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분단의 상상력

        윤혜옥 ( Yun Hye-o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탈분단 논의는 지금까지의 통일 지향의 분단론을 극복하고, 분단 상황으로 인해서 남한과 북한 사회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을 극복하면서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는 분단 문제의 초점을 평화적 공존에 두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과거의 분단론이 식민주의적 이분법에 근거하였음을 반성하며, 특히 폐쇄적 민족주의에 기초한 통일론을 부정한다. 이러한 탈분단 논의는 문학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하종오의 탈분단 관련 시들은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종오의 시집『남북주민보고서』, 『세계의 시간』을 통해서 그의 탈분단적 상상력을 검토하면서 기존의 분단론과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 것인지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는 분단론이 갇혀 있는 민족주의, 식민주의, 통일목적론 등의 한계를 넘어서는 문제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과거의 분단론은 ‘하나’(통일)를 지향했지만, 하종오의 탈분단 상상력은 ‘여럿’(차이의 공존)을 지향한다는 데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식민주의적 이분법에서 벗어나서 대립을 넘어선 다양성, 그리고 개성이 존중되는 평화로운 공존을 염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반드시 통일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남북한이 평화적으로 공존한다면 세계화 시대에 맞추어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 멋진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가능성의 실현은 당장은 불가능하므로 초국적 자본의 흐름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하종오 시에서 초국적 자본주의의 흐름은 그런 의미에서 탈분단의 가능성을 앞당기는 조건이 된다. 제3국에서는 자국에서는 불가능한 만남이 가능하며, 남북의 노동자들이 서로 배려하며 연대할 가능성이 낮은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하종오의 탈분단의 상상력은 세계 자본주의 시장의 변화를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이 또한 과거의 분단문학이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대립 구도에서만 바라보던 것과는 달라진 부분이다. The post-division debate aims to overcome the existing unification-oriented division theory and to coexist peacefully while overcoming the problems which have arisen in North and South Korea due to the divided situation. This also means to focus the division issue on peaceful coexistence. It reflects on the fact that the past division theory was based on the colonialist dichotomy, and especially denies the theory of unification based on closed nationalism. The discussion of post-division is also getting attention in literature, and among them, Jong-oh Ha's poems related to post-division is especially outstanding. Thus, this study explains how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vision theory by examining Ha's post-divisional imagination through his poetry collections 『South and North Korean Residents Report』 and 『Time of the World』. This also brings an issue to overcome the limits of nationalism, colonialism, and the teleological theory of unification, which are confined theory of division. Above all, the past division theory aimed for ‘one’ (unification), but Jong-oh Ha’s imagination of post-division aimed for ‘many’ (coexistence of differences), which was different. This is because Ha aspired to a peaceful coexistence in which diversity and individuality are respected, breaking away from the colonialist dichotomy. Although the purpose of unification is not necessarily the only goal, it will be possible to form a great community where they live happily togethe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f the two Koreas coexist peacefully. However, the realization of such a possibility is impossible as of now, thus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flow of transnational capital. In Jong-oh Ha's poem, the flow of transnational capitalism becomes a condition for advancing the possibility of post-division in that sense. This is because, it becomes possible in a third country to meet people which are impossible in their own country, and it can be done at a level where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nd consideration for North and South Korean workers is low. Therefore, Ha's imagination of post-division takes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of global capitalist market. This is also different from what the division literature of the past looked only at the confrontation betwee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대상 시에 나타난 다문화 양상 - 하종오 시를 중심으로-

        윤혜옥 ( Hye Ok Yun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지구적 자본주의의 흐름은 이주화 현상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본고는 하종오 시에 등장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다문화 양상이 어떤 형태를 보이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하종오 시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다문화 양상은 대체적으로 생존의 여성화와 엇갈리는 욕망, 문화적 배제와 타자화, 지구화와 다문화 공간의 상생으로 드러난다. 생존의 여성화에서는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빈곤과 실업의 심화로 여성들이 이제는 새로운 생계책임자로 나서서 지구화의 흐름에 편승하고, 한편으로는 여성들로 하여금 열악한 이주의 조건을 수용하도록 압박한다. 한국으로의 결혼이주를 선택하는 동남아여성들은 한국에서 국제결혼 부부의 가정폭력이나 부당한 유기, 심지어 결혼이주여성의 자살 등 위험요소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결혼이주를 선택한다. 이러한 이주여성들 또한 가족의 생계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동기와 더불어 잘사는 나라에 가서 중산층의 라이프스타일을 누리고 싶은 근대적 욕망도 동시에 갖고 있다. 남성들 역시 시부모 봉양과 자녀 양육에 헌신해 줄 온순한 여성을 원하지만 동시에 결혼을 통해 자신도 근대화된 한국의 어엿한 구성원이라는 지위를 얻고 근대적 가족의 가장으로 살고 싶다는 욕망을 함께 갖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가정 부부의 서로 엇갈리는 욕망들은 폭력, 이혼, 불신 등 새로운 문제와 갈등을 초래한다. 또한 문화적 배제와 타자화에서는 한국식 문화만을 강요하고 이주여성 출신국가의 문화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 이는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 모순적인 태도이다. 두 문화가 만나서 풍요로운 문화로 융합하려는 배려가 결여된, 타문화를 일방적으로 배제하는 상황에서 이주여성들의 고립과 타자화는 가속화될 뿐이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도 전지구화와 다문화 공간의 상생을 통하여 보통의 가정처럼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꾸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들의 사랑과 결혼 생활을 통하여 탈영토화 된 문화들을 끊임없이 수용하며 실천하고 있다. The flow of global capitalism clearly exposes a migration phenomenon. In this situation of the time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ulticultural aspects of marriage migrant women appearing in Ha Jong Oh’s poetry. The multicultural aspects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mostly revealed as feminization of survival, crossed desires, cultural exclusion and otherization, and globalization and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space in Ha Jong Oh’s poetry. In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now women become breadwinners and get a lift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because of intense poverty and unemployment in developing countries. Moreover, such condition presses them to accept the conditions of poor migration. Although many Southeast Asian women know that there are many dangerous elements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including domestic violence, unjustified abandonment, and marriage migrant women’s suicide, they choose marriage migration to Korea. While they have motivation to help their family’s livelihood, they have a modern desire to enjoy a middle-class lifestyle in developed countries. Men not only want obedient women who dedicate themselves to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childcare, but also have a desire to get a position of a respectable member in modernized Korea and live as the head of a modern family through marriage. Such crossed desires of multicultural couples often cause new problems and conflicts such as violence, divorce, or distrust. Cultural exclusion only exacts Korean culture and does not accept the culture of migrant women’s countries. It is a contradictory attitude that does not admit a cultural difference. It creates a situation that lacks for concern of making one family by two cultures and unilaterally excludes one side and intensifies migrant women’s isolation and otherization within the family. However, marriage migrant women dream of happy marriage life as other ordinary families and try to realize it through globalization and the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space. They also accept and practice deterritorized culture through love and marriage life.

      • KCI등재후보

        여성의 몸과 젠더의식 -문정희,김혜순 시를 중심으로-

        윤혜옥 ( Hye Ok Y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한국의 페미니즘 시를 개성적으로 발전시킨 문정희와 김혜순의 시에서 신체어에 주목하고, 신체를 통하여 젠더의식이 미학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여성의 몸은 가부장제의 억압과 근대의 욕망이 기술되어진 공간이다. 이러한 몸을 통하여 문정희와 김혜순은 이념은 공유하면서도 시세계의 특징에서는 차이가 두드러졌다. 먼저 모성적 신체공간인 자궁은 임신과 출산을 통해 여성만이 경험할 수 있는 고유한 곳이다. 문정희의 시에서 자궁은 억압과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 세계의 이분법적 인식을 직시하면서, 여성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한 생명력과 재생을 통하여다산과 풍요를 추구하고 있었다. 김혜순의 시에서 자궁은 부유하며 파열하는 정체성을 드러내면서, 결핍이 아닌 흘러넘치는 부재와 균열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에로스적 신체공간인 생식기, 입술 등은 그동안 드러내지 못했던 장소들이다. 그러나 문정희는 왜곡된 남성성을 거침없이 질타하면서 이상적인 남성성을 당당하게 요구한다. 그리고 감추어진 성을 대담하게 담론화하는 금기와 위반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었다. 김혜순의 에로스적 신체공간에서는 인습으로 굳어진 여성성을 복원시키고 새로운 여성성을 생성하고 있었다. 페미니즘은 反남성주의가 아니라 성차별주의이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성차별적 사고와 행동 양식을 받아들이도록 사회화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문정희와 김혜순은 특히 여성의 몸을 통하여 성차별주의적 사고에 도전하여 그동안 숨겨져 있던 여성 신체의 여성성을 부각시켰다. By focusing on the language of body in poems of Mun, Jeong Hee and Kim, Hye Sun, the course of aesthetic realization of the gender awareness through the body are analyzed. The female’s body is a space where the patriarchal suppression and the modern desire are described. Through such body, Mun, Jeong Hee and Kim, Hye Sun share the ideology but with clear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world of poem. First, a maternal body space, the womb is the unique place experienced only by a woman through her pregnancy and baby-birth. In Mun, Jeong Hee``s poems, the womb pursues the fertility and the abundance through the vitality and the regeneration finding the brand new value of women. In Kim, Hye Sun’s poems, the womb reveals the rich and bursting identity and displays not the lacked, but excessive absence and fissure. Next, the erotic body spaces, sexual organs and lips are the places which haven’t been revealed. However, Mun, Jeong Hee criticizes the twisted male images without any hesitation and boldly demands for the idealistic male images. Also, the desire of taboo and violation discussing on the hidden sex are revealed. In Kim, Hye Sun``s erotic body spaces, the femaleness hardened by the custom is restored and new femaleness is created. The feminism is not the anti-androcentrism, but the anti-sexism. We are becoming socialized to accept the sexist thinking and behavior from our births. In such situation, the two poets highlight the femaleness in the female body that has been hidden by challenging against the sexist thinking through the body of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