analyzing deep structure of current One Thousand Hands based on philosophy, division and formations of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performed by researchers and by clarifying prestige and meaning of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will clarify what roles of ``Thousand-armed Dharanl`` plays for ritual, and then overview, compare and review formational history of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and it will also review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by searching its deep struc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rituals appeared in research papers for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and a series of Korean Buddhism Ritual Documents in terms of diachronic aspect as possibl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Dharanl appeared rituals was used as precedent ritual text for Samadhi and ritual text of recitation of the Buddha`s name or Dharanl of breaks bad karma for cleaning temple ground or removing vicious spirits, and it was advanced to an evening magic formula, and finally became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The author of this paper, based on my opinions for completeness and separated division of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extracted deep structures of ritual text of setting one`s desire, ritual text for purification of adornments, ritual text of repentance and vow , conditioned Cundl dharanl practice and ritual text of connecting with after and before. After that,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has been extended from ritual text of personal desire to ritual text for Buddhist service achievements. During that processes, Unrealistic chants such as Praises to the Four Directions(四方讚) and Praises to the Bodhi-mandala(道場讚) were incorporated, and preface of next ritual text was believed to be recognized as an epilogue of previous ritual text during connection process. This paper will be enough to verify that ``current``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has double structures of setting for one`s desires and preface of repentant rituals, and conclusional parts of conditioned things Cundl Dharanl practice, and it is pre-rites for conventional prays for scripture reading and Buddhism services. The fact itself that with what meaning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has been formed is believed to be unfixed rather than to have its completeness. Therefore, as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Dharanl has been used for Buddhism ritual,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should provide religious backgrounds so that it can be utilized meeting each situation. When those are achieved, it will be possible to interpret each paragraph of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tra, which will not only carry out pre-rite for other rites but also help to understand and establish overall Buddhism rituals.

      • KCI등재

        패스워드 기반의 효율적인 키 교환 프로토콜

        이성운(Sung-Woon Lee),김현성(Hyun-Sung Kim),유기영(Kee-Young Yoo)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1 No.4

        본 논문에서는 작은 패스워드만을 이용하여 안전하지 않은 통신상에서 사용자와 서버간에 서로를 인증하고 세션키를 공유하기 위한 새로운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안전성은 이산대수 문제와 Diffie-Hellman 문제의 어려움, 그리고 해쉬 함수의 암호학적 강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패스워드 추측 공격, 중간 침입자 공격, Denning-Sacco 공격, 그리고 Stolen-verifier 공격에 안전하며, 완전한 전방향 보안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더욱이, 구조가 간단하고 참여자들 사이에 병렬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잘 알려진 프로토콜들과 비교하여 효율적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key exchange protocol which authenticates each other and shares a session key between a user and a server over an insecure channel using only a small password. The security of the protocol is based on the difficulty of solving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and the Diffie-Hellman problem and the cryptographic strength of hash function. The protocol is secure against the man-in-the-middle attack, the password guessing attack, the Denning-Sacco attack, and the stolen-verifier attack, and provide the perfect forward secrecy. Furthermore, it is more efficient than other well-known protocols in terms of protocol execution time because it could be executed in parallel and has a simple structure.

      • KCI등재후보
      • 불교 장례 의문에 밴 언어의 미학

        이성운 ( Lee Sung-woon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귀환의 몸짓인 불교의 화장을 뜻하는 다비와 풍장의 시다림 문화가 합해졌다고 보이는 한국의 불교 장례 의문인 다비문은, 대부분 16세기 중반 이후의 자료이다. 다비 절차 가운데 발인 이후의 의식을 떠남의 몸짓으로, 육신을 불태우고 산골하는 의식을 되돌림의 몸짓으로 분류하여 의문의 미학을 살펴보았다. 발인 이후 떠남의 몸짓은 극락세계로 나아가라는 데 초점이 있으며, 떠나는 출발지를 ‘만타청산(萬朶靑山)’ ‘일간홍일(一竿紅日)’으로 대비하는 등 문예 미학으로 깨달음의 법문을 잇고 있으며, “곳곳의 푸른 버들 말을 맬 만하고, 집집마다 문밖은 장안 가는 길”이라고 하는 데서 미학을 맛볼 수 있다. 화장하여 유골을 태우고 부숴 오방으로 뿌려 본래 자리로 돌려보내는 되돌림의 몸짓에도 아름다움은 널려 있다. “삼계의 혼미한 꿈 깨어나 몸 바꿔 법왕 성에 이르소서.”라거나, “번뇌의 고통을 벗고 쌍림 열반의 즐거움을 얻으라”, “오대산 허공 속에서 흰 구름으로 유유히 떠돈다”라고 하며 자유자재를 노래하는 데 아름다움이 넘실댄다. Most of the ritual orations for the Korean Buddhist funeral, Dabimun, which seems to be a combination of Sidarim(Requiem) culture of Dabi meaning cremation and its aerial burial, date from after the mid-16th century. This paper considers the aesthetics of its ritual oration, with the ritual after the departure of the funeral service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and the ritual of burning the body and dispersion of ashes as one of returning. The ritual after departure of a funeral procession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focuses on going to the world of paradise, which shows the teachings of enlightenment through literary aesthetics, such as contrasting the departure point with 'a green mountain with numerous branches hanging down(萬朶靑山)' and 'red sun caught on a fishing rod(一竿紅日)'. The aesthetics can be seen in the sentences that “there are green willows here and there that can be used to tie horses, and that outside the door of every house is the road to Changan.” We can find beauty in the gesture of returning, such as cremation, burning and crushing the remains, scattering them to the five directions, and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places. It is full of beauty in singing of perfect freedom, with the lyrics that “May you awaken from the delusive dream of the Three Realms, change your body into a new one, and reach the palace of Dharma-King”, that “get rid of the pain of suffering and gain the joy of entering parinirvana under the twin Sara tree,” and that “become a white cloud and wander leisurely in the air of Odae mountain.”

      • KCI등재

        의식과 의궤의 불리성

        이성운(Lee, Sung-W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8

        이 글은 한국불교 의식에서 의궤의 부재로 인해 드러나는 한계를 밝힌 글이다. 그 한계는 대략 다음과 같다. 예경의식인 7정례는 참법의 양상과 유사하지만 그 체계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다. 또 송주의 사전의식도 15세기 금강경 등에서 확인되는 송경의식이 전승되지 못해, 그냥 제목부터 독경해나거나 간단하게 몇 진언 또는 개경게송만을 염송하는 한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시식의식은 원초경전과 의궤가 명확히 존재하고, 또 국내에 전해져 시식의 대상을 초청하고 그들에게 시식하여 그들로 하여금 깨닫도록 하고 있지만 현재에는 의문만 간략히 전해지면서 의식의 하나하나에 대한 명칭과 이해가 달라지고 있다. 공양의식의 경우 <진언권공>과 <작법절차>에는 그 공능이 같지 않건만 서로 융합되어 그 의미가 잘 해명되지 못한 부분이 적지 않다. 육법공양 · 오공양 · 사공양이라고 하는 것을 단순히 공양물의 종류로 설명하거나 상중하의 의미로 이해하는 등 체계적이지 못하다. 의식의 대본인 의궤가 없이 소리 중심의 의문으로만 전해진 데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의식의 본질을 바로 알고 의식을 설행하기 위해서는 각 의식의 하나하나에 담긴 의미대로 실천해야 하므로 의식에 의궤는 분리(分離)될 수 없다 하겠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limitation of the ritual caused by the absence of its protocol in Korean Buddhism. The current main devotional ritual for worship in Korean Buddhism, Chiljeongrye(七頂禮, Sevenfold worshiping with one’s head touching the ground) is similar to Chambeop(懺法, Confessional ritual),but it is difficult to clarify its system. Because Songju(誦呪, Reciting dhāraṇ) does not have a preliminary ritual of reading sutras, which is identified in the 15th-century edition of the Diamond Sūtra, it shows such limited performance as reading sūtras from its title, or reciting sūtras in contemplation, or simple dhāraṇ for its preliminary ritual. The ritual for Sisik(施食, holding a banquet) had its original sūtra and protocol clearly defined upon introduction into Korea, which involved inviting the parties to a banquet to make them enlightened. However, the ritual program has now been passed down only briefly and each name and the understanding required for the rituals has changed. In the case of the offering ceremony, although Jineongweongong(眞言勸供, Invitation to offerings by chanting dhāraṇ) and Jakbeobjeolcha(作法節次, Procedure for the rules of conduct) have different effects on each other, many of their meanings are inexplicable because they are mixed up and confused. There is no systematic understanding because the six offerings, the five offerings, and the four offerings are explained to be the kinds of items for offering, or the higher, the middle, and the lower, respectively. This may be because the rituals have an oral tradition rather than a written ritual protocol. We should perform the ceremony according to the true meaning of each ritual in order to perform it with the correct understanding. Therefore, in Buddhism,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a ritual from its protocol.

      • KCI등재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이성운(Lee, Sung-woon)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이 글은, 어순구조가 다른 한문에 '다는 토'[懸吐]가 불전 번역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바람직한 불전 번역의 방법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불전(佛典) 가운데 불교의 선참 승려들이 학습하는 치문경훈의 제 번역을 대상으로 심아 '범주와 분절', '형식과 비유'를 중심으로 현토와 번역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I장은 저본인 치문경훈과 간경도감 간행본에 나타나는 현토(懸吐) 조사나 활용어미를 제시하였다. II장은 현토가 동사의 지배 범주, 주술어의 호응, 통사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폈는데, 여러 본이 선행의 현토를 그대로 수용하여 의미와 동사의 지배범위 [閾]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문장이 길어져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III장은 대구(對句)와 비유의 문체 등이 현토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폈는데, 원문의 문체 미도 찾기 어렵고, 후치수식을 중문으로 번역하여 비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현토는 한문을 쉽게 이해하게 하는 장점을 안고 있지만 그것을 사용함으로 인한 번역의 장애 요인이 적지 않았다. 선대의 업적인 현토를 참고하고 활용하는 것은 필요하겠지만 현토가 있는 원문을 참고할 때는 현토를 삭제한 후 (백문) 문장을 분석하여 대구와 후치(後置) 수식(修飾)이 잘 드러나는 표점(標點)을 한 후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paper establishes a desirable translation mechanism for Buddhist scriptures contemplating the action of Toe(in this paper Kukyol and Toe are used interchangeably as the meaning of the former is similar to the latter) on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e correlation between Hyeonto and translation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Category and Segment' and ‘Format and Metaphor' in investigating my translation of Chimungyeonghun, amongst other Buddhist scriptures(of which learners are monks at the initial stage of training). Chapter I presents post position and conjugation ending words that appear in translated versions published of Chimungyeonghun and Gangyeongdogam. The implication of Hyeonto on the governing scope of the verb, complement structure, and concord of the main predicate is studied in Chapter II that discovers that not onl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verbs are ambiguous as many of the scriptures accommodate the precedent Hyeonto as it is; in addition, the lengthened sentences lower legibility. Chapter III investigates the impact of Hyeonto on an antithesis, the style of metaphor and this reveals that the style of original ones are distorted and it is uneconomical that post-modification were adequately translated into Chinese. Hyeonto helps i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exposes an obstacle for translation of itself. I may be better to translate the Buddhist scriptures after marking which well expresses post-modification and antithesis analyzing Baekmoon(白文; unpunctuated Chinese composition) after deleting Hyeonto although; however, the value of Hyeonto(a precedent achievement) cannot be neglected.

      • KCI등재

        동일 서버를 사용하는 두 사용자간 효율적인 패스워드 기반의 키 교환 프로토콜

        이성운(Sung-woon Lee),신성철(Seong-chul Shi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두 사용자들 사이에 안전한 통신하는데 필요한 패스워드 기반의 키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에서 서버는 두 사용자가 적법한지를 인증하는 책임을 가질 뿐 그들 사이에 공유된 세션키를 알 수 없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검증자 기반의 프로토콜로서 서버 Compromise 공격 뿐 아니라 다양한 공격들에 대하여 안전하고 완전한 전방향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의 공개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계산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다. This paper presents a password-based key exchange protocol to guarantee secure communications for two users registered in a server. In this protocol, the server is only responsible for the legality of the users but does not know the session key agreed between them. The protocol can resist the various attacks including server compromise attack and provide the perfect forward secrecy. The proposed protocol is efficient in terms of computation cost because of not employing the server's public key.

      • KCI등재

        다중서버 환경의 E-헬스케어를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 및 키동의 기법

        이성운(Sung-Wo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Barman 등은 다중서버 환경에서 E-헬스케어를 위한 세 가지 인증 요소(스마트카드, 비밀번호, 생체 인식)를 사용하는 인증 및 키 동의 기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Ali 등은 이 기법이 사용자 위장, 서버 위장, 세션키 유출, 비밀 임시 매개변수 유출 공격 등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Yu와 Park은 Ali 등의 기법이 공격자가 스마트카드의 내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사용자 위장 공격, 세션키 노출 공격, 중간자 공격에 성공할 수 있으며 상호인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Ali 등의 기법이 사용자 연결 가능성과 단일 장애 지점 문제라는 추가적인 보안문제들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다중서버 환경에서 E-헬스케어를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 및 키 동의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기법이 기존의 관련된 기법들보다 안전성 및 연산/통신 비용 면에서 우수함을 보여준다. Barman et al. proposed an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AKA) scheme using three factors (smartcard, password, and biometric) for e-healthcare in the multi-server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li et al. showed that the scheme is prone to some attacks, including user impersonation, server impersonation, session-key leakage, and secret temporary parameter leakage, but it does not provide user anonymity. Hence, this paper proposed an improved scheme to solve the problems. Yu and Park reported that Ali et al.s scheme suffers from many drawbacks, including user impersonation, session key exposure, and man-in-the-middle, and failed to ensure mutual authentication, assuming that an attacker can extract the internal information of a legitimate users smart card. In addition, Ali et al.s scheme has additional security problems, including user linkabilities and single-point failur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a secure and efficient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scheme for e-healthcare in the multi-server environment. Furthermore, this scheme is superior to related schemes regarding security features and computation/communication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