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BS <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국내거주 외국인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 사례 연구

        이노미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5

        본 연구는 KBS 휴먼다큐멘터리 <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국내거주외국인과 한국인의 일상적 대인관계에 나타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 요인의 구조적 내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주화의 급속한 증가는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을 촉구함과 동시에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 간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가속화시켜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인이 출연하는 방송프로그램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 사회의 문화적 적응은 타문화에 필요한 의사소통양식을 습득해가는 과정으로 TV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의사소통의 단서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습득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그러므로 TV에 재현되는 상이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에 대한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KBS<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거주외국인들은 언어와 문화적 이질성, 인종차별과 편견의 장애요인에 의해 한국인의 고맥락과 총론적, 권위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상반되는 저맥락, 분석적, 수평적 방식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TV매체를 통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주민과 내국민이 문화적 ‘다름’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상호문화주의의 재현이 실현되어야 한다. 나아가 TV매체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유도하는 문화학습의 교육도구로서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전략을 구사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TV매체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우리사회에 편입된 이주민의 대인접촉관계를 성찰함으로써 내국인과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을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갈등양상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aus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nflicts that occur during ordinary interpersonal relations between foreign residents in Korea and Koreans, as demonstrated in the KBS show 'My Neighbor, Charles'. Cultural adaptation in a society i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another society, and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clues of communications via TV is equivalent to acquir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echnique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ases as introduced in the KBS show 'My Neighbor, Charles' from this particular perspective show that foreign residents in Korea suffer from low-context, analytical and horizont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nflicts as opposed to the high-context, general and authoritative communications among Koreans due to the heterogeneity in the language and culture, ra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s. Against this backdrop, revitaliz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via TV requires the realization of mutual culturism. Moreover,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llow TV to play a proper role as a culture learning tool that induces correct awareness and attitud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basic data and references pertaining to the conflict aspects required to minimiz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nflicts between foreigners and locals by promot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V media and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interfaces and relationships with the immigrants being absorbed into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ㆍ일 가치관을 통해 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

        이노미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0 일본사상 Vol.0 No.19

        Nowadays, development of network and global traffic network is rapidly increa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fact that communication transmitters and receive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with distinctive cultural background use different languages implies not just they do not share communication codes but also cultural conflict might aris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ir values internalized in the messages exchanged.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conflic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resulted from the types of cultural values through content analysis on literature text recorded by Japanese liv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Koreans tend to avoid uncertainty, have collectivism, authoritarianism, and positivity, express aggressive emotion, and pursue straightforward, subjective, and unilateral communication whereas Japanese are inclined to indirect, objective, and modest communication as they show codependency and emotional control since there coexist collectivism-individualism and values of vertical-horizontal human relations in Japan. On account of this, Koreans consider Japanese likely to use obscure expressions with passive attitudes to suppress their feelings and limit private questions to be lukewarm and twofold and also uncomfortable to be with for their true heart can never be known however, there is also a hindrance factor that Japanese feel unpleasant when asked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by Koreans. It was also found that Japanese misunderstand Koreans are selfish, rude, and imprudent hardly controlling their feelings and always holding fast to their own opinion unilaterally, so communicative conflic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occurs inevitably. In order to resolve cultural conflict lying in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and make the communication smoother, it is demanded to establish communicative strategies to understand the systems of their cultural values and cultivate communicative competence between the cultures. 본 논의는 비교문화관점의 한ㆍ일 대인접촉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거주 일본인들이 기록한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해 문화가치체계에 따른 한ㆍ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는 정량적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은 한ㆍ일 양국의 독특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이 무엇인지 발견해내는 작업이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은 메시지의 오해와 왜곡으로 인한 문화갈등의 부정적 효과를 초래하는 반면 긍정적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은 국가 간 상호이해와 적극적 문화교류가 시행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ㆍ일 양국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을 규명하는 작업은 일본문화의 이해를 촉진할 뿐 아니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상이한 가치관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논의에서는 무엇보다 먼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다양한 문화가치유형을 파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인 텍스트에 나타난 한ㆍ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을 순차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한ㆍ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결론 부분의 마지막 장에서 매듭지을 것이다. 이러한 한ㆍ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양상에 대한 고찰은 최근 한류를 바탕으로 촉발된 한ㆍ일간의 적극적인 문화교류와 관광객, 유학생 등 대인접촉의 빠른 증가에 따른 메시지의 오해와 갈등의 부정적 인식을 잠식하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른 강원 지역어 의식양상과 방언의식의 매개효과 연구

        이노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른 강원 지역어 의식 양상과 방언의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에 접근하고자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으로 강원 지역어 의식과 일반적인 방언의식, 커뮤니케이션 능력, 인구통계학적 속성 측정항목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원 지역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은 성별, 출신지역, 거주형태, 소득수준, 지역어 접촉매체로 파악되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른 강원 지역어 의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언어적 능력은 부정적 의식에 관여하며 양측 관계에 있어 방언의 중요성과 활용성이 매개효과로 작동한 결과가 주목된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의 인지⋅정서적 능력과 대인관계적 능력이 강원 지역어의 긍정적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강원 지역어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먼저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을 활용한 홍보 및 교육 방안의 실천적 전략이 필요하다 하겠다.

      • KCI등재

        강원도 배경 영화에 나타난 지역어 재현 양상 비교 연구

        이노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1 No.3

        지역어는 단순한 언어적 변형이 아닌 삶의 터를 공유하는 지역 구성원들이 역사적 경험을 축적해가는 문화적 표상이자 다양한 관계성의 총체로 ‘강원도다움’의 원천은 강원 지역어에서 창출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배경 영화에 나타난 강원 지역어의 사용양상과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강원도 배경 영화 4편을 선정하여 질적 자료 분석프로그램인 NVivo14를 활용하여 고빈도 어휘가 사용되는 대사를 분석함으로써 영화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강원도 배경 영화에서 지역어를 발화하는 등장인물 대부분이 20~30대 남성으로 교육 수준이 낮은 하류층의 순박한 성품을 지닌 캐릭터로 묘사됨으로써 강원 지역어는 촌스러우면서도 순박하고 정겨운 이미지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영화 대사에 드러난 강원 지역어 어휘 수량과 빈도를 분석한 결과 특정 종결어미의 반복성, 대명사의 적극적 활용, 부사의 몰입성, 명사의 빈약성이 실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 중 음운과 문법, 어휘적 관점에서 강원 지역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실현한 <웰컴 투 동막골>이 흥행에 가장 성공하였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를 통해 영화 매체에서 강원 지역어 활용방안을 모색함과 더불어 관객들에게 강원 지역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도모하고 영화 매체의 지역어 분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외국인 텍스트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표상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이노미 순천향대학교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7 No.-

        탈영토화로 인해 삶의 초점이 국가가 아닌 도시로 바뀜으로써 도시들 간의 경쟁 또한 날이 갈수록 심화되어 '마음의 풍경(mindscape)'으로 표상되는 심상의 감성적 공감을 통한 도시 브랜드 아이덴디티(Brand Identity) 전략이 중요시 되고 있다. 서울의 컬처노믹스(Culturenomics) 정책 또한 불명확한 도시적 이미지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정체성의 추구이다.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서는 개발위주의 컬처노믹스 정책의 그 모든 실용적 사유를 접어두고 무엇보다 먼저 '인간'을 위한 장소, 즉 '감성'과 '휴머니티'가 내재된 아우라가 있는 서울의 정체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먼저 고민하여야 한다. 바로 이것이 도시가 경제와 기술의 산술(算術)이 아닌 인문학적 사유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는 21C 지식정보사회에 있어 '창조적 계층(Creative Class)'으로 도시 경쟁력의 원동력인 국내 거주 외국인의 '서울 표상'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서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 읽기를 통해 살펴본 외국인의 서울 표상은 아우라가 없는 불확실한 미완의 정체성을 지니며, 전통 한옥과 골목의 열린 공간을 통한 생태학적 고유성과 함께 일상의 삶에서 경험하는 '역동성'은 '서울다움'이 구체화된 이미지로 표상된다. 이러한 서울의 '정체성 부재'는 다름 아닌 도시는 '사람'이 중심이라는 인문학적 사유를 팽개친 그 시점부터 시작된 것이다. 이제 외국인의 서울 표상에서 서울의 정체성을 치유할 수 있는 미래 비전의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하학적 공간으로 기형화된 서울 풍경을 도시 의미의 근원으로 부활시키는데 주력하여야 하며 인간과 자연, 역사와 문화가 함께 숨 쉬는 실존 경험의 친환경 가치구현의 장으로서 인간주의적 감성도시로 거듭나야 한다. 본 논의는 외부 관찰자인 외국인 창조계층의 서울 표상을 통해 도시 브랜딩 아이덴디티 전략에 필요한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mainly conducted to examine identity of Seoul to strengthen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Seoul Representation' of foreigners in Korea which is perceived as the motivation of city competitiveness as 'Creative Class'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Due to deterritorialization, the focus of life is changed to cities not to nations and accordingly competition between cities is getting fierce, so city brand identity through emotional sympathy of image that is representationed as 'mindscape' is increasingly important. Culturenomics policies of Seoul are also the pursuit of identity that tries to get out of uncertain urban images. However, Seoul in texts of foreigners in Korea is marked as the city without aura due to its uncertain identity of 'no heart or spirit' caused by disharmony between modern and tradition. Nevertheless, Seoul has uniqueness of a hanok(Korean-style house) and an alley as an ecological open space for 'humans' and 'nature' and further it is representationed as exuberant dynamic and positive identity of difference accumulated by trivial everyday life and taste. Therefore, this study seem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foundation for city branding identity strategies through the symbol of Seoul from creative class of foreigners who are exterior observers.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각매체 비교연구 - 중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손짓언어의 시각매체 교육효과와 학습자 관여도에 대한 특성과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는 한ㆍ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손짓언어는 각기 다른 문화규범에 의해 형성된 상징기호인 까닭에 다의적인 메시지 해석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비언어 습득을 위한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주요목표는 상이한 문화구성원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태도 변화를 유도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때문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에서의 인지적 접근을 위한 시각매체의 활용은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구하여 비언어 정보취득에 유용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 의해 중국 손짓언어 교육의 시각매체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에서는 한국 영상자료가 가장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학습자 관여도에서는 중국영상과 한국영상, 사진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시각매체별 관여도에서는 학습자의 흥미가 학습효과에 효율적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시각매체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비언어 단서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함께 매체 자료내용이 학습과정에 유기적으로 통합되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통한 문화갈등 해결 능력의 긍정적 효과가 보다 확대되도록 시각매체의 올바른 활용방안이 구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론적으로만 수행되었던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지적 접근교육에 실용성을 부여함으로써 시각매체 교육방안의 실질적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earner’s involvement and seek ways to promote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inducing changes in cognitive attitude of learners with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s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for cognitive approach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enhances the motivation of learners and works as a useful tool for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in terms of effects of learning, Korean visual data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achievements and in regard to learners’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more learners were interested in Chinese images, Korean images, and photographs. Considering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along with raising new awareness about nonverbal signs, it should be reviewed if the contents of the media are organically integrated in the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to expand the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cultural conflicts through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ays to properly use instructional media should be sough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nvolved practicality in the cognitive approach to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has only been made theoretically, and provided practical starting point for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유튜브에 나타난 강원도 지역어의 어휘 사용 양상과 특성 연구

        이노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8 No.3

        Regional language is a cultural resource fused with the lives and spirit of local communities so having knowledge of regional language vocabulary not only enhance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syntactic context and pictorial knowledge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 vocabulary but also possesses equivalence that looks into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At th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language of Gangwondo that appears in YouTube videos. Research results showed the active realization of diversity with regard to final endings, the active utilization of adverbs, the commercialization of vocabulary related to food and the physical body, the emergence of the vocabulary of ‘talk’, and varia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of∼because. Also, with regard to vocabulary use according to video type, it was deduced that reporting types mostly used characteristic vocabulary, educational types mostly used non-commercial everyday vocabulary, and entertainment types actively used regional language vocabulary in songs, poems, dramas, and navigation systems. In particular, of all the studied videos, 51.6% of the videos used the regional language of Gangneung and 30.6% used the regional language of Gangwondo with no particular area distinctions and the fact that the regional language of Gangwondo was identified with the regional language of Gangneung was worth notice. It is hoped that these results can minimize heterogeneity regarding regional language, promote new awareness regarding the regional language vocabulary of Gangwondo, and provide beginnings for communication research on new media vocabulary analysis. 지역어는 지역공동체의 삶과 혼이 오롯이 녹아든 문화자원으로 지역어 어휘를 안다는 것은 다른 어휘와의 관계를 통한 통사적 맥락과 화용적 지식의 커뮤니케이션능력 향상은 물론 퇴적되어 온 지역의 문화적 속성을 파악하는 등가성을 지니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튜브에 나타난 강원도 지역어 어휘의 사용양상과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종결어미의 다양성과 부사어의 적극적 활용, 음식과 신체관련 어휘의 상용화, ‘지걸이다’ 어휘의 부상, 담화표지∼가지구의 변형 등의 어휘사용이 적극 실현되는 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 동영상 유형별 어휘사용에 있어 보도형은 고유어휘, 교양형은 비상용화된 일상어휘 비중이 높으며 오락형은 노래, 시, 드라마, 네비게이션 등에 지역어 어휘가 적극 활용되는 특성이 도출되었다. 특히 전체 조사대상 동영상 중 강릉지역어가 51.6%, 특정지역 구분이 없는강원도 지역어가 30.6%를 차지함으로써 강원도 지역어가 강릉지역어로 동일시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지역어 어휘에 대한 이질성을 최소화하여 강원도 지역어 어휘에 새로운 인식을 도모하고 뉴미디어의 어휘 분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한다

      • KCI등재

        의사소통전략에 따른 Code Switching 사용 동기 연구: 표준어와 삼척지역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3

        In diglossia environments, code switching, in which standard languages and regional languages are changed over and us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conditions and contexts to suit communication goals, actively occurs. At thi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motivators and characteristics of code switching among standard languages and Samcheok regional languag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rategie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3 communication factors of information provision, problem solving, and standard expressions affect code switching use motivators. Also, analysis revealed the 4 social relationship factors of social distance, generation gaps, community spirit, and position along with the emotional factor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2 sub-factors of amus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worth focusing on the fact that hierarchical recognitions of standard languages and regional languages along with the distinctive accents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s and unconscious speech tones were revealed to be the causes of formation that take lead in code switching.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promote new perceptions of regional languages and to provide keys to communication research regarding the code switching aspects of regional languages and standard languages. 양층언어적 환경에서는 커뮤니케이션상황과 맥락에 따라 표준어와 지역어 두언어를 의사소통 목적에 맞게 서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코드 스위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닌다. 코드 스위칭은 커뮤니케이션 발신자가 언어자원 부족으로 의도한 메시지 전달이 어려울 때 대체가능한 언어 형식을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 의 대표적 방식으로 양층언어 사용자인 지역민에게 하나의 언어 현상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전략에 따른 표준어와 삼척지역어의 코드 스위칭 사용동기 요인과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연구결과 정보제공과 문제해결, 준거적 표현의 3가지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코드 스위칭 사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사회적 거리와 세대차, 공동체 의식, 사회적 지위의 4가지 ‘사회관계적 요인’을 비롯해 ‘감정적 요인’에서는 감정표현과 오락성의 2가지 하위요인이 분석되었다. 반면 표준어와 지역어의 계층적 인식과 삼척지역어 특유의 억양과 어조의 무의식적 발화가 코드 스위칭을 전도(前導)하는 생성원인으로 밝혀졌다는데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지역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도모하고 지역어와 표준어의 코드 스위칭 양상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한국과 아시아 지역 손짓언어의 비교 연구

        이노미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6 No.2

        Hand languagemakes up for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among those with different languageSystems, controls themutual relationship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elivers importantmessages inmutual exchanges. In order tominimize discord between different hand languages by region, it is necessary toPerceive and learn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Specific nature of the hand language communicationSystem. ThisStudy aimed to contribute toSmooth communication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and languagemovementSystems between Korea and other Asian regions. As a result, Japan and China, which are adjacent to Korea and Taiwan, all of which are in Northeast Asia, have usedSimilar hand languages, whereasmongolia and Nepal have used totally a different hand language from that of Korea due to local isolation. In addition, Korea and other Asian regions had it in common that they developed hand language expressing hierarchy, respect, and humility, which are intrinsic expressions from the distinction of classes because of a local characteristic of collectivism.moreover, they wereSummarized as being lacking in diversity in abstractmotion types owing to an oriental value inPursuit of refrained behaviorPatterns. 손짓언어는 상이한 언어 체계를 가진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언어를 보강해주고 감정표현의 상호관계를 조절해주며 상호교류의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지역별로 각기 다른 손짓언어의 불일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손짓 언어 의사소통 체계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지, 습득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아시아 지역 손짓언어 동작 체계를 비교분석하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인접한 일본, 중국, 대만의 동북아 지역은 서로 유사한 손짓언어를 사용하는 반면 몽골과 네팔은 지역적 고립성으로 한국과 전혀 다른 손짓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한국과 아시아 지역 손짓언어는 집단주의의 지역적 특성으로 계층구별의 수직성과 존경, 겸양의 내재적 표현의 손짓언어가 발달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또 절제된 행동양식을 추구하는 동양적 가치관에 의해 추상적 동작형태의 다양성이 결여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요약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