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괴애(乖崖)의 유불론(儒佛論)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이 글은 괴애 김수온(金守溫, 1409-1481, 乖崖)의 유불사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오해를 그와 관련된 글을 통해서 분석했다. 이에 관련된 사항들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조선전기는 불교와 무속을 통해 국행의례(國行儀禮)가 유교를 대신해서 중추적인 역할을 거행해 왔다. 반면 이 시기의 유학자들의 불교와 무속에 대한 저항과 갈등은 끊임없이 지속되었다. 더욱이 점차 기은의례가 명산과 사찰로 확산되면서 유학자들의 불교에 대한 인식은 이를 축출하는 것만이 유교를 조선조에 정초할 수 있다는 일념으로 팽배해 있었다. 둘째, 괴애의 평범하지 않은 집안환경은 오히려 그가 불교에 깊은 조예를 갖게 갖을 수 있는 충분한 계기를 제공했다. 아울러 그는 유교의 원칙론에 대한 중압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이상을 불·도에서 모색했고, 이를 자신의 일상생활을 통해서 실천함과 동시에 여러 시문(詩文)을 통해서 거침없이 표현했다. 셋째, 괴애가 등용되면서 그가 맡았던 역할은 불교와 도교 등과 관련된 중책이었다. 게다가 국가와 왕실에 관련된 재해나 발복 등의 기은의례가 단지 불교에 국한되지 않고 도교와 관련시켜 거행되면서 이를 직접 의례를 주관했다. 유학자로서 이같은 역할은 관리로서 당연한 임무이었지만, 개인적인 측면에서 볼 때 조신들의 끊임없는 힐난은 그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치지 않았다. 넷째, 괴애의 사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단편적인 그의 작품의 분석에만 주목한다면 곧바로 구절주의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대개 그의 시문에 집중되어 있는 불교와 관련된 언급에만 주목하면서 이같은 유형의 오해를 낳고 있다. 다섯째, 괴애의 사상이 불교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주불종유(主佛從儒)’로써 이해하거나 또는 유학자로서의 길을 걷다가 종국에는 불교로 전향한 것으로 그를 이해하는 ‘선유후불(先儒後佛)’의 의미로써 파악하고, 이를 유불사상의 ‘융통’ 혹은 ‘회통’ 등의 의미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같은 이해는 괴애의 사상을 분석하는 것은 별다른 의미를 갖지 못한다. Age situation of Gae-ae(乖崖)brought at once the troubles of life and personal satisfaction scholarly him. In spite of that, among such difficulties, he performs a role as Confucianist. In addition, He chose the method of study where there is a substantial effect through practice. And He was a turning point of his life to this. His efforts to this, focused on Buddhism and Taoism and Confucianism. And He went to observe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as a “positive”. In addition, He visited through the new study of Buddhism, such as the limits of Confucianism. This was the so-called “good”. Conflict and resistance of ideal and reality that was, unless struck enclosed in a lifetime lasted constantly working as a management he. His troubles such, was launched from the resistance and condemnation of our vassal at this time. And this is affecting the researchers are studying the Gae-ae(乖崖) in a today. Thought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His was no difference of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 researchers`s misunderstanding is adapted to generate about th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괴애(乖崖)의 노년관(老年觀)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3 No.-

        이 글에서는 괴애(乖崖) 김수온(金守溫)의 노년의 삶을 그의 시문집을 토대로 분석했다. 괴애의 삶은 여느 유학자들처럼 평탄하지 못했다. 더욱이 그가 어린 시절부터 겪어야 했던 힘겨운 현실은 그에게 있어서 너무도 참담했다. 일찍이 유학자의 가문으로 번성했던 집안이 일순간에 몰락했고, 이러한 일이 있은 후 그의 어머니와 형의 출가는 괴애가 자신의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주기에 충분했다. 괴애가 관직에서 벗어나 노년의 유학자로서 살아가면서 직면해야 했던 갈등과 이를 풀어갈 수 있었던 것은 불교와 도교, 도가 등에 대한 해박함에 있었다. 하지만 그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현실적인 한계를 우회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 스스로가 극복해야 할 실생활의 고충과 평범한 생활인의 모습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같은 그의 행보는 당시의 수많은 유학자들의 반목과 질시를 받았다. 또한 이러한 괴애의 논지는 근간의 연구자들에게 조차 그의 유ㆍ불ㆍ도 사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상충하고 있는 바, 논자는 이에 대한 오해와 실마리를 괴애의 시문을 통해서 제시했다. 한편 괴애는 일생동안 받아야만 했던 곡해의 실마리를 유학자로서의 학문적 위상과 자신에 대한 철저한 경계를 토대로 자신이 가야할 길을 누구보다 진솔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난제를 풀어준 방법 중에 비록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 1604-1684)만큼 독서광은 아니었지만, 괴애만의 광적인 독서를 통해서 평범한 일상에 적응하는 것이었다. 괴애가 견지했던 노년이란 단순히 세상을 등지며 사는 삶이 아니다. 그는 자연현상에서 사람들이 즐기는 화려한 계절의 아름다움 보다는 오히려 그 이면에 숨어있는 소박함을 통해서 진정한 노년의 모습으로 모색했다. 그래서 그는 여러 편의 시문을 통해서 일반적인 사계(四季)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했다. 이처럼 일상의 평범 속에서 비범을 모색했던 괴애는 곡학아세하는 무리에 대해서는 거침없이 격할 정도로 시문을 통해서 일침을 가했다. 또한 괴애는 자신이 과거 관직생활에서 익숙했던 생활과 사뭇 다른 환경에 적응하면서 겪게 되는 고충을 담박하게 표현하면서도 이를 ``빈이낙도(貧而樂道)``의 의지로써 일관했다. 이와 관련된 일화 중에는 괴애가 그의 아내에게 현실과 이상에 대한 갈등을 소박하게 묘사해 보이기도 했다. 유학자로서 괴애가 노장사상과 불가사상에 심취되어 있음을 스스로로 술회하고 있다. 하지만 괴애가 자신의 시문에서 표현했던 유ㆍ불ㆍ도 사상의 폭넓은 조명은 단지 어느 한 사상을 설명하려는 의도에 집중하고 있지 않다는데 주목했다. 괴애가 이해했던 노년은 최근까지도 여전히 노년을 부정적으로 이해하려는 기존의 노년의 의미를 스스로 극복해야만 하는 자기완성의 당위적 차원이다. 그렇기 때문에 외적인 도움으로부터 자신의 위상을 지켜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건실한 심신의 원천이야말로 자신을 새롭게 모색할 수 있는 대안임을 확인해 주고 있다. Gae-ae argued that The elderly is not just the world do not live elsewhere said. So he wants people to enjoy the natural beauty of colorful and did not have an interest in the state. Rather, the people have no interest in had interest in the back of the gorgeous nature. And this idea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elderly. This interest in his ordinary everyday appearance is sought. Normal life at the same time he does not mess up the world through criticism of the group who was poignant. Gae-ae has been used to living life in government service and adapt to a completely different environment to simplify the difficulties faced expressed as went out. Here he is poor, but rather want to enjoy poverty, continually demonstrated a commitment. This anecdote is a lively sense of his own real life wife lovingly showed further expressed through the instrument. Gae-ae is a Confucian scholar. Yet he had been fascinated Taoism and Buddhism in depth. And naturally, it said. However, many other Confucian scholars of his actions, such accused. Nevertheless, Thomas Through poetry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aoism widely thought to light. He just tried to describe only one branch have never thought it should be noted.

      • 한국의 효(孝)사상과 유교의 딜레마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2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9 No.-

        한 평생을 살아가면서 하루라도 똑같은 날을 본 사람은 없다. 다만 매일 똑같은 하루를 보았다고 스스로에게 최면을 걸며 살아갈 뿐이다. 한국의 고유한 문화전통으로서의 효사상은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던 삶의 지혜이다. 이런 문화적 영향이 언제부터인가 점차 비판과 비난으로 얼룩졌고, 끝내는 무용론마저 펼쳐지는 현실 앞에서 차선책은 효사상의 근본정신을 재고하는 것이다. 효행의 실천은 부모와 자식 간의 역할에 대한 상이성을 인정할 때 효의 본래적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이때 상호 간의 역할관계는 종적인 관계가 아니라 횡적인 관계가 형성될 때 마침내 양자는 소통의 실마리를 한 꼭짓점에서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이 결과는 각자의 역할에 있어서 최대역량을 발휘하게 한다. 하지만 오륜덕목 가운데 붕우관계를 제외한다면 모두가 상하간의 위계질서를 근저로 해서 서로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런 설명에서 자유롭고 평등한 규범과 가치는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이를 언급할 수 있었던 계기와 정명(正名)사상은 효사상의 문화에 대한 기존의 편견과 오해를 바로 잡고, 이로부터 유교의 딜레마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순자는 첫째, 효도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기 때문에 작은 일로부터 시작됨을 알렸다. 둘째, 상하의 관계는 언제나 서로가 서로를 존중해 주는 예의를 잊지 않았다. 여기서 상하의 의미는 서로를 예우해 주는 마음가짐과 몸가짐에 두었다. 셋째, 불복종의 복종이라는 역설적 표현이다. 지위와 신분의 차이에 대한 도덕 가치판단은 서로의 차이에 두지 않았다. 무엇이 마땅한 것인가에 두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현실과 기준을 간과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한국의 효사상과 유교문화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지금 이 순간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한국의 효사상은 부모가 부모답고, 자식이 자식다울 수 있다는 의미가 결코 양자의 차별적인 상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다름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이 화이부동이다. Living a life one day, no one who does not present the same day. Just ask yourself that every day the same day saw the face, there is just hanging. Korea`s unique cultural traditions of filial piety in Korea as the idea is the wisdom of life. These cultural influences, but a growing number of critics were not accurate. And the last choice is to reconsider basical thought of filial piety. The role filial pie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ecognize it as a reward when you can reveal the original meaning of filial piety. The role of the mutual relations are strictly equal to each other when you can find a clue. And each of these results is the opportunity to do my best. However, between parent and child is an example of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五倫), except in the middle of all of your friends` relationship between upper and lower layer is formed. This description is a free and egalitarian norms and values should not coexist. It can refer in particular was instrumental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culture of filial piety, from which Confucianism w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dilemma. Xunzi(荀子) more specific and unique expression of the Confucian sense of filial piety was expressed. An example of a crackdown on human behavior was divided into three kinds. First, filial piety is the root of all works, starting with the smallest thing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and bottom should always respect each other. Here is that mutual respect is in the attitude and conduct. Third, the paradox of obedience is an expression of disobedience. The difference between identity status and moral value judgments about each other`s differences did not. This definition is based on whether what. In modern society, but forgot this reality, and standards. As a result, Korea`s Confucian filial piety ideas and prejudices and misconceptions about the culture is still underway. Filial piety in Korea - like the parents thought their parents, a child means a child can never Dowland distinctive symbol of the quantum, rather than to understand each other in terms of the difference is. This is ``he-er-bu-tong(和而不同)``.

      • KCI등재

        다산의 노입(老入)의 공백과 공간

        이석주 ( Lee Seog J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4 No.-

        이 글에서는 다산의 노년에 대한 의미를 노입(老入)의 공백과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했다. 먼저 ‘노입의 공백’이란 다산이 노년이 된 이후에 노년으로서 자신의 삶을 위한 참된 공간을 회복하기 위한 토대 마련을 의미한다. 이러한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그 여정의 원동력을 유배기로부터 해배기 이후에 이르기까지의 다산의 삶을 통해서 분석했다. 특히 다산은 이 시기에 이미 자신이 노입에 접어들었음을 자각했다. 동시에 노입의 공백을 보완하기 위한 열정이 깊어질수록 그가 직면해야 했던 수많은 현실적인 좌절과 ‘홀로있음’을 체감해야만 했다. 이 시점에서 그가 노입의 공백을 극복하기 위한 전환점을 세 가지 측면에서 모색했다. 첫째, 불교에 대한 노유(老儒)로서의 묵수적인 입장을 분석했다. 둘째, 외물에 휘둘리는 삶의 허망함에 대해서 자신의 빈곤함으로 맞서는 실천적이고 주체적인 위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현실적인 빈곤을 채소를 가꾸거나 칡을 캐었고, 다른 한편으로 그물을 짜는 일을 통해서 곤궁한 그의 실생활을 타개해 가는 전환점을 치생(治生)에 측면에서 분석했다. 그리고 내면적으로 노입의 공백에 대해서 다산이 취했던 두 가지 과제는 ‘과골삼천(?骨三穿)’이 말해 주듯이 독서와 강학, ‘홀로있음’의 극복이었다. 비록 그가 긴 유배기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있어서 ‘홀로있음’에 대한 성찰은 오히려 절실했다. 한편 그가 노입의 공백을 위해서 이 시기에 보여주었던 열정과 성찰은 마침내 노년의 다산이 ‘노입의 공간’, 즉 노년다운 삶을 위한 넉넉한 그늘과 같은 공간을 마련했다. 이러한 그의 의지의 반영이 「노인일쾌사육수효향산체(老年一快事六首效香山體)」였다. 다산이 마현에 기거하면서 71세에 지었던 「노인일쾌사」는 노입에 접어든 노유(老儒) 다산의 삶의 공간에 대한 혜안이었다. 이 시에서 그는 노년의 의미에 대해서 두 측면에서 노입의 공간을 제시했다. 첫째, 정신적 측면에서 노입(老入)의 자각과 이에 대한 실질적인 변화의 곡선을 제시했다. 둘째, 육체적인 측면에서 다산 자신의 신체적 변화에 대한 서정적이면서 현실적인 자신이 모습을 그대로 묘사하고 있음을 스스로 확인하고 있다. 다산은 자신의 신체적 묘사를 통해서 현재적 사실과 노년의 열정을 토로했고, 이로부터 소박한 노년의 공간에 대한 새로운 장을 제안했다. He was based on a blank and a meanHeng of the space through a concept of ``the elderly`` of life and analyzed a meaning of the old age in thought of DASAN. It means that it recovers between the sky to live in the smart life in afterward when DASAN was at old age to say ‘blank of the elderly’. DASAN reflected for one``s action every day to make such a base. And He made much efforts to supplement ‘blank of the elderly’ more eagerly in afterward when He performed it if he received the hatred of the monarch as for the action of such him and cooked a flow in a district. He will move the minute analysis for this. DASAN realized in particular that oneself was old age then. He made an effort to make up for ‘blank of the elderl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passion of such him sensed serious failure and `loneliness`` bodily promptly. As for DASAN, the passion and the reflection that he showed at this time to make up for ‘blank of the elderly’ built ‘space of the elderly’ after all. In other words, He prepared ‘space of the elderly’ such as the happy shade for life like the old age. He express wills of such him in the sentence called "one joyous occasion for An elderly" well. He made this sentence to 71 years old. All the core contents of this sentence are comprised of six kinds. And the sentences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drew the change about the body. And he is smart for such a change and is the sentence such as the self-portrait dealing naturally. He never did paradoxical expression and an action to give up in this sentence. But He understood the world naturally. And two last parts dealt with the world being difficult with the figure which had the dignity for the mental change. In addition, He did the choice that was absolute, and was excellence that he matched one``s thought with a style of Korea and wrote a sentence. He made an effort to get rid of misunderstanding to be caused by each other``s classification and made affirmative bond relations while always interchanging with other peopl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퇴계(退溪)의 "학이종신(學以終身)"과 "노년(老年)의 공간"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이 글에서는 퇴계가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학문적인 긴장감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첨예한 갈등을 「갑인일록(甲寅日錄)」과 「고종기(考終記)」를 토대로 재조명하고, 또한 이를 통합하려는 퇴계의 시도와 변화를 모색했다. 이 두 편의 내용이 비록 짧기는 하지만, 퇴계의 학문적 입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다시 찾아주었던 「갑인일록」과 임종을 한 달 정도 남겨두고서도 끊임없이 실천적인 삶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던 그에 관한 생생한 기록을 담은 「고종기」라는 점에서 그의의가 크다. 퇴계는 자신이 선택한 학문을 ‘학이종신(學以終身)’의 신념을 토대로 실천해 나갔다. 그리고 여기서 ‘홀로있음’의 고독한 삶을 직면하게 되면서도 도덕적 책임을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었다. 특히 그는 자신의 학문을 성찰함에 있어서 수반되었던 ‘홀로있음’의 철저한 경계와 성찰은 넉넉한 ‘노년의 공간’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학문적인 열정이 모든 삶의 전부가 될 수는 없었다. 다시 말해서 촌로(村老)로서의 퇴계가 일상생활에서 겪어야 했던 가족 간의 충돌과 갈등은 끊임없이 지속되었다. 이에 관한 일화로서 퇴계가 임종했던 해에 발생했던 증손자 창양(昌陽)의 죽음과 관련된 일련의 일이다. 물론 퇴계는 자신의 원칙론을 묵수한 결과로부터 빚어진 현실에 대해서 의연하게 대처했다. 하지만 그러한 이면에 담긴 처절한 심경의 토로를 죽은 증손자의 아버지였던 손자안도(安道)에게 보냈던 편지글을 통해서 그 애절함을 통감할 수 있다. 한편 퇴계는 학문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경계를 ‘경독(耕讀)’을 통해서 제시했다. 그는 도불(道佛)사상에 대해서 가졌던 자신의 기존의 편견과 한계를 일관되게 비판할 수 있는 윤리적 선택의 기준을 ‘경독’에 두었다. 퇴계는 「고종기」에서 보여주었던 자신의 성찰에 대한 도덕적 ‘책임’의 의지를 반영했고, 이를 토대로 ‘노년의 공간’을 형성했다. 여기서 그가 마련한 노년의 공간이란 세대 간의 첨예한 갈등에 대해서 노년으로서의 유연한 역할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년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노년은 더 이상 뒤로 물러나서 관조하는 촌로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가 주목했던 진정한 노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관건은 ‘설득’이 아니라, ‘소통’에 두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이러한 논지를 관철하기 위해서 다음에 주목했다. 첫째,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고, 둘째, 끊임없는 성찰과 자기의 완성이며, 셋째, 자기의 본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었다. In this article, the elderly are Toigye(退溪) has revisited the thorny confli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veryday life. And I found it attempts to integrate with the change based on the ``gabinilrok(甲寅日錄)`` and ``kojonggi(考終記)``. Through this analysis, the Toigy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is academic position was reviewed in the ``gabinilrok(甲寅日錄)``. In addition, Toigye is also constantly emphasized the practical life and death, leaving one months, confirmed this in a vivid record of the ``kojonggi(考終記)``. Toigye is convinced that the discipline of their choice ``hakyijongshin(學以終身)`` and had practiced it. But he did not change for the moral responsibility for the solitary life of a ``Alone(홀로있음)``. In particular, he was wary of solitude arising from a passion for introspection in his study as ``hakyijongshin(學以終身)`` thoroughly. And through their own reflection was a chance to make a smooth ``space of the elderly``. But Toigye has continued conflict and conflict with family members who suffer in their daily lives. The Toigye offered a ``reading(耕讀)`` as a concrete way and boundaries for the study. He has consistently criticized the prejudices and limitations on Taoism and Buddhism. And he placed the basis of these ethical ``choices`` in the ``reading(耕讀)``. Ethical choices of Toigye created a ``space of the elderly`` reflects the moral responsibility ``kojonggi(考終記)`` containing a record month before the death of the Toigye. Means a flexible role of the elderly from the sharp conflict between the ``space of the elderly`` is between the generations. To create ``space of the elderly`` seniors are now back should no longer retreat. In order to ensure a genuine ``space of the elderly`` rather than persuasion, communication is most important. Where he focused on three. First, to adapt to nature. Second, reflect and constantly perfecting itself. Third, to restore his true nature.

      • KCI등재후보

        유교문화와 노년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Elderly in Korea are facing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and meaning of old age, were analyzed from two aspects. Especially in old age to a standstill for the misunderstandings and lies the first problem to solve, referring to his own old age Elderly boundaries of the self-proclaimed love of learning (好學), the second, which is called old age by the Elderly understanding of others, or of the third person Elderly roles and reconciliation (和諧) Review the meaning of the problem was through. First, the boundaries of the self-proclaimed love of learning the topic of Elderly in the current Elderly hierarchy in Korea suffered the most serious confusion and opportunity to overcome this internal reflection by none other than the identity of their own, ensuring that the establishment of self can be possible by said. As a first for this methodology to fixing errors on your own is always actively to embrace the attitude that it is important to. Next on his errors and bias control of the acceptance of radical resection and the reason can be related with the others soon means. This reality can maintain such a love of learning for learning as a continuous iterative learning and it will be out by applying in relation to others. Finally, in relation to others, my own passion and interest in how soon can focus on what i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his identity. This situation toward the batter at the same time as the instrument was out of expanding. Next you need to perform the role as the third person Elderly to perform this role in the ultimate reconciliation directive point is based. And such a thesis based on the Confucian culture of Korea and the Elderly society, a misunderstanding of the correct recognition could make a turning point sought. Where old people to identify themselves properly for the current location, from which Elderly role as a focus is not merely dwell on himself. As for this most basic attempt to reach Elderly themselves to the brink of death through the constant activity in their lives doing the best practical attitude. This is no longer Elderly retired underprivileged in society, rather than understanding, openly practice in older people, faithful to his role as a hierarchy that is Elderly. And those who act as their own old age without resorting to these influences naturally played by gifts unto others soon to expand to meet everyone happy when you finally have a community will be able to configure. This is reconciliation 본고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노년이 직면하고 있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다음 두 측면에서 노년의 의미를 분석했다. 특히 노년에 대한 오해와 답보상태로 놓여있는 문제해결을 첫째, 노년이 자기 스스로에게 일컬을 수 있는 자칭노년의 경계와 호학(好學), 둘째, 노년이 타인에 의해서 일컬어지는 노년의 이해, 즉 타칭노년의 역할과 화해(和諧)에 대한 의미를 통해서 문제를 검토했다. 먼저 자칭노년의 경계와 호학의 논제를 현재 한국 사회에서 노년계층이 겪는 가장 심각한 혼란과 이를 극복할 수 계기가 다름아닌 자신의 내면적 성찰을 통한 주체성의 확보, 즉 자기의 확립에 의해서 가능함을 밝혔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자신의 과실을 고치는 것에 있어서 언제나 적극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자세를 마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신의 과오와 편견에 대한 과감한 절제와 통제의 수용은 곧 타인과의 상관적 사유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자신을 존립시켜 줄 수 있는 배움으로서의 호학에 대한 끊임없는 반복학습과 이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적용시켜 나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 자신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얼마나 열정과 관심으로 집중할 수 있는지는 곧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타자의 확충을 위한 계기가 되었다. 다음은 타칭노년으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론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화해(和諧)에 두고 있다. 그리고 이 논지를 토대로 한국 사회의 유교문화와 노년에 대한 오해를 올바로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전환점을 모색했다. 여기서 노년은 자신에 대한 현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로부터 노년으로서 역할론의 초점이 단지 자신에게만 머물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시도로서 노년 스스로가 죽음에 이르기 직전까지 끊임없는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하는 실천적인 태도이다. 이는 노년을 더 이상 우리 사회에서 은퇴한 소외된 계층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게 노년층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충실히 실천하는 계층으로서의 노년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년이 각자의 역할을 누구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자연스럽게 수행해 나감으로써 이같은 영향은 곧바로 타인에게로 확충된다. 그리고 마침내 모두가 만족하는 행복한 공동체 사회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화해(和諧)이다.

      • KCI등재

        조선전기 유교의 명분론과 무속의 역할론

        이석주 ( Seog Ju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조선전기의 무속의례가 국행의례를 계기로 취했던 토대마련은 시작부터 유교의 명분론으로부터 거센 배척에 직면했다. 이러한 즉각적인 영향력은 고려조 무속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병행해갔던 상황과는 판이했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조선전기의 유교가 무속에 취했던 정책적인 탄압은 인조에 이르면서 국행의례에서 무속을 철저히 배제했음에도 불구하고 무속의례가 내행을 통해서 의례행사를 지속했다. 하지만 무속의례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외부행사는 철저하게 체계적으로 근절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서 유교가 취했던 명분론에는 화복귀신론의 천관념과 주자학의 예제라는 논지를 통해서 무속에 대한 비판과 배척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유교는 주자의 귀신론을 통해서 고려조까지만 해도 ``화복``의 의미를 주재자가 단지 자신의 도덕가치의 실현이라는 논점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조선전기에 이르면서 화복은 궁극적으로 자기자신이 도덕적 가치의 판단을 통해서 취할 수 있는 자취(自取)적인 것임을 밝혔다. 따라서 조선조 이래로 화복을 부여하는 주체는 하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개별자 자신의 도덕적 자각의 여부에 따라서 결정된다. 유교의 천관념에 대한 다른 하나의 주제로서 주자의 귀신관이 있다. 주자는 귀신이란 이른바 음양의 기가 굴신왕래하는 조화의 자취라고 정의한다. 고려조에 귀신과 관련된 세밀한 언급은 없고, 다만 아직 온전하게 그 의미를 정초하지 못한 채 언급함으로써 조정대신과의 갈등과 반목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조선조에 주자학의 정착이 점차 현실화 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진전을 보이게 되자 그 동안 무속에서 발생된 지속적인 사회적 폐단을 근절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했다. 고려조 유교가 예제의 명분론으로 제시했던 논거의 한계로부터 조선조에는 주자학의 토대마련의 성과로서 특히 『주자가례』의 유입은 무속을 탄압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인 명분론의 확립하는 전환점이었다. 하지만 전통적 계승차원에서 무속의례를 인정했던 왕실과 주자학의 새로운 예제를 관철시키려는 유교의 명분론과의 대립이 격심해지면서 일부에서는 총사마저 소각하는 반론을 제기했고, 인조시기에 무속은 국행의례는 전면 폐지되었다. 하지만 무속의 역할론에 대한 수요는 내행의례를 통해서 지속되었고, 또한 『경국대전』을 법제화해서 무당에게 악공이나 환자치료를 돕는 직능을 부여했다. 여기서 유교의 철저한 명분론은 무속을 수용함으로써 이른바 오무와 호무의 갈등과 한계를 노정했다. 이처럼 유교가 무속과의 길고 힘겨운 동행을 지속했고, 무속이 국행의례의 주체인 역할에서 배제된 후 유교의 끝없는 시련과 탄압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은 각자의 정체성에 대한 지나친 확신과 상대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의 부재에 있었다. Spread, and, as for the rudeness of the common sorcery as the outside help faith, a ceremony event by the tradition of at least long time and custom to appear from now on were done by degree to threaten the life and death of the person, and it was. In addition, it prescribes the damage of the personal property by their immoral result that I took into my honeyed words while diffusion for the common sorcery courtesy increases rapidly. However, the participation for the common sorcery has a trap by any other intention-like forced nature as having appeared from an example of the Royal Family. Rather it depend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oneself. Expectation psychology acted such a phenomenon demanded the considerate heart`s desire of the individual person from the answer that was a mark immediately of the common sorcery at the same time, and to do it. Though it went, Confucianism was not able to delete the correspondence for this. Therefore, it was avoided an error of Confucianism for the common sorcery to be consistent in the principle of the ostensible reason theory to abolish the confusion that I was like the personal evil company society which emerged from the reality mark, and it was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