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인지 어휘 분석 연구

        이삼형,김시정 한국어교육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7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cognitive thinking among Korean vocabularies. That is, we call cognitive vocabularies the words which are reflected by Korean speakers’ cognitive thinking as a meaning. And then, we try to describe some characteristics and main case categories of cognitive thinking vocabularie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vocabularies which are anticipating the research result of cognitive psychology using the new taxonomy for learning. By elaborating this study’s result, the basic data will be able to be utilized for developing the new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vocabulary education and analysis instrument of learners’ context. In conclusion, we expect more continued interest about systematization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시민성 교육을 위한 국어 교육의 역할

        이삼형,권대호,이지선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새국어교육 Vol.0 No.115

        이 연구에서는 이상적인 디지털 거버넌스를 구성하기 위해 국어 교육에서 합리적인 의사소통 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지향점을 밝혔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기술을 통한 소통 상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는 한편, 교과의 본질적 성격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지털 기술 혁신으로 사회 문화적 변화가 가속화되고, 전 지구적 연결망이 형성되면서 다원적인 이익과 가치가 충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으로 참여자 개개인은 적극적으로 공공 논의에 참여하면서도 공적 가치보다는 개인적인 가치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디지털 시민 사회를 구성하기 위해 합리적 의사소통 교육이 기능 중심의 접근 관점에서 나아가 공공의 사회적 실천 행위를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문제 상황과 해결의 각 측면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의사소통 교육에서 고려할 지점을 제시하였다. 상황적 측면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교실을 가치 체계나 이해 관계가 충돌하는 공적 공간으로 구성하고, 학습자들이 모호함과 불확실성에 직면하도록 해야 한다. 문제 해결의 측면에서는 합의보다는 논의 과정을 중시하는 숙의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struct rational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construct ideal digital governance. To do this, we first recognized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re - recognized the intrinsic nature of the curriculum. As socio-cultural change accelerates and the global network is formed, there is a collision between pluralistic interests and values. On the other hand, each participant actively participates in public debate, but tends to prefer personal values ​​rather than public values. This implies that rational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in guiding public social action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function - oriented approach to construct digital govern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rational communication education are suggested considering each aspect of the problem situation and solution. In the contextual aspect, the social media should be used to construct the classroom as a public space where the value system or interests conflict, and students should face ambiguity and uncertainty. In terms of problem solving, it is necessary to educate about deliberative communication that emphasizes discussion process rather than consensus.

      • KCI등재후보

        언어적 창의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삼형,유영희,권순각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9 No.-

        국어과 창의력은 언어적 창의력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언어적 창의력은 표현과 이해의 과정 전반에 걸쳐 두루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어적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일반적인(범교과적인) 창의적 프로그램에서 채택하고 있는 단순한 창의력 기법의 연습보다는 구체적인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실제적인 언어 활동을 통해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의 언어 활동에서 발현되는 창의력은 이해와 표현 모두 발상-구조화-언어화의 단계를 거쳐 결과가 나타난다. 창의력 프로그램은 발상, 구조화, 언어화, 메타화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 발상 단계에서는 느끼기와 깨닫기, 구조화 단계에서는 구체화하기, 관계짓기, 뒤집어보기, 미루어두기, 언어화 단계에서는 경험화하기, 감각화하기, 의미화하기, 개별화하기의 활동을 통해서, 메타화 단계에서는 선택하기, 배열하기, 평가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창의력이 표현과 이해의 언어 활동과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구체화하여 국어과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발상 단계, 구조화 단계, 언어화 단계, 메타적 단계 등 각 단계에 적합한 활동들을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고 나아가 학교장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reativity which is essential ability in our own day is embodied by verbal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verbal creativity is realized in the all proces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n this view it is more effective to develope verbal creativity through practical verbal activity than training creative technique. The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both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s similar. The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comprehension has to be embodied in text, it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is based on new understanding about object. So that, the process of verbal creativity consists of the stage of idea that is starting point of new understanding, the stage of construction that organizes the new idea, the stage of language that embodies text. The program of verbal creativity consists of the stage of idea, construction. language and meta-cognition.

      • KCI등재

        어말어미의 습득 과정에 관한 연구 : 36개월 이전의 영·유아를 중심으로 A case of Korean children under 36 months

        이삼형,이필영,임유종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의 어미 습득에 대하여 밝히는 데에 있다. 어미를 습득하는 첫 단계는 종결어미를 습득하는 것이다. 종결어미의 습득 과정을 보면, 서술형-의문형-명령형-청유형-감탄형의 순으로 습득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 이후 비종결어미를 습득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비종결어미는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로 구분되는데, 두 가지 어미 모두 같은 시기에 출현을 한다. 그러나 비종결 어미의 전형적인 용법의 관점에서 보면, 연결어미의 습득 과정이 전성어미의 경우보다 빠르다. 연결어미의 경우는 대등적, 종속적, 보조적 연결어미로 구분이 되는데, 보조적-종속적-대등적 연결어미의 순으로 습득된다. 전성어미의 경우는 관형형 어미, 명사형 어미로 구분되는데, 관형형 어미-명사형 어미의 순으로 습득이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Korean children's acquisition of final endings. First, children acquire terminal endings, and the order of terminal endings acquisition is a declarative-interrogative-imperativeproposal-exclamative endings. Children, then, continued the acquisition of nonterminal endings. Non-terminal endings has connective endings and transformative endings, and both seem to appear at the same time. However, during a typical use of non-terminal endings, children acquire connective endings prior to transformative endings. Connective endings have three parts; coordinative endings, subordinate endings and subsidiary endings. The acquisition process of connective endings is in the order of subsidiary-subordinate-coordinative endings. Transformative endings are divided into two; adnominal endings and nominal endings. In transformative endings, the sequence of acquisition is adnominal ending-nominal ending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