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체제유지와 선전선동의 역할: 수령형상의 측면에서

        이경직 ( Kyung Jik Lee ) 북한연구학회 2014 北韓硏究學會報 Vol.18 No.2

        북한체제 유지의 축을 조직적 측면에서 북한 주민에 대한 ‘감시와 통제’, 심리적 측면에서 학습과 교양을 통한 ‘선전선동’이라고 단순화할 때 본 논문은 북한체제 유지의 근거를 ‘수령형상’을 통한 선전선동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북한의 수령형상 과정에서 선전선동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북한 주민이 어떻게 유일영도체계와 김일성주의에 의식화되었는지, 김일성·김정일과 당에 대한 충실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밝힌다. 북한은 조선노동당 선전선동부 중심의 핵심 지도부가 수령형상을 포함한 선전선동의 메시지를 모든 미디어와 문화예술을 통해 강력하고 반복적으로 주민들에게 투사함으로써 김일성·김정일에 대한 충성과 복종, 수령과 당에 의한 유일지배체계의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 즉 수령과 당에 절대 충실성을 가진 ‘주체형의 인간형’을 완성하려 하였다. 북한은 인민의 필요가 아니라 권력자의 필요에 의한 것만을 전달하고 전달체계의 통제를 통해 북한 주민의 사상통제를 가져왔고 북한 체제의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North Korea`s regime maintenance capabilities can be explained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which is ‘inspection and control’ of its populace, and also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which refers to ‘agitation and propaganda(agitprop)’ by means of study(hakseup) and education(gyoyang). This paper explains, with a focus on the role of agitprop in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leader, how the North Korean populace became indoctrinated with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and Kimilsungism, and developed loyalty for Kim Il Sung, Kim Jong Il, and the Workers` Party of Korea(WPK). The WPK Department of Propaganda and Agitation(DPA) disseminated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leader and other agitprop messages through all forms of media, arts and literature. Repeated exposure to such messages enabled people`s indoctrination for loyalty and obedience to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s well as maintenance of a monolithic system of control by the leader. In doing so, DPRK sought to create ‘men of a juche type’ with absolute sense of ‘loyalty’ to the leader and the party. North Korea communication delivery system only delivered what is necessary for the leader but not for the general public. Moreover, such delivery system made it possible for the leadership to clamp a tight ideological grip on the populace and sustain its regime.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해설에 나타난 십계명 이해

        이경직 ( Kyung Jik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인간 구원에 초점을 두는 기독론적 문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십계명을 사도신경과 주기도문 사이에 배치시킨 이유는 십계명이 구원자 그리스도의 은혜를 믿는 믿음에서 나오는 감사의 표현이라는데 있다. 주기도문이 십계명 다음에 나오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이 땅에서의 불완전한 순종을 완전한 순종으로 만들어주실 날을 소망하며 참된 위로와 확신 가운데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는데 있다. 우리가 이 땅에서 겪는 영적 싸움은 회심인데, 옛 사람을 죽이고 새 사람을 살리는 것이다. 회심은 평생에 걸쳐 지속되는 과정이다. 십계명으로 대표되는 도덕법은 중생자들의 삶 가운데 아직 남아 있는 죄와 비참을 드러내지만, 복음 선포를 통해 믿게 되는 그리스도의 공로의 전가 덕분에 그리고 중생자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 하나님 덕분에 십계명은 중생자들로 하여금 옛 사람에 대해 죽고 새 사람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옛 사람을 발견할 때 겪는 슬픔은 우리의 죄가 하나님을 진노하게 했다는데서 오는 슬픔이다. 회심은 믿음의 열매이며 구원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다. 또한 십계명은 중생자들이 이 땅에서 하나님께 순종함으로써 감사를 표현하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며, 기도는 그리스도의 영이 그리스도인들 안에서 시작하신 선행을 완성시켜주신다는 약속을 붙드는 일이다. The reason why Heidelberg Catechism as soteriological document places its discussion about Ten Commandments between its discussions about Apostles` Creed and about Lord`s Prayer lies in the fact that Ten Commandments are faithful expressions of gratitude toward Christ as Savior, The importance of Lord`s Prayer lies in the fact that with firm confidence and true comfort we can pray to God that He should make our incomplete obediences perfect in the Last Day. The spiritual struggle on the earth is conversion which consists of mortification and quieckening. It is an enduring process in our lives. The reason why believers have grief when they find old men in themselves lies in the fact that our sins make God angry. Ursinus emphasizes that conversion is a fruit of belief and gratitude toward to our Savior. Ten Commandments are starting points with which believers begin to express their gratitude toward God in this world. Prayer is to hold on God`s promise to send the Holy Spirit who will make our good actions perfect.

      • KCI우수등재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공간 개념

        이경직(Kyung-Jik Lee) 한국철학회 2006 철학 Vol.87 No.-

        이 논문은 이데아론과 수학을 감각시물에 적용한다는 관점에서 플라톤의 공간 개념을 자세하게 분석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공간 개념의 본질적 요소들과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 논문의 테제는 플라톤의 공간 개념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일질료 개념도 아니며, 기하학적 공간 개념도 아니라,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괄한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티마이오스」에서 공간 개념과 연결되는 다양한 비유들과 의미들을 설명한다. 『티마이오스』에 담긴 두 가지 공간 개념 때문에 성질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없다. 이 대화편의 기하학적 설명에서 성질은 수학적 입체의 이차적 파생물로 나타나지만 이데아론에 따르면 양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일차적 성질로 나타난다. 플라톤은 이데아론과 기하학이라는 서로 다른 두 체계를 동일한 대상, 즉 자연에 적용하고자 하며, 그러하기에 공간 개념의 이중적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 이중적 의미는 플라톤의 관점에서 볼 때 인식론적 근거가 있으며, 체계 때문에 생기는 관점 차이이며, 플라톤이 자연철학적 설명의 본질로 규정한 '그럼직한 로고스'의 원래 내용이기도 하다.

      • KCI등재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에 나타난 삼위일체론

        이경직 ( Chris Kyung Jik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78 No.-

        이 글의 목적은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에 따라 삼위일체론을 파악하는데 있다. 바빙크는 삼위일체론을 좁은 의미의 신학의 토대로뿐 아니라 모든 학문의 토대로도 여김으로써 모든 영역에 대한 기독교학문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아는 통로를 성경으로 삼으면서도 성경에 나오지 않는 조직신학의 용어들이 성경적임을 옹호하고 있다. 바빙크는 구약성경에서는 삼위일체의 흔적들을, 신약성경에서는 삼위일체의 명시적 언급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회 역사를 통해 철학의 잘못된 영향으로부터 성경의 증거를 보호하고 있다. 바빙크는 삼위일체의 흔적들을 후험적 증거로 삼음으로써 삼위일체론을 모든 영역에 대한 기독교학문의 토대로 삼고자 한다. 그러나 특별계시인 성경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진술들을 접하고, 일반계시인 자연 속에서 삼위일체의 흔적들을 접한다고 해도 성령 하나님의 내적 증거가 없다면 삼위일체 하나님을 인식할 수 없다. 바빙크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이 인간의 단순한 사변 대상에 머물지 않고 인간과 인격적 교제를 나누시는 언약의 하나님으로 경험될 필요성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erman Bavinck’s doctrine of trinity from his soteriology. His concept of salvation is cosmic, for he suggests that the trinitarian God is revealed both in the area of creation and of recreation. He makes Christian scholarship in all areas of creation by suggesting tha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the foundation of all scholarships. The standard by which his knowledge of the trinity should be evaluated is the Scripture, while some technical terms in systematic theology are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than ordinary terms in the Scriptures. Bavinck finds some traces of the trinity both in the Old Testaments and in the nature. He tries to protect the evidence of the Scripture about the trinity from the influence of false philosophies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Unlike most Reformed theologians Bavinck regards the traces of the trinity as the a posteriori evidences for the trinity. In this way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the profound foundation of all Christian scholarships. Bavinck emphasizes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understanding of the trinitarian God. The inner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makes us have a living fellowship with the trinitarian God.

      • KCI우수등재

        플라톤의 자연 세계 설명 : eikôs logos

        이경직(Kyung-Jik Lee)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6 No.-

        플라톤에 따르면, 우주론은 그럴듯한 이야기(eikos mythos) 또는 그럴 듯한 설명(eikos logos)이다. eikos mythos와 eikos logos의 차이를 찾아내려는 시도가 언제나 있어 왔지만, 그와 같은 차이는 없다. 또한 플라톤에 따르면, 설명과 설명 대상 사이에는 지식 정도의 차이가 없다: 설명은 설명 대상을 그대로 나타낸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럴듯함 개념은 설명과 설명 대상 모두에 적용된다. 또 한인간의 본성과 신의 본성 사이의 구분도 부각시키고자 한다: 우주 제작자 데미우르고스가 대상을 엄밀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반면에, 인간은 그럴듯한 설명에만 만족해야 한다. 인간의 이성이 도달할 수 없는 비이성적인 것이 감각 대상에 들어 있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또한 플라톤의 자연 세계 설명은 존재론적이고 기하학적인 전제에서 추론되는 설명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플라톤의 우주론은 필연적인 추론을 통한 설명이기도 하다. 하지만 플라톤이 생각하기에 감각 세계에 관한 그럴듯한 설명은 기본적으로는 언제나 반박될 수 있으며 엄밀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서로 모순되는 두 가지 계기를 담고 있는 감각 세계에 이데아론 또는 수학을 적용한데 있다. 그 계기는 이성적인 계기와 비이성적인 계기인데, 비이성적 계기는 강제를 통해서만 다스려질 수 있다.

      •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이경직 ( Kyung Jik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 교회가 낙태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에서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우선 낙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모두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낙태라는 표현은 주로 윤리학계나 종교계에서 사용되는데 반해, 인공임신중절이라는 표현은 법조계와 의료계에서 사용된다. 용어 자체가 이미 이 문제에 대한 태도를 반영한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낙태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법적으로는 낙태가 금지되어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낙태가 허용되는 모순된 상황 속에 한국은 있다. 한국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과 임신 여성들의 권리 주장이 그 이유이다. 현실 의료현장에서는 태아의 생명권은 고려되지 않았다. 한국의 형법과 모자보건법 사이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들은 다양하다. 낙태 옹호론자들은 모자보건법의 취지를 형법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형법을 개정하려는 반면, 낙반연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은 형법과 모순되는 모자보건법을 폐지하려 한다. 그 결과는 낙태 옹호론자와 낙태 반대론자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웠다. 낙태죄를 명시하는 형법 조항은 그대로 남았으며, 실질적으로 낙태를 허용하는 모자보건법도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가 낙태를 반대하는 이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기독교인은 낙태율에 있어서 비기독교인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한국 기독교 여성들은 태아의 생명권을 인정하면서도 막상 자신의 문제가 되는 경우 태아의 생명권보다 자신의 권리를 더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태아의 생명권에 근거해서 낙태를 금지하는 한국 기독교의 규범은 낙태 여성들에게 필요한 위로와 치유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정의 개념뿐 아니라 사랑 개념도 필요하다.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낙태를 선택한 여성들에게 위로와 치유를 주는 사랑의 태도를 한국 기독교가 가져야 한다. 결국 낙태 금지라는 이상적 규범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낙태 여성들을 위로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가 한국 기독교에 있다. 또한 한국 기독교는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통용되는 윤리와, 종교와 가치를 넘어서는 보편적 윤리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논리를 그 공동체 밖에 강요하는 것은 일종의 제국주의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는 공공의 영역에서 현실적으로 낙태를 줄여나가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 기독교는 모자보건법을 무조건 폐지하라는 주장에만 그치지 말고 차선책으로서 모자보건법의 철저한 이행을 촉구함으로써 불법적으로 시행되는 낙태를 방지해야 할 책임을 지녀야 한다. 이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이 미국의 낙태반대운동처럼 극단적으로 나가지 않도록 도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orean church`s attitude toward abortion. The term `abortion` is used in areas of ethics and religion, whereas the term `artificial termination` can be heard in the areas of laws and medicine. These terms are not value-free. They reflect some kinds of worldview. Korea has higher proportion of abortion in the world. Abortion is prohibited in laws but allowed in the reality because of the policy of birth control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right claim of pregnant women. Fetus` right of life is not counted in fields of medicine. Attempts to resolve inconsistency between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re various but not successive. Upholders of abortion have tried to revise criminal laws in order to reflect the intent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ereas those against abortion want to abolish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 spite of their attempts nothing is changed. It means that the inconsistency concerning the problem of abortion remains. It is true that the proportion of abortion among Korean Christians shows no difference with that among Korean non-Christians. Christian women admit fetus` right of life in theory but think that their right is more important than fetus` right of life in practice. Korean church teaches that abortion is sin but cannot give consolation and healing enough to cure the women who has experienced abortion. Korean church gives them only sense of guilty which discourages them from living as Christian. So not only the concept of justice but also of love is necessary in this case. In this sense Korean church has dual tasks, namely not to abandon ideal standard and to consolate the women who has committed abortion. Korean church don`t have to coerce Korean society to follow its norm, for its norm is admittable for Christians. It should attempt to find way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abortion in public areas. For this purpose it should have a second best policy, namely that the exhaustive performance of 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경건 : 기도성령운동을 중심으로

        이경직 ( Lee Kyung Ji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1 No.-

        이 글에서는 개혁생명신학의 기도성령운동을 통해 코로나 시대의 경건이 어떻게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코로나 시대에 한국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경건의 본질을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략히 이야기하고자 했다. 먼저 하나님과의 수직적 관계와 이웃과의 수평적 관계에서 경건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했다. 코로나 상황에서 말씀(설교)과 권징(실천)과 같은 은혜의 수단이 어떻게 경건 실천에 기여하는 지 보여주고자 했다. 성령의 도우심을 간구하는 기도를 강조하는 개혁생명신학의 기도성령운동이 코로나 시대에도 여전히 경건을 이루는 수단임을 강조했다.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하는 경건의 두 축, 곧 말씀과 성령이 코로나 시대에도 유효함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코로나 시대는 예배와 설교, 기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었다. 예배하고 하나님 말씀을 듣고 기도하는 일을 의무로만 여기던 한국 성도들이 이것이 그리스도인의 큰 특권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소중한 깨달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how piety in the age of Corona is possible through the movement of prayer-the Holy Spirit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Corona era, I wanted to briefly discuss how Korean Christians can practice the essence of piety. First,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iety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with God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neighbors. I understood how the means of grace such as the preaching of the word (sermon) and discipline (practice of life) in life contribute to practice piety in the Corona situation. I emphasized that the movement of prayer-the Holy Spirit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emphasizes prayer for the help of the Holy Spirit, is a means of achieving piety even in the era of Corona. I intended to show that the two axes of piety emphasized by the Reformers, namely the Word and the Holy Spirit, are effective even in the era of Corona. The corona era reminded us how important church, worship, sermons and prayer are. It reminded the Korean church members who used to worship, listen to God’s word, and pray only as a burdensome duty, to realize that this is the great privilege of a Christian. These precious realizations should not be forgotten as we enter the With-Coron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