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소매업 상권의 공간적 의존성 분석 : 코로나19 전후 변화를 중심으로

        이민주,전재식,강승범,Minjoo Lee,Jae Sik Jeon,Seungbeom Kang 한국지역학회 2024 지역연구 Vol.40 No.1

        Despite extensive discussions on the repercussions of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re is a lack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distri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VID-19 on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b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ependency and interactions of these districts. Using data from the fourth quarters of 2019 to 2021 for 1,490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we employed the 3-Stage Least Squares (3SLS) estimation method for simultaneous equation modeling to empirically examine how spatial dependencies among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have evolved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e results indicate the existence of spatial dependence among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with developmental districts exerting a negative influence on nearby districts.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s changes in dependency patterns after the onset of COVID-19, interpreted as a decrease in commercial activities in developmental districts due to the impact of the pandem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new insights into Seoul's retail business districts through a spatially dependent analysis, offering a foundation for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small business owner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changes in business districts by considering their interrelationships.

      • 방음벽 흡음면적 및 위치에 따른 반사음 영향 검토

        이민주(Minjoo LEE),김철환(Chulhwan KIM),장태순(Taesun CHANG),강혜진(Hyejin KANG)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6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ffic noise levels (dBA) by the conditions of noise barriers in the apartment building. Two sets of case studies for determining traffic noise reduction by sound analysis software are performed. The first case study is investigated that the arrangements of noise absorption panel are composed of the 30% area of the lower, middle, and upper parts on the noise barrier, and they are given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70 %. The second case study is about areas of panel which are located the lower part composed areas of 20, 30, and 50 %. The results show that the lower part of panel is effective for a reduction of traffic nois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t big difference each absorption areas. In conclusion, the arrangement of noise absorption panel is more critical to reduce the traffic noise than adapting absorption area on the noise barrier.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이민주 ( Minjoo Lee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3

        과학자 바로 곁에서 경험하는 진정한 연구에의 참여는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실행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접근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R&E 활동 참여를 통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으며, 어떠한 인식 및 과학적 실행의 변화를 겪게 되는지에 대해 R&E 팀이라고 하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 활동에 참여한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8개월에 걸친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관련된 요인들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R&E 연구팀이라고 하는 실행 공동체의 초심자로 출발하여 이행기의 참여를 거쳐 점차 완전한 참여자로 이행하는 가운데 과학에 대한, 과학자 및 과학자 공동체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 역량을 증진시키며, 과학자의 그것에 근접한 실행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특히 장기간에 걸친 진정한 연구 참여를 통해 연구 활동의 본성, 과학자 및 과학자 사회의 실질적인 모습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진지한 진로에의 탐색, 역량있는 과학 학생 및 초보적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 발달을 보였다. R&E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자 참여를 통해 학생의 과학적 실행, 인식 변화 및 정체성 발달의 동적인 과정을 심층 적으로 조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연구 중심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에 실질적인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Learning at the elbow of scientist is a well-known educational approach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tific practice. This study, i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of practice, explores how students`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could be shifted through R&E program with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for 18 month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extract comm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articipation and major shifts in their scientific practices and perceptions. Students`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legitimate, peripheral, and full participation. In the stage of peripheral participation,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mere students and showed passive engagement. They just followed the directions of researchers and didn`t know what they should be doing. But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students showed enhanced engagement like voluntary article reading, role assignments, and establishing norms in a community of practice with the reference of scientists`. In this stage of transitional participation, students also showed a deepened perception on everyday life of scientist and the community of scientist. And finally in the stage of full participation, students showed responsibility and ownership on research and continuous efforts to refine their research.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beginning scientists. With these findings, this paper highlighted the dynamic processes of students` development of scientific practices and identity through R&E participation. It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research programs for education, especially for students who have already articulated a science-related career but still have only foggy notions about science.

      • KCI등재

        학생의 행위주체적 탐구 실행을 위한 도전적 과제 - 생명과학 영역에서의 학생 주도 R&E 사례를 중심으로 -

        이민주 ( Minjoo Lee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llenging tasks for a student-driven inquiry in a high school. Moreover, I examine how students’ agentic practice in the inquiry is emerging in the context of R&E(Research & Education) program within the area of biology in a high school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llenging tasks for a student-driven inquiry include (a) student’s positioning as an agent of inquiry, (b) the adjustment of the range of an inquiry and power shift, (c) simultaneous performance of inquiry and learning, and (d) the meaning making of an inquiry for a student. It also shows the features of students’ emerging agentic inquiry practices during the R&E participation.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tudent’s inquiry participation as an agent and makes efforts to give implications to encourage the biology teachers in school.

      • 코로나19 전후 상권의 상호의존성 변화

        이민주 ( Lee Minjoo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0

        코로나19와 같은 범지역적 외부요인이 상권 간 내생적 관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매출액을 내생변수로 사용하여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모형을 통해 서울 상권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의 상권 간 상호의존성 정도와 그 변화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서울지역의 상권 간 상호의존성 여부를 파악했을 때, 상호의존성이 존재하며 양의(+)의 값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중심상권이 인근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인근상권이 중심상권에 미치는 영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전후 상호의존성은 변하였으며 코로나 전후 상호의존성의 회복 정도의 차이에 있어서 중심상권인 발달상권의 회복성이 배후지상권인 인근상권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는 상권간 상호의존성을 바탕으로 지역 상권 회복 방안을 모색하고, 상권 활성화 거시적 전략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도주의 구호는 과연 인도적인가 : 90년대 북한 기근 구호 사례 연구

        이민주(Minjoo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국제적으로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었던 국가에서 인도주의 재난이 발생할 때 국제 원조 단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특히 기근이라는 특정한 재난을, 국가로서는 북한을 사례로 선택하여 그와 같은 상황에서 국제 원조 단체들의 의사 결정과 활동이 어떠한 양상을 띠는가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제개발과 구호원조에 있어 기근 문제를 논한 지금까지의 이론적 틀 몇 가지를 되짚어보고, 최근 국제 구호의 양상이 어떻게 정치화되어 왔는가를 논할 것이다. 이어 본 논문의 주요 사례로서 1990년대 북한에서 발생한 기근 사태를 논하면서 당시 발생했던 주요 국제 구호 단체들 (특히 국경없는 의사회)의 구호 중단 결정을 현대 구호의 ‘정치화’라는 틀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북한과 국제구호단체들 양방간의 작용과 반작용이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case of the North Korean famine in the 1990s through the perspective of aid politicization. The key factor of its analysis regarding the consequences of aid politicization comes from the question on how international aid community responds to a humanitarian crisis in a recalcitrant nation. Observations on prominent frameworks on famine, the process of aid politiciz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 moral dilemma debate allow for better examination on what failed in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response to the North Korean famine.

      • KCI등재

        미디어-콘텐츠 레퍼토리 개발 및 유형별 특성 분석

        이민주(Minjoo Lee),류성한(Sunghan Ryu),김영걸(Young-Gu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는 ‘미디어-콘텐츠 레퍼토리’(미디어 이용자들이 주로 소비하는 미디어-콘텐츠 조합)를 소개하고 이에 따른 미디어 이용자들의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TV의 네 가지 미디어와 영화, 방송, 음악, 게임의 네 가지 콘텐츠로 미디어-콘텐츠 조합을 구성하여 각 조합 별 이용 시간에 따라 5개의 레퍼토리 군집을 도출하고 군집 별 인구통계 변수, 개인 성향, 콘텐츠 구매 행태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미디어 이용 및 콘텐츠 구매가 적은 저이용군, 50대 이상으로 주로 TV를 이용하는 스크린이용군, 20대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간이 많은 버라이어티군, 20,30대 중심으로 영화 및 방송을 이용하는 선택적 집중군, 30,40대 중심으로 콘텐츠 이용량이 많은 헤비유저군 등 5개 레퍼토리 군집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의 개념을 확장하고 레퍼토리 별 특성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플랫폼 운영자와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각 이용자 그룹의 특성을 제공하고 세부 타깃별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지닌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Media-content repertoire’, which indicates the set of favorite media-content combinations of media users and extracted five media user types based on those combinations. We used the range of media(i.e., smartphone, tablet, PC, and TV) and entertainment content(i.e., movie, broadcasting, music, and game) for the analysis. Also,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ype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buying behavior and we foun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among them. Those include ‘non-user’(i.e., lower level of media use), ‘screen user’(i.e., 50s, TV-centered media use), ‘variety seeker’(i.e., 20s. heavy public transport user), ‘selective focus’(i.e., 20,30s, movie&broadcasting-centered media use), and ‘heavy user’(i.e., high level of media use and consumption). The results provide both academic implications(e.g., extension of media repertoire concept) and practical implications(e.g., direction to the target marketing for each user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