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황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이도승,이동선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1 No.5

        Newcastle disease virus(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BHK) 세포에서 syncytium(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 neuramidase(HN)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 과 3.2 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DV 감염된 HAD(%)는 25 ug/mL 농도에서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용식물인 마황 메탄올 추출물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였다. 또한 마황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α-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50은 18 μg/mL이었으며, β-glucosidase, α-mannosidase, β-mannosidase에 대한 마황 추출물의 IC50은 각각 60, 40, 150 μg/mL로 나타나 β-type glycosidases 보다 α-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50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오배자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이도승,민태선,이동선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8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1 No.4

        Newcastle disease virus (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 세포에서 Syncytium (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과 3.2 μg/mL 사이에서는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25 μg/mL 농도에서는 NDV 감염된HAD (%)는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났으나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오배자추출물은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결론된다. 또한 오배자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α-glucosidase에대한 추출물의 IC50은 12.5 μg/mL이었으며, β-glucosidase, α- mannosidase, β-mannosidase에 대한 오배자 추출물의 IC50은 각각 26, 36, 50 μg/mL로 나타나 β-type glycosidases 보다 α- 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IC50 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rafficking process of viral glycoprotein to cell surface results in the syncytium formation when baby hamster kidney (BHK) cells was infected by Newcastle disease virus (NDV). Rhus chinensis gall, well-known as a medicinal plant, inhibited not only syncytium formation, but also trafficking of glycoprotein, hemagglutinin-neuramidase (HN) to the cell-surface. Modification of viral glycoprotein is processed within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body during trafficking into surface. R. chinensis gall extracts showed the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IC50 12.5 μg/mL) against α-glucosidase, when compared with the β-glucosidase. And this inhibitory activities is increased by the samples in a dosedepedent pattern. These data showed that the extracts of R. chinensis gall inhibited the cell-surface expression of NDVhemagglutinin- neuramidase glycoprotein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HN glycoprotein synthesis in NDV-infected BHK cells.

      • KCI등재
      • KCI등재

        Anti-viral Activity of Blue Chanterelle (Polyozellus multiplex) That Inhibits α-Glucosidase

        이도승,부경환,이진만,Tatsuya Unno,이왕식,조문제,류기중,이동선 한국식품과학회 2013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2 No.3

        Blue chanterelle (Polyozellus multiplex), known as an edible mushroom, was extracted using methanol to screen on anti-viral agent. Syncytium formation in Newcastle disease virus (NDV)-infected baby hamster kidney (BHK)cell originates from the trafficking of viral glycoprotein into cell-surface. Blue chanterelle inhibited not only syncytium formation, but also trafficking of glycoprotein,hemagglutinin-neuramidase (HN), onto cell-surface. Viral glycoprotein is processed within the endoplasmic reticulum during routing to surface. Blue chanterelle extracts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ies (IC50 10 μg/mL) against α-glucosidas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lue chanterelle extracts inhibited the cell-surface expression of NDV-HN glycoprotein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HN glycoprotein synthesis in NDV-infected BHK cells.

      • KCI등재

        제주에서 유통되는 어린이와 청소년 캔 음료에 대한 비스페놀 A 조사

        이도승,오현정,김미경,고찬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8

        Bisphenol A (BPA) is a major monomer used in various industries, primarily in production of polycarbonate plastics for food contact materials and epoxy resins for interior food can coatings. However, BPA is known to be an endocrine-disrupting chemical that can have harmful effects on human heal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idual levels of BPA in canned beverages targeted towards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distribution markets in Jeju. The BP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after purification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The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was 0.99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4.20 μg/L and 13.37 μg/L, respectively. The recovery rates for carbonated drinks, mixed drinks, fruit and vegetable drinks, coffee, and energy drink products were 93.33∼110.27%, 87.33∼93.60%, 99.33∼111.20%, 95.00∼96.00%, and 88.00∼89.2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idual amount of BPA in 100 canned beverages revealed that it was absent in all samples.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nned beverage products distributed in Jeju are safe. 비스페놀 A는 주로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생산과 식품용 캔의 내부 코팅제 등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를 생산하는 원료이다. BPA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본 연구는 제주도 내 유통마켓으로부터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다소비 캔 음료를 대상으로 BPA 잔류량 조사를 수행하였다. BPA 분석은 SPE 정제 과정을 통해 HPLC-FLD로 분석하였다. 표준품 BPA 검량선의 상관계수값(R2)은 0.9999로 확인되었으며, BPA 검출한계(LOD)는 4.20 μg/L, 정량한계(LOQ)는 13.37 μg/L 수준이었다. 탄산음료, 혼합음료, 과채음료, 커피, 에너지드링크 제품에서 회수율은 각각 93.33~110.27%, 87.33~93.60%, 99.33~ 111.20%, 95.00~96.00%, 88.00~89.27%로 나타났다. 캔 음료(n=100)의 BPA 잔류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을 보여 본 연구에 사용된 캔 음료 제품들에 대해서 BPA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자기를 형성하는 삶의 기술로서의 여가, 그 철학적 함축에 대하여

        도승연(Dho, Seung-You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M. Foucault)의 주체에 대한 연구는 크게 이중적 차원에서 구성된다. 그중 하나가 특정한 역사 사회적 맥락에서 어떻게 주체가 구성되는가를 추적하는 계보학적 접근이라면 다른 한편은 스스로에게 규칙을 부여하는 자기 형성적 주체화의 논의라고 할 수 있다. 본 논의는 이 과정에서 푸코의 후자의 입장, 나와 내가 맺는 관계를 윤리적 태도로 파악하며 이를 자기 인식보다 상위개념인 주체화의 근본적인 활동으로 이해하는 지점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여가의 개념 역시 자기와의 관계를 통해 스스로를 형성하고자 하는 의지와 활동의 중요한 형태로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논의가 주목하는 여가는 단순히 소일이나, 쾌락적 요소만으로 국한될 수 없는 중요한 실존적인 함축을 통해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의의 내용적 구성은 여가의 문제를 노동 주체와 노동과의 관계, 그들이 처한 사회구조적인 측면에 대한 정치적 차원은 소략적으로 검토하고 자기와의 관계적 양식을 규정하는 푸코의 후기 논의를 중심으로 여가의 실존적 차원에 집중하면서 전개시키고자 한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여가와 주체가 가지는 실존적이며 윤리적인 측면에 대한 접근을 통해 여가 개념의 의미를 철학의 근본적인 지평 안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The methodology of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s work on subject is largely composed of dual aspects. One could be described as genealogical approach of the way in which how one is composed of the subject in specific socio-historical context to be given, the other is the discussion about subjectification who can grant a rule to oneself as.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latter aspect of Foucault"s claims on subject, centering the concept of relation to self as "ethics", which should be categorized higher activity rather than self-knowledge in terms of subjectification. Based on the idea that I totally agree with Foucault"s this position, This research will show the concept of leisure also to be understood as the will and activity through the relation of self-forming. In this respect, this discussion focusing on leisure should not be limited simply a pastime, or hedonic elements but to be reinterpreted only by the existenti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is to briefly review the political dimensions of the leisur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labor subject and its structure of society. And then to articulate Foucault"s later discussion of his ethics based on the idea that ‘care of the self’, concentrating on the existential dimension of leisure. Therefore, this research ultimately answer the meaning of leisure within the fundamental horizon of philosophy through the approach of existential and ethical aspects.

      • 공법상 제한을 받는 토지의 현황평가 보상원칙에 대한 고찰

        도승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2020 土地補償法硏究 Vol.20 No.-

        공익사업에 활용되는 토지 재산권의 객관적 가치는 헌법에서 보장되고 있 으며, 토지보상법 제67조 및 제70조에서는 토지 재산권의 현실적이고 객관적 인 이용상황을 기준하여 손실보상액을 산정하도록 현황평가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 재산권의 공부상(토지대장) 지목과 현실적인 이용현황이 일치 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떠한 이용상황을 기준해야 하는지도 문제될 수 있고, 공익사업을 위한 사업구역 지정시점과 보상시점 사이에 공법상 제한의 상태 가 변경된 경우라면 어느 시점에서의 공법상 제한을 기준해야 하는지도 문제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토지로는 공법상 제한이 가하여진 토지, 무허가건 축물부지, 불법형질변경토지 및 미지급용지 등이 있다. 무허가건축물부지, 불법형질변경토지 및 미지급용지는 대체로 공부상 지목 과 현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로서 물리적 측면에서의 이용상황 판단 이 중요한 쟁점이 된다.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24조 및 제25조에서 이용상 황에 대한 판단기준과 평가방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용상황의 판단주체 및 입증방법도 판례에 의해 책임소재가 명확하게 되었다. 그러나, 공법상 제한을 받는 토지의 경우는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23조에 서 “공법상 제한을 받는 토지에 대하여는 제한받는 상태대로 평가한다. 다만, 그 공법상 제한이 당해 공익사업의 시행을 직접 목적으로 하여 가하여진 경 우에는 제한이 없는 상태를 상정하여 평가한다.”고만 규정되어 ‘공법상 제한의 판단주체, 입증책임주체, 판단기준 및 공법상 제한의 정도를 반영하는 기 준’ 등의 구체적인 내용이 규정되지 못하여 평가과정에서 평가주체의 주관성 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익사업을 위한 구역지정행위와 보상시점간의 시차가 길어짐으로 인하여 인근지역의 표준적 이용상황이 변경 된 경우에, 공익사업의 구역지정시점에서의 공법상 제한을 반영해야 하는지 아니면 보상시점에서의 공법상 제한을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 2015.08.27. 선고 2012두7950 판결은 공법상 제한을 받는 토지의 평가절차에 있어서 “특정 시점에서 용도지역 등의 지정 또는 변 경을 하지 않은 것이 특정 공익사업의 시행을 위한 것일 경우 이는 당해 공 익사업의 시행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제한이라고 보아 그 용도지역 등의 지 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진 상태를 상정하여 토지가격을 평가하여야 한다. 여 기에서 특정 공익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용도지역 등의 지정 또는 변경을 하 지 않았다고 볼 수 있으려면, 그 토지가 특정 공익사업에 제공된다는 사정을 배제할 경우 용도지역 등의 지정 또는 변경을 하지 않은 행위가 계획재량권 의 일탈 남용에 해당함이 객관적으로 명백하여야만 할 것이다”고 판시하였다. 이는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23조 제1항 규정 중 ‘당해 공익사업의 시행 을 직접 목적으로 가하여진 경우’에 ‘특정 시점에서 용도지역 등의 지정 또 는 변경을 하지 않은 것이 특정 공익사업의 시행을 위한 것인 경우’도 포함 되는 것으로 해석한 최초의 판례이며,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정당보상 원칙 및 피수용자의 권리보호 측면에서 타당하다고 볼 것이다. 그러나, 판례는 계획재량권의 일탈 남용에 해당함이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야만 ‘특정 시점에서 용도지역 등의 지정 또는 변경을 하지 않은 것이 특정 공익사업의 시행을 위한 것인 경우’에 해당된다고 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이에 대한 입증책임은 피수용자인 원고에게 있으므로 일반 국민의 입장에서 계획 재량권의 일탈 남용을 입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것이다. 토지수용에 있어서의 소유권 취득이 토지소유자의 자발적 의사에 의한 것 이 아닌 점에 비추어 볼 때, 계획재량권의 일탈 남용을 토지소유자에게 입증 하도록 하는 것은 과도한 입증책임 의무를 지우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토지보상법상 공법상 제한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기준이 규 정되지 못하여 발생되는 것이므로,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23조에 공법상 제 한의 종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유형화하고 공법상 제한을 판단하는 판단기준 과 판단시점 및 입증주체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규정하여 정당보상을 실현하고 토지소유자의 재산권보호 및 원활한 사업시행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value of and property rights related to lands that are used for public projects ar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Articles 67 and 70 of the Act on the Acquisition of Land, etc. for Public Works and the Compensation Therefore, (Land Compensation Act) specify the principle of status evaluation, which calculates the amount of compensation based on practical and objective current usage of the land in question. However, land category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actual use of the land property rights, problems as to which of the two should be the basis of compensation calculation and, if the restrictions on the land as specified by the public law changed between the time when the land was designated for a public project and the time when the relevant compensation is being calculated, it can be problematic to decide which set of restrictions must be applied. Lands that are relevant to these issues include those subject to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unauthorized building sites, lands with unlawful changes, and uncompensated lots. In general, unauthorized building sites, lands with unlawful changes, and uncompensated lots are related to inconsistency between the land categ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land, and, therefore, the current usage from a physical perspective is the critical issue. Articles 24 and 25 of Land Compensation Act specifies the criteria and method of land usage evaluation in detail, and a sufficient amount of precedents facilitate decisions regarding the agent of judgment and means of verification. However, with regards to lands that are subject to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Article 23 of Enforcement Regulations of Land Compensation Act only state that “lands that are subject to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shall be evaluated with said restrictions in consideration. However, if said restrictions were imposed explicitly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 project in question, the land status evaluation shall not take said restrictions into account.” Because details such as ‘agent of judgment regarding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agent responsible for verification, judgment criteria, and standard for deciding the level of restrictions’ have not been specified and, therefore, require intervention of subjective judgment in the evaluation process. Moreover, in the event the standard usage of the surrounding area has changed due to extended difference in time between designation of the land for a public work and compensation settlement, there is no specified rule as to whether the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must be based on the time when the land was designated for the public work or the time when the compensation is being settled. In that regard, Supreme Court Sentence no. 2012-du-7950 on August 27, 2015 decided, for evaluation of lands that are subject to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If, at a certain point in time, a land was not zoned or changed in usage for a public project, it shall be considered as restrictions that are created directly for said project. Therefore, the price of the land in question shall be evaluated with the designation or change in consideration. In order to verify that the land in question was not zoned or changed for a public project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shall be objectively evident that the act of not designating or change the land in question constitutes deviation from or abuse of discretion in land planning, had it not been for said public project.” This was the first precedent in which the condition -- ‘if said restrictions were imposed explicitly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 project in question’ in the Article 23.1 of Enforcement Regulations of Land Compensation Act wa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case in which ‘a land was not zoned or changed in usage for a public project.’ And it is a valid precedent with regards to the principle of just compensation and protection of the land owner’s rights. However, the precedent added, “it shall be objectively evident that the act of not designating or change the land in question constitutes deviation from or abuse of discretion in land planning, had it not been for said public project” in order to qualify as “not being zoned or changed in usage for a public project.” And, because, in general, the burden of proof is borne by the plaintiff, i.e. land owner, it is highly difficulty for ordinary citizens to prove deviation from or abuse of the discretion in land planning. Considering that land acquisition for a public project is not based on the voluntary decision of the land owner, imposing the burden of proof of deviation from or abuse of the discretion in land planning on the land owner is excessive. Because this problem arises due to lack of specific criteria for evaluating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in Land Compensation Ac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etailed categories of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in the Article 23 of Enforcement Regulations of Land Compensation Act, and also specify the evaluation criteria and reference time and agent of verification regarding restrictions by the public law, protecting the property rights of the land owners and facilitating performance of relevant public projects.

      • 통합적-영성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

        도승 영성과 사회복지학회 2013 영성과 보건복지 Vol.1 No.1

        미시적이거나 거시적인 클라이언트 시스템 속에 내재하고 있는 영성과 종교성은 개인적인 영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이고 집합적인 의미를 갖는 영성적 이슈들을 다루기 위하여 사회복지 실 천 현장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테크놀로지 중심적인 탈포스트모던 시대에 발생하는 개인의 심층 심리적이고 사회제도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클라이언트 중심적이고 영성적인 개입방법이 필요하다. 영성적 민감성과 개입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회복지사는 먼저 영성적 지능, 영성적인 발달, 영성적인 리더십, 영성적 사회자본 등과 같은 개념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영성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통합적-영성적 실천 모델을 제시한다.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각각의 영성적인 관점들과 사회복지 가치관 및 윤리적 원칙이 이 모델 속에 함께 융합되었다. 이 실천 모델은 Ken Wilber의 통합이론 (Integral Theory)의 사상한적인 분석의 틀을 적용함으로써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발견되는 영성 적인 이슈들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 이론적 모델의 실제적인 적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논문의 뒤 부문은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다룰 수 있는 영성과 관련된 미시 적이고 거시적인 실천 이슈들을 예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