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현세자 서사의 탄생과 역사 속의 소현세자

        이명제 한국역사연구회 2022 역사와 현실 Vol.- No.125

        This article is about Crown-prince So’hyeon, who is oftentimes regarded by the Koreans as a very tragic figure. After the conclusion of the Byeongja-year war[丙子胡亂] with Qing, Crown-prince So‘hyeon was held captive in the Shim’yang(Shěnyáng, 瀋陽) region for 8 years, and witnessed the fall of Ming(明) and rise of Qing(淸). He also stayed briefly in Beijing as a result of such regime change, and that stay led to his encounter with the Jesuit priest Adam Schall. His such experience did not attract much attention at the time, but later served as vital elements in a would-be narrative that was devised with the intention to view So’hyeon from a fairly different angle. This kind of endeavor, coupled with the public’s aspiration for the society to reach a level of modernization, eventually gave birth to a new historic image of Crown-prince So’hyeon. He was newly deemed as a pioneer who wished to embrace advanced Western culture, a pragmatist who wanted to awake the stagnated Joseon people, a liberator of enslaved Joseon prisoners of war, and even an enterpreneur who was quite successful in running an agricultural plantation. It was indeed a new narrative for Crown-prince So’hyeon. Unfortunately, however, this ever-expanding and reproducing narrative really requires some scrutiny. With that in mind, this study first tried to trace how such perception of Crown-prince So’hyeon was formed in the first place and shared throughout the society, even going back to the early years of So’hyeon studies that originated with the work of Japanese scholar Yamaguchi Masayuki. Examined next was how this figure came to garner so much public attention. And lastly, I tried to trace his actions in history and recreate a reasonable extrapolation of his existence, in order to determine how much the depiction of So’hyeon in the narrative is different from such extrapolation. I believe such endeavor would be the ultimate way of ‘rescuing’ him, from a narrative that has literally demanded him for decades to remain as an epitome of Joseon modernization. 본 논문은 비운의 인물로 평가받고 있는 소현세자에 관한 연구이다. 소현세자는 병자호란 이후 심양에서 8년간 인질 생활을 하면서 명・청 교체의 현장을 목도하였다. 또한 그 결과 이루어졌던 북경에서의 짧은 체류는 예수회 신부 아담 샬과의 만남으로 이어졌다. 소현세자의 이러한 경험들은 당대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후대에 이르러 소현세자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원천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기대감은 근대화에 대한 열망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소현세자상(像)을 탄생시켰다. 소현세자는 이제 첨단의 서양 문물을 수용하고자 했던 선구자임과 동시에 정체된 조선을 깨울 현실주의자, 전쟁 노예들을 구출한 노예 해방가, 농장 경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영가라는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이른바 ‘소현세자 서사’가 완성된 것이다. 문제는 ‘소현세자 서사’가 엄밀한 검증 과정 없이 확대・재생산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현세자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고 사회적으로 공유된 방식을 추적하였다. 우선 야마구치 마사유키로부터 시작된 초기 소현세자 연구의 쟁점들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소현세자가 대중적 관심을 획득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역사 속 소현세자의 행적을 재구성하여 현재 공유되고 있는 ‘소현세자 서사’와의 괴리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도 근대화의 열망에 대한 기대를 감당하고 있는 소현세자를 구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세계 이해의 세 가지 방식-연행록 외국조를 중심으로-

        이명제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8 No.-

        This paper analyzed Oegukjo of Yeonhaengrok from the late Joseon era and tried to examine the way Joseon intellectuals understood the world. The time that Oegukjo appeared in Yeonhaengrok was from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area and contents of foreign countries that each Yeonhaengrok deals with were different. The differences shown in Oegukjo of Yeonhaengrok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sponse of Joseon intellectuals about the knowledge of Western geography. First of all, most of the authors of Yeonhaengrok excluded the geographical areas that were presented by Western missionaries from the area of foreign countri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attitude to leave the question open concerning knowledge that was not certain or not related to the world view centered on China. When they partly accepted the achievements of western geography, they opted to make the new knowledge part of the China-centered world view. It was done by two ways:one of them was to expand the ‘China-centered experientialism’ to be world-wide and the other was to add ‘mythical world view’ to the new geographical knowledge. The former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xpand the Hua Yi Idea to the area of the East and the West, or the Confucian culture and non-Confusion culture. The latter understood the western geographical knowledge through surrounding traditions such as Zou Yan or Sanhaegyeong, and created a unique, mixed form. Through this process, the West belonged to China-centered history but it found the ground for the Western culture to subsist in Eastern society.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연행록 외국조를 분석하여 조선 지식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세계를 이해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행록에서 외국조가 등장한 것은 18세기 후반부터인데 각 연행록에서 다루고 있는 외국의 영역과 내용은 상이하다. 연행록 외국조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서양 지리 지식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대응과 깊은 관련이 있다. 우선, 대부분의 연행록 저자들은 서양 선교사에 의해 제시된 지리 영역을 외국의 범위에서 제외시켰다. 이는 확정되지 않은 지식, 혹은 중국 중심의 세계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지식에 대해 ‘存而不論’적인 태도를 유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양 지리학의 성과를 일부 수용하는 경우, 새로운 영역을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종속시키는 형태를 취하였다. 그 방식에 있어서는 ‘중국중심적 경험주의’를 전지구적으로 확대하는 형태와 ‘신화적 세계관’을 새로운 지리 영역에 덧씌우는 형태가 있었다. 전자의 경우, 전통적 화이관념을 동양과 서양, 혹은 유교문화권과 비유교문화권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서양의 지리 지식을 추연 혹은 『산해경』 등의 주변적 전통을 통하여 이해함으로써 독특한 형태의 혼종을 창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서양은 중국 중심의 역사에 귀속되었지만, 그 대가로 서양의 문물이 동양 사회에 존속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 종류, 빈도 및 인지적 배경 출처 분석

        이명제 한국지구과학회 201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육대학교 교과목 수업에서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교사로서의 질문을 조별 활동을 통해 추출하였다. 질문의 종류와 빈도, 그리고 질문의 인지적 배경 출처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구과학부문별 질문의 종류와 집중 정도, 그리고 질문의 인지적 배경 출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천문관련 부문에서는 다른부문과는 달리 개별 차시별로 질문 빈도와 집중이 다른 경향을 보이므로 이를 고려한 교수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적 배경 출처로서 ‘학교’ 비율이 가장 높으며, ‘친구’도 매우 중요한 출처이므로 동료 간 상호작용을 유도하는협력이 학습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TV’ 같은 대중매체가 ‘학교’와 비슷한 높은 수준으로 인지적 배경 지식의 출처임을 보여 주고 있어서 이들을 이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차시에 따라질문의 집중과 종류, 빈도가 다르므로 교사 교육에서 단원별 학습주제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서 이를 활용하는 교수방략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estions of earth science knowledge presented in elementaryscience textbooks. In group activities, The questions were cre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suming that theywere teaching the earth science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classes at university of education. Types, frequencies, andsources of the cognitiv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ques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followings. First, type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the cognitiv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ques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on the domains of earth science. Specifically, in astronomy domain, the frequencies and concentrations of the questionsshowed different trends compared with other domains in its individual lessons. It suggests that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reflected the difference found in each lessons be appropriately designed and used. Second, it was found that ‘schools’ wasthe most dominant sources of the cognitive background. ‘Friends’ were also found to be very important sources, thuspromoting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would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in science teaching. It was also foundthat mass media such as ‘internet’ and ‘TV’ were roughly rated the same as ‘schools’ which illustrated that mass mediacould be utilized in science instruction. Third, since types, concentrations, and frequencies of the questions were diverse inthe lessons of units, it is suggested that diverse instruction strategies also be taken into account as an educationalapproach in teaching the subjects in teacher education.

      • 초등학교 과학수업평가를 위한 탐구능력기반 지표개발

        이명제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7 公州敎大論叢 Vol.44 No.2

        Students should obtain abilities in scientific inquiry as a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classes. This proposition has been the everlasting objective since school science education. This objective is important in the respect that elementary school science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key of this objective is whether elementary teachers have teaching abilities in scientific inquiry The indices and criterions,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and evaluate how teachers conduct science class according to scientific inquiries,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many kinds of inquiries were classified, and inquiries which students should acquire were assumed as 'abilities as should be developed'. The 9 inquiry elements were established analysing inquiries, 'abilities as should be developed'. Evaluation indices and criterions sheets were developed based on 9 elements. And for practical usefulness of the sheets the 5 steps of science class were adapted, so that the sheets are available for all models of science teaching. These sheets were established for teachers' behaviors in relation of inquiry teaching rather than students' learn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learning to teach science and practice science teaching to evaluate teaching ability of student teachers based-on inquiries. 과학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과학의 본성인 탐구 능력을 획득해야한다. 이 명제는 학교과학교육이 시작된 이래 교사와 교육연구자들의 줄기찬 목표였다.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과학교육이 시작되는 시점인 만큼 이 과제는 중요하고,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적인 과학 수업능력 보유여부는 이 문제 해결의 열쇠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교사들이 얼마나 과학수업을 탐구적으로 안내하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탐구를 분류하여 학생들이 습득해야할 탐구를 ‘개발해야할 능력’으로 규정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평가할 탐구능력요소 9개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평가지표와 그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평가지표의 실제수업 적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업의 5단계 절차를 적용하여 어떤 모형의 과학수업이라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본 평가지표는 학생들의 학습여부 보다는 교사의 탐구관련 교수행동을 평가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교육대학 학생들의 과학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과교육수업에서 학습과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直四角形 密閉空間內의 速度分布

        李明帝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84 硏究論文集 Vol.2 No.-

        自然對流를 하는 直四角形 密閉空間內의 流體의 流動을 Navier-stokes equation을 數値的으로 풀어 解析했다. 密閉空間內의 垂直과 水平速度는 Grashoft수와 더불어 增加하고 最大垂直速度는 空間上端部에 存在하고 最大水平速度는 空間의 中心에 位置하는 것이 밝혀졌다. A two dimensional rectangular enclosure heated from below was considered. Primitive Navier-stokes equation and energy equation were solved numerically. The velocity components were detdrmin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elocity were increased with Grashoft Number. The maximmum verical velocity existed on the upper end of space. The maximum horizontal velocity existed on the center of the space.

      • KCI등재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一考

        이명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燕行雜錄⌋은 1822년 연행에 참여한 조선 지식인의 저작이다. ⌈연행잡 록⌋은 16권 16책의 거질로 중국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내용과 인문지리학 적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부분은 ?연행잡록? 이 포괄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이 북경과 중국을 넘어 세계를 담아내고 있 다는 점이다. ⌈연행잡록⌋의 지리적 외연의 확장은 대청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청조가 번영을 구가하면서 18세기부터 조선 지식인의 청조에 대 한 평가는 변화하기 시작하는데, 특히 ‘북학파’라 불리는 일련의 지식인 그 룹에 의하여 청조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연행잡록⌋은 이러한 18세기 연행의 성과들을 수용하면서도 이전 시기 에 비하여 무비판적으로 청조를 긍정하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8세기의 지식인들이 청조를 세밀한 관찰의 대상으로 여긴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청조의 실제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의존의 대상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세계관을 재구축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연행잡록?은 청조를 천하의 중심으로 인정하고 기존에 포섭되 지 않았던 여러 국가들을 청조 중심의 질서에 편입시키는 작업을 진행한 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우선 명말의 지리서인 ⌈廣輿記⌋의 체재와 내용을 수용하여 명대에 구축되어 있던 중화질서를 청조에 이식하였다. 두 번째로는 ⌈광여기⌋에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 西學 수용의 논리였던 ‘중국원류설’을 차용하여 중화질서로 포섭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연행잡록⌋에 드러나는 대외인식의 단면들을 살펴 보았다. 이는 북학으로 대변되는 18세기 후반의 성과를 일정부분 수용하 면서도 청조에 대한 종속성을 심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재정립 하는 과정이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기자의 위상 변화와 조·청 외교에서의 활용 양상

        이명제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1

        본 논문에서는 조·청 관계에서 기자가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명·청 교체 이후 조선 내부에서는 ‘교화 군주’ 기자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소중화 조선’과 ‘이적 청’을 구분짓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사신 외교에도 영향력을 미쳤다. 조선의 원접사는 청 사신과 시문을 수창하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강제로 수창에 동원되는 경우에도 ‘책봉 제후’ 기자를 활용하지 않았다. 반면 청 사신의 경우, 18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그들 역시 기자를 통해 동질성을 확인하기보다는 청의 정치적 우위를 과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책봉 제후’ 기자의 이미지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조선은 외교문서 안에서 ‘책봉 제후’ 기자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청에 대한 충성을 표현하였다. 이는 청과의 마찰을 원하지 않았던 조선의 대응책 중 하나였다. 다만, 정조대에 이르면 보다 적극적으로 기자가 활용되는데, 이는 정조대를 기점으로 조·청 외교 전략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암시한다. 청의 경우 외교문서 안에서 기자를 활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기자가 한·중 관계의 오랜 상징으로서 기능해왔음을 청의 위정자들이 인지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조선과 청은 엇갈린 행보를 지속하였다. 기자 활용이 일방통행을 반복하고 있는 모습은 조·청 관계가 전형적 조공관계에서 벗어나 있음을 보여준다. 조선은 청을 중화로 인정하지 않았고, 청 역시 전통적인 중화질서의 세계관으로 조선을 사유하지 않은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중반~19세기 전반 성호가문의 서학관 고찰 - 『闢異淵源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명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4 No.-

        『벽이연원록』은 성호가문의 척사론 저술들을 모아놓은 서적이다. 『벽이연원록』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 두 차례 편찬되었다. 『벽이연원록』 상편에 해당하는 일차 편찬은 목재 이삼환이 주도하였는데 진산사건에서 성호가문의 무고를 변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즉 한국천주교회 성립과 일련의 천주교 관련 사건들에 성호학파의 인원들이 다수 연관되어 있었고, 이삼환이 거주하던 덕산 지역은 천주교인들이 꾸준하게 배출되고 있었다. 또한 충청도관찰사였던 박종악은 이삼환에게 적극적인 척사활동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삼환은 『벽이연원록』의 편찬을 통하여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하편에 해당하는 2차 편찬은 육회당 이시홍이 주도하였는데, 성호학파에 대한 비판을 변호하고 성호가문의 지적 전통을 세우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노론 벽파가 주도하는 신유박해가 진행되었고, 또한 성호학파의 학문적 순결성에 대한 비판이 남인 내부와 노론 측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벽이연원록』에서는 홍교만에 대한 절교 서한을 통해 신유박해에 대한 성호가문의 무고를 주장하고, 이시홍의 闢邪文을 통해 보유론적 상제관과 일별하였다. 또한 ‘벽이’를 가학으로 내세움으로써 성호가문의 지적 전통을 새롭게 확립하였다. Byeokiyeonwonrok is a collection of books by Seongho family. Byeokiyeonwonrok was published twice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 first compilation was led by Mokjae Lee Samhwan, whose purpose was to defend the innocence of the Seongho family in the Jinsan affair. A large number of Seongho school were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other Catholic related affair. The Deoksan area, where Lee Sam-hwan lived, was also constantly being released by Catholics. Park Jong-ak, a former Chungcheong Provincial Governor, was demanding Lee Sam-hwan to conduct an active perverse religion. Byeokiyeonwonrok was created by these times’ needs The second compilation was led by Yookhoidang Lee Sihong, whose purpose was to defend criticism of the Seongho school and establish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Seongho family. Entering the 19th century, religious persecution led by the Noron Byeokpa was under way. Criticism of the academic purity of the Seongho school was continuously raised by Namin and Noron group. In the sequel to the Byeokiyeonwonrok, he claimed the innocent of the Seongho family for the Shin-yu persecution in a letter of farewell to Honggyoman., and denied Jesuit Accomodation. He also established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Seong-ho family by using “Byeoki” as his family mot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