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ctive Inductor를 위한 능동대역통과필터의 설계 및 제작

        이기훈,신용환,임영석 전남대학교 전자통신기술연구소 2001 전자통신기술논문지 Vol.4 No.1

        In this paper, Active Band Pass Filter using AI(Active Inductor) is designed and fabricated. Active Inductor represented 1.74 nH inductance only using Single P-HEMT (Pse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 ATF-34143 producted by Agilent) and its characteristies are similiar to ideal 2 nH inductor. The whole circuit was fabricated on the Teflon substrate ( ε_(y)=3.38, T=0.78mm) using a microstrip line and ADS(Advanced Design System) was used in order to design and optimize. The results between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Active Band Pass Filter have good agree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ctive Band Pass Filter using AI (Active Inductor) adequate for recievers of IMT-2000 User Equipments

      • 국내 대학교 경영학부의 e-비즈니스학 교과과정의 운영 현황

        이기훈 전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産經論叢 Vol.19 No.2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경영학의 패러다임도 일대전환의 계기를 이루었고, 이에 따른 경영학 교육도 과거 전통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야 할 시기이다. 최근 들어 많은 대학에서 e-비즈니스에 관련한 전공이나 교과목을 개설하는 추세인데,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경영학 교육의 현황과 e-비즈니스 관련 교과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우리대학도 e-비즈니스에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편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인데, 본 연구에서 그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1920년대 사회주의 이념의 전개와 청년 담론

        이기훈 역사문제연구소 2004 역사문제연구 Vol.- No.13

        The concept of `Youths` came to represent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society, which was supposedly equipped with moral standards and certain codes of conduct. Those `youths` were considered as vital and important figures who will lead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of the Korean people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especially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e `youths` were regarded as the future of Korea itself. The `Youths` were the embodiment of a new generation, a group of modern humans that featured distinct differences from the earlier generations, and they were the ones who were expected to actively engage themselves in the national modernization process, and serve practical functions which will determine the political and societal aspects of the country. In the 1920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various `movements` that were being launched inside the colonized Joseon society were demonstrating possibilities for the Korean people who were trying to build a new society, and the concept of `Youths` was the key component supporting or even encouraging such movements to be continued. The Socialists suggested another version of the `Youth` concep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ersion suggested by the Nationalists (which represented Capitalist characteristics). The Socialists referred to such version of their own as `Revolutionary youths`, and they were determined to base their actions and the ultimate goal of them as well upon such concept. In fact they were trying to seize control over the general Movement activities. In the early 1920s, the Socialists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collective, in terms of age and generation, to be `exactly that of` or `qualities on their way to become that of` the class-based leading figures(`7-l1if~~W) of the society. Such logic permitted them to connect the class issue with the Youth concept, eventually. Yet in the late 19205, the Joseon Socialist public movements witnessed considerable development in many areas, and the need to maintain the ultimate notion that had been insisting that `Youths are the avant-garde of the liberation movement` started to fade out. Discussions of the `class` issue took the center stage, and this trend ~as again reinforced after the thesis of December 1928 was announced. The concept of `Youth` as a generational title was only regarded as a concept with substance, when the `class issue` concerning the matter had been explored properly and enough. And until the rnid-1930s, the Socialists` discussion of the `Youth` concept only served in highlighting the inner divisions and fissures that were existing inside the entire `Youth` collective and were triggered by class differences.

      • KCI등재

        기술트리 기반의 공간정보 기술 활용 및 관리체계 수립 연구

        이기훈,이세원,김도형,임시영 한국지적학회 2024 한국지적학회지 Vol.40 No.1

        기술트리는 국내 공간정보 분야의 공백 기술을 진단하고 해외의 기술과의 경쟁력을 분석할 수 있으며, 기술 간 위계나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일관성 있는 기술개발이나 로드맵 작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연구관리기관에서는 기술분류체계를 R&D 기획 및 선정 과정이나 기술개발 로드맵 과정에 활용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국제경쟁력이 취약한 기술분야를 지원하거나 시장성이 높은 기술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공간정보 관련 기술 분류체계는 대부분 광범위한 학술적 기술 분류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범위한 상위 수준의 기술 분류와 폭넓게 정의된 요소기술 분류로 인하여 공간정보 기술개발 및 계획 수립에 이용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공간정보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을 중점으로 기존의 기술분류체계보다 세부적인 공간정보 기술트리(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공간정보 기술트리의 활용을 위한 방안과 작성에서부터 운영‧유지관리 및 체계적인 갱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technology tree can diagnose gap technologies in the domestic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analyse competitiveness with overseas technologies, and identify hierarch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ies, contributing to consist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roadmap construction. In addition, some research management organisations are using the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R&D planning and selection process and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process. This shows that they are supporting technology areas with relatively weak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r focusing on technology areas with high marketabi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xisting geospatial information-related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s present a wide range of academic technology classifications, and are insufficient for use i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planning due to the wide range of high-level technology classifications and broadly defined elemental technology classif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etaile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ree that is more detailed than the existing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by focusing on the technologies that are mainly used in the field of geospatial information in Korea. In addition, we proposed a plan for the utilis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ree and a plan for operation, maintenance, and systematic updating from the creation.

      • 최소제곱오차법과 최소절대오차법에 의한 경기 스코어 예측및 전력 분석

        이기훈,정미희 전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98 産經論叢 Vol.16 No.1

        1998년 프랑스월드컵 아시아 예선의 참가 팀의 전력과 홈어드벤티지를 수량화하여 회귀 분석의 최소제곱추정법과 최소절대오차법으로 추정하였다. 팀 전력분석에서 두 방법에 의한 추정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였고, 경기결과에 따른 각 분석법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조선 명현 서화첩 필적유휘筆跡類彙 7첩에 대한 연구

        이기훈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29

        This paper introduces to PilJeokYuWhee of seven scrapbooks unearthed by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nd treats mainly with the composition. Most of PilJeokYuWhee is to collect traditional letter of wise men but includes pictures or calligraphic data which has great artistic value. The meantime, various scrapbooks and copybooks had become known to academic circles, mainly, this scrapbook of handwriting is that which tries to collect it of traditional letter. However, PilJeokYuWhee is not to collect a lot of pictures or calligraphic but to sort out good handwriting. In addition, PilJeokYuWhee is tied up to systemicity of confucian history. Compiler of PilJeokYuWhee is Jo HongJin (趙弘鎭, 1743~1821). He is scholar which appertains to the Soron faction in the 18th century, constitutes scrapbook by reflecting confucian scholar’s stance of the Soron faction. PilJeokYuWhee is composed of seven scrapbooks, thirteen pictures or calligraphy, Chun’s Hakhaeng‧Cheongsa, Ha’s Seobeop sang, Chu’s Seobeop Ha, Dong’s Munin‧Siin, Sa’s Sahan, Si’s Myeongsin, and Jeol’s Myeongsang‧Myeongjeol‧Hunsin‧Cheoksin‧ Mujang. These classify ancient sages and include their tendency and thought which appertains to the Soron. PilJeokYuWhee is valuable resource in the aspect which can se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and art history in according to flow of historical time, and provides various interpretation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발굴된 『필적유휘筆跡類彙』7첩에 대해 소개하며, 아울러 그 구성을 위주로 다루었다. 『필적유휘』는 대부분 조선 시대 명현들의 간찰을 모은 것이나, 예술성이 강한 회화나 서예 자료 등도 담겨 있다. 그동안 학계에는 여러 형태의 서첩과 법첩이 알려졌지만, 주로 이러한 필첩은 간찰첩을 모으는 데 힘을 썼다. 그러나 『필적유휘』는 양을 많이 모은 것이 아니라, 좋은 글씨만을 뽑아 첩을 구성한 것이다. 게다가 『필적유휘』는 유학사적 계통성을 지니고 첩장帖裝되었다. 『필적유휘』의 편찬자는 조홍진趙弘鎭(1743~1821)이다. 그는 18세기 후반의 소론계에 속한 학자인데, 이에 소론계 유학자들의 입장을 반영하여 첩을 구성하였다. 『필적유휘』는 춘‧하‧추‧동‧사‧시‧절의 7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춘春은 「학행學行」‧「청사淸士」, 하夏는 「서법상書法上」, 추秋는 「서법하書法下」, 동冬은 「문인文人」‧「시인詩人」, 사四는 「사한詞翰」, 시時는 「명신名臣」, 절節은 「명상名相」‧「명절名節」‧「훈신勳臣」‧「척신戚臣」‧「무장武將」이라는 7첩 13편으로 성첩되었다. 이는 선현에 대한 분류를 분명하게 하고, 당파적으로는 소론에 속한 자신들의 경향과 사상성을 담았다. 이 자료는 한국 서예사와 예술사를 역사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이며, 또한 서화첩임에도 문학‧철학 등 다양한 해석의 영역을 제공한다.

      • KCI등재

        조선 명현 필첩 『필적유휘筆跡類彙』 「사四」‧ 「시時」‧ 「절節」에 대한 연구

        이기훈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된 『필적유휘筆跡類彙』에 대해 그 내용과 역사적 사실, 그리고 그 가치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였다.『필적유휘』7첩에 대해서 이미 필자는 조선 명현 서화첩 『필적유휘』7첩에 대한 연구 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소개하였다. 이전의 논문에서는『필적유휘』의 전반에 대한 설명을 하였지만, 내용 소개 부분에 한정하여 말한다면『필적유휘』춘春·하夏·추秋·동冬에중심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전에 쓴 논문을 이어『필적유휘』「사四」‧ 「시時」‧ 「절節」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역사적 의의 및 가치를 설명하려 한다. 같은 필첩에 대한 논문을 쓰다 보니, 겹치는 부분은 이전 논문을 참조해야 하며, 새로 소개하는 부분에 더욱 중점을 두려 한다. 『필적유휘』는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조선 시대 명현들의 간찰을 모은 것이다.『필적유휘』춘은 이황李滉윤증尹拯 등 유학자들의 필적을 담았고, 하와 추에는 조선 시대 유가 예술인들, 대표적으로는 양사언楊士彦, 한호韓濩, 윤두서尹斗緖, 이광사李匡師 등의 작품을 담았다. 그리고 동에는 ‘문인文人’과 ‘시인詩人’들의 작품을 담았는데, 문인으로는 서거정徐居正, 김창협金昌協, 시인으로는 박상朴祥, 김창흡金昌翕 등의 작품을 담았다. 이전의 논문에서는 이를 성리학사 또는 철학사의 관점을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본격적으로 논하려는『필적유휘』「사四」‧ 「시時」‧ 「절節」은 성리학에서는 조금 벗어난 사람들의 작품이 담겨 있다.『필적유휘』사四는 사한詞翰이다. 여기에는 문장가들의 필적이 담겨 있다.『필적유휘』시時는 명신名臣이다. 여기에는 주로 위대한 정치적 업적과 절의를 남긴 사람들의 작품을 담았다. 그리고『필적유휘』절節은 하위 분류가 꽤 많은데, ‘명상明相’ , ‘명절名節’, ‘훈신勳臣’, ‘척신戚臣’, ‘무장武將’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훈신과 척신, 그리고 무장 부분은 정통적인 성리학이나 철학사에서 조금 멀다고 할 수 있다. 『필적유휘』 춘·하·추·동이 성리학적 미학적 측면을 보여 준다면, 사·시·절은 역사적이고 정치적이며 조선 전반을 지배하는 충효忠孝의 이념을 보여 준다. 특히 그 가운데 충忠이 위주이다. 사 시 절 에 한정하여 보자면3첩 7편으로 구성되었다. 『필적유휘』는 선현에 대한 분류를 분명하게 하고, 당파적으로는 소론에 속한 자신들의 경향과 사상성을 담았다. 이 때문에 『필적유휘』사·시·절 역시 대부분 소론의 역사 인식을 보여 준다. 그들의 역사 인식은 여전히 명나라에 대한 사대 의식과 정치적 업적과 이것이 어떻게 충효로 드러나는지 보여 준다. 이 필첩의 자료는 소론의 역사적 의식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적 상황을 오늘날에 읽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우리는 이를 통해 다양하게 이 자료들을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 가운데 우리는 그 가치에 중점을 둘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이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달리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PilJeokYuWhee possessed by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while focusing on its contents, historical facts and values. In relation to the 7 scrapbooks of PiJeokYuWhee, the author already published a paper titled “A Study on PilJeokYuWhee, the Seven Scrapbooks of Pictures and Writings of Wise Man in Joseon Dynasty.” The previous paper explained PilJeokYuWhee in general, but introduction of its contents was centered on Chun, Ha, Chu and Dong of PilJeokYuWhee. According,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s of PilJeokYuWhee in terms of Sa, Si and Jeol. Sincethis paper is about the same scrapbook of writings, any overlapping ideas can be found in the previous paper and this paper focuses on new ideas. PilJeokYuWhee is a collection of traditional letters written by famous wise men of Joseon Dynasty. Chun of PilJeokYuWhee contains handwriting of Confucian scholars like Yi Hwang and Yun Jeung. Ha and Chu contain works of Joseon artists such as Yang Saon, Han Ho, Yun Duseo and Yi Gwangsa. Dong contains works of ‘literary men’ and ‘poets.’ Literary men include Seo Geojeong and Kim Changhyeop. Poets include Park Sang and Kim Changheup. The previous paper interpret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or history of philosophy. Sa, Si and Jeol of PilJeokYuWhee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have works of people who are somewhat deviated from neo-Confucianism. Sa of PilJeokYuWhee is Sahan. This contains handwriting of fine writers. Si of PilJeokYuWhee is Myengsin. This mainly contains works of people who left great political achievement and integrity. Jeol of PilJeokYuWhee has many sub categories, comprised of 5 parts including ‘Myeongsang,’ ‘Myeongjeol,’ ‘Hunsin,’ ‘Cheoksin’ and ‘Mujang.’ Among them, Hunsin, Cheoksin and Mujang are deviated from traditional neo-Confucianism and history of philosophy. Whereas Chun, Ha, Chu and Dong of PilJeokYuWhee show neo-Confucian and aesthetic aspects, Sa, Si and Jeol are historical and political books that present the idea of filial piety that overwhelmed Joseon. Especially, the focus is on fidelity. Looking at Sa, Si and Jeol, the three books are comprised of 7 parts. PilJeokYuWhee clarifies the classification of ancient ages and contains tendencies and ideologies of people who belonged to the Soron faction. For this reason, Sa, Si and Jeol of PilJeokYuWhee mostly show historical awareness of the Soron. Their historical awareness reveals the toadyism of Ming Dynasty, political achievement and how they appear as filial piety. These scrapbooks of writings do not only show historical awareness of the Soron but also provide data to understand the timely context. They can be interpreted in a variety of ways. Among various interpretations, th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values. Furthermore, this paper offers the grounds to analyze the books in different ways.

      • KCI등재

        1930년대 미디어에 나타난 독자 대중의 욕망과 좌절 -조선일보 ‘독자사교실’을 중심으로-

        이기훈 연세사학연구회 2023 學林 Vol.52 No.-

        <독자사교실(讀者社交室)>은 1936년 조선일보가 운영한 실험적인 독자참여 지면이다. 이 무렵 흔한 독자 참여형태였던 독자 문예란이나 투고란과 달리, <독자사교실>은 독자들끼리 거래를 하거나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며 소통하는 공간이었다. 신문사는 지면을 제공할 뿐 내용에 대해서는 별달리 개입하지 않았고, 독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 공간에 참여하고 활용했다. 이 지면은 특별한 의견이나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요구를 제시하고 응답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그만큼 1930년대 지식인, 청년학생을 포함한 중산층 신문독자들 내면의 욕망과 좌절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독자들은 단순한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자였다. 그들은 편집진의 의도에 구애받지 않고 이 지면을 능숙하게 활용했다. 어린 시절부터 소년잡지 등을 통해 근대 미디어의 독자참여제도에 익숙했던 이들은 이 지면을 통해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일부 독자들은 민족운동이 활발하던 1920년대 매체에서 그랬던 것처럼 이 공간에서 윤리적 덕목이나 공동체 중심의 가치를 실현해 보려 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반면 미디어를 통해 기존 네트워크를 확장하거나 이익을 실현하는 시도들은 쉽게 뜻한 바를 이루었다. 일부 독자들은 사적인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올리거나 자작극을 연출하기도 했다. <독자사교실>이 독자들의 열렬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불과 1년만에 다른 형식으로 바뀐 것은 이 때문이었다. <독자사교실>은 조선 민족, 혹은 조선 사회 전체에 개방된 공간이 아니었다. 신문을읽고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인 중산층만이 이 공간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활용할 수 있었다. 신문을 읽을 수 있는 사람들도 모두 동등한 ‘독자’는 아니었다. ‘독자’는 기본적으로 지식인-중산층-남성 주체들이었다. 여성들의 참여는 드문 일이었고, 노동자 농민 등 소외받는 계층의 의견도 반영되지 않았다. 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은, 지면에 펼쳐진 독자들의 공간에서조차 평등한 공동체를 꿈꾸기 어려운 곳이 되었다. ‘Dokja Sagyoshiol (Readers’ Lounge)’ was an experimental space for reader participation launched by the Chosun Ilbo in 1936. It was a space for readers to do business, exchang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opposed to a readers’ contribution or opinion section. The newspaper provided the space but had little control over the content, and readers engaged with and used the space in a variety of ways. The space was used to present and respond to everyday needs rather than to present particular opinions or arguments, and as such it reveals the desires and frustrations of middle-class newspaper readers in the 1930s, including intellectuals, young adults and students. It is natural for ‘Dokja-Sagyosil’ to reflect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 but the it shows more. The readers who participated in ‘Dokja-Sagyosil’ were active participants, not passive recipients. They used the space for their own purposes, regardless of the intentions of the editors, and they used a variety of means to do so. Many of the participants were former readers of youth magazines. They were therefore familiar with the reader participation system of modern media. Some readers attempted to embody ethical virtues or community-oriented values, as they had in the 1920s media at the height of the national movement, without much success. On the other hand, attempts to use the media to expand existing networks and make profits were easily achieved. Some readers even published false information or staged their own dramas for personal gain. This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Dokja Sagyoshiol’ lasted only a year, despite the enthusiastic response from readers. ‘Dokja-Sagyosil’ was not open to the Korean people or to Korean society as a whole. Only the educated middle class, those who could read and understand newspapers, were free to come and go as they pleased. Even among those who could read newspapers, not all were equal ‘readers’. They were mainly intellectual, middle-class and male. The participation of women was rare, and the voices of marginalised groups such as workers and peasants were not heard. By the mid-1930s, colonial Korea had become a place where it was difficult to dream of an equal community, even in the space of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