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源氏物語』に表れに「紫のゅかり」に關する硏究

        李相境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인문과학연구 Vol.1 No.-

        『源氏物語』 前篇에 나타난 光源氏의 世界는 그의 王權成就라고 하는 宿世의 榮華 實現과 그의 사랑의 世界로 區分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사랑의 世界는 다시 純粹한 사랑과 彷徨的인 사랑의 世界로 區分할 수 있다. 本 論文에서는 光源氏의 純粹한 사랑의 世界에 나타난 「유카리(ゆかり),와 「무라사키 노유카리(紫のゆかり),가 갖는 意味에 關하여 硏究해 보았다. 光源氏의 그 純粹한 사랑은 우선 무엇보다도 먼저, 돌아가신 어머니 桐壺에 대한 그리움에서부터 시작 되는 것이며, 그것은 이윽고 그 어머니를 닮은 高貴한 身分의 藤壺에 대한 사랑으로 전환된다. 그것이 그로부터 전개돼 나가는 光源氏의 사랑의 역사의 실질적인 출발점이자 根源이 된다. 그러나, 藤壺로 시작되는 純粹한 사랑의 마음은 「무라사키노유카리」로서 紫上를 향하여 나아가게 되며, 紫上는 理想的인 女人像으로서 光源氏의 사랑의 역사에 그 중심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즉 「무라사키노유카리」는 紫上 自身의 뛰어난 인간적 자질로 인하여 이윽고 그 根源인 藤壺를 超越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지위를 확고히 지니기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아버지 桐壺帝의 皇后인 桐壺를 사랑한 罪는, 結局, 血緣關係로서의 「유카리」에 대한 慾心으로 降嫁하게 된, 女三宮에 의해 因果應報約인 罰을 받는다고 하는 構造를 띠게 된다. 그러나 光源氏의 人生에 있어서 紫上가 完全한 理想的인 女人으로 자리잡게 되는것은, 女三宮의 降嫁를 통하여 紫上가 人生의 孤獨을 超越했을 때, 그때 비로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그 형태는, 紫上에 있어서는 죽음이었고, 光源氏에게 있어서는 永遠한 女性으로서 오로지 그 마음속에 남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課題는, 그렇게 해서 紫上를 잃은 光源氏가 人間으로서 과연 救濟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다분히 向佛敎的인 『源氏物語』의 後篇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源氏物語』는, 光源氏의 宿世라고 하는 그 榮華 實現의 뒷면에서, 「유카리」를 追求 하는 人間의 慾望이 갖는 어리석은 모습을, 女三宮의 降嫁를 通하여, 그리고 眞實한 사랑의 世界인 「무라사키노유카리」의 덧없음을 光源氏와 紫上의 삶을 通하여 描寫하면서, 그 사랑의 世界의 소중함과 덧없음을 同時에 전개시키고 있었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 KCI등재

        임순득(任淳得)과 서정주(徐廷柱)의 관계 연구 – 임순득의 소설 「달밤의 대화(月夜の語り)」와 서정주의 시 「엽서-동리에게」를 중심으로

        이상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60 No.-

        일제 말 임순득이 마지막으로 발표한 소설 「달밤의 대화(月夜の語り」에는 서정주의 시 「엽서–동리에게」에 나오는 “포올 베를레에느의 달밤이라도/ 복동이와 같이 나는 새끼를 꼬마”라고 하는 한 구절이 인용되어 있다. 이를 단서로 하여 이연구에서는 같은 전북 고창 출신 소설가인 임순득과 시인인 서정주의 인간적, 문학적 관계를 밝혔다. 서정주는 1936년 초 최첨단 모던 여성이었던 임순득에게사랑을 호소했으나 임순득에게 거절당하고 수더분한 고향 여인과 결혼한다. 임순득에게 서정주는 어설픈 모더니스트처럼 보였고 또 임순득이 지고 있는 시대적 고민을 나눌 만한 상대도 아니었다. 두 사람의 관계에서 임순득은 서정주에게 보들레르처럼 섧고 괴로운 여자였고 임순득에게 서정주는 베를렌느의 달밤에도 생활을 위해 새끼를 꼬아야 하는 가난한 시인이었다. 이 과정은 서정주의 초기 시 세계가 서양적인 보들레르를 떠나 동양적인 전통 세계를 발견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서정주는 일자리를 찾아 만주국에 갔다온 뒤 1942년 친일문학에의길로 들어선다. 임순득은 거기서 생활인으로서의 서정주를 보았고 소설 「달밤의대화」에서 서정주의 시를 인용하는 것으로 그 ‘생활의 표정’에 연민을 표했다. 이두 사람의 인연은 개인사로서도 흥미롭지만 그 상호텍스트성으로 해서 두 사람의 작품 해석을 풍부하게 해주며, 보들레르에서 잠시 만났던 두 사람이 한 사람은 ‘동양’으로의 귀환을 거쳐 친일 시인으로, 또 한 사람은 식민지 여성 지식인으로서 사명감을 견지하면서 시국색을 띄지 않는 서정적 작품을 쓰는 소설가로 서로 멀어지는 일제 말기 문학사의 흥미로운 한 장면을 빚어냈다. The last novel released by Im Soon-deuk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Moonlight Talk” quotes a verse from Seo Jeong-ju. With this as a clue, this study revealed the human and literary relationship between Im Soon-deuk, a novelist and Seo Jeong-ju, a poet. In early 1936, Seo Jeong-ju appealed for love Im Soon-deuk, a cutting- edge modern woman, but was rejected by Im and Seo married to a shabby country woman. This process parallels Seo’s departure from the Western world of Baudelaire in his early poetry to discover the Eastern world of tradition. To Im Soon-deuk, Seo Jungju looked like a clumsy modernist and was not a match to share the agony of the times. Later, Seo Jeong-ju went to Manchuria to make money and entered pro-Japanese literature around 1942. Im Soon-deuk saw Seo Jeong-ju’s life hardship and expressed her compassion for the “weight of poverty” by quoting Seo Jeong-ju’s poem in her novel “Moonlight Talk”.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reated an interesting scen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at it was an interesting relationship between pro-Japanese writer and writer who resisted with indirect writing.

      • 미국 연방법원판결에 나타난성역할의 고정관념화- 임신 및 낙태의 성차별관련성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이상경 헌법재판소 2011 헌법논총 Vol.22 No.-

        In the 1970s, since the United States Federal Courts’ Decisions do not recognize pregnancy discrimination as sex-discrimination, the guarantee of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does not extend to pregnant women. According to the decisions, society is justified in treating pregnant women differently than others for reasons of self-interest to save money or for reasons of altruism to protect the unborn. However, those cases do not seriously explore that possibility that traditional sex-role stereotyping shapes judgments about functional rationality or altruism where matters of pregnancy are concerned. In other words, the Federal Courts’ 1970s cases hold that the antistereotyping principle constrains laws that classify by sex, but do not find the principle violated where government regulates pregnancy and abortion. Ruth Bader Ginsberg and the women’s movement challenged many laws that imposed traditional sex roles on pregnant women. Henc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arguments that governmental regulations on pregnant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governmental expression of sex-role stereotyping and albeit the early attitude of the Federal Courts, their attitude has been changed incrementally to recognize the relation between pregnancy discrimination and sex discrimination. In addition, antistereotyping principle should be also viewed as an important ground providing protection for pregnant women’s right to choice based on the equal protection clause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1970년대의 미국 연방법원의 판례들이 임신에 관한 규율을 평등보호의 체계 안에 포섭하지 않은 것은 임신에 근거한 차별은 성별에 의한 차별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임신을 가장 근본적인 성의 차이를 대표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사회가 임신한 여성들을 다른 사람들과 달리 취급하는 것은 가용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하는데 따르는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서든 아니면 잠재적인 생명을 보호하는 이타적인 이득을 위해서이건 이유를 불문하고 정당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례들은 임신이 문제되는 사안에서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화가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여기서 1970년대의 여성운동가와 긴스버그는 반고정관념화원칙이 임신에도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임신한 여성에 대한 규율이 바로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지점이라는 것과 연방대법원은 초기의 위와 같은 태도에도 불구하고 점차 임신에 의한 차별과 성별에 의한 차별의 관련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했음을 살피기로 한다. 더불어 임신에 대한 반고정관념화적인 이해가 여성의 재생산의 권리를 위한 중요한 보호기제가 됨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낙태금지법에 대하여 반고정관념화원칙에 따라 위헌 판단을 한 연방법원의 판례를 통해 반고정관념화원칙의 낙태에의 적용국면을 재조명하기로 한다. 궁극적으로 반고정관념화원칙을 통해 여성의 임신과 낙태를 규율하는 법률들에 대한 위헌심사의 기준으로 평등보호원칙위반의 논증이 활용되어야 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빈곤에 대한 헌법적 접근 - 사회적 기본권 및 헌법원리 실현을 통한 빈곤극복의 과제와 복지재정지출의 한계 -

        이상경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4 No.3

        With the rise of the modern welfare state, we have come to value and recogniz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nation has taken on the significant responsibility of protecting the poor people. In protecting the poor and overcoming the poverty, which is not only the problems of individuals but also the social problems that the nation carries a duty to overcome,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shall try to establish the poverty policies and put more efforts to change the social structures. Since the poverty is based on a social structural problem, for example, "market failure", we have to find out more concret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o support the poverty elimination policies. The nation that has lead efforts to legislate framework acts as to social welfare rights and to implement poverty policies should also care about the overall level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oor.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the social welfare rights and policies, and trie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olicies of increasing fiscal spending in the area of welfare in order to overcome and eliminate the poverty in Korea. In addition, this article introduces U.S. cases, such as, Paygo Act and Budget Control Act, etc. to get visions and implications from U.S. statutory cases to deal with the fiscal deficit in recent years. In conclusion, this article insists that since the poverty derives from the social structural problem, the nation sha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poverty policies and fiscal spending policies better for the poor, well balancing interests between the goals of poverty elimination and the management of balanced budget. 우리나라의 경우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 기준 120% 이하인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절대빈곤층이 전체 가구의 거의 5분의 1에 해당하고 또 이 빈곤층이 스스로의 노력만으로 가난에서 벗어나기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우리 사회와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 여성, 노인,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조손가정 등 빈곤의 영향이 집중적으로 전가되고 있는 사회적 약자 집단의 궁핍하고 피폐한 삶들은 헌법 제34조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기본권으로 규정하고 있는 국가의 존재이유를 되묻게 한다. 반면에 빈곤의 예방과 극복을 위한 국가의 정책적 개입은 미흡하다. 최근에 상당히 증대되기는 했지만, GDP 대비 10%를 넘지 못하는 사회복지예산의 절대적, 상대적 규모는 OECD 국가들에 비해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의 지속적인 협력과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우선 빈곤문제에 대하여 폭넓은 공감을 토대로 하여 사회 전체의 태도가 바르게 정립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복지정책의 지향점과 대강에 대한 거시적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정부개입의 적정한 수준과 방법을 포함하여 해마다 반복되는 복지예산의 많고 적음을 둘러 싼 논란도 끊임이 없다. 이는 빈곤문제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불분명함에 기인한다. 빈곤문제의 해소 또는 완화를 위해서는 국가의 전방위적인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빈곤해소․퇴치를 위한 사회복지지출규모의 확대해야 하는 헌법적 정당성의 근거를 검토하였고, 이와 함께, 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재정적자의 통제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빈곤극복의 국가적 방향성이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적 불평의 해소를 국가의 과제로 인정하는 것과는 별도로, 헌법을 척도로 국가에 대하여 어떤 유효한 지침과 한계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인지의 문제가 남아 있다.

      • KCI등재

        인권보장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적 역할분담론에 대한 소고

        이상경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3 No.3

        Human rights are rights that every human being is entitled to. Basically, with the rise of the modern welfare state people have come to value the quality of life and states have taken on the significant responsibility of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ir citizens. In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critical.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example the Ministry of Justice, that has lead efforts to legislate a framework act on human rights policies or framework act on human rights has been critical in implementing policies that increase the overall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in Korea. If the central government sets basic policy guidelines for human rights and supports and oversees the local government’s action plans for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it becomes possible to establish consistent human rights protection standards throughout the nation and significantly raise human rights standards in general.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is equally important in protecting human rights. Local governance is a system that promotes democratic and efficient local governing administration,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ocals, and overall democracy by delegating responsibilities of welfare administration to elected officials. It increases the self-autonomy of local citizens in certain bureaucratic matters and thus well aligns with the ideals of liberal democracy that value liberty and responsibility, and significantly promotes the protection of basic human rights. Furthermore, since local governments are institutions seeking to realize the ideals of grassroots democracy, they are human rights friendly; it is thus desirable that they carry out the task of implementing action plans for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Some examples are human rights indexes,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 an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That's why this article focuses comprehensively on the roles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an play for human rights protection. The division of labor cannot be always clear cut, but through various angl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Justice, provides the broad framework and carries out the role of supervision and control. Furth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normative foundation needs to be in place in order to do so. The decision to try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uman Rights Policies is desirable for creating a legislative basis for the NAP and for improving human rights conditions by creating and implementing human rights policies that incorporate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Through the NAP human rights will become the foundation of individual lives an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is necessary so that it can become the basic legislative framework based on which the government can actively fulfill its role of promoting, respec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as required by the human rights norms of modern society. Once the central government establishes such a framework the local government shall be able to create resident friendly and resident participatory action plans for human rights protection and promotion and thereby improve th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realize a human rights city. Local governments need to continuously seek ways to promote human rights by initiating programs such as resident town hall meetings, human rights grievance programs, including resident members in the human rights center, and running a human rights experience center. By sharing a cooperative and organic relationship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overall quality of human rights and reduce the gap in human rights protection. 인권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이며 근대 자연법적인 개념이다. 보편적이고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의 문제가 인류의 관심사가 되기 시작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근본적으로는 현대복지국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국가의 책무는 자국민의 인권을 최대한 보장해야한다는 당위적인 것이 되었다. 한 국가에서 공통적이고도 보편적인 가치를 수렴하여 인권개념을 정의하고 인권보장을 실현․증진하는데 중앙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중앙정부가 인권기본정책을 수립하여 지방정부의 인권보장 및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이를 감독하는 경우, 전국적으로 통일된 인권보장기준이 수립될 수 있으며, 인권의 보편성에 부합하여 인권기준의 상향평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인권보장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의무는 국가에 있고, 이러한 의무는 정부의 정책으로 구현되는 것이므로, 중앙정부는 여러 부처의 인권정책을 종합하여 국가인권정책을 수립․시행 점검하고, 국가인권위원회는 그 설립 취지에 따라 인권과 관련된 정부 정책을 감시하는 지위에서 인권정책에 대하여 권고 및 의견 표명을 하는 등 각자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때 가장 인권이 향상되고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지방자치는 일정한 지역의 주민이 그 지방주민의 복리 등에 관한 사무를 그들 자신의 책임으로 자신들이 선출한 기관을 통하여 직접 처리하게 함으로써 지방자치행정의 민주성과 능률성을 제고하고, 지방의 균형 있는 발전과 아울러 국가의 민주적 발전을 도모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지역 주민의 일정한 사무에 관하여 자율적 결정권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자율과 책임을 중시하는 자유민주주의의 이념에 부합’하는 것이며 그 자체로서 기본적 인권의 보장에 기여하는 측면이 크다. 지방자치단체는 풀뿌리의 민주주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주민자치기관이라는 점에서 중앙정부가 획정하고 계획한 큰 틀의 구도 안에서 매우 주민 친화적이며, 주민 참여적인 다양한 형태의 인권보장 및 증진의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함으로써 주민의 인권보장수준을 제고하고 인권친화적인 도시를 실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특히 인권정책수립에 있어서 주민참여 공청회의 실시, 인권신문고제도의 도입, 인권센터에 시민위원의 참가 그리고 인권문화축제, 인권체험관 등의 상시 운영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인권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역할을 지방자치단체는 꾸준히 모색해야 할 것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이와 같은 유기적이고 협조적인 인권보장역할분담을 통해서 인권보장수준의 격차를 해소하고, 전국적인 인권보장수준의 상향평준화를 달성함으로써 인권선도국의 반열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의 사회보장급부권 논의와 복지실현의 헌법적 방법

        이상경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2

        Although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discussing the methodology of achieving the welfare that the constitutions would pursue, no concerted opinion about what the social welfare really means has been acquired. In a broad sense, in order to make up the roof hole or the downside of the market economy, the social welfare nation is defined as a nation having the system which provides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o protect social minorities and prevent the poverty, establishing the social welfare system to address the matters of the unemployment and disproportional distribution. Here, the real issue is to decided how much the nation should intervene the private sectors to provide and control the goods and services. Hence, this article i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liberal anglo-saxon welfare model" in the United States, which allows the market to solve the social welfare issue and provides the limited social welfare services only for the socially weak classes. Even though the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include the bill of rights, they only consist of the rights of freedom and liberty against the government. Thus, there is no social consitutional right, explicitly accepting the services of nation, which should been necessarily accepted under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onstitution. It means, in other words, that the constitution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mean only the right of liberty and freedom. Hence, the approach to the right of the social welfare is same as the approach to a civil right.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take the right of the social welfare as the constitutional right, but it has been accepted to utilize the equal protection clause under the 14th. and 5th. Amendment to get the equal opportunities for everyone, and the due process of the 14th. and 5th. Amendment to extend the classic notion of the liberty and freedom to the inclusion of the right to survival with human dignity, which is, so to speak, a indirect way to achieve the constitutional preamble scheme of the social welfare. This article examines the feasibilities of extracting social welfare benefits right's selectivity and claimable character as is the civil right the under the main stream of the civil right interpretational approach to the social welfare benefits in the United States. 세계 각국은 복지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논의를 전개해왔음에도 헌법이 추구하는 복지국가란 과연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의견의 일치는 보지 못했다. 넓은 의미에서 시장경제의 폐해를 보정하기 위해 실업과 분배문제에 관한 사회보장제도를 확립하고 시장과는 다른 관점과 고려에 의해 결정된 일련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빈곤을 예방하며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국가를 복지국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지국가이념은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에 있어서 어느 정도 국가의 역할을 인정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이 논의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는 미국의 경우는 소위 “자유주의적 앵글로색슨 복지국가모델”을 채용하여 복지의 문제를 먼저 시장에서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다만 소위 취약계층에 대해서만 국가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모델은 미국 헌법의 특성에 기인한다. 미국 연방헌법 수정조항은 권리장전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국가로부터의 자유만을 의미하는 권리들로 구성되어 있을 뿐이다. 복지국가 실현을 위해 필연적으로 수긍해야 하는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국 연방헌법 하에서 헌법적 차원의 권리란 곧 자유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보장급부권에 대한 접근도 원칙적으로 소위 시민권, 즉 자유권적인 방법을 중심으로 한다. 따라서 헌법적 차원의 사회보장급부권을 정면으로 인정하기 보다는 다른 관련 헌법상의 원칙의 적용을 통하여 사회보장급부권을 수용하고 있다. 즉, 법 앞의 평등보장의 의미에서 기회의 평등을 도출하여 여기서부터 최소한의 복지에 관한 권리를 수긍하거나 적법절차조항을 통해 고전적인 자유권에 생존을 보장받는 것을 포함시키려는 간접적인 방법이 인정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사회보장급부권 논의에 관해 시민권적 요소와 사회권적인 요소에 주목하면서도 특히 시민권적인 접근과 해석이 주류를 이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여기서 사회보장급부권의 선별성과 청구권성 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n Population

        이상경,OH SONGCHAN,Moon Seong Kim,Jooyeon Kim,Eun Jin Jung,Young Jun Kim,Ji Youn Hong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 2023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 학술지 Vol.3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pot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o achieve this, we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cohort in 2001, comprising 6,291 subjects. Thes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based on their fatty liver index (FLI) score: FLI 1 group (< 30), FLI 2 group (30–59.9), and FLI 3 group (≥ 60). We then compared the frequencies of subjects in each FLI group across various anthropometric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FLI score is commonly employed as a predictive tool for fatty liver diseases, with an FLI score of ≥ 60 indicating NAFL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roportions of subjects within each group when considering factors such as age, occupation type, household income, drinking status, and body mass index (P < 0.0001). The intake of nutrients, including protein, fat, and carbohydrates,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LI groups. 2. Gender-based comparisons revealed 3 distinct outcomes. Firstly, among women, the proportion of subjects in FLI 3 group increased with age, whereas in men, this proportion decreased. Secondly, women in FLI 3 group consumed higher amounts of carbohydrates and dietary fiber (P < 0.0001). Thirdly, male subjects with extreme obesity exhibited a higher intake of vitamin B1 (P < 0.05), while female subjects consumed less protein (P < 0.004) but higher amounts of fat (P < 0.0001) and carbohydrates (P < 0.0001). 3. Additionally, we examined changes in subject frequencies within each FLI group from 2001 to 2018, taking into account age, and found a decreasing trend in the proportion of men within FLI 3 group, while women showed an increasing trend. We anticipate that these observ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this liver disorder.

      • KCI등재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사이버 법규범체계에 대한 일고

        이상경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3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normative structure models for the cyberspace, which substitutes the cyberspace social norms. As the necessity of the normative frame has been increased, this article tries to consider the n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yberspace presuming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normative cyber structure is needed. It is for sure that there has not been many studies with respect to the normative structure of the cyberspace. Thu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re can be 4 different types of the normative frames or models for the cyberspace. The first model is to provide the cyberspace constitution, which gives rise to many difficulties for the structure regulating the cyberspace, for it is so hard to follow, so to speak,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in the cyberspace, such as, the principle of democracy, the equal protection before the laws, and etc. In reality, the users in the cyberspace have very little interest in the democratic governance in the virtual space. With respect to the equality provided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1, the usage or the availability of the equal protection gives many questions to the protection for the users in the cyberspace as well. In this regard,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 constitutional rights can be denoted to various rights promulgated by the basic law regulating the cyberspace, which gives more weight on having the basic law to frame the cyberspace. However, it also gives rise to many problems to extract the concrete rights applied to the cyberspace users and virtual relations in reality. In addition, the declaration of the cyberspace rights also gives us very little help to address the normative difficulty of the cyberspace structure. Ultimately, considering pros and cons above, this article insists that it would be better off trying to make the basic law regulating cyberspace with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yberspace, which can make the cyberspace more normative and stable. 본 논문은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사이버공간에서 규준이 되었던 사회적 규범을 대체할 법규범체계 수립의 필요성과 가능한 모형 등을 검토하였다. 확장일로에 있는 사이버공간의 규범체계의 필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면서도 이에 상응하는 규범적인 연구가 거의 없다 시피하므로 본 논문은 사이버규범체계수립의 필요성을 전제하고 사이버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사이버규범체계의 모형을 살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크게 4가지 형태를 구상하여 보았는데 가장 먼저 사이버헌법 모형은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모형으로 상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는 원칙적으로 다수결에 의한 민주주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사이버 헌법모형이 사이버규범체계로 수용된다면 어떠한 기본원칙을 선언하고 규정할 수 있을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현실적으로도 대부분의 가상세계플랫폼들은 고객들에게 가상공간의 환경의 민주적 지배구조를 실험하는데 관한 관심이 거의 없다. 또한 원칙적으로 헌법상의 평등권이라는 기본권이 사이버공간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 이용자 보호를 중심으로 생각할 때 정보접근권이라는 관념은 차별받지 않고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헌법 제11조의 평등권에 기초한 논의가 사이버공간에서 자연스럽게 통용될 수 있을 것인지 문제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히려 헌법상 기본권에 해당하는 권리들을 사이버공간에서는 기본법을 통하여 규율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유로 소위 ‘사이버기본법’의 존재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인터넷 거버넌스의 보충성의 원칙을 고려할 때 사이버공간을 규율하는 사이버공간 이용자의 권리장전의 형태도 가능하다. 하지만 구체적인 권리를 도출하는데 따른 난제가 존재한다. 또 선언적 의미에 불과한 규범(사이버헌장 모형)도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니지만, 사이버헌장 모형이 사이버공간의 규율체계에 관한 규범적 어려움을 해결해 주는 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사이버공간 ‘기본법’차원의 규범정립을 모색하면서 이에 더하여 다양한 규율영역을 아우르는 선언문의 채택도 함께 고려해볼 가치가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주장한다.

      • KCI등재

        Lactonization of ω-Hydroxycarboxylic Acids Using (4,5-Dichloro-6-oxo-6H-pyridazin-1-yl)phosphoric Acid Diethyl Ester

        이상경,Min-Jung Kim,Jeum-Jong Kim,Ju-Eun Won,Seung-Beom Kang,Song-Eun Park,Kwang-Ju Jung,윤용진 대한화학회 2008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9 No.11

        (4,5-Dichloro-6-oxo-6H-pyridazin-1-yl)phosphoric acid diethyl ester (3) is an efficient coupling agent for lactonization of aliphatic and aromatic ω-hydroxycarboxylic acids. Lactonization of ω-hydroxycarboxylic acids with 3 in the presence of equimolar amounts of a base gave the corresponding monoolides, diolides, triolides and/or tetraolid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