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대(歷代)주요 대통령(大統領)의 위기관리(危機管理)리더십 연구(硏究)

        이상균 ( Sang Kyun Lee ) 미래군사학회 2014 한국군사학논총 Vol.3 No.2

        North Korean provocations have continued ever since the separation of the peninsula. Yet so far no government has successfully carried out any retaliation punishment or has carried out a determined response that could prevent future provocations. Even today, though our national strength surpasses that of North Korea manyfold, North Korea still poses a military threat toward our nation. Of the many causes behind such predicament, the most fundamental one would be the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of the chief executive of national security, the president. This paper seeks to propose an exemplary form of the president’s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through research that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How was the president’s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put into use in regard to North Korean crisis management?’ and ‘What influence did the president’s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have on the consequences?’ For accurate analysis the chronological environment of the time then, the priorities of the national management, the presidents’ perception of national security, and the North Korean policies were taken into account. Along with these factors the study of the crisis management of each separate government was used to analyze the presidents’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In regard to crisis management the authoritarian tendencies,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lack of determination and courage of the president were shown as the negative influences. Partisan approach and U.S dependency also nagetively influenced crisis management. The fundamental problem and the solution to the Korean crisis management lies with the leadership of the top most and final executive of national security, the president. Cultivating the president’s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and supporting the president’s decision is critical in improving North Korean crisis management

      • KCI등재

        강릉 『해운정역방록』의 내력과 지역사적 가치

        이상균(Lee, Sang-ky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海雲亭歷訪錄』(이하 『역방록』)은 漁村 沈彦光(1487~1540)의 別業으로 건립된 강릉 해운정의 방명록이다. 해운정 창건 직후인 1538~1989년까지 약 450여 년간 해운정을 다녀간 1,408명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私的 공간을 방문한 현존 最古 · 最大의 방명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지금까지 기본적인 서지사항 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은 『역방록』의 서지사항을 분석하고, 내용의 사실성 검증과 지역사를 복원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방록』은 해운정 관련 文籍 등이 燒失되자 심언광의 후손 沈爀(‘煿’으로 개명)이 타다 남은 자료와 家傳되는 문적을 참고하여 1774년에 최초로 筆寫한 것이다. 그러나 내용을 검토해 보면 현존하는 것은 심혁 이후 누군가 여러 사람이 다시 필사하였고, 1830년경 이후부터 방문자들의 친필서명이 이어진다. 내용은 방문자 본관과 이름, 干支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방문동기, 題詠 여부 등의 기타내용이 기재된 곳도 있다. 명단 중 강원관찰사나 강릉부사의 소임을 띠고 왔던 방문자를 先生案 등과 비교해 보면 방문한 해와 재임기간이 모두 일치한다. 그리고 文集의 기록과 해운정 詩板 등을 대조해 보면 기록의 정확성이 재차 확인된다. 더불어 『역방록』을 통해 기존에 밝히지 못했던 현존 해운정 시판 시의 작자와 작정시기가 추가로 확인된다. 『역방록』은 대부분이 필사되긴 했으나 기록 내용이 매우 정확한 사료이다. 『역방록』의 주인인 심씨문중은 18세기 문중재실인 河南齋의 門中書院化를 추진하는 일로 江陵士林들과 갈등을 빚는다. 심씨문중은 이 일을 전후하여 해운정을 중심으로 중앙 老論 세력과 꾸준한 교유 관계를 맺었고, 이들 노론은 심씨의 하남재 서원추진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심씨문중과 노론과의 연망관계가 『역방록』에 수록된 인물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확인된다. Haeunjeong was built as villa of Sim Eun-guang (沈彦光)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written by many visitors. There are 1,408 names who lived for 450 years (1538~1989) in this book. This is the oldest visitor’s book but there were no studies in this book and bibliographic terms were not distinguished. Thus, this thesis analyzes bibliographic terms of Haeunjeong visitor’s book and restored the contents of historicity and local history. As an official paper about Haeunjeong was destroyed by fire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rewritten by Sim Hyeok (沈爀: Sim Eun-guang’s descendant) in 1774. His reference was remaining materials and on official paper but after reviewing contents, remaining book was rewritten by many people and there were other visitor’s handwriting signature. The contents were based on visitor’s family clan, name, the sexagenary cycle. After studying comparing two contents, the list was same as list of the ex-officers (Gangwon-provincial governor and Gangneung Local Magistrates) of tenure of office and visiting. A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is book has the date of poem writer of A poetry and style board’s Haeunjeong. The visitor book was rewritten but it was very correctness historical records. There were conflict between scholar-official Gangneung community and Samcheok-Shim Clan ( The book’s owner) because the clan tried to private academy in rural area of Hanam ancestral shrine (河南齋) of ancestral shrine in 18C family. In this time the clan had a relationship between Noron (老論) who had a strong power group in the Seoul by using Haeunjeong and Noron supported Clan. The visitor’s book shows their relationship because the book also shows many Noron visited this villa.

      •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 활성화 방안 모색

        이상균(Lee Sang Kyun)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8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4 No.1

        본 논문에서 필자는 최근 충청남도의 문화재 활용사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보았다. 먼저 충청남도의 문화재 활용사업의 현황을 조감해보고,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의 확대요인파 향후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문화재 활용사업 확대요인으로는 첫째, 사업공모의 주체인 기초지자체의 활용사업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고, 둘째, 문화재 활용 민간단체가 꾸준히 성장했기 때문이다. 향후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은 정책적인 차원의 접근, 마케팅 차원의 접근, 지역 상생 차원에서의 접근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좀 더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필자는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의 우수사례로 (재)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서 주관해서 운영한 충현서원 활용자엽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문화재 활용사업은 대상 문화재의 여건을 충분히 분석하여 대상 문화재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동시에 지자체와의 공동 전립헤 요구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충청남도 특성화 문화재 활용사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백제역사지구 활용사업, 충청유교 문화재 활용사업, 내포 문화재 활용사업, 근대 문화재 활용사업이 도정 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충청남도 차원에서 문화재 활용사업 전략을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 정책비전을 수렵하는 것이다. 둘째,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 공동 브랜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충청남도가 앞장서서 선도적인 시범사업을 재발하는 것이다. 넷째, 충청남도와 기초지자체, 민간단체간 협력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관인(官人)들의 탈속인식과 지리산 유람벽(遊覽癖)

        이상균 ( Sang Kyun Le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6 No.-

        조선시대 관인의 생활은 격무에 시달리는 스트레스의 연속이었다. 관인들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속의지를 항상 표출하였다.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귀거래하지 못하는 처지를 하소연하기도 했고, 여가에 가까운 산수를 찾아 잠시나마 탈속의 기분을 즐기며 돌아왔다. 관인들이 탈속을 즐기기 위해 가장 많이 선호한 공간은 산수였고, 유람을 통해서였다. 연속적인 스트레스에 골몰했던 관인들은 산수벽을 관념처럼 지니고 살았다. 번다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에 귀의하여 자적하는 安分의 삶을 이상으로 여겼다. 관인들의 산수유람 열망은 매우 컸다. 잠시라도 기회가 생기면 산수를 유람하며 탈속의 기분을 즐겼고, 그 기분을 잊지 못하여 또 다시 유람하고자 하는 유람벽으로 이어졌다. 관인들의 유람벽을 더욱 깊게 만들었던 산 중의 하나는 신선세계로 유명했던 지리산이었다. 관인들이 탈속의 기분을 즐기기에 지리산만한 곳도 없었다. 그러나 공무에 바쁜 관인들에게 지리산은 쉽게 유람할 수 있는 산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지리산과 접해있는 군현의 수령으로 부임하거나 공무 차 지날 기회에 짧게나마 유람하고, 평생의 숙원처럼 여기며 갈망했던 지리산 유람의 積翠를 풀었다. 하지만 지리산은 몇 일만에 모두 볼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관인들의 지리산 유람은 늘 아쉬운 소회로 남았고, 언젠가 또 찾아야겠다는 유람벽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The life of government officers was busy for heavy work load. Government officials often expressed their unworldliness in order to escape their routine life. Government officers complained the situation of not homecoming after their resignation from a government office and they came back after enjoying the unworldliness. Their favorite place was landscape to travel. Government officers who was immersed in stress had landscape habit as their idea. Thus they regarded the life of living in easy retirement as ideal. Government officers had a desire of landscape travel. Given chance to enjoy it, they traveled to landscape. Then it was connected as a travel habit One of making travel habit was Jirisan which was famous of immortal worlds. There is no place as enjoyable as Jirisan whichenjoyed unworldliness. However, it was hard for government officers who was busy for government affairs to travel the mountain. Thus they started for their new post in the countries and prefectures and got a chance to travel around it. Finally they can achieve the dream of traveling the Jirisan. However there is no time for them to look around in a day. Government officers had their cherished intentions and had travel habit which looked for the mountain.

      • KCI등재

        조선후기 중국 문화를 원용(援用)한 영동지역 계회(契會)와 그 운영 양상

        이상균 ( Lee Sang-kyun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6

        조선시대에 성행한 契會는 현재까지도 존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다. 강원의 鄕村社會 역시 다양한 형태의 계회가 결성·운영되었다. 이 중 조선후기 영동지역에 결성된 강릉 영호구로갑회와 양양 기구회는 중국의 香山九老會와 洛陽耆英會를 원용하고 있다. 영호구로갑회는 현재의 강릉시 柄山洞에서 함께 자라며 교우했던 친구들이 1788년 帿亭에서 회합하여 향산구로회를 원용하여 조직했다. 구로회의 목적에 맞게 계원은 9명으로 특정했고, 1명을 제외한 8명이 65세의 동갑내기로 구성되어 있어 동갑계로서의 강한 동류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 계회는 구로회와 동갑계가 혼용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까지 강원지역에서 찾아지는 계회 중 이러한 경우는 영호구로 갑회 뿐이다. 양양 기구회는 중국 양양의 『耆舊傳』을 모방하여 결성되었다. 향산구로회와 낙양 기영회를 원용하여 역사적 인물들의 생활상과 철학까지 본받고자 했다. 함평이씨 등 양양지역 유력가문이 주도하여 계회를 조직하였다. 한때 계회가 환락을 추구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등의 폐단이 있어 계원의 입회에 특정한 제한을 두는 곡절을 겪기도 했으나 모임이 단절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는 매우 특별한 사례의 계회다. 또 단순한 사교와 친목 모임에 그치지 않고, 상부상조와 대부 등의 殖利활동 같은 사회사업을 하는 계 본연의 성격을 아울러 가지고 있어 강릉 영호구로갑회와 설립취지는 같으나 운영 방식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강원지역 소재 계첩 등에서 중국 구로회를 원용한 계회로 확인되는 것은 이 2개뿐이므로 연구의 희소성이 있고, 이들 계회의 성격 규명은 향후 타지에서 확인되는 유사 계회에 대한 이해나 새로운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Gye-gathering which still exists in various forms is unique culture of Korea. Also,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of Gangwon during the Late Choson was managed in many forms as well. Of Gye-gathering in Gangwon Privince, Gangneung of yeonghogurogaphoe(瀛湖九老甲會) and Yangyang of giguhoe(耆舊會) were the gye gathering which quoted nakyanggiyounghoe(洛陽耆英會) and hyangsangurohoe(香山九老會) of China Yeonghogurogapho in the 1788 was organized by friends who grew up together in the same town. Gurohe limited to nine person and it is composed of 65 year old people the same age with a strong sense of the same kind. It was in line with the purposes of the donggapgye. So far, no significa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Gangwon Province on the Donggapgye, which was 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Yeongogurogaphoe offers not only a glimpse of the gye-gathering culture that uses Chinese culture, but also the only way to see the true nature of Donggapgye in Gangwon Province. The Yangyang Organization Association(Giguhoe) was formed in imitation of the Gigujeon(耆舊傳) of Yangyang(China). The name ‘Gigu’ was not only taken after the name ‘Gigu,’ but it was also modeled on the lifestyle and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figures by using the Hyangsangurohoe and Nakyang Giyeonghoe. A group of influential Yangyang families, including Hampyeong Yi Clan, organized a gye-gathering, held regular meetings at Naksan-temple in November every year, and held a spring and fall meet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ere strictly evaluated and joined as members of the members were appointed to the reg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The Giguhoe is a Gye-gathering of very special cases that have continued to date without breaking up. In addition, it is not just a social gathering and social gathering, but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ye organization that does social work such as mutual help and lending activities, s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is the same as Yeonghoogurogaphoe, but the method of operation is very different.

      • KCI등재

        朝鮮時代 遊覽을 통한 士大夫의 交遊樣相

        이상균(Lee, Sang-Kyun)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6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유람을 통해 교유했던 부류를 僧侶·門人·其他知人등 크게 3부류로 분류하여 그 교유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대부들이 주로 찾던 유람처는 산이었으므로, 가장 많이 만난 方外人은 승려였다. 유람 중 승려들의 많은 도움을 받았고, 유람기록에도 많은 승려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대부들은 불교의식을 폄하하고 비판했다. 그러나 유람 중 승려를 만나 교유하기 좋아하는 사대부들도 있었다. 유람 중 作詩를 잘하는 승려를 만나면 서로 酬唱하며 교유하였다. 학식 있는 승려와는 儒?彿道에 대해 담론하며 학문적 견해를 나누기도 했다. 산중에서 면식 있는 승려를 만나면 매우 기뻐하며 소회를 나누었다. 유람은 괴리감을 가지기 쉬웠던 儒·佛者들 간의 소통과 교유를 이끌어 내는 문화행위 중 하나였다. 사대부들은 유람을 기회로 같은 學脈을 가지고 있는 지역 문인들을 만나기도 했다. 이는 淸凉山과 智異山유람자들의 교유관계에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조선시대 청량산과 지리산은 嶺南士林들이 가장 많이 찾는 산이었다. 청량산은 退溪李滉이, 지리산은 南冥曺植이 후학을 양성한 곳으로 이들 학맥의 발상지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영남사림들이 先學의 자취를 찾아 학문을 기리기 위해 자주 찾아 유람하고, 지역의 선후배 門徒들을 만나 교유했다. 이밖에 金剛山과 開城등의 장소도 사대부들이 유람을 위해 자주 찾던 곳이었다. 교유양상이 사승관계에 얽힌 학맥적 특징이 뚜렷하지 않지만, 이곳의 유람을 통해 많은 지인과 교유관계를 맺고 있다. 유람지에서 주로 벗들을 찾아보고, 유람의 큰 조력자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지방관들을 만나 교유하였다. 또한 지인이나 족친들과 유람을 계획하여 함께 동행하면서 회포를 풀며 親交를 더욱 돈독히 다졌다. 조선시대는 교통편이 편리하지 않았고, 통신수단이 부족하였다. 지인이나 族親들과의 교유는 주로 서신을 통해 이루어졌다. 유람은 평소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과 대면하여 소통하고, 교유하는 방편 중의 하나였다.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a social intercourse patterns of Sadaebu(士大夫) through their traveling. As for it, it seems to diverse activities but this thesis will divide three kinds of them such as monks, a teacher and pupil(門人), acquaintance(知人). Among them, Sadaebu meets monks many times because they almost travel to the mountain. When they go to the mountain, their aid is needed. Thus it is the dispensable relationship between Sadaebu and monks. According to Sadaebu’s documents, there are many Monk’s names. Most Sadaebu voiced their criticism about Buddhist’s ceremony and look down on them but some of them are in favor of meeting monks. When Sadaebu meet monks who write the poem very well, they get along with them by receiving and giving their poems(酬唱). Also when Sadaebu meet monks who have a special academic knowledge, they talk each other by giving their idea about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y are very delighted when meeting monks that they already knew and easily talk to them about their internal emotion. And Sadaebu encounters a district’s scholar in same school during this traveling. This is the special relations between them in the Mt.Chungryang (淸凉山) and Mt.Jiri(智異山). These mountains visited most of the Joseon dynasty, Youngnam-Sarims(嶺南士林). Mt.Chungryang the Toegye(退溪) Lee-Hwang (李滉) and Mt.Jiri the Nammyeong(南冥) Cho-Shik(曺植) is originated from the former and it is the cradle about that. Therefore the Youngnam-Sarims often travel the area in order to find out ancestor’s philosophy and admire them, even see their senior and junior scholars. In addition, the area such as Mt.Geumgang(金剛山), Gaeseong(開城) is the most memorable place for Sadaebu. Even if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m is not evident, they get along each other by this traveling. During this traveling they can meet their acquaintance and the governor who can help their traveling. Moreover, they can be more familiarized with their relatives by planning to play with them. The main method to commute their relatives and friends is to write the letter because the transportation is ba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is lack of the communication method. Thus going traveling is one of the vehicles about contacting the people who don’t have chance to commute.

      • KCI등재

        조선시대 유람의 유행에 따른 문화촉진 양상

        이상균 ( Sang Kyun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국내의 경승을 유람하는 풍조는 조선중기 이후 급속하게 성행하여 주목되는 문화 현상으로 부각되었다. 유람은 단순히 산수를 완상(玩賞)하는 현상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문화현상을 촉진시켰다. 본 논문은 유람의 유행으로 인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문화촉진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유람의 유행은 유람기록의 양적증가를 가져 왔다. 유람자들은 유람내용을 기록으 로 남겨 향후 유람의 도구서가 될 수 있게 하였다. 문인들은 문예취향의 독서물로 애용하며 와유(臥遊)를 즐겼다. 평소 염원했던 유람을 이루면 기록으로 남겨두고 유람시의 감흥을 두고두고 느끼고자 했다. 전대부터 누적되어온 유람기록은 후대로 갈수록 유람을 더욱 유행시키는 전거(典據)가 되었고, 유람의 유행은 또 다시 많은 유람기록을 양산시켰다. 유람은 유람기록의 양산과 더불어 紀行寫景을 유행시켰다. 17세기 이후 유람의 붐이 조성되면서 유람기록의 작성과 함께 기행사경도 제작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산 수를 감상하고 즐기는 방식에 그림의 활용이 증가한 것이다. 기행사경도는 글이 표 현하지 못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화면(畵面)에 담아냄으로써 와유체험 도구로 수요가 증가 하였다. 유람을 기록하는 사경(寫景)의 방식이 글과 그림으로 함께 나타나게 되었다. 국내의 경승 곳곳에 현전하는 수많은 각자(刻字)들도 유람문화가 남겨놓은 문화적 산 물이었다. 경승에 각자하는 풍조는 조선시대 이전에도 있어왔으나 그리 유행하지 않았다. 국내 경승에 방대하게 남아있는 각자 대부분 조선중기 이후의 것이다. 조선후 기로 갈수록 유람자가 늘어남에 따라 경승지에 새긴 글씨들이 누적되어 이름난 장 소에는 일찍부터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글씨들이 빼곡히 새겨졌다. 유람지에 각자 하기 좋아하는 마니아들이 있을 정도로 각자가 유행하였다. 각자의 풍조는 조선중기부터 유람의 유행과 함께 더욱 성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striking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traveling at that time. The travel in the Joseon dynasty brings the increase of the record about traveling. Those who traveled around the nature remained the record about contents of traveling and it serves as a tool which can be referred, so many people referred it. Also it made many people use a book when they imagine traveling(臥遊). In order to remember the memory about traveling, they wrote the poem about traveling whenever they traveled around the country and wanted to feel the memory all the time. These records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king travel popular and it makes the increase of recording. The popularity of traveling fosters painting touristic images(紀行寫景). Some noble tried to draw the picture while they were traveling. After 17C, drawing picture about traveling was increasing because people want to remember it instead of writing. Landscape is the most prefer thing among the noble because it was easily used for imagination. Some people was drawing the picture and writing the records. This is trend of after 17C among the noble. There are also so many sculpted worlds(刻字) in the country and it is still remaining. Each people remained artificial sculpted words while they were traveling. It had been remain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was not popular in that time. Most words in the country wer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countless sculpted words in the most popular sites and there were also mania in the specific site which was came from the mid-Joseon dynasty.

      • KCI등재

        고창 지석묘군 상석 채굴지의 제문제

        이상균 (Lee, Sang-Kyun) 한국상고사학회 2000 한국상고사학보 Vol.32 No.-

        고창 지석묘군의 상석 채굴지 조사는 죽림리 일대의 현 지석묘군이 위치한 성틀봉과 중봉 7~8부 능선을 중심으로 23개소가 조사되었으며, 이 지역은 지형상의 위치. 상석 재료의 확보성. 채굴시의 노동력 조건이 지석묘의 조성으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지석묘 상석의 채굴과정은 암석의 절리면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상석을 채굴하기 위해서 지석묘 조영의 위치. 상석의 운반 루트, 상석의 크기가 사전에 파악되었고, 여기에 대한 채굴방법, 순서가 계획적으로 이루어졌다. 지석묘의 상석을 채굴함에 있어서 타격부위는 크게 6가지의 방법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타격부위는 암석 현존위치의 횡위에 가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타격 부위의 형태도 타격방법, 암석의 강도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지석묘군에 축조되어 있는 상석의 타격방법을 관찰한 결과, 상석 채굴지에 잔존하는 타격방법의 유형과 거의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지석묘군의 상석과 상석 채굴지의 암질이 동일 계통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Research for the study centered around Mt. Seongtle and Mt. Chung in Chungnim-li. Kochang-up and Sanggab-li. Asan-myon where the dolmens are located. fifteen spots around Mt. Seongtle and eight spots in the Mt. Chung area were examined respectively. Both Places display the best construction of the dolmens. comsidering their topographcal locations. availability of rocks and the condition of labour. As we know from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quarries. the length of the original rock is usuallt laid from east to west. It is certa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stone was spearated from the rocks at dolmen sites. Even now we can easily see the noticeable cracks on the side where the stone can be removed. In the process of other cracks were made along its width. To remove the stone. matural cracks were mostlt made on the rock. Otherwise. the least amount of labor was given by only striking artificial blows at the rock. It seems highly likely that the process ot separation. the transportation of the ston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dolmens were practiced under precise planning. The plce of the striking blows at the rock is assured by 6ways in cracking upright stones of the stones of dolmens and the from of the striking blows at the rock is represented by the striking way and intensity of the rock in a different way. The sriking way of uprigt stones made in dolmens is the same as that in cracking upright stones. It is certain that upright stones of dolmens are the same as the ones or cracking places of upright st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