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ffects of backcrossing on quality of strawberry fruit

        이선이,김승유,김대영,정호정,엄인석,노일래 한국원예학회 2018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9 No.2

        American/European strawberry cultivars are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Asian cultivars with American cultivars generally having higher yields, fruit weight, and fruit hardness and Asian cultivars tending to have higher sugar content. In this study, we performed backcrossing to improve the fruit qualities of Asian varieties of strawberries using American cultivars as the donor parent. The F1 progeny derived from crosses between Asian and American cultivars tended to have lower sugar content and higher fruit weight and yield than Asian cultivars, but fruit hardness did not differ between the Asian cultivars and the progenies. The percent germination and survival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C1F1 and BC2F1 generations, whereas the percent germination decreased rapidly with advancing backcross generations. The BC1F1 generation had slightly higher sugar content and the sugar content of the BC2F1 gene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BC1F1 generation, but fruit weight and yield decreased. However, there was variability among individual progeny from the same cross. With advancing generations of backcrossing (BC3F1, BC4F1, BC5F1), sugar content tended to improve while fruit weight and yield tended to decrease, and hardness tended not to change. Therefore, to develop new cultivars with the combined qualities of Asian and American cultivars, we concluded that generations beyond the BC2F1 are not necessary, and that the selection efficiency of superior individual plants can be improved if the number of seedlings is increased in generations before the BC1F1 or BC2F1.

      • 염주(念珠)수행의 변용과 의미 연구

        이선이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4

        In Korean Buddhism, the mālā has a great meaning for both monks and laypersons. However, studies analyzing the meaning and usage of beads are rare. The scriptures related to the rosary are entered in the List of the Tripitaka Koreana(1236-1251), so you can check their circulation in Goryeo. The materials of the rosary are: cypress, ariṣṭaka, iron, copper, crystal, pearl, lotus seed, Bodhi tree, soil, grass, etc.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ritual, different materials are used for the rosary, and the best thing for a meditator is a rosary made of crystal and bodhi tree. And the number of rosary can be 1,080, 108, 54, 27, or 21, and the standard 108 is the best. Besides that, there are 10 marbles required to add numbers. The biggest marble(母珠) means Amitabha Buddha, and the marbles of rosary means to cut off the defilement of a worried person beings. The practice of turning the rosary is the embodiment of Vairocana, the act of mercy of the Avalokiteśvara, and a abhicāraka can form the monk's wish. The crystal rosary appearing in the Goryeo Water-Moon Avalokiteśvara have intimacy that can be seen as the appearing in the real body of Vairocana. The icon which symbolizes the practice of Cundī Bodhisattva in vaśīkaraṇa is Water-Moon Avalokiteśvara that accepted the Samgukyusa, and Goryeo Water-Moon Avalokiteśvara in the collection of Daedeoksa is the active acceptance of Euisang monk's story in the Samgukyusa. And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Goryeo Water-Moon Avalokiteśvara. In Water-Moon Avalokiteśvara, the expression of the rock in the dark cave drawn above the head of the Avalokiteśvara is close to the tale of the Bulseoljimyeongjang-Yugadaegyojonnabosaldaemye- ongseongchwiuigwegyeong. The most representative icon of the story of the rosary and the shiny marble is the Water-Moon Avalokiteśvara from the collection of Daedeoksa Temple in Japan. It can be seen that the practice method using the rosary as a tool is an element of Avalokiteśvara training that Linking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nd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Avalokiteśvara belief is transmitted to Korean Buddhism based on the idea of Hwaeom(華嚴). Dosolam(Masan-si), is a temple that has the original meaning of rosaries and produces rosaries using traditional methods. 한국불교에서 염주는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에게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염주의의미와 사용법을 분석한 연구는 흔하지 않다. 염주와 관련된 경전들은 재조대장경목록(1236~1251)에 입장되어 있어, 고려에서 유통을 확인할 수 있다. 염주의 재료는 자거, 목환자, 철, 숙동, 수정, 진주, 제석자, 금강자, 연자, 보리자, 다라수자, 흙, 나선(螺琁), 아(牙), 적주(赤珠), 율무, 풀 등을 쓸 수 있다. 의례의 내용에 따라 염주재료를 다르게 사용하며, 수행자에게 가장 좋은 것은 수정과 보리수로된 염주이다. 그리고 염주알의 개수는 1,080, 108, 54, 27, 21개로 할 수 있으며, 표준은 108개가 가장 좋다. 이외에 수를 더하는데 필요한 10개로 된 염주가 있다. 모주(母 珠)는 아미타불, 염주알은 중생의 번뇌를 끊는다는 의미로서 관음보살이다. 염주를돌리는 삼밀수행은 비로자나불의 화현이며, 관음보살의 자비행이며, 명왕의 조복으로 수행자는 원을 이룬다. 고려 수월관음도에 나타나는 수정염주는 보현행을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의 법신화현으로 볼 수 있는 친밀성을 가진다. 존나보살대명법의 경애법을 수용한 도상이수월관음도이며, 삼국유사 낙산이대성인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이 대덕사 소장본 수월관음도이다. 그리고 이것이 고려수월관음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수월관음도에서 관음보살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어두운 동굴 속의 바위 표현은 불설지명장유가대교존나보살대명성취의궤경에 가깝고, 염주는 삼국유사 낙산이대성인의 이야기이다. 염주와 여의보주의 이야기는 일본 대덕사 소장본 수월관음도가 가장 대표적인 도상이라 할 수 있다. 염주를 도구로 하는 수행법은 고려와 조선을 이어주는 관음수행의 요소이며, 관음신앙의 역사와 전통은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한국불교에 전해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염주의 본래 의미를 지니며 염주를 전통방법으로 제작하는 사찰은 마산시도솔암이다.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과 환동해 지역인식 방안

        이선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2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 of formation regionality in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Yoshimi Takeuchi has proposed such a critical concept "Asia as a method of thinking" as criticizing western-centered idea of modern times by asking the question of ‘what means modern times for Asia.' This study adopts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speculate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detail with the northern area which implies frontier and alternation. The regionalism could be discovered in the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conflicting area with each states' strong and firm statism and nationalism, also with inflexibility characterized as changeable dynamics. This argument is far from understanding the East Sea Rim region as the institutionalized and sectionalized geographical category but close to recognizing it as a horizon of thinking.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so called "northern area recognition as a method" can be regarded as an introduction of the East Sea Rim region as a horizon of thinking and the practice through the discussion in detail. The main topic of this specific analysis deals with the Korean poetries of modern times, which presented the meaning of northern area. From here, it proceeds to look into the area in the context of the cross-border recognitions which have not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Related to lack of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northern area of East Sea Ri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poetries dealing with northern area in modern times recognizing the boundary of people and nation critically, showing democratic conscience solidarity among the many immigrants who have such emotions as the stateless person in further. That kind of emotions and thinking help us to overcome the imaginary boundary imposed by the western-cemtered modern times poetries when we begin to reread these poetries with the other point of view. 이 글은 환동해 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성의 형성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아시아에 있어서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서양 중심의 근대를 비판하며 아시아를 인식하는 방식의 하나로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창조적으로 적용하여 환동해 지역인식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변방과 변경에 놓인 북방공간의 재인식을 통해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적용하였다. 현재 환동해지역은 강고한 국가주의와 민족주의가 충돌하는 접경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연구에서는 접경지역으로서의 경직성을 변경적 역동성으로 읽어내는 작업을 통해 하나의 지역성을 형성해나가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환동해지역을 제도화되고 구획화된 지리적 범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유지평으로 인식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변경적 특성을 지역성 형성의 한 방안으로 삼기 위해 여기에서는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한국 근대시에서 북방의식을 보인 시편들이며, 이 시편들의 다시읽기를 통해 환동해지역의 지역성 형성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