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의 현황 연구

        이계형(Kye-Hyung Lee) 한국보훈학회 2021 한국보훈논총 Vol.20 No.4

        본 연구는 북한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의 현황을 분석,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북한에는 우리의 현충원과 같은 현충 시설로서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이 있다. 둘 다 평양에 있는데 묻혀 있는 분들이 언제, 어떤 활동을 하였는지에 따라 안장된 장소가 구분된다. 혁명열사릉은 김일성과 함께 항일 빨치산 활동을 했거나 그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를 ?? ‘항일혁명열사’들을 안장하고자 한 것인데,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최효일·최윤근 두 명이 그곳에 묻혀 있다. 애국열사릉의 독립운동가는 약력에 ‘반일애국지사’(6명), ‘애국지사’(8명), ‘항일혁명렬사’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 중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반일애국지사’는 오동진·장철호·강제하·김보안(이명 김준택) 등 4명이며, ‘애국지사’는 6·25전쟁 당시 납북된 김규식·유동열·오하영·윤기섭·조완구·최동오·엄항섭·조소앙 등 8명이다. ‘항일혁명열사’는 모두 64위가 있지만,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인사는 한 명도 없다. 그 외 양세봉은 독립군사령으로 안장되어 있고, 1986년 9월 북한으로 망명하였지만 1963년에 대통령표창을 받은 최덕신도 있다.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펼쳤지만, 월북하였다 하여 서훈을 받지 못한 인사는 박문규·백남운·이극로·이만규·이영·허헌·홍명희 등 7명이다. 이외에 ‘재북인사의 묘’에 안치된 인사들 62위 가운데 서훈을 받은 인사는 안재홍·정인보·원세훈·박열·명제세·김상덕·장연송·김의한·장현식 등 9명이다. 이로써 북한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 중에서 서훈을 받은 인사는 모두 25명이다. North Korea also has remembrance facilities like ours. One is the tomb of the martyrs of the revolution and the other is the tomb of the martyrs of the patriots. Both are located in Pyongyang, but the place of burial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when and what activities the people buried there engaged in. The tomb of the revolutionary martyrs is where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martyrs’ who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partisan activities together with Kim Il-sung or had direct or indirect links with him are buried. Among them, Hyo-il Choi and Yun-geun Choi, who were awarded the honorary title of meritorious independence, are buried here. In the tomb of patriotic martyrs, in the biographies of independence activists, ‘anti-Japanese patriots’ (6 persons), ‘patriots’ (8 persons), and ‘anti-Japanese revolutionary martyrs’ are indicated. Among them, the anti-Japanese patriots who received the honorary title of merit for independence are four, including Oh Dong-jin, Jang Cheol-ho, Kang Je-ha, and Kim Bo-an (Lee Kim Jun-taek). The eight members are Oh Ha-young, Yoon Ki-seop, Jo Wan-goo, Choi Dong-oh, Eom Hang-seop, and Jo So-ang. There are a total of 64 “anti-Japanese revolutionary martyrs”, but none of them have been awarded a medal of merit for independence. Yang Se-bong is buried in the tomb of the patriotic martyrs as a commander of the independence army, and there is also Choi Deok-shin, who fled to North Korea in September 1986, but received a presidential citation in 1963. Seven people, including Park Moon-gyu, Paik Nam-woon, Lee Kuk-ro, Lee Man-gyu, Lee Young, Heo Heon, and Hong Myeong-hee, did not receive an honour, even though they fought for independ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among the 62 persons enshrined in the Tomb of North Koreans, 9 people including Ahn Jae-hong, Jeong In-bo, Won Se-hoon, Park Yeol, Myung Je-se, Kim Sang-deok, Jang Yeon-song, Kim Ui-han, and Jang Hyun-sik received the honours. As a result, among the independence activists buried in North Korea, a total of 25 persons of merit were awarded.

      • KCI등재

        중국 만주지역 독립운동과 여성항일운동

        이계형 ( Lee Kye-hyung ) 한국여성사학회 2020 여성과 역사 Vol.0 No.33

        본 논문은 1910년대 전후부터 1930년대까지 만주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 운동가들의 활약상을 살피고, 시대별로 어떤 경향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1910년대 전후의 만주 지역의 여성 독립운동은 활발하지 못하고 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의 부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는 1919년 3·1운동 이후 크게 변화하였다. 용정 3·13운동 당시 여성이 단상에 올라가 연설하는가 하면 여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하였다. 이후 훈춘애국부인회·간도부인애국회·만주여자교육회 등의 여성단체가 등장하였다. 1920년대에는 여성들이 직접전투에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에서 독립군들에게 음식 제공, 세탁, 전투복 제작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30년대에는 여성 독립운동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1931년 9월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성립되자 한중연합전선이 형성 되면서 공산주의를 추종한 젊은 여성들이 직접 전투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한인 여성들은 전장에서 많은 희생을 치렀고 훗날 중국 정부는 이들을 ‘여전사’로 기억하고 있다.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was not actively developed before and after the 1910s.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1910s was led by the wife of an exiled independence activist.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In Yongjeong, during the March 13th Movement, a woman went up to the podium and gave a speech. Later, as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were established. In the 1920s, they did not participate in the battle directly, but the women joined the independence army and supported from behind. Great changes took place in the 1930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September 1931 and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 the Korea-China united front was formed. Influenced by this, young women who followed Communism also participated in the battle directly, and later the Chinese government remembered them as ‘female warriors’.

      • KCI등재

        대용량 경로데이터 분류에 기반한 경험적 최선 경로 추천

        이계형(Kye Hyung Lee),조영훈(Yung Hoon Jo),이태호(Tea Ho Lee),박희민(Heemi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2

        위치를 수집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가 일반화됨에 따라 수집되고 저장되는 경로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결국 빅데이터가 될 것이기 때문에 수집된 대용량 경로데이터에서 최선 경로를 찾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대용량 경로 데이터에서 실제 운행 시간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내비게이션보다 좋은 경로를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대용량 경로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하둡 맵리듀스를 이용해서 분류하고 분류된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의 요청에 지도상의 최단 경로가 아닌 수집된 경로 기록을 바탕으로 최선 경로를 찾게 되는 것이다. 구현된 전체 시스템은 1) 실제 경로를 수집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응용프로그램, 2) 하둡 맵리듀스를 이용해 수집된 경로를 미리 분류해 놓기 위한 분류 엔진, 3) 사용자의 출발지-도착지 요청에 따라 분류된 경로에서 최선 경로를 찾아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웹서버와 안드로이드 클라이언트 서비스 시스템이다. 실제 운행 실험을 제안한 방법과 시스템이 실효성이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 that recommends empirical best routes based on classification of large trajectory data. As many location-based services are used, we expect the amount of location and trajectory data to become big data. Then, we believe we can extract the best empirical routes from the large trajectory repositories. Large trajectory data is clustered into similar route groups using Hadoop MapReduce framework. Clustered route groups are stored and managed by a DBMS, and thus it supports rapid response to the end-users’ request. We aim to find the best routes based on collected real data, not the ideal shortest path on maps. We have implemented 1) an Android application that collects trajectories from users, 2) Apache Hadoop MapReduce program that can cluster large trajectory data, 3) a service application to query start-destination from a web server and to display the recommended routes on mobile phones. We validated our approach using real data we collected for five days and have compared the results with commercial navigation system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mpirical best route is better than routes recommended by commercial navigation systems.

      • KCI등재

        1930년대 신익희의 독립운동단체 결성과 통일전선운동

        이계형(Lee, Kye-hy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3

        1930년대 한국독립운동을 주도해 나간 것은 중국 관내의 독립운동세력이었다. 중일전쟁 이후 독립운동계는 ‘이당치국(以黨治國)’을 통한 독립운동 방략을 모색하였다. 신익희는 위유런(于右任)의 도움으로 난징의 국민당 정부에서 근무할 때, 1931년 9월 만주사변을 기회로 처음으로 한국혁명당을 창당하였다. 이 단체는 난경에서 활동하던 다양한 이념을 가진 인사들로 구성되었다. 신익희는 이를 기반으로 1932년 11월 여러 독립운동 단체와 함께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을 결성하고, 지청천이 이끄는 만주 한국독립당의 합당을 추진하여 신한독립당을 새롭게 출범시킨 뒤 교섭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그는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대표대회를 통해 ‘단일대동맹’을 결성하고자 하였지만, 각기 통합방식을 두고 힘겨루기하면서 그러한 구상은 지지부진하였다. 그런 가운데 1935년 7월 그는 신한독립당의 대표로서 의열단·한국독립당·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대한독립당 등을 하나로 묶어 민족혁명당을 결성하는데 힘을 보탰다. 그는 민족혁명당의 중앙집행위원으로서 당내의 의견 대립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민족혁명당은 상하이 한국독립당과의 당의·당강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였고 임시정부의 존폐 문제를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결국 일부 인사가 탈당하면서 위상은 예전만 못했다. 그런데도 신익희는 민족혁명당에 남아 김원봉과 함께 활동하면서 1937년 11월 공산주의와 무정부주의 계열 인사들과 함께 조선민족전선연맹을 결성하였다. 이후 그는 1939년 8월 사천성기강에서 좌우익 세력을 통합하려는 ‘7당통일회의’에 참가하였다. 통일회의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조직 방식을 두고 논쟁이 격렬해지자 신익희는 회의에서 퇴장하였고, 결국 통일전선운동은 결실을 얻지 못하였다. 신익희는 1930년대 한국독립운동계의 숙원이었던 정당의 통일전선운동에 누구 못지않게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아마 세 차례의 통합운동에 모두 참여한 것은 신익희가 유일하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신익희는 이를 주도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통합전선운동이 당 대 당 결합이었기 때문에 그만큼의 자신의 세력을 가지고 있어야 했지만, 그는 그러지 못했다.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규모의 인원과 군사를 확보해야 했고 재정 또한 모자람이 없어야 했지만, 그는 이러한 요인들을 충족하지 못했다. In the 1930s, it was the independence movements within the Chinese jurisdiction that l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Especial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y sought an independence movement strategy through “the stagn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Unique Party(以黨治國)”. Then Ik-hee Shin founded the Korean Revolutionary Party through the Manchurian Incident in September 1931 while working for th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 in Nanjing with the help of Yu Youren(于右任). Shin Ik-hee formed the Korea-Japan Front Unification Alliance in November 1932 with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etc. Taking this opportunity, he promoted the joint party of the Korean National Party, newly launched the Shinhan Independence Party. Since then, he attempted to form a “one-to-one alliance” through the Korea-to-Japan Front Unification Alliance Congress, but the idea was sluggish as each competed for the integration method. Since then, he has tried to form a “single alliance” through Korea’s unification alliance with Japan tournament, but such a concept has been slowly progressing while comparing the strengths of each with an integrated method. Meanwhile, in July 1935, he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which is highly regarded as a united front. However,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has not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 party principle and party platform. In the end, several people withdrew from it, its status was lost. Nevertheless, Ik-hee Shin remained at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and worked with Kim Won-bong. After that, in November 1937, he formed the Korean National Front Alliance with communist and anarchist family under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as the parent. After that, the “7-Party Unified Conference” was held in Qijiang, Sichuan Province in August 1939, and the left-right unification movement was developed. The unification conference proceeded smoothly, but the debate over the organizational method intensified, and he left the conference. In the end, the unification front movem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id not come to fruition. Shin Ik-hee showed as much activity as anyone in the party’s unification front movement, which was the longing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1930s. However, Ik-hee Shin seems to have failed to lead this. Since the Unified Front Movement was a party-to-party union, he had to have that much power, but he couldn’t. In order to exert influence, he had to secure the right size of personnel and troops, and his finances had to be low, but he did not meet these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50~1960년대 일본의 ‘식민지배 미화론’ 주장과 한국 역사학계의 동향

        이계형(Lee, Kye-hyu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중앙사론 Vol.- No.54

        해방 후 한국의 일본 ‘식민지 미화론’에 대응은 1953년 10월 제3차 한일회담 당시 일본 측 수석대표인 구보타의 “36년간의 일본의 한국 강제 점령은 한국민에 유익하였다”라는 발언이 나온 이후부터라고 본다. 구보타의발언은 1980년대 불거진 ‘식민지근대화론’과 맥을 같이 한다. 이는 한일회담 당시 한일 양국의 재산 청구권 문제로 불거졌지만, 일본의 한국 식민 지배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의 역사학계는 해방 직후부터일제의 식민정책에 주목하지 않았다. 당시 한국 역사학자들은 한국 현대 사를 역사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더욱이 당시 사료가 수집, 정리되지 않았으며, 이를 전문으로 연구할 연구자가 거의 없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한국 역사학계의 학자들 가운데 일제의 ‘시혜론’을 비판하기 위한 ‘수탈론’이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1965년 한일수교를 전후로 일제의 식민지배 연구는 식민사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특히 ‘정체성론’에 대한 비판적인글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정체성론’이란 한국사회의 내재적 발전을 부정 하는 논리로, 한국은 근대사회로 이행하는데 필수적인 봉건사회가 형성하지 못하여 사회·경제적으로 낙후된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논리이다. 따라서 일본은 합법적으로 조선을 ‘병합’했으며, 일본의 통치로 한국은 비로소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즉,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조선의 자생적인 근대화 과정을 짓밟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근대 화를 앞당기고 알차게 만들었다고 하는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이어지지만, 이는 1980년대에 들어서 한국 역사학계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After the liberation, the logic of the Japanese emperor s colonial rule was that at the time of the third Korea-Japan meeting in October 1953, Kubota(久保田), the chief representative of the Japanese side, said, 36 years of Japan s forced occupation of Korea was beneficial to the Korean people. Look researched since the remarks came out. Kubota s delusions are in line with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that emerged in the 1980s. This surfaced at the time of the Korea-Japan talks due to the issue of property claims between Korea and Japan, but there is also recognition of Japan s colonial rule in Korea. However, the Korean history academia was not immediately researched on Japanese colonial policy. Existing historians did not recognize modern history as history, but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at time were not collected and organized, and few researchers specialized in studying this. Historians studies of Japanese colonial rule since the mid-1950s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a deprivation theory to criticize the so-called grace theory. It clarified the substance of the land survey project promoted in the 1910s, and concluded that it was ultimately for Japan to seize. Then, before and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in 1965, research on Japanese colonial rule procee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olonial history. In particular, critical texts on Stagflation theory began to appear. The Stagflation theory is a logic that denies the intrinsic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nd it is the logic that Korea has not escaped from a socially and economically backward state because a feudal society, which is essential for transitioning to a modern society, did not form. Therefore, Japan legally annexes Korea, claiming that Korea was the first to achiev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nder Japanese rule. In other words, it leads to the theory o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that Japan s colonial rule did not trample the process of Korea s self-sustaining modernization, but rather advanced and enriched it. Since the mid-1960s to refute the theory of identity, Korean historians have proposed the theory of implicit development, and to prove this, research papers such as the theory of elements of capitalism and the Korean historical periodization have been poured out. This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another issue of colonial history, the theory of Heteronomy. This is also because it is the logic that Korea has made positive efforts for modernization since the late of Chosun Dinasty. As a result, the Korean historical system gradually overcame the Japanese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the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