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백산맥 남부 동해안 하천 유역의 하안단구 지형 형성

        이광률(Gwang-Ryul Lee)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는 태백산맥 남부에 위치한 울진 광천, 평해 남대천, 영덕 오십천을 대상으로 하안단구 지형 특성, 분포, 형성시기, 하각률을 분석하여, 지반융기와 기반암 특성에 의한 하안단구 형성과정을 추정하였다. 울진 광천 상류부의 구조 및 기후단구 1면은 하상비고 9~12m, 형성 시기는 MIS 2, 하각률은 0.40m/ka로 분석되었으며, 영덕 오십천 상류부의 구조 및 기후단구 1면은 하상비고 7~10m, 형성 시기는 MIS 3, 하각률은 0.10m/ka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울진 광천 유역이 영덕 오십천 유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반 융기율이 클 가능성을 의미한다. 울진 광천의 하류부는 영덕 오십천과 달리 해면변동단구가 확인되지 않는데, 울진 광천은 큰 융기율과 풍화·침식에 강한 기반암으로 인해 하곡에서 지형의 잔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구 대상 하천의 구조 및 기후단구는 가장 낮은 단의 형성시기가 다르고, 간빙기 내 기온 저하기와 아간빙기에 형성된 단구면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 기후단구 모델에 따른 하안단구 편년 방법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stimates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fluvial terraces by uplifts and bedrock features, by the analyses of topography, distribution, formation age and incision rate of fluvial terraces using Gwang-cheon River in Uljin, Namdae-cheon River in Pyeonghae and Osip-cheon River in Yeongdeok located in the southern Taebaek Mountain Range. The tectonic and climatic terraces I in the upper reaches of Gwang-cheon River with an altitude from riverbed of 9~12m indicate the formation age of MIS 2 with a incision rate of 0.40m/ka. However, the tectonic and climatic terraces I in the upper reaches of Osip-cheon River with an altitude from riverbed of 7~10m show the formation age of MIS 3 with an incision rate of 0.10m/k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plift rate in the Gwang-cheon River basin is likely to be higher than that in the Osip-cheon River basin. Unlike the lower reaches of Osipcheon River, the thalassostatic terraces are not found in the lower reaches of Gwang-cheon River, because the basin has low maintainable ability of landforms in river valley due to high uplift rate and bedrock properties resistant to weathering and erosion.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tectonic and climatic terraces in the study areas indicate different formative ages and the terraces during the cooling stage in interglacial as well as during interstadial are also fou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ronological method for fluvial terrace by the previous developmental model of climatic terrace should be reconsidered.

      • 하안단구의 개념과 지형 특성

        이광률,Lee, Gwang-Ryul 한국제4기학회 2011 제사기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제4기 연구에 있어 하안단구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하여, 하안단구의 개념과 지형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하안단구는 현재보다 고도가 높은 곳을 흘렀던 고하천에 의해 형성되었던 하도나 범람원이 기후 변화나 지반 융기에 의한 하천의 활발한 하방침식으로 인해, 현 하천보다 높은 고도에 남게 된 충적 지형이다. 하안단구는 하천의 하각 작용 이후에도 남겨진 충적층의 잔류물로서, 하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침식기준면의 하강, 하천 유량 증가, 하천의 특징적인 지형 현상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하천 중상류부의 하안단구 퇴적층은 빙기에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와 중국의 대하천 중상류에 발달한 하안단구는 절대연대가 간빙기를 지시하는 경우도 많아, 해당 하천의 다양한 자연환경 조건과 지형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시기에 하안단구 퇴적층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fluvial terraces in the Quaternary researches, the concepts and geomorphic properties of fluvial terraces are reviewed. Fluvial terraces are the alluvial landform that was once river channel or floodplain by paleochannel flowed in elevated areas from the current river by active incision of rivers due to the climatic changes and/or uplifts. As fluvial terraces are the remnants of alluviums after incisions of river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on the incisions are the falling of erosion base, increase of river discharge and distinct geomorphic phenomenon of river. While it is generally known that fluvial terraces deposits in the upper or middle reaches of large rivers were formed during glacial periods, the deposits may be formed at the various periods due to the diverse natural environments and geomorphic properties of specific rivers, because there have been numerous cases that the ages of fluvial terraces in the upper or middle reaches of large rivers in Korea and China can be correlated to the interglacial periods.

      • KCI등재

        포항 조사리 해빈의 형성 과정과 계절적 변화

        채승철 ( Seung Cheol Chae ),이광률 ( Gwang Ryul Lee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자갈 우세의 자갈?모래 혼합 해빈인 포항시 조사리 해빈을 대상으로, 지형 경관과 구성 물질의 특성, 해빈의 형성 과정, 계절적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해빈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모래의 비율이 높아지고, 자갈의 입경이 작아지며 구형도는 높아진다. 기원지 분석 결과, 해빈 퇴적물은 광천 유역에서 공급된 하성 퇴적물과 주변 암석 해안으로부터 공급된 해성 퇴적물을 모두 포함하며, 특히 해빈 북쪽 파식대에서 공급된 퇴적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해빈의 형성에 있어서는 남쪽 방향의 해빈 이동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2년간 계절별 해빈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연간 해빈의 단면적 변화 량은 매우 미미하여 해안은 대체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계절별로는 파고가 높은 겨울철과 태풍이 접근한 여름철에 침식이 뚜렷하고, 파고가 낮은 봄, 가을과 태풍의 영향이 없는 여름철에는 퇴적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s and material compositions, geomorphological processes and seasonal changes of mixed gravel-sand beach with dominant pebbles located in Josa-ri, Pohang-si. Going from north to south, area of sand beach becomes wider, grain sizes of gravels become gradually smaller and sphericity of gravels become higher. As a origin analysis result, sediments of beach are composed to fluvial deposits supplied from Gwang-cheon river basin and also marine deposits supplied from near the rocky coast, especially influence of northern rocky coast is relatively high. All the take together suggests that beach drifting to southwards has mainly effect in the formation of beach recently.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beach change every season for 2 years, coast is almost maintaining stability because of very small variation of beach volume per year. In the season however, there are distinct erosion in winter with high wave and in summer with affected by typhoon. On the other side, there are distinct deposit in spring and autumn with low wave and in summer with uninfluenced by typhoon.

      • KCI등재

        소양강 상류 하안단구의 지형면 특성과 퇴적물 분석

        이광률(Gwang-Ryul Lee)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1

        소양강의 상류는 남한의 하천 중 태백산맥에 인접한 최북단의 하천으로, 구조운동, 기후변화 등 한반도의 제4기 고환경을 연구하기에 유리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소양강 상류에 분포한 58개 하안단구면의 분포 패턴, 지형면 득성, 퇴적물 분석과 함께 하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고환경을 검토하였다. 하안단구는 가장 최근에 형성된 T1면에서 가장 오래된 T6면까지로 구분되며, 주로 곡류부 활주사면과 하천의 편안에 집중되어 있다. T1면에서 T6면으로 갈수록(시간이 경과할수록) 하안단구면의 개수는 줄어들고, 단구면의 평면적인 개석율은 높아지며, 경사도는 급해진다. 하천의 유로는 T2면 형성시기에 들어서 곡류 패턴이 더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하안단구 역의 풍화각 두께는 오래된 하안단구면일수록 대체로 커지지만, 역층으로의 수분 및 산소 공급의 차이에 따라 변화가 나타난다. 퇴적 층서, 입도 분석, 화분 분석, 적색화 지수, 역 풍화각의 두께 측정 자료를 종합할 때, T5면의 형성 시기는 현재로부터 네번째 이전의 빙기인 MIS(Marine Oxygen Isotope Stage) 10시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T2면은 간빙기를 한번 이상 겪은 MIS 6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br/> <br/> Upper reach of Soyang River at the northernmost area around Taebaek Mountains in South Korea is profitable area to understand paleo-environment during the Quaternary such as tectonic process and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plained paleo-environment affect to channel development by geomorphic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rrace surfaces. and analysis of deposits at 58 fluvial terraces in upper reach of Soyang River. Fluvial terraces were classified from T1 to T6. Most terraces are distributed on the point bar in meandering channel and one side along river valley. Terraces tend to decrease in number and superficial dissection rate to be higher and channel slope to be steeper if it takes long time from T1 to 6. The paleo-channel of Soyang River is supposed to be stronger meandering in period of T2 than T3. The weathering rind of gravel is generally thicker in older terrace. however. differs by contents of water and air in deposits. Based on the data of stratigraphy. grain size analysis. pollen analysis and rubification index in deposit. formation age of T5 terrace in Soyang River are estimated in MIS(Marine Oxygen Isotope Stage) 10. and T2 terrace are estimated in MIS 6.<br/> <br/>

      • KCI등재

        청송군 옹점리 일대 암설 사면의 분포와 지형 변화

        이광률(Gwang-Ryul Lee),박한산(Han San Park)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옹점리 동부의 암설 사면을 대상으로 암설 사면의 분포, 요인, 식생 피복 및 암설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지역에서 암설 사면 발달의 중요한 요인은 기반암이 단애 형성과 암설 공급에 유리한 규장암이라는 점과 기계적 풍화작용을 촉진시키는 기온의 영하일수가 비교적 길다는 점이다. 암설 사면의 분포 면적은 일사량이 높아서 수분 증발이 활발하여 식생 피복이 불량한, 남사면과 서사면이 북사면과 동사면에 비해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옹점리 동부의 가 지역에서 식생 피복으로 인해 암설 사면의 면적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평균 431.0㎡/yr의 식생 피복 면적 증가 속도를 보였다. 그리고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 지역에서는 1년 동안 1~2개의 암설 입자들이 사면 내에서 변위 또는 이동되었다. The distributions, factors, and vegetation covers of debris slopes and changes of debris at the eastern Ongjeom-ri, Cheongsong-gun are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velopments of the slopes are felsites having advantages to the developments of cliffs and supply of enough debris, and the relatively long days below zero temperatures promoting the physical weathering processes. The distributional areas of the slopes at southern and western slopes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northern and eastern slopes due to the active water evaporation by high insolation. The Ga area at eastern Ongjeom-ri has experienced the steady decreases of area of the slopes due to the vegetation covers and shows the increasing rates of vegetation covers of 431.0㎡/yr as averaged values. However, it is estimated at the Na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that 1 or 2 debris were moved or displaed per year in slope.

      • KCI등재

        하안단구 최고위면에 기초한 태백 산지 일대의 하각과 융기의 공간 분포 특성

        이광률 ( Lee Gwang-ryul ) 한국지형학회 2018 한국지형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highest level terrace which can be regarded as an initial land surface before the uplift of the Taebaek Mountains and estimat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cision and uplift rates around the Mountains. The altitude above the riverbed of the 54 highest level terraces seems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incision of large stream and their elevation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uplift of the Mountains. The elevation of the terraces in the north and middle parts decreases westward with a rate of 5~6 m/km and meets with the sea level at area 100~120 km apart from the Mountain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west coast of Korea might have generally experienced subsidence during the Quaternary. The elevation of the terraces suggests that area with a direction of N-S or NNW-SSE from Yeoryang-myeon, Jeongseon-gun to Taebaek-si shows the highest uplift rate around the Mountains and area with a direction of N-S connecting Girin-myeon, Inje-gun and Pyeongchang-eup, Pyeongchang-gun also indicates a high uplift rate.

      • KCI등재

        울산단층대 주변의 단층 지형 및 선구조 분포

        이광률 ( Lee Gwang-ryul ),박충선 ( Park Chung-sun ),신재열 ( Shin Jae-ryul ) 한국지형학회 2018 한국지형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analysis on fault-related landforms and the Quaternary fluvial landforms, which are important evidences for active faulting by identifying surface deformation, around the Ulsan Fault Zon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lineament map and inferred active fault-line map based on analyzing linearity and continuity of these landforms and by compiling location information of existing active faults. We convince that quantitative tectonic-geomorphological analysis are an effective method for active faults tracking,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relatively low seismicity and surface ruptured-events in the Korean Peninsula compared to plate boundary active areas. However, research on active fault in South Korea is just an infant stage since the 1990s and requires accumulation of research achievement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fault analysis techniques, analysing and standardizing linear structures.

      • KCI등재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이광률 ( Gwang Ryul Lee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하안단구 연구사를 요약·정리하고, 선행 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 하안단구의 지형 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하안단구 연구사는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1980년대 중반은 초창기 지형학자들에 의해 하안단구 이론이 전파되었던 시기이다. 1980년대 후반~1990년대는 하안단구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이 집중적으로 배출되어 하안단구에 대한 논의가 우리나라 지형학의 중심에 자리 잡은 시기이다. 200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연구방법이 개발되면서 하안단구에 대한 논의가 한층 성숙되고 연구 성과가 양적으로 풍부해진 시기이다. 우리나라에서 하안단구가 가장 잘 발달한 지역은 태백산맥 일대의 한강 중·상류 및 낙동강 중·상류의 영서 및 영동 하천과 소백산맥의 서사면에 해당하는 남한강 중류, 금강 중·상류, 섬진강 중·상류이다. 지반융기가 활발한 이들 하천에서는 하상비고가 매우 높은 하안단구가 관찰되고, 하천의 하각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리고 하안단구 형성시기는 신생대 제4기의 기후 변동에 의해서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하천 유역의 기후, 수문, 지질, 지형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history of fluvial terraces in Korea and examines the geomorphic properties of fluvial terraces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 works. The research history of fluvial terrace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three periods. The theories of fluvial terraces were spread by the early geomorphologist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to mid-1980s. The dissertations on the fluvial terraces were intensively published during the late 1980s to 1990s and their discussions were the center of geomorphology researches in Korea. Since 2000s, the discussions have become more mature and researches have been quantitatively increased as the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The fluvial terraces in Korea are mostly developed in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of the Taebaek Mountains, upper and middle reaches of Han and Nakdong River, and in the western slopes of Sobaek Mountains, middle reaches of Namhan River, upper and middle reaches of Geum and Seomjin River. Along these rivers in actively uplifted areas, fluvial terraces with much higher altitude from riverbed are observable and incision rates are relatively high. In the sense of the formation ages, they have developed in not regular patterns by the climatic changes during the Quaternary, but in more complicated aspects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limate, hydrology, geology and geomorphology in the specific drainage basins.

      • KCI등재

        소설 `둔황`의 이야기 공간에 대한 자연지리학적 분석

        이광률 ( Gwang-ryul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1

        이노우에 야스시의 장편 역사 소설인 `둔황`은 중국의 서역을 대상으로 하여 둔황 천불동에 존재하는 석굴 경전의 미스터리를 소재로 한다. 소설 `둔황`의 이야기 공간은 대부분 중국 북부 내륙의 건조 및 반건조 기후 지역에 해당하는 간쑤성 일대를 대상으로 하며, 주변의 자연 환경과 지리적 경관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이야기 공간으로 제시되는 산맥, 고원, 모래 사막, 사구, 암석 사막, 자갈 사막, 사막포도, 건조 선상지, 망류 하도, 건조 하천, 플라야, 염호, 초원, 습지, 충적지, 범람원, 관개 경작지 등 다양한 유형의 건조 및 반건조 지형과 하천 지형은 실존하는 지리적 사상들이 대부분이며 자연지리학적으로도 사실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내용으로 묘사되고 있다. 소설 `둔황`은 학생과 대중들에게 자연지리와 지역지리의 보조 교재로서, 지리 답사와 여행 지리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키는 소재로서 유용한 재료라고 판단된다. A full-length and historical novel `Dunhuang` by Yasushi Inoue is based on mystery of stone cave scripture in Mogao Caves, Dunhuang with a target of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Narrative spaces in the novel are mostly in Gansu Province corresponding to arid and semi-arid climatic regions in inland of Northern China and the novel describes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s and geographical landscapes, in detail. The novel presents various types of landforms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as well as fluvial landforms such as mountains, plateaus, erg, sand dunes, hamadas, regs, desert pavements, bajadas, braided rivers, wadies, playas, salt lakes, grasslands, wetlands, alluvial lands, floodplains and irrigated farmlands as narrative spaces and most of these landforms are physically existing geographical features with a meaningful context corresponding to physiographical fac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novel is a useful mean as a supporting material on physical and regional geography that stimulates interests of students and the public on geographical field trip and travel geography.

      • KCI등재

        울산단층 동부 지괴의 융기율

        이광률 ( Lee Gwang-ryul ),박충선 ( Park Chung-sun ) 한국지형학회 2020 한국지형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estimated influences of the Ulsan Fault on tectonic movement and uplif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The averaged uplift rate in the Northern Coast of the Eastern Block was 0.202 m/ka, while the site in Seokbyeong-ri, Guryongpo-eup, Pohang-si, showed relatively high rate of 0.249 m/ka, attributable to influences of small fault movement, called the Gangsa Fault. Higher averaged rate of 0.270 m/ka than in the Northern Coast was calcul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ern Block. The site in north of Haseo-ri, Yangnam-myeon, Gyeongju-si, showed the highest rate, suggesting influences of the Eupcheon Fault. The We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indicated the averaged rate of 0.208 m/ka, similar to that of the Northern Coast. The sites approximately 10 km apart from the Ulsan Fault showed 1.3 times higher rate in the Eastern Block than in the Western Block, while similar rates were calculated in the sites >20 km apart from the Ulsan Fault. These distributions of the rate suggest that the Ulsan Fault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 and tectonic movement in the study area, while local fault movements have also played a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