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들의 사회관계적 요인이 치매선별검사 수검에 미치는 영향

        이단비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도 이례적인 속도로 급속하게 노인인구가 증 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성 질환인 치매가 대두되고 있으며. 치매로 인한 사 회적 비용의 증가는 국가적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효율적인 치매 관리를 위해서는 치매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조기에 질병을 발견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치매선별검사 수검률은 낮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 인 대상자들의 치매선별검사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향후 그 특성에 맞는 전략적 대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0,082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 로 선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25.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 t-검정,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을 p<0.05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구사회적 요인 중 가구구성형태에서는 독거노인에 비해서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이 치매선별검사 수검요인이 낮았다. 건강 관련 요인에서는 흡연을 하지 않는 그룹이, 운동을 하는 그룹이, 만성질환개수가 많아질수록, 하지 근력상태가 좋을수록, 인지저하의심군보다 정상군이 치매선별검사 수검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적 요인에서는 경로당 또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그룹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그룹이, 지난 1년간 친구·이웃·지인과의 왕래 또는 연락을 주 1회 이상 하는 그룹이, 사회·여가·문화활동의 만족도가 매우 만족할수록, 친구 및 지역사회 관계의 만족도가 만족 할수록 치매선별검사 수검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치매선별검사 수검률을 높이기 위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를 강화 시키고, 사회활동 참여를 강조하며, 공통된 관심과 문제점을 공유할 수 있는 집단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활용한 접근과 그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Objective: Compared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population of the elder in South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t an unprecedented pace. As a result, dementia, a senile disease, is emerging and the increase of social costs caused by dementia becomes a burden to the government.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take preventative measures and detect dementia early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effectively, but the current rate of taking dementia screening test in South Korea is low.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ttribute to the rate of taking dementia screening test for the elderly over 65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measures to their characteristics hereafter.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0,082 participants based on the 2017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Using IBM SPSS version 25.0 program,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test, p<0.05 Results: From styles of family formation ou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performance of the dementia screening test was lower for the elderly people living with their family members than for those living alone. From health-related factors, it showed that the dementia screening test was more likely taken by those in the groups: non-smoking group, regular exercise group, group with more chronic diseases, group with stronger muscles and normal group in comparison to cognitive impairment group. From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it showed that the dementia screening test was more likely taken by those in the groups: participating in senior community center or senior welfare center, taking lifelong education, visiting or contacting with friends or neighbors more than once a week, being more content with social,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being more content with friendship and community relationship. Conclusion: As a result, I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to providing the informative fundamental data for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 and education in association with reinforcing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or the elderly people, encouraging to take part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approach to those who can share common interests and problems in order to raise the rate of taking dementia screening test in South Korea.

      • Program annotation : J. S. Bach Höchster mache deine Güte from the Cantata Jauchzet Gott in allen Landen, C. Debussy Ariettes Oubliées 중 C'est l'extase, L'ombre des arbres, Chevaux de bois, Green, Spleen, W. A. Mozart Porgi amor from the Opera Le Nozze di Figaro, D. Argento Six Elizabethan Song

        이단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in great detail of the program content of the graduate recital for the completion of the master’s degree. The life and major works of the composers, characteristics of their vocal music and translations of their texts were observed.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is a German composer from the late Baroque Era. Cantata Nr. 51 ≪Jauchzet Gott in allen Landen≫was composed in 1730. It consists of five arias. The third aria <Höchster mache deine Güte> not only contains hymn to God who shows his goodness each morning, but also shows our strong faith. Bach used text which is taken from the Lamentaion of Jeremiah from chapter 3:22 to chapter 3:25. Claude Debussy(1862-1918) is a French composer from the late Romantic Era. ≪Ariettes Oubliées≫ consists of six songs. But I will sing five songs. These six songs were composed from 1885 until 1887. Debussy dedicated these songs to Mary Garden. Debussy often used both tonal harmony and atonal harmony as well as in the accompaniment.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is an Austrian composer in the Classical Era. The Opera ≪Le Nozze di Figaro≫ was composed in 1786. The librettist was Lorenzo da Ponte. The soprano aria <Porgi amor> sung by Rosina who lost her husband. Waiting for him, Rosina is praying to God to let him comes back to her. Dominick Argento(1927-2019) is an American composer who worked in between the late 20th century until the early 21st century. ≪Six Elizabethan Songs≫ was composed in 1957 and it consists of six songs. Argento dedicated these songs to Nicholas di Virgilio. The text originated from several poems which were written by five poets who lived in during Queen Elizabeth Ⅰ’s reign. A full harmony was applied by the use of twelve tone technique which was a mixture of tonality and atonality. Vincenzo Bellini(1801-1835) is an Italian opera composer in the Romantic Era. The Opera ≪Norma≫ was composed in 1831. The librettist was Felice Romani. The soprano aria <Casta Diva> is sung by Norma, the priestess of the Druidism in Gaul. During ritual action, she is praying to God the Romans to collapse. Meanwhile, she is waiting for her lover to come back. 본 내용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 프로그램에서 각 작품의 작곡가의 생애와 주요 작품, 각 작품들의 내용 및 가사 해석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후기 바로크 시대의 독일 작곡가이며 그가 작곡한 칸타타 ≪온 땅이여 주를 찬양하라(Jauchzet Gott in allen Landen)≫는 1730년에 작곡되었으며, 총 5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3곡인 아리아 <가장 높으신 분께서 만드시는 선하심(Höchster mache deine Güte)>은 소프라노 솔로와 반주는 오르간으로 되어 있다. 이 아리아는 예레미야애가 3장 22절에서 25절까지를 가사로 사용하였으며 하나님의 선하심을 찬양하고 우리가 아버지의 자녀임을 고백하는 내용이다.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는 후기 낭만 시대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그가 작곡한 성악 작품 중 ≪잊혀진 노래들(Ariettes Oubliées)≫은 폴 베를레느(Paul Verlaine)의 시를 사용하였으며 1887년에 작곡되었고, 메리 가든(Mary Garden)에게 헌정되었다. 총 6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곡 <그것은 황홀경이었다(C’est l’extase)>는 베를레느가 아내 마틸드 모테(Mathilde Mauté)와 애인인 장 랭보(Jean Rimbaud) 사이에서 갈등하는 삶을 반영하였고, 제2곡 <나무의 그늘에서(L’ombre des arbres)>는 주인공이 황량한 풍경에서 비춰진 자신의 모습과 물에 빠져버린 희망으로 인해 울고 있는 내용이며, 제3곡 <회전 목마(Chevaux de bois)>는 벨기에의 시골의 한 축제에서 주인공이 지루함을 해소하기 위해 회전목마를 보고 주변 풍경에 대하여 묘사하는 내용이고, 제4곡<녹색(Green)>은 정열적인 한 소년이 연인에게 고백하는 내용이며, 제5곡 <우울(Spleen)>은 주인공이 오직 사랑하는 연인을 제외한 모든 것에 대한 회피와 권태로움을 고백하는 내용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고전 시대의 오스트리아 작곡가이다. 그가 작곡한 유명한 오페라인≪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은 1786년에 작곡되었으며 총 4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에르 보마르셰(Pierre Beaumarchais)의 희곡을 바탕으로 로렌쪼 다 폰테(Lorenzo da Ponte)가 대본을 썼다. 줄거리는 피가로와 수잔나의 결혼식 날 저녁에 백작이 초야권을 가지고 하녀 수잔나를 호시탐탐 노리는 중 피가로, 수잔나, 로지나가 계획을 짜서 로지나와 수잔나를 서로 변장시켜서, 밀회를 즐기려고 정원에 나간 백작에게 창피를 주고 해피엔딩으로 끝나게 되는 내용이다. <사랑을 주세요(Porgi amor)>는 2막에서 백작부인인 로지나가 부르는 소프라노 아리아이며, 남편의 사랑이 식었음을 알고 슬퍼하며 남편이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내용이다. 도미니크 아르젠토(Dominick Argento, 1927-2019)는 미국의 작곡가이다. 그의 유명한 연가곡인 ≪엘리자베스 시대의 여섯 개의 가곡들(Six Elizabethan Songs)≫은 1957년에 작곡되었으며, 제1곡 <봄(Spring)>은 토마스 내쉬(Thomas Nashe)의 시가 가사로 사용되었고, 봄의 활력과 아름다움을 엘리자베스 여왕에 비유하여 찬미하는 내용이다. 제2곡 <잠 (Sleep)>은 사무엘 다니엘(Samuel Daniel)의 시가 사용되었고, 주인공이 깊은 절망에 빠져 오직 잠을 통해서만 고통을 승화시킬 수 있다고 고백하는 내용이며, 제3곡 <겨울 (Winter)>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are)의 시가 사용되었고, 추운 겨울 바람이 주는 매서움과 마을에서 일어나는 여러 풍경들을 묘사한 내용이다. 제4곡 <장송가 (Dirge)>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시가 사용되었고, 주인공이 외롭게 홀로 죽음을 받아들이며 체념하는 고백이며, 제5곡 <디아피니아 (Diaphenia)는 헨리 콘스타블(Henry Constable)의 시가 사용되었고 엘리자베스 여왕을 찬미하는 내용이고, 제6곡 <송가 (Hymn)>는 벤 존슨(Ben Jonson)의 시가 사용되었고, 사냥의 여신인 다이아나의 위엄을 찬미하는 내용이다. 빈첸쪼 벨리니(Vincenzo Bellini, 1801-1835)는 낭만 시대의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이다. 오페라 ≪노르마 (Norma)≫는 1831년에 작곡되었으며, 총 2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렉상드르 수메(Alexandre Soumet)의 희곡을 바탕으로 펠리체 로마니(Felice Romani)가 대본을 썼다. 로마인의 지배 아래에 갈리아 원시 부족의 여사제인 노르마가 동족의 지도자와 두 자녀의 어머니로서 갈등하는 모습을 담은 비극의 내용이다. 그 중 소프라노 아리아인 <정결한 여신(Casta Diva)>은 제1막에서 드루이드교의 승려들과 병사들의 의식 중에 고대 드루이드의 여사제인 노르마가 로마는 멸망하게 되리라고 예언하면서도 잃어버린 로마인 애인이 자기의 품으로 돌아올 것을 기원하는 내용이며, 성악 선율에서 화려한 멜리즈마, 풍부한 선율과 넓은 음역은 노르마의 위풍당당한 지위와 태도인 동시에 그녀의 고민하는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

      • 청주·청원과 전주·완주의 행정구역 통합 결정 과정의 비교 분석

        이단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3년 6월,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이 주민투표에서 완주군민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2012년 9월 청원군민들의 찬성으로 청주시와 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이 주민투표로 결정된 것과는 대조적 결과였다. 2009년에는 두 지역에서 모두 행정구역 통합을 실패했는데 재시도의 결과 청주·청원만이 통합에 성공한 것이다. 행정구역 통합과정에서 두 지역은 여러 유사점을 갖고 있었다. 완주군과 청원군은 모두 전주시와 청주시를 도너츠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었고 시와 군은 행정 및 경제적 측면에서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었다. 또한 역사적으로 두 지역은 원래는 하나였으나 두 지역으로 분리되었고 20여년 동안 통합시도가 있어왔지만 번번이 군의 반대로 통합이 무산되었다. 본 연구는 많은 유사성이 존재하는 두 지역 간 행정구역 통합 결과의 차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목적으로 했다. 행정구역 통합과정은 기본적으로 통합에 대한 찬성집단과 반대집단의 정치적 결정과정이다. 통합을 둘러싼 여러 가지 이해관계를 가진 행위자들이 서로 다른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대립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정과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정책옹호연합모형’을 분석틀로 적용하였다. 정책옹호연합모형의 기본분석 단위는 대립하는 두 옹호연합으로 이 분석틀은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제시한다.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경우 비슷한 조건에서 통합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정책옹호연합모형에서 제시한 외부적 변인이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원인을 내부적 요인 중 특히 오랫동안 지속된 찬성과 반대의 대립을 조정시키고 합의로 이끌어내는 능력을 가진 정책중개자의 역할이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정책중개자는 옹호연합 간의 대립 및 갈등을 조정 및 중개하는 핵심행위자이다. 정책중개자의 역할의 차이에 따른 과정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지위’와 ‘정책선호’라는 개념을 통해 민선호 정책중개자, 관선호 정책중개자, 민-관선호 정책중개자, 선호없음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지위’의 경우 지방정치과정에서 조정 및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행위자 민간단체와 지방자치단체장으로 보았다. 조정 및 합의의 행위는 ‘정책선호’라는 개념을 적용했고 이는 통합을 공식적으로 제안하는 것과 합의문을 결정하는 행위로 구체화시켰다. 통합의 결과는 행정구역 통합 관련법들에서 제시한 절차를 기반으로 5단계로 분류했다. 연구 대상은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의 시도를 1기로,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의 시도를 2기로 분류했다.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 준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기반으로 했다. 이를 위해 공식문서, 회의록, 내부문서 등 다양한 문서들 및 신문기사가 이용되었다. 또한 행정구역 통합 과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결과적으로 1기인 2009년과 2009년 실패 후 실시된 2기의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통합 사례 4가지를 분석한 결과 1기에서는 전주-완주와 청주-청원 모두 민선호 정책중개자가 핵심적 역할을 했고 통합의 결과는 전주-완주는 여론조사, 청주-청원은 주민투표에서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2기에서는 전주-완주는 관선호 정책중개자가 주요 역할을 담당했으나 주민투표에서 실패했고 청주-청원은 민-관선호 정책중개자로 통합 설치법 단계까지 모든 통합 단계를 충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자면 시기, 지리적 조건, 역사적 배경에서 많은 외부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던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경우 정책중개자의 역할에 따라 통합 과정에서 차이가 존재했다고 할 수 있다. 민선호 정책중개자와 관선호 정책중개자의 유형에서 모두 한 쪽만 일방적으로 통합을 추진할 경우 주민 및 이해관계자들의 설득에 있어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민과 관이 합쳐서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할 때 통합에 대한 합의의 정당성 및 공감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朝鮮後期 郡縣地圖에서의 客觀的 기록과 主觀的 표현 : 1872年경의 忠淸地方地圖를 中心으로

        이단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1872년의 조선후기 지방 군현지도는 다양한 표현양식과 그 당시 지역의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군사적 요소 등을 보여준다. 인문적인 상황과 지역의 모습, 환경과 지역에 대한 인식 태도를 읽어 낼 수 있다. 산, 강, 도로, 읍치, 기물의 표현 방법도 각각 다르고 화원의 인식의 범위에 따라 지도마다 변화와 차이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도에서 보여 지는 당시의 지역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태도를 객관적 기록과 주관적 표현으로 범주화하여 지방지도에 나타나는 자연관, 도시관, 건축적 배치특성, 도시의 공간구조 등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특히, 기록과 표현의 문제에 주목하는 것은 지방지도 안에서 지도를 그려내는 주체인 화원과 세상이 되는 객체와의 관계를 살펴 이러한 주, 객의 관계가 어떠한 차이로 지도에서 나타나고 이러한 차이가 각각의 지방도시의 觀을 변화시키고 환경의 인식과 표현을 만들었는지 고찰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의 1872년 조선후기 군현지도 총459매 중 충청도 지도 51매를 대상으로 한다. 총459매의 지도 중 충청도 지도 51매를 택한 것은 다른 지도들에 비해 관청 건물을 중심으로 한 읍치의 공간 표현이 자세하여 인공적인 도시구조의 요소와 산, 강등의 자연적인 요소가 잘 표현되어 지방도시를 읽는 새로운 환경인식의 관점을 도출해 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조선후기 충청 지방지도에 나타난 주관적 표현과 객관적 기록은 조선후기 도시를 바라보는 환경인식 태도를 보여주고 당시 사회의 인구의 증가, 상공업의 발달, 장시가 확충되는 등의 도시사회가 행정적 거점에서 경제적 거점으로의 전환됨을 보여준다. 특히 회화적으로 표현된 군현지도는 지방도시의 독특한 정서를 반영한다.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보여주는 듯한 이들의 기록과 표현은 조선 후기 사회의 진경산수화의 차용과 발달을 보여주기도 한다. 地圖에 표현된 산과 하천은 邑城을 위주로 한 관권의 과시 수단이 되기도 하고 도시와 농촌을 갈라놓는 경계의 역할도 하였다. 충청지역의 도시의 입지는 하천을 따르는 교통로 상에 열을 짓는 형태로 나타난다. 邑의 鎭山을 중심으로 펼쳐진 관아건축물의 일반적 배치를 바탕으로 한 건축물의 표현은 각각의 화원마다 건축물에 따른 다른 해석과 시각을 보여준다. 도로나 배수 등의 도시체계가 나름대로 틀을 잡고 있었지만 쇄국주의 정책이나 유교에 치중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상공업을 억제하고 농업에 치중하는 경향으로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였다.산, 강, 도로, 건축을 하나로 보고 2차원의 평면에 정보적인 면을 주관적으로 기록한 군현지도는 축척, 방위, 스케일에서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지만 주관적인 그림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고 옛 도시를 복원 하는 데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서양의 그림이 투시를 위주로 한 3차원의 재현이라고 한다면 군현지방지도는 하나의 시점으로 고정되지 않고 지도의 내부를 遊泳하는 시각을 보여준다. 한 대상을 고정적인 시점에서 보지 않는 시각의 다양성과 복합성은 자유로운 시각의 유희와 환경을 인식하는 그들만의 관점을 보여준다. 산을 중심으로 읍성이 위치하고 강줄기를 따라 소산들이 위치하기도 하며 산은 읍을 보호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데 외부의 침략과 보호의 의미를 지니는 산의 역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우리의 문화적 인식을 공간적으로 확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도는 문화재와 국토의 자연형세를 파악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리적 지식 뿐 아니라 당시 인들의 예술혼을 엿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p of Chung-chong Goonhyun in subjectivity, objectivity and presentation. Each map of chung-chong Goonhyun is different when it comes to mountain, river, road, district, expression of architecture and it make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cope of painter's cognition. Through this study, a point of view of nature, city, building plan and urban space are to be revealed. Especially, we can find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painter and objective world, focusing on the records and the presentation of these map. It shows how standpoint of a district and awareness of environment and presentation have been changed.The method of research is as the following. First, verify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drawing, and listing detailed facts of the maps of chung-chong Goonhyun. Second, classifying expression of drawing, and then analyzing natural and human factors, a compass and scale. Third, comparing with a modern map, so that this research results in the difference of composition and expression.In this research, the issues about subjective presentation and objective recording are discussed.Consequently, this study produces the analysis abou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of painters, the regional features, and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painters in the presentation of the map.

      • 여자 고등학교 10m 공기 권총 사격 선수들에게 체간 안정화 훈련과 어깨 안정화 훈련이 정적 자세 균형, 체간 운동 기능, 유연성 및 득점력에 미치는 영향

        이단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시 지역 내 여자 고등학교 10m 공기 권총 사격 선수들에게 체간 안정화 훈련과 어깨 안정화 훈련이 정적 자세 균형, 체간 운동기능, 유연성 및 득점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격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천 지역 고등학교에 사격부가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홈페이지 또는 가능하면 유선, 온라인상으로(코로나 19로 인한 대안) 피험자를 일차 모집 후, 연구대상자(또는 법적 대리인)들의 동의를 얻어 10명을 모집하였고, 모든 대상자들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측정을 하여,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은 단순 무작위로 체간 안정화 훈련 그룹(Trunk Stability Group, TSG)과 어깨 안정화 훈련 그룹(Shoulder Stability Group, SSG)으로 분류 하였다. 5명씩 단순 무작위 배정하여 ACSM에서 제시해준 트레이닝 원리(FITT-VP)를 기반으로 8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로 정적 자세균형(족저압 측정기)과 체간 운동기능(Core Stability, Trunk Endurance Test), 유연성(좌전굴), 득점력(SIUS ASCOR)을 검사 하였고, 사후 검사도 마찬가지로 똑같이 측정하여 체간 안정화 훈련과 어깨 안정화 훈련을 통한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훈련 프로그램 적용 이후 정적 자세균형(족저압 측정기)과 체간 운동기능(Core Stability, Trunk Endurance Test), 유연성(좌전굴), 득점력을 사후 측정하였고,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적 자세 균형은 체간 안정화 훈련 그룹과 어깨 안정화 훈련 그룹에서 사전과 사후 결과가 체간 안정화 그룹에서는 증가하였고 어깨 안정화 그룹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나 수치상으로는 증가하여, 이상적인 족저 압력 균형감 비율인 50%에 가까워져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2. 체간 운동 기능은 체간 안정화 훈련 그룹과 어깨 안정화 훈련 그룹 모두에서 결과가 증가하였다. 3. 유연성은 체간 안정화 훈련 그룹과 어깨 안정화 훈련 그룹 모두에서 결과가 증가하였다. 4. 득점력은 체간 안정화 훈련 그룹과 어깨 안정화 훈련 그룹에서 사전과 사후 결과가 어깨 안정화 그룹에서는 증가하였고, 체간 안정화 그룹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나 수치상으로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그룹 모두 체간의 안정성과 어깨의 안정성을 증가 시켜 정적 자세균형, 체간 운동 기능, 유연성, 득점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10m air pistol shooters to help them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event injuri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training and shoulder stability training on the balance of static posture, trunk exercise function, flexibility and scoring ability of women's high school 10m air pistol shooters in the Incheon area. For the schools with a shooting division in the Incheon high school, the subjects were first recruited through the school website or possibly phone or online (alternative to Corona 19), and 10 students were obtained with the consent of the study subjects (or legal representatives),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all subjects, the selected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runk stability group (TSG) and shoulder stability group (SSG) by a simple random sampling. five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and exercised for 8 weeks based on the training principle (FITT-VP) presented by ACSM. The balance of static posture (foot scan), trunk exercise function (Core Stability, Trunk Endurance Test), flexibility (sit-and-reach test), and scoring ability (SIUS ASCOR) were examined by pre-test, were measured similarly to compare the results through trunk stability exercise and shoulder stability exercise. After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static posture balance, trunk exercise function, flexibility, and scoring ability were measured post-test, and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atic posture balance increased before and after results of the trunk stability exercise group and shoulder stability exercise group. The trunk stabilizati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increased numerically, approaching the ideal plantar pressure balance ratio of 50%.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2. The trunk exercise function increased results in both the trunk stability exercise group and shoulder stability exercise group. 3. flexibility increased results in both the trunk stability exercise group and shoulder stability exercise group. 4. scoring ability increased results in the trunk stability exercise group but shoulder stability exercis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increased numer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atic posture balance, trunk exercise function, flexibility, and scoring ability 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trunk and shoulders in both groups.

      • 정지용 시에서 '듣는 주체'의 출현과 '들음listening'의 감각

        이단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의 연구 목적은 ‘세계’와 ‘나’의 관계적 감각으로서의 ‘들음listening’을 증명하는 것으로, 정지용 시의 ‘주체’ 연구에 있어서 ‘듣는 주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그간 정지용 시의 근대적 주체성을 해명하려는 연구는 대개 ‘시각적 감각’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시각’이 단순히 ‘보는 것’을 의미할 뿐 아니라 주체의 ‘인식작용’으로서의 ‘표상’활동과 등치되면서 근대인의 감각 그 자체로 기능한다는 사실과 밀접한 것이었다. 그러나 정지용에게 있어서 ‘근대’란 ‘성취된 새로움’이 아니라, ‘주어진 낯섦’이었다. 그리고 이는 그가 ‘근대’라는 거대한 타자를 자신의 인식지평 속으로 끌어당겨 올 수 없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따라서 본고의 문제의식은 정지용이 ‘근대’라는 ‘타자’와 관계하는 방식이, 그것을 인식 ‘대상’으로 전유하는 ‘시각적 감각’을 통해서가 아니라 타자의 ‘들림’을 향하여 ‘나’를 개방하는 것으로 즉, 타자에 대한 ‘열림’으로서의 ‘청각적 감각’을 통해 수행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것이 바로 본고에서 주목하는 ‘듣는 주체’의 ‘들음listening’의 감각이다. 주체의 자아중심성이 아닌 자기개방성을 근본에 두는 ‘들음listening’의 감각은 정지용의 전체 시세계를 통괄하는 공통 감각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그것은 후기시편에 이르러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소위 감각적 이미지즘에서 전통적 자연시로의 전향(轉向)으로 평가되는 정지용의 시적(詩的) 이행이, 모더니즘의 ‘퇴행’이나 ‘실패’가 아닌 ‘들음’을 통한 [관계]에의 ‘확장’이자 더욱 적극적인 ‘들음’을 수행해나가는 과정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토대로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정지용 시세계의 변모양상이 결국은 세계와의 소통을 실현시키기 위한 주체의 욕망에서 추동되는 것임을 밝히기 위함이다. 본문은 정지용의 초-중-후기시편에 각각 나타나는 주체의 ‘들음listening’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본고의 2장에서는 정지용의 초기시편을 중심으로, 근대의 ‘들림’과 ‘나’의 ‘들음’이 서로 충돌하는 양상에 대해 설명한다. ‘근대’는 피할 수 없는 소리로 주체에게 ‘들리는 것’이었고, 이때 ‘나’는 근대의 ‘들림’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근대라는 현실과 관계한다. 그러나 이는 여타의 모더니스트들이 보인 맹목적인 ‘수용’의 태도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나’는 근대라는 ‘타자’의 ‘들림’ 속에서 동시에 ‘나’의 소리를 ‘듣고’ 또 ‘근대적인 것’과는 다른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으로 반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시적 ‘들음listening’은 정지용이 근대인으로서 근대에 저항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정지용의 종교시편을 분석하면서 ‘신’의 음성을 향한 신앙적 감각으로서의 ‘들음listening’에 대해 논의한다. 가시적이지 않은 ‘신’과 관계하기 유일한 통로로서의 ‘들음listening’은 ‘듣는 능력’ 이라는 전제조건을 주체에게 요구하는데, 이는 ‘신’을 절대자로 받아들이고 그의 앞에서 자신의 존재적 위치(‘낮음’)를 인정하는 데서 성취되는 것이다. 그리고 ‘듣는 능력’을 통한 주체의 ‘들음listening’은 절대적 존재와의 만남을 통해 삶을 새롭게 보는 신앙적인 ‘깨달음’ 속에서 증명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후기 자연시 속 주체의 ‘들음listening’의 감각을 다룬다. 정지용의 마지막 종교시편으로 추정되는 <슬픈 偶像>(1938)에서 ‘나’는 ‘신’의 ‘들음’을 의식하고 ‘신’에게 들리는 존재, ‘신’과 소통할 수 있는 존재가 되려는 결단을 보이는데 바로 이것이 후기시의 ‘들음listening’의 감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백록담》의 주된 공간인 ‘자연’은 ‘신’의 ‘愛’로 창조된 세계이자 ‘신’과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여기서 ‘나’는 ‘청종’의 태도를 보이고 세계를 온몸으로 끌어안는 ‘몸의 들음’을 실현한다. ‘청종’은 세계의 ‘들림’에 대한 귀 기울임이고, ‘몸의 들음’은 세계와 함께 어우러지는 ‘교접’으로서의 ‘들음’이다. 그리고 이러한 적극적인 ‘들음’의 움직임은 곧 ‘들음listening’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model of ‘hearing subject’ within the studies of ‘the subject’ of Jeong Ji-Yong’s poetry by proving ‘listening’ as a relational sense between ‘the world’ and ‘I’. Previous studies to elucidate the modern subjectivity of Jeong Ji-Yong’s poetry tended to focus on ‘the visual sense’ for the most part. This tendency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sense of ‘vision’, not simply meaning ‘to see’ but also being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on’ activity itself which is equivalent to the ‘cognition’ of subject, has been thought to function as a dominant sense for modern people. However, for Jeong Ji-Young, ‘modern’ was rather an ‘unfamiliarity assigned’ than ‘the new accomplished.’ A way of understanding becomes possible here that he could not bring the ‘modern’, the enormous ‘other’, into his horizon of 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Jeong Ji-Yong related himself to the ‘modern’ as ‘the other’ through ‘auditory sense’ in a way of ‘opening’ to the other, or to the ‘sonority’ of the other, rather than through ‘visual sense’ appropriating the other as a cognitive object. This would be the sense of ‘listening’ of the ‘hearing subjec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ense of ‘listening’, derived from self-opening of subject not from the egocentrism of a subject ‘closed’ to the world, functions as a significant and common sense in Jeong Ji-Yong’s poetry in general. And this sense appears more active in the poems of the latter work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Jeong Ji-Yong’s poetry based on an idea newly suggested here that his poetic shift, mostly assessed as a turn from so-called ‘sensible imagism’ to traditional nature poetry, is not such a ‘regression’ or ‘failure’ of his pursue of modernism but, rather, an expansion of the sense of relationship through ‘listening’ and also the very process of carrying out the ‘listening’ itself which gradually becomes more active. From this perspective, it will be explored how the desire of subject for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had promoted Jeong Ji-Yong’s poetic changes. This study consists of analysis of the distinguishing meanings of ‘listening’ in each of early, middle, and latter works of Jeang Ji-Yong. First of all, Chapter Ⅱ is dedicated to explain the conflict in his early works between the ‘sonority’ of modern and the ‘listening’ of ‘I’. As ‘modern’ manifests itself as sound that is inevitable to the subject, ‘I’ enters into a connection with ‘modern’ by acceptance of the ‘sonority’ of it. However, the acceptance in Jeong Ji-Yong’s early poems is distinguished from the attitude of blind ‘reception’, which was common among other modernists in that period. The difference is in that ‘I’ in his poems does not limit himself to the ‘sonority’ of modern by listening to his own sounds and other sounds that are distinct from ‘modernity’.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this simultaneous ‘listening’ Jeong Ji-Yong’s way of resistance to the modernity as himself being modern people. In Chapter Ⅲ, analyzing the religious poetry among the middle period works, this study argues the ‘listening’ as a sense of religious faith in the words of God. The ‘listening’, the only passage for relationship with non-visible ‘God’, asks ‘listening capacity’ as a prerequisite of the subject. This condition can be accomplished by accepting the absoluteness of ‘God’ and admitting the humbleness, subject’s existential position in front of ‘God’. The ‘listening’ of subject based on ‘listening capacity’ is proved in the religious ‘enlightenment’ with an experience of meeting the absolute being, getting new way of viewing his life. Finally, Chapter Ⅳ focuses on addressing the sense of ‘listening’ in the nature poetry, the latter part of Jeong Ji-Yong’s works. In ‘Sad Idol’(1938), assumed to be Jeong Ji-Yong’s last religious poem, ‘I’ becomes conscious of God’s ‘listening’ and shows a will to be a being audible to ‘God’. This will continues in the sense of ‘listening’ of the latter works. The ‘nature’, a main space in Baengnokdam, the collection of Jeong Ji-Yong’s latter works, is presented as a world created within the ‘agape’ of ‘God’ and also a place where communication with ‘God’ comes true. Here, ‘I’ listens to the voice of nature and realizes ‘listening of body’ embracing the world with his entire body itself. ‘Obedient listening’ and ‘listening of body’ of subject is an active motion of ‘hearing’ as a ‘contact’, mingling together with the world, which can be said the expansion of ‘listening’.

      • 인천광역시 일부 고등학생의 가공식품 영양표시 인식과 식습관 실태

        이단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천광역시 일부 고등학교 남녀학생 480명(남243, 여237)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품섭취를 위하여 영양교육에 따른 영양지식 습득 및 활용방안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가공식품 영양표시 인식과 식습관실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 243명(50.6%), 여 237명(49.4%)으로 나타났고, BMI는 정상 279명(58.1%)이 가장 많았다. 2. 가공식품 영양표시 인식은 447명(93.1%)가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확인정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많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p<.001), 가공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남자 59.8%는 ‘영양소를 확인하기 위하여’이며 여자 43.0%는 ‘체중관리를 위하여’, 39.7%가 ‘영양소를 확인하기 위하여’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가공식품 선택 시 학교에서 배운 영양지식의 활용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많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p<.01)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홍보 필요성은 ‘필요하다’가 63.1% 이었다. 3. 가공식품 구매 시 영양표시 사항 중 중요부분은 ‘총 지방, 포화지방 및 트랜스지방’이 3.75점으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열량표시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5). 4. 가공식품 구매 시 확인사항 중요도는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 4.21점으로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의 중요도가 여자가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5. 식습관 조사는 조사결과 ‘식사는 가족 또는 친구, 지인들과 함께 한다.’ 가 3.3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식에 대한 점수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게 나왔으며, 식사를 할 때마다 영양을 고려해서 먹는 것에 있어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5). 6. 가공식품에 대한 선호도는 ‘기타음료류(이온음료, 탄산음료, 카페인음료 등)’이 4.03점으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빵류(도넛, 샌드위치 등), 과자류(쿠키 등), 사탕 초콜릿 류, 빙과류(아이스크림 등), 과일 및 샐러드(포장 된 것-컵 과일 등) 선호도가 남자에 비해 여자가 높게 나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7. 간식 섭취횟수는 ‘하루에 1회’가 33.1%로 하루 중 간식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시기는 ‘학원가기 전’이 2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야식’이 남자는 16.9%, 여자는 6.8%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5). 주로 간식을 사먹는 장소는 ‘편의점’이 45.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으로 가공식품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맛’이 44.4%, ‘학원 등으로 인해 밥 먹을 시간이 없어서’가 26.5%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렴한 가격’이 여자가 23.2%, 남자가 12.4%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은 영양표시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활용도가 낮았고, 관심 또한 없는 것으로 나왔다. 영양표시 확인사항에 대해서는 본인이 필요한 내용만 확인 하였으며, 하교 후에는 학원 수강 등의 이유로 식사 대신 간식섭취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 확인율이 많지 않은 것에 비해 하루에 1회 이상 간식섭취가 많고, 학원으로 인하여 시간이 부족하여 식사대용으로의 가공식품을 섭취하는 학생이 많아 직접 선호하는 식품을 선택하게 되면서 영양 불균형 및 건강에 해로운 식품을 접하는 일이 증가하므로 영양표시 확인 및 활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과 간식선택으로 풍부한 영양섭취를 위해 영양지식의 활용과 식품의 영양표시에 대하여 다양한 교육자료 및 교육방식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식품선택에 응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o summarize the results of study on recognition of nutritional labeling of processed food and eating habits and snack intake status of 48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for the gender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243 participants were males (50.6%), and 237 participants were females (49.4%), and 279 participants had normal BMI (58.1%). As for the recogni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f processed food, 447 students (93.1%) recognized them. As for the degree of checking nutrition label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s the females recognized more than the males did (p<.001), and as for the reason for checking nutrition label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s 59.8% of the males would check them “to check nutrients” while 43.0% of the females did so “to manage their weight” (p<.01). As for the degree of the utilization of nutrition knowledge learned at school when choosing processed foo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s the females utilized that more than the males did (p<.01), and as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of nutrition labels, 303 participants responded, “it would be necessary” (63.1%). As for the important parts of nutrition label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the importance of ‘total fat, saturated fat and trans-fat’ 3.75 points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s females attached more importance to nutrition labels than males (p<.05). As for the importance of the items to check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the importance of “the date of manufacture” and “the expiry date” 4.21 points was the highest,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p<.01). As for the survey of eating habits, as a result, the response, “I eat with family, friends or acquaintances” 3.35 points was the highest,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I eat only what I want” and “I eat, thinking about nutrition whenever I eat” between the genders (p<.05). Preference for processed food was the highest for ‘other beverages (sports drink, carbonated beverage, and caffeine beverage, etc.)’ 4.03 points,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in the preferences for bread (doughnut and sandwich, etc.), snacks (cookie, etc.), candy-chocolates, frozen desserts (ice cream, etc.), and fruits and salads (packed ones and cup fruits, etc.)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p<.01). As for the number of times of eating between meals 33.1% ate “once a day,” and as for the time when they ate a snack most often a day, most of them 21.0% responded, “I eat snack before going to the private institute”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s 16.9% of the males and 6.8% of the females responded, “I have a late-night snack” (p<.05). As for the place where they mainly bought a snack, most of them 45.4% responded, “I buy a snack at a convenience store,” and as for the main reason why they used processed food as a snack 44.4% responded, “taste,” which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s 23.2% of the females and 12.4% of the males responded, “low price” (p<.01).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found that although students recognized nutrition labeling and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 they could not actively use it and had no interest in it. They also only saw contents that are thought to be necessary, among items confirmed of nutrition labeling and often ate snack as a substitute for meals, due to private institute lectures after school. As the number of adolescents who ate snack more than once a day has been increased, they select food based on their own preference and therefore, they were more often exposed to the imbalance of nutrition and food which caused harm to their health, so the nutrition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It is thu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actively use nutrition labeling for adequate nutrition intake through correct eating habits and selection of snack, by using a variety of funny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and detailed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which they can select food is also required.

      • 아미노산 반응 시약들의 다공성 표면에서의 잠재지문 현출에 관한 연구

        이단비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잠재지문 현출의 목적은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 피부 분비물과의 반응 결과를 이용하여 지문 융선과 배경 간의 대조비를 높이고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함이다. 종이와 같은 흡수성이 있는 다공성 표면의 잠재지문 현출은 지문 내 아미노산 성분을 이용하여 현출한다. 본 실험은 다공성 표면에서 잠재지문의 현출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반응 시약 8가지(Ninhydrin, 1,8-Diazafluoren-9-One (DFO), 1,2-Indanedione (1,2-IND), 5-MTN, DMAC (4-Dimethylaminocinnamaldehyde), DMAB (4-Dimethylaminobenzaldehyde), genipin, lawsone)를 선정하여 아미노산과의 반응성 및 지류의 배경색에 따른 흡광 및 형광지문 현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Lothar Schwarz(2009)가 제안한 잉크젯 프린트 기법을 적용하여 아미노산 희석용액(1/1, 1/10, 1/100, 1/1000, 1/10000)에 대한 시약 반응을 실험하였다. 표준용액(1/1용액)에서 식물 유래 천연물질인 lawsone은 지문 현출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genipin은 약한 적색 형광 지문을 현출한 반면, 나머지 시약에서는 잠재지문과의 반응결과를 모두 관찰하였다. 1/1000 용액에서 반응 결과를 보인 시약은 DFO, 1,2-IND로, 형광 모드로 관찰하였을 때 형광 지문을 관찰하였다. 배경색에 따른 잠재지문 현출 실험의 결과, 흑색과 적색 표면에서는 지문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황색, 녹색, 청색 표면에서는 ninhydrin을 처리한 지문에서 흡광 결과를 얻었고, DFO를 처리한 지문에서는 백색 표면의 결과보다 약한 적색의 형광지문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인쇄 지문 표준용액의 아미노산 지문에서 융선이 번지는 현상이 다소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미노산과의 반응성이 좋은 시약은 DFO와 1,2-IND이며, 다공성 표면의 색상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형광 지문의 현출에 용이한 시약은 DFO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