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四佳 徐居正의 <次韻祁戶部大平館登樓賦>의 서술양상과 지향의식

        李九義 ( Lee Ku-eui )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29

        본고는 사가 서거정의 <기호부의 태평관 등루부에 차운함(次韻祁戶部大平館登樓賦)>이라는 부의 서술양상과 지향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집필되었다. 사가(四佳)가 이 <차등루부(次登樓賦)>를 지은 까닭은, 첫째, 우리나라 최초로 남의 작품에 차운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사가가 이 부를 지어 자신의 문장력을 발휘하고자 하였다. 셋째, 사가는 외교활동의 일환으로 이 부를 지었다. 사가의 <차등루부> 서술양상은, 첫째, 사가의 작품은 초기 사부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둘째, 결구(結句)법과 압운(押韻)은 『초사』 <원유(遠游)>의 구식을 많이 따랐다. 셋째, 한 구(句)의 글자 수는 혜(兮)자 앞뒤로 3자에서 7자로 한 구가 7자 내지 15자로 이루어졌다. 넷째, <차등루부>나 <등루부>가 <원유>와 다른 점은 대우(對偶)로 이루어졌고 각 구마다 압운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차등루부>에서는 용사(用事)를 많이 하고 있다. 여섯째, <차등루부>에서는 문답체는 있어도 대화체는 거의 없다. 반면 거의 모든 구절이 대우(對偶)로 이루어졌다. 사가의 <차등루부>에 나타난 지향 의식은, 첫째, 입신양명과 문명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상호 소통을 통한 보편세계이다. 셋째, 긍정적 사고와 드넓은 기상이다. 넷째, 지덕을 통한 도덕적 이상 세계의 실현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narrative aspect and intentional consciousness of Saga Seo Geojeong's Having a loan of meter of the poetical prose of the climb to the pavilion of Taepyeonggwan. The reason he created this work is, first of all, to show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works of other authors from abroad. Secondly, he created this work in order to show off his writing skills. Thirdly, he wrote the work as a part of his diplomatic mission. As for the narrative aspect of this work, it should be noted first that it takes the form of an early poetical prose. Second, the grammar and rhyme of the conclusion followed the old fashion style of Cho Sa in his essays on Woan You. Third, the number of characters in each phrase consisted of 7 to 15 characters, starting with 3 to 7 characters before, and then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after the character Hye(兮).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is work and the other works is the way in which the rhyme is employed. Fifth, in this work, there is substantial citation of the previous works. Sixth in this work, there is a question-and-answer format, but there is almost no dialogue, while on the other hand, almost all of the previous works were done in a completely opposite way. The consciousness of intention shown in Saga's work is oriented in the first place in the world of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Second, it is a universal world reach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ird, it a world of positive thinking and broad-mindedness. Finally, it is the realization of a morally ideal world achieved through virtue.

      • KCI등재후보

        최현(崔晛)의 「금생이문록(琴生異聞錄)」의 구성(構成)과 의미(意味)

        이구의 ( Lee Ku-eu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본고는 조선 중기에 살다간 인재(?齋) 최현(崔晛: 1563∼1640)의 「금생이문록」의 성격과 구성을 바탕으로 연구한 글이다. 성격 면에서 보면, 첫째 이 작품은 장르상 몽유록계 소설이다. 둘째 이 작품은 허구가 아닌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셋째 이 작품은 작자가 명시(明示)되어 있다. 넷째 작가가 이 작품을 쓰게 된 동기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이 소설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부(導入部), 전개부(展開部), 결말부(結末部)가 그것이다. 도입부는 자아가 입몽(入夢)하기 전까지의 상황, 전개부는 자아가 입몽한 뒤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이다. 이 부분은 말 그대로 자아가 꿈속에서 전개되는 여러 가지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 실제 이 소설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결말부는 자아가 각몽(覺夢)한 뒤의 상황을 서사하고 있다. 이 작품은 몽유록계(夢遊錄系) 소설의 형식을 빌려 자아의 지향의식(志向意識)을 서사하고 있다. 이 소설의 전개방식은 평면식(平面式) 또는 나열식(羅列式)이다. 이 소설에서는 등장인물에 대한 묘사가 뛰어났다. 등장인물들을 통하여 작가 자신의 지향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시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작가가 삽입시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묘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시를 통하여 그의 지향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 작품은 작자가 명시되어 있다. 둘째 자신이 출생한 고을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고 있다. 셋째 이 소설에서의 자아의 심리가 안정되어 있다. 넷째 작가인 최현(崔晛) 자신이 유학자이며 올곧은 선비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다섯째 이 소설의 창작 목표가 명시되어 있다. 여섯째 그 갈래가 전기(傳奇)에 해당한다. 이 작품 뒤의 여러 작품이 나오게 되는데 이 작품이 일조(一助)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InJae Choi Hyun`s Geumsaengyimunrok.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is work is a branch of a description of sleepwalking. This work based on not fiction but nonfiction. The author this work was known to conspicuously. This work is organized three parts. Namely, the part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The part of introduction is come within before the narrator falling in dream. The part of development is described of the narrator`s dreamworld. The part of conclusion is narrated awaking from dream and returninioig to realities. This work was described the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of the narrator. The formalities of development of this work is enumerative or planic.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is work was well describing of character. The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of the author`s was described by the characters. The core of this work is the poems which were included in the work. The included poems were described the poet`s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The significance of history of literature can be summarized with several things. The author of this work is exposed distinctly. The narrator described of self confidence of his hometown where he was bone. At this work, the mental state of narrator was kept quiet. The narrator described the author was the righteous of classical scholar. This work influenced next generation`s work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조선시대 시인(詩人)과 시정신(詩精神) -15,16세기 영남 사림파를 중심으로-

        이구의 ( Ku Eui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본고는 조선 전기와 중기, 즉 15,6세기 영남 사림파들의 시를 통하여 그들의 정신세계가 어디에 있는 가를 고찰한 것이다. 첫째 15,6세기 조선의 시인들은 선민의식(選民意識)을 바탕한 선비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은 자연을 벗 삼아 노래했으며, 귀소의지(歸巢意志)가 있었다. 둘째 이들은 의리학(義理學)을 바탕한 낭만적 세계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의 우주관(宇宙觀)은 주재(主宰)나 창창적(蒼蒼的)인 것이 아니라 훈리적(訓理的)인 것이었다. 이들의 학문은 대부분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낭만적(浪漫的)이었으며, 이 낭만적 세계관이 낙관주의(樂觀主義)로 귀착된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의리학(義理學)에 침잠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유흥을 통하여 세상을 긍정적(肯定的)으로 보았다. 셋째 이들은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을 중시한 문학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 당시 시인들은 경술(經術)에 대해 문장(文章)을 소기(小技)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실천면에서 보면 이들은 문학을 소기(小技)로 여기지 않았다. 이들은 도학(道學)과 문학(文學)을 겸행하였다. 넷째 이들은 우환의식(憂患意識)을 바탕한 현실관(現實觀)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현실세계에 관심이 있었다. 이들은 현실세계에 대한 우환의식과 참여의식이 있었다. 이들은 당시 백성들의 애환을 시로 묘사하였다. 다섯째 이들은 춘추사관(春秋史觀)을 바탕한 역사관(歷史觀)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의 역사관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자의 역사관을 따랐다. 즉, 이들은 상고주의(尙古主義), 정명주의(正名主義), 순환사관(循環史觀)을 바탕으로 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Chosen Dynasty`s poets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their poetry 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oem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The styles of theirs poems are frankness and openheartedness. he desired to practice innate of humanizing. The attitude of his prosecution of studies based on Wigizihak(爲己之學). In theirs poems, they described with the relm of a classical scholar and the chosen elitism. They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Confucian ethics and literary composition. Between these two things, they emphasized the Confucian ethics. It`s means the boundary of their spirit sphere was not stopped one point, but magnanimous. They hope pursuit learning themselves to their studies with their amusement. They criticize on problems in the actual lives and have a democracy. they accuse ``rotten`` government officials of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by their poems. They are anxious about the people`s economic difficulties. Though they were in government service, they have a consciousness of people. They have a consciousness of praise and censure and righteous moral duty for person. A ruler who governs the people, they think, should have a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a virtue of devotion and catholicity. They accomplished from the fundamental property of human beings through filial piety and loyalty. they promoted practical morals. They emphasized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whose`s parents and allegiance to whose`s country. Their home of spirit was the virtual idealism. An ultimate goal of their life was unity of nature and man. It is the expression of the simple spirit of the classical scholar. Lastly, they put superior to the spirit rather than reason and character. In their innermost feelings are overflowing with consciousness of distresses and worries.

      • KCI등재

        일반논문 : 서대(西臺) 김충(金沖)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이구의 ( Ku Eui Lee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본고는 서대(西臺) 김충(金沖: 1513-1572)의 시를 통하여 그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를 고찰하였다. 서대 김충은 조선의 성리학이 무르익어 가던 때에 살았다. 그는 성리학, 또는 도학을 바탕으로 문학 활동을 하였다. 여기서 그의 시에는 선비의 멋과 풍류정신이 나타난다. 서대는 공부만 한 사람이 아니다. 그는 풍류와 멋을 알았다. 그는 풍류의 근원을 자연에서 찾았다. 영롱(玲瓏)한 물방울을 보고 그 의미를 찾았다. 그는 자연을 훈리자(訓理者)로 보았으며, 자연에서 지극한 이치를 터득하였다. 그는 학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성을 회복하는 일이라 하였다. 시대의 조류와 맞물려 서대(西臺) 자신의 가학(家學)이 그에게 존심양성(存心養性)을 바탕으로 한 의리학을 충실히 할 수 있게 하였다. 서대는 도가 사람의 마음속에 있다고 한다. 이는 마음이 성정을 통괄한다는 말, 곧 심통성정(心統性情)이다. 이러한 이론은 그의 천인합일의 정신에서 나왔다. 그는 천인합일을 바탕으로 한 인문정신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그는 소강지유(小康之儒)가 아니라 대동지유(大同之儒)이다. 시는 그 시인의 정신을 표출한 것이다. 여러 사람들의 평가를 보면, 서대의 인품이 아결(雅潔)·고상(高尙)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인품을 지닌 사람이 지은 시는 충담(沖澹)·한아(閒雅)하다. 그의 삶은 안회(顔回)의 그것과 많이 닮았다. 곧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을 살았다. 이는 그가 지행합일의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도학을 몸소 이행한 결과이다. 서대(西臺) 김충(金沖)에 대한 연구 논문은 지금까지 전혀 없다. 그것은 그의 작품이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작품이 적다고 하여 그 존재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본고를 통하여 묻혀 있는 한 사람의 선비를 새로이 발굴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는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Seodae Kimchoong`s(西臺 金沖: 1513-1572)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his poetry i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Seodae Kimchoong lived in the maturity of confucianism era. He was born in courtesy family. He was doing literature activity grounded by confucianism, or moral philosophy. Here, his poem appears elegance of classical scholars and refinement mind. He was not doing only study. He knew refinement and elegance. He found originality of elegance by nature. He found the meaning by lucid water drop. He thought nature like a thing that gives admonition of the reason. He achieved obvious principle in nature. He was pointed in his literature, most essential is recover the characteristic of nature. He said in everyone`s mind there is politeness or virtue. This means mind generalizes character. In other words, it is the mind controls one`s nature and temper. This is the spirits of unity of God and man. He caught the viewpoint of human knowledge by unity of God and man. Who has this human knowledge is not a scholar of mean type that`s a scholar of a noble gentleman. It`s derived from an idea of the union of nature and man. Every poem express the poet`s mental. See the people`s comments, Seodae`s personality was grace and noble. The poem is rankness and tranquility. Because who has personality like grace and noble made it. His life resembles part of Anhoi(顔回). In other words he lived in content amid poverty and take delight in the Way. This is the result that he performed in learned man`s mind. From past to contemporary there is no article about Seodae Kimchoong. That`s because his poem hardly remains recently. We should not ignore the represents of him because of scarceness of his poems. Found significance about one buried learned man by this article.

      • KCI등재

        시대적 사명과 인문학의 역할

        이구의(ku-eui Lee)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4 No.-

        본고에서는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에 착안하여 현재 인문학의 현상과 앞으로 인문학을 회복 또는 부흥시키는 길, 앞으로 우리사회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사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인문학이 침체된 까닭은, 첫째 인간이 인간 대접을 받지 못한다. 현재 우리는 인문(人文) 시대가 아니라 반인문(反人文), 비인문(非人文)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둘째 공동체 의식이 무너졌다. 셋째 국가 지도자 또는 사회의 원로들 가운데 도덕적으로 결함을 가진 사람이 많다. 넷째 TV를 비롯한 대중 매체들이 남의 장점보다는 단점을 들춰내고 있다. 다섯째 공동체 의식보다는 개별 의식이 강하다. 여섯째 세대 또는 계층 간 소통(疏通)이 되지 않는다. 일곱째 자신이 한 일에 대하여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여덟째 물질문명을 중시한 나머지 인성이 메말랐다. 인문학을 회복시키고 이를 부흥하는 지름길은 지역 인문학을 활성화 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를 실천하여야 한다. 첫째 지방화 시대 지역 인문학이 세계 인문학이라는 생각으로 지방의 인문학 민(民)・관(官)・학(學)이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둘째 이 세 부류의 사람들이 협력하여 지방의 문헌(文獻)을 조사(調査)한 뒤 이를 바탕으로 지방 인문학을 연구하여야 한다. 셋째 문헌을 통한 인문학 자료를 조사하는 일을 마치면 그 문헌이 생성되었던 현장을 조사하여야 한다. 넷째 사람이 살았던 곳이나 그 인물들이 활동하였던 범위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문학 자료를 정리하여 문화지도를 만들어야 한다. 여섯째 지역을 단위로 인문자료를 종합한 자료지(資料誌)가 나와야 한다. 일곱째 각 지역의 인문학 요소 가운데 그 지역의 특징적인 것을 부각시켜야 한다. 미래 사회에 인문학과 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적으로 인문학을 다른 그 무엇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삼지 말아야 한다. 둘째 인문학에 종사하는 학자들부터 명예욕(名譽慾)을 비롯한 부당(不當)한 욕심을 버려야 한다. 셋째 흩어 진 마음을 융합(融合)하는데 인문학이 앞장서야 한다. 넷째 인문학이 전통문화 계승의 주체자(主體者)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세계를 주도하는 인문학을 정립하여야 한다. 여섯째 인문학의 궁극적 목표인 인문주의(人文主義)를 이루는데 인문학이 앞장서야 한다. 일곱째 이 인문주의를 이루는 지름길인 순리(順理)에 인문학이나 이를 연구하는 인문학자들이 선두가 되어야 한다. At this article based on the word ‘Crisis of humanities’ that we are facing, considered the current phenomenon of humanities and the way to restore or revive humanities in the future, and the role and mission of humanities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The first reason for the decline in humanities is that humans are not treated as human beings. At present, we live not in the age of humanities but in the age of anti-humanism and non-humanism.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has collapsed. Third, many of the nation"s leaders or elders of society have moral flaws. Fourth, TV and other media outlets are uncovering their shortcomings rather than their strengths. Fifth, individual consciousness is stronger than community consciousness. Sixth, no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 or classes. Seventh, he refus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he has done. Eighth, the character was dry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shortcut to restoring and reviving humanities is to revitalize local humanities. To achieve this, several things must be implemented: First of all, local humanities should cooperate with the three classes of people, namely inhabitants government official and scholar each other, with the idea that local humanities are the world"s humanities in the era of localization. Second, the three classes of people should cooperate to research local literature or documentary records and then study local humanities based on it. Third, after completing the investigation of the humanities data through the bibliography, the site where the bibliography was created should be investigated. Fourth, person shall organize data on the place where he or she lived or the scope of his or her activities. Fifth, we need to organize the humanities materials and create a cultural map. Sixth, region should have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humanities materials. Seventh, among the humanities elements of each reg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should be highlighted. The roles of humanities departments and people engaged in them in future societie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nsciously not use humanities as a means or a tool for anything else. Second, scholars working in humanities should give up their desire for fame and injustice. Third, humanities should take the lead in converging scattered minds. Fourth, humanities should be the main body of traditional culture. Fifth, the humanities leading the world should be established. Sixth, humanities should take the lead in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humanities. Seventh, humanities or humanities should be at the forefront of the study in reasonableness or rationality, a shortcut to achieving this humanitie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우곡(愚谷) 송량(宋亮)의 부(賦)에 나타난 정신세계(精神世界) ― 그의 「의蘭」부(賦)를 중심으로 ―

        이구의 ( Ku Eui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본고는 우곡(愚谷) 송량(宋亮: 1534∼ 1618)의 「의란(의蘭)」부에 나타난 정신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곡(愚谷)이 이 부를 지은 목적은 문학의 효용론에 입각하였다. 이 부(賦)는 다섯 가지의 형식적 특징이 있다. 첫째 이 부는 크게 다섯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 다섯 단락을 크게 묶으면 세 단락이 된다. 둘째 이 부는 한 구(句)가 여섯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賦)는 당나라 이후의 율부(律賦)의 형식이 아니라, 고부(古賦)의 형식이다. 셋째 의 부는 의도적으로 『초사(楚辭)』의 형식을 모방하고 있다. 이는 그가 『초사』도 공부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넷째 그가 먼저 공부한 것은 『초사집주』가 아니라 『고문진보』일 것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 뒤 그의 학문이 깊어지자 주자의 『초사집주』를 공부하였다. 다섯째 용사를 많이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가 용사한 전고(典故)는 주로 한(漢)나라 이전의 고사이다. 그가 요순삼대(堯舜三代)나 공맹(孔孟)시대를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의란(의蘭)」부를 통하여 드러내고자 한 우곡의 지향의식은 첫째 우환의 식을 통한 왕도(王道)의 지향이다. 내우외환의 위기 속에서 우곡 자신의 가정이 왜군들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 점이 절실하였다. 둘째도(道)와 문(文)을 겸한 경세제민의 시행이다. 이 점에서 우곡의 문학관이 도학파의 문학관과 통하는 면이 있다. 셋째 현실에 대하여 강한 참여의식이 있다. 그가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였기에 이 점이 더욱 절실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원시반종(原始反終)의 도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그가 현실에 참여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도(道)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그가 가장 바란 것은 왕도 정치를 바탕으로 한 도덕적 이상주의였다. 공자와 굴원(屈原)의 처지를 내세워 자신의 삶에 결부시켰다. This script was written for aim to observe intended consciousness on Woogok Songryang``s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of pretty orchid. He wrote for aim to this poetical prose. It’s based on the usefulness of literature. This work contained five formal characteristic mark. Firstly, this work divided into five parts. Secondly, this work is organized six letter at one phrase. But it’s not a poetical prose of meter but the old style’s poetical prose. Thirdly, this work was imitated 『Chosa(楚辭)』. Namely, it’s proved that he have been studied this book. Fourthly, first of all, his study was not 『Chosa』 but 『Gomoonjinbo(古文眞寶)』. Fifthly, he quoted from using of an ancient event. Because he pursued the principle of royalty. The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of Woogok’s 「The poetical prose of pretty orchid」was the principle of royalty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worries. Secondly, he pursued the application of national administration and relief. At this point his view of literature leaded to the confucian’s ethics. Thirdly, At this work, he described the consciousness of actual world or society. The reason of this is who had not been go forth into a government position. Fourthly, His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was recovery of the peaceful reign. Fifthly, the goal of his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was the moralistic idealism. His life was definitely not smooth. He would lived his youth with the way he intended, bu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壬辰倭亂) his life was filled with perennial of misfortune. Same time when japan swept away in korea his family bankrupted. He was intimate with many erudite people. He succeeded humanism based on the theory of the unite of the Man and the Heaven. He was autonomy and voluntary moreover his spirit was general and widespread. He tried to live together with people his mind was neither intolerant nor complicated. He wanted to hold his ideal not for himself but to the worlds. He admired peaceful era the King Yo and Soon(堯舜). It was not only his appetite but also the tendency of that era.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문학) : 송당 박영 시에 나타난 정신 세계

        이구의 ( Ku Eui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3 No.-

        이 논문은 조선 시대 중기의 무인이면서 학자인 송당(松堂) 박영(朴英, 1471-1540)의 삶과 그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에 대한 고찰이다. 송당의 품성은 첫째 사심이 없다. 둘째 학문 수준이 높다. 셋째 생활이 검소하다. 넷째 심성이 어질다. 따라서 송당은 된 사람이요, 든 사람이요, 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송당(松堂)은 겉모습보다는 속마음을 중시했다. 시작(詩作)에 있어서도 형의(形意)보다는 전신(傳神)을 우위에 두었다. 송당은 비록 벼슬살이를 하였지만, 그의 마음은 언제나 위기지학을 추구하였다. 그는 이러한 학문 자세를 바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 있다. 송당은 그 자신이 무인(武人)이다. 그러나 그의 시에는 무인의 곧은 기운과 학자의 청렴(淸廉)한 정신이 그대로 녹아 있다. 그러나 무인의 호방하거나 강건한 기상은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 그의 시는 대단히 철리적(哲理的)이다. 그의 시에는, 직설법을 쓴 것이 아니라 비유법을 써서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송당 시에 나타난 수사(修辭)의 가장 큰 특징은 유(有)와 무(無), 시(是)와 비(非)의 혼용이다. ``유(有)``도 아니요, ``무(無)``도 아닌 중도(中道), 보편(普遍)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수사(修辭)가 나온 배경은 그가 살아오면서 숫한 시련을 겪었지만 세상을 부정적으로 본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학문의 참맛을 안 선비였다. 그의 시의 풍격은 충담(沖淡)·소산(蕭散)하다. 욕심 없는 선비의 담담한 심정을 시에 나타내었기 때문에 이러한 풍격이 나오게 되었다. 그의 시에는 청일(淸逸)하거나 고졸(古拙)한 풍격(風格)도 가끔씩 보인다. 본고를 통해, 그동안 간과했던 학자이면서 시인인 송당 박영의 일면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무인(武人)은 글을 못한다는 편견을 바로잡았으면 한다. This thesis is an inquiry about the life of him and the spiritual sphere in his poetry, who is a warrior and scholar in the middle years of Chosun. He is disinterestedness, and has a high level of scholarship, and leads economic lives. In his poetry, these aspects are reflected. He attaches importance to the inner mind than appearances. In writing poems, he values much of creation than imitation. Though he is in government service, his mind is always going for Wigizihak. Owing to his nature of a warrior, in his poetry, a warrior`s upright spirit and scholar`s incorruptible spirit is immersed. However, a virile spirit of a warrior shows little, His poetry is a thing of philosophical principles. He uses not the indicative mood but metaphors, and thus his poetry implies a lot of meaning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in his poetic diction is minglement with is-ness and nothinglessness. His diction orients for the universal thing, neither is-ness nor nothinglessness. The reasonal background for it is that, though he experiences lots of sufferings, he takes an positive view of life, not of pessimistic one. His poetic stylus is pure and lofty as the disinterested mind of Korean gentleman is expressed in his poetry.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한국사상(문학) ; 왕효렴 시에 나타난 자아와 외물

        이구의 ( Ku Eui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왕효렴(王孝廉: ? -815)은 발해의 시인이다. 제8대 희왕 때 그의 벼슬은 태수였으며, 814년(희왕 2년) 9월에 정사로 일본에 상륙, 12월에 일본왕에게 국서를 전하였다. 그가 언제 태어났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또 그의 작품이 얼마나 되는지도 알 수 없다. 다만 현재까지 전하는 그의 시는 일본 자료에 5편 실려 있다. 그가 남긴 시 다섯 수의 외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의 시는 시어(詩語)가 평이(平易)하다. 둘째 그의 시는 대장(對仗)이 뛰어 났다. 셋째 첩자, 또는 첩운을 사용하여 리듬감을 부여하고 있다. 넷째 본의 아니게 과장된 표현이 많다. 그의 시 다섯 수에 나타난 자아와 외물의 상관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의 내면과 시간의 흐름은 일치하지만, 공간의 이동과는 서로 반대로 진행된다. 자아의 내면이 공간적으로 확대되면 될 수록 점점 위축되고 있다. 둘째 화려한 외출용 언어를 구사하지만 그 이면(裏面)에는 자아의 근심이 서려 있다는 점이다. 셋째 색깔과 이미지 면에서 보면, 따스함과 차가움의 양면성이다. 넷째 발해 시인 왕효렴의 전체적인 시의 풍격(風格: styles)은 당시풍(唐詩風)이다. 그것도 성당(盛唐) 시풍이다. Wang Hyo-ryeom was a poet of the Korean ancient empire, Balhae. In the time of Emperor Huiwang, he`s post was a viceroy. He fetched Japan in capacity as the chief envoy on September, 814 A.D, and brought a sovereign`s massage to a King of Japan, on December, 814 A.D. It is hard to guess accurately not merely the time he was born but exact number of work he composed. Only five works, however, which recorded on the Japanese documents, are handed down to date. Considering correlation of innertion and external description of these five works, I could acquired those facts which shown below. First, the internal sentiment is in accord with the lapse of times, but it moves in opposit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space notion. Second, even though the poet uses bright ``going out`` phrase in his work freely, you could notice Persona`s anxieties are harbored the other side(the other side, the Persona`s anxieties are harbored). Third, the both side of warm and chill image from the view of Color and Image. Outwardly, It shows us warm image, but internally, it also expresses different emotions because those works were written while he left his native place. Lastly, whole style of Wang Hyo-ryeom the poet of Balhae is ``Complete-Tang-Style``, one of the special poetry style of ``Tang-Poetry-Style``. However difference between exterior phrases and mind may be, the flow of the poetry is natural. This fact proves that his command ability of linguistic sense is excellent. This thesis is a small portion of research which specialized in poet of Balhae. Accordingly, I set limits to Wang Hyo-ryeom and focused on innertion and external description of his poetries. Consequently, I did not contrast or compare his works with poetries of other poems of Balhae or Tang of his age. This point shall be revealed itself the time my research fin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