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지지와 대처방식이 장애아 가정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령기 장애아 가정을 중심으로

        이미섭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대처방식이 장애아 가정의 가족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에 소재한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1~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 어머니 160명을 선정하여 각각 기초배경질문지,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 가족적응성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연구 변인들 각각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에 대해 설명력을 가지는 변인은 가족구성원의 적응력, 정서 중심적 대처, 장애심각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적응성에 대해 사회적 지지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가족적응성에 대해 비공식적 지지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공식적 지지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대처방식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가족응집력이 높았다. 그러나 가족적응성에 대해 정서 중심적 대처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대처방식이 가족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언변인인지를 알아본 결과 비공식적 지지만이 가족적응성을 예측하는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아 가정의 스트레스 및 긍정적 적응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더 나아가 장애아 가정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ocial support and coping method influencing on adjustment of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chosen 160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ho were in special classes of primary school or special schools in Seoul, Kyung-gi & In-chon.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social demographic,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and family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as follows. First, to figure out the predictive variables demographic features and research variables influencing stres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 was execu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stress were adjustment of family member, emotion focused coping and severity of disability. Second, as the result of survey on the difference about family adjustment between high social support group and low social support group, it was found that family adjustment was high in high level group than low level group in informal support. Bu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family adjustment between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n formal support. Third, in coping method, it was found that family cohesion was high in high level group than low level group in problem focused coping. Bu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family adjustment between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n emotion focused coping. Forth, to figure out the predictive variables social support and coping method influencing family adjustm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 was executed. In the result only informal support was appeared as the predictive variable in the family adjustment.

      • 플랑크 흑체복사공식을 이용한 광원의 온도 측정 탐구활동의 개발

        이미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 물리의 흑체복사 탐구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2 W pilot lamp에 인가전압을 높여가며 방출하는 파장별 빛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전압이 증가할수록 2 W pilot lamp의 온도가 증가하여 피크 파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 W pilot lamp에서 방출되는 복사의 분산 스펙트럼을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파장 분해능 10 nm 로 스캔하였다. 전기회로의 미세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분해능 10 fA의 Keithley 피코 암페어 전류계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플랑크상수 J·s를 얻었다.

      •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 탐색

        이미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퇴직 후 중년남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위기는 무엇인가? 둘째,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이러한 질문을 탐색하기 위하여 근거 이론에 기초하여 50∼59세의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고 대학원 석·박사과정 중에 있거나 졸업한 7명의 중년남성 참여자를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과 메모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남성은 평소 퇴직에 대한 인식이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개인보다 조직의 성과가 우선되는 문화의 특성상 현실적으로 퇴직 후에 대한 준비를 할 여건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 예기치 못한 채 퇴직에 직면하면서 감당할 수 없는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였다. 바라봄과 깨달음의 시간을 통해 중심현상 ‘자기재생에 대한 갈망과 도전’으로 새로운 삶을 찾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끝에 대학원 학위과정을 선택하였다. 대학원 학습과정에서 고령자를 받아 줄 것인가에 대한 회의감, 경제적 어려움과 타인의 부정적 인식과 같은 학습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부딪히기도 하지만 대학원 학습만이 살 길이라 자각하며 ‘사회와의 연결고리를 만들기 위한 자기재생의 노력’을 전개하였다. 가장으로서의 경제적 책임감이 학습을 뒤로 미룰 수 없는 절실함으로 작용하였으며, 함께하는 동료들의 지지가 학습을 지속하는 힘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중년남성은 학습을 통하여 고립되지 않고 사회와 소통하며 정신적으로 치유되어 정상화에 도달하였으며, 대학원 학습경험이 미래의 가치 있는 자원으로서 물리적 보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자기확신을 다짐하였다. 또한 외적 동기로 시작한 학습이 내적 성장의 경험을 통하여 학습의 본질을 깨닫게 하며 배움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게 하였다. 셋째, 퇴직 후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남성은 자기재생을 향한 갈망으로 선택한 대학원 학습을 통하여 셀프리더십을 개발하였다. 셀프리더십은 ‘자기통제와 자기관리를 토대로 자신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리더십’으로 정의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셀프리더십이 어떻게 발현되어 개발되었는지에 관한 이론 모형을 도출하였다. 셀프리더십 개발 모형은 심리적 위기에 맞닥뜨리게 되는 ‘위기’에서 바라봄과 깨달음의 ‘성찰’을 통한 자기재생을 향한 갈망으로 대학원 학위과정에 ‘도전’하면서 ‘자기확신’을 다짐하며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는 ‘자기확산’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대학원 학습을 통해 드러나는 셀프리더십의 특징은 제2의 인생을 위한 비전을 설정하고 스스로에게 담금질하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기통제와 자기관리를 하며 목표를 향해 정진하는 것이다. 학습과정에서 장애요인에 집착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설정한 목표를 향하여 기회요인을 찾는 긍정적 자기암시를 통해 신념을 다짐하며, 배움과 확장으로 인한 자기확신을 가진 자신의 성장모습이 미래의 리더상으로 비치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셀프리더십의 개발은 외적인 과정이 아니라 내적인 과정으로서 자기확신을 통해 자기확산을 가능하게 하여 개인의 역량을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사회를 향한 실천적 의미로서 중년기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내적 성장과 물질적 보상에 대한 가능성을 가져와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midlife men’s self-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 at graduate school while encountering psychological crisis after retirement. In connection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irst, what is midlife men’s psychological condition after retirement?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 at graduate school? Third, how is self-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 through graduate school demonstrated?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dopted a grounded theory and chose seven middle aged men from fifty to fifty-nine, all of whom are doing or already completed graduate school while encountering psychological anxiety after retirement with theoretical sampling.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memos, and was analyzed us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research finding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midlife men experienced psychological anxiety after retirement was that they had only superficial and abstract perception about retirement and difficult circumstances to which prepare for retirement due to social conditions. Through reflection and realizing their inner values, they determined to take a graduate course in hopes of ‘self-renewal’ that would aid transition into their new life. They could confront several impediments, including financial burdens, negative perspectives from surroundings and skepticism toward acceptance to society due to their age. However, they eventually came to realize that graduate studies were the last string to perform self-renewal that created reciprocal bonds between society and themselves. Their inevitable desperation to continuously support their families financially motivated them to persist in graduate school, and companions who collaborated with them provided a synergy effect to perform their further studying. Second,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chool, midlife men were not isolated from society and they rather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interactions. This led them to recover from mental chaos, and ultimately assured them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d was an invaluable resource that contributes to material rewards. Furthermore, midlife men’s studying that started from external motives let them realize the quintessence of learning through internal growth and created strong appetite for learning. Third, midlife men experiencing psychological crisis after retirement developed self-leadership through graduate studies that were motivated by desired for self-renewal. Self-leadership is defined as leadership that influences themselves based on self-control and self-management. Through answering sub-questions, theory relating how self-leadership emerged and the model for developing self-leadership were constructed. Model about self-leadership development was substantiated to be a process of ‘self-defocusing’ from ‘self-assurance’ when midlife men ‘challenge’ themselves by starting graduate school they are yearning for self-renewal through ‘reflection’. A major characteristic of self-leadership accomplished through graduate school was that midlife men could devote themselves to ultimate goals for their second life. Midlife men set their final goal, pledge their beliefs through self-suggestion to achieve performance enhancement. They discover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hat support their internalizing process, and hope to be seen as epitomes of future leaders. This study showed that self-leadership development was internal process not external process, and enables individuals to extend their competence through self-defocusing from self-assurance. In addi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rning society, this study affirmed that midlife men’s learning experience generated inner growth, and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material rewards, which, in turn, was conducive to elevating general quality of thei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