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성 응고장애와 대량수혈

        이대상 대한수혈학회 2020 大韓輸血學會誌 Vol.31 No.2

        A massive blood transfusion is a challenging situation that can be encountered in the treatment of trauma patie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clinicians should conduct appropriate blood transfusions using the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and make efforts to prepare and apply these protocols to the systems of each hospital in advance. In addition, the effect of massive bleeding on the body highlights the need to understand why fresh frozen plasma and platelets, as well as packed red blood cells (pRBC), are needed during massive transfusion. In hemorrhagic patients, blood pressure maintenance through transfusion is an important part, but above all, efforts to control sustained bleeding by controlling and treating the bleeding itself are more important. This is because patients need to recover their organs after early resuscitation by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transfusion. No research has been done to compare the restrictive transfusion and liberal transfusion strategies in patients requiring massive transfusion. On the other hand, various studies suggest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to apply a liberal blood transfusion strategy in patients with severe or older age. Nevertheles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to apply it generally. Therefore, for patients whose resuscitation has been performed by applying a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a reasonable treatment approach would be to shift to a strategy to supplement poor coagulation factors through a goal-directed transfusion. (Korean J Blood Transfus 2020;31:101-108)

      • 기업구조조정의 새로운 방향성 - 경쟁력 제고와 생태계 혁신 모색 -

        이대상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 POSRI 이슈리포트 Vol.2019 No.1

        ○ 주력산업 부진 장기화 속 부실기업 증가로 상시·선제적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현행 구조조정 제도하 성과 미흡에 대한 비판 지속 제기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0년부터 한계기업*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만성적 적자로 인한 2년 이상 연속 한계기업 비중이 매우 높은 수준 *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X100)이 3년 연속 100% 미만 기업(한국은행) - 매년 신용위험평가 결과, 구조조정 대상기업 증가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건설 등 취약업종이 구조조정 대상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高 - 워크아웃 기업 구조조정 성과가 미흡하다는 실증분석 결과 외 최근 기업부실의 구조적 요인 관련해 현행 구조조정 제도의 대응에 한계가 있음 ○ 현행 구조조정 제도는 선제적 구조조정 대응체계 부족, 채무 구조조정 위주로 본원 경쟁력 제고 소홀, 산업생태계 강건화 지원 미흡 등 이슈 존재 - 부실 발생 이후의 사후 처리 위주로 제도가 운영되어, 부실 예방 및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구조조정 대응체계는 상대적으로 부실 - 채권금융기관(법원)의 채무 구조조정 역할 위주 수행으로, 구조조정 대상기업의 본원 경쟁력 제고에 소홀하다는 비판 제기 - 산업생태계 강건화 관점에서 산업정책과 구조조정 제도 간 유기적 연계 강화와 중소기업 구조조정 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 제고 필요 ○ 구조조정 시장 활성화 등 선제적 대응 강화, 구조조정 全 과정 민간부문 참여 확대 및 中企 구조조정/경쟁력 지원 프로그램 강화가 요구됨 - 전략적 투자자(SI)와 PEF간 협력을 바탕으로 특정 산업(과잉공급 업종 등) 특화 구조조정 전문 사모펀드를 운영해 자본시장 주도 구조조정을 활성화할 필요 -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지원대상 확대, 업종별 지원패키지 차별화 및 신청기업 사업재편 옵션의 다각도 검토 등 산업구조 고도화와 경쟁력 제고 관점 보완 - 산업진단 및 경쟁력 강화방안 수립, 신용위험평가, 사업재편 실행 등 구조조정 주요 단계에 민간부문 참여를 확대해 구조조정 내실화와 실행력 제고 - 주채무계열제도 운영 보완을 통한 기업집단 구조조정 강화, 중소기업 구조조정 자문기능 강화 및 실효성 높은 지원 프로그램 중심의 선택과 집중

      • KCI등재

        미생물 유전체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Base-Calling 오류 감지 프로그램 및 알고리즘 개발

        이대상,박기정,Lee, Dae-Sang,Park, Kie-Jung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4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base-calling error detection program and algorithm which show the list of the genes or sequences that are suspected to contain base-calling errors. Those programs detect dubious bases in a few aspects in the process of microbial genome project. The first module detects base-calling error from the Phrap file by using contig assembly information. The second module analyzes frame shift mutation if it is originated from real mutation or artifact. Finally, in the case that there is control microbial genome annotation information, the third module extracts and shows the candidate base-calling error list by comparative genome analysis method. 미생물 유전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base-calling 오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유전자나 염기서열의 리스트를 보여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모듈들은 base-calling 오류로 의심되는 염기들의 후보군을 유전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주요 단계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초기 단계에서는 Phrap 파일에 존재하는 contig assembly 정보를 이용하여 base-calling 오류를 감지하는 모듈, 중간 단계에서는 상동성 검색 결과물로부터 frame skift 돌연변이의 진위 유무를 분석할 수 있는 모듈,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미 발표된 미생물 유전체와 같은 종으로부터 유래된 균주에 대한 유전체 프로젝트를 수행할 경우, 비교유전체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base-calling 오류 가능성이 높은 서열의 후보군을 추출하여 해당서열의 크로마토그램파일을 유전체 연구자가 볼 수 있는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Safety and Feasibility of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Performed by Intensive Care Trainee

        이대상,정치량,박성범,유정암,조중범,양정훈,박치민,서지영,전경만 대한중환자의학회 2014 Acute and Critical Care Vol.29 No.2

        Background: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PDT) performed by an intensivist in critically ill patients is currently popular. Many studies support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PDT. However, there is limited data on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PDT performed by intensive care trainees. Methods: To evaluat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PDT performed by intensive care trainees and to compare these with those performed by intensivist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dverse events of all prospectively registered patients who underwent PDT by ICT or intensivist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from August 2010 to August 2013. Results: In the study period, 203 patients underwent PDT in ICUs; 139 (68%) by trainees and 64 (32%) by intensivis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demographics, laboratory findings, and parameters of mechanical venti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Procedure times and outcomes of the pati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jority of complications observed in 24 hours after PDT were bleed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rainee 10.8% vs. intensivist 9.4%, p = 0.758). There was no procedure-related death i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DT performed by intensive care trainees was safe and feasible. However, further well-design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our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