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심에서 발생하는 철도소음의 주관적 반응평가에 관한 연구

        윤해동,박재영,김재수 한국음향학회 1999 韓國音響學會誌 Vol.18 No.1

        철도소음·진동은 철도변에 거주하는 인근 주민들에게 커다란 불만족 인자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철도소음은 철도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정신적, 심리적, 육체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인해 철도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많은 괴로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본 설문조사 결과 철도변 주민들은 경제적인 보상보다는 쾌적한 주거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철도소음에 대한 심각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자료의 축적 및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적인 대책수립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변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철도소음의 실태 및 영향을 파악해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효율적인 철도소음의 대책수립 및 철도소음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Rail noise and vibration is one of the major problem for the residents living nearby railway tracks. The rail noise may inflict a considerable damage to physiological, spiritual, mental and discomfort to neighboring peoples. Therefore, residents living nearby railway were appeal many troubles. Nevertheless, in our country, adequate guidelines for the rail noise are not yet established because of the lack of basic data and insufficient research works. In this point, this study attempts to surveys the influence of rail noise in urban area using questionnaire. This study also present a basic data in establishing effective plans for rail nois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래와 역사 사이: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설립과 그 성격

        윤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9

        The planning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started in 2008, in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It was proclaimed that this national museum would act as the central hall of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Nevertheless, the path toward its establishment was not a smooth one. After vacillations between the ‘Korean National Museum’ and the ‘National Museum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atter was finally chosen. While the ‘Korean National Museum’ had been envisioned as a futuristic exhibition hall, the ‘National Museum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xpected to function as a representative museum of Korean history. After being pull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future and history, the characteristic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English name being changed later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had been settled in an emphasis on history. After the ‘Committee for the Founding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set up in 2009, it took as little as three years and six months for the museum to officially open in December of 2012. Furthermore, civic groups voiced continuous concern over the right wing deviation of the personnel involved in the museum. The marks of ‘rough-and-readiness’ and ‘political bias’ are what can be called the ‘scarlet letter’ attached to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by the civil society during throughout the museum’s establishment. Looking at how the museum’s exhibitions are composed, which can be summed up as ‘high modernism’ and ‘Korean(Han)-centrism,’ such scarlet letter seems hardly undeserved. This reflects the failure on the part of the museum to dispel the civil society’s mistrust by actively seeking communication and collecting diverse opinions during the planning proces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museum to open itself up to the civil society for an improved communication. In the e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ould fulfill its duty by becoming a museum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post-colonial history, and post-cold war future. 2008년 건국 60주년을 기념하여 설립이 추진된 한국현대사박물관은‘대한민국 역사의 핵심전당’으로 그 성격이 규정되었다. 그러나 그 설립과정은 순탄치 않아 ‘국립대한민국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사이를 오가다가 결국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설립으로 낙착되었다. 국립대한민국관이 미래형 전시관을 표방하는 것이었던 반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대한민국역사의 핵심전당 역할을 수행할 것이 기대되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성격이 미래와 역사 사이에서 표류하다가 결국 역사로 귀결된 것이라 하겠다. 2009년 건립추진단이 발족한 이후 2012년 12월 개관하기까지는 불과 3년 6개월 남짓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 게다가 참여인사의 성격으로 보아 우편향의 혐의가 있다는 지적이 시민사회단체로부터 이어지고 있었다. 요컨대 이런 ‘졸속성’과 ‘정치적 편향성’이라는 표지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설립 과정에서 시민사회로부터 받은 낙인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이모더니즘’과 ‘대한민국중심주의’로 특징지을 수 있는 박물관의 전시구성을 볼 때에도, 박물관 설립 이전에 붙여진 이런 낙인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이라 볼 수는 없다. 이런 결과는 설립과정에서 시민사회와의 소통을 통하여 불신을 불식시키고 또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데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제 박물관 운영을 개방하여 시민사회와 더욱 원활하게 소통할 필요가 절실하다. 궁극적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한국근현대사박물관’, 탈식민주의적 역사박물관, 탈냉전적인 미래의 박물관으로 변화함으로써 자신의 임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협력’의 보편성과 근대국가-‘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작업의 성과와 과제

        윤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1

        According to the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Acts Investigation Report, the accomplishments by the Investigative Committee on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Acts can be summed as follows. First, the Committee has made it clear that its specific aim as defined by the Special Act to Find the Truth of Anti-National Acts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s not to make a sweeping judgement of those under investigation but rather to make a decision on some of their actions. This apparently reflects the Committee’s effort to put to rest the concern that its activities may have semi-judiciary implications. The Committee’s specifying of its aim has also had the effect of making it finally possible to address the issue of political accountability for collaborationist acts, marking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debate surrounding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Second, by limiting its scope of interest to collaborationist acts, the Committee has somewhat ameliorated the expectations placed on itself as a state organization to delineate social norms. The Committee has thus become relatively free from the imperative that it must make ethical rulings on those under investigation and fulfill the role of proposing new norms for establishing social unison and justice. Third, even though the list of people chosen for investigation is organization-centered and periodically uneven, the Report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academic achievement for having compiled massive amounts of existing research data and made further research based on it. Now, the time is ripe for more in-depth research on pro-Japanese collaborators. A close look at the Committee’s activities also suggests new tasks to be pursued. First, investigating and coming to terms with pro-Japanese collaborationist acts inevitably raises the need for a transnational approach, since imperial dominance itself is being questioned. Determin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collaborators is the other side of the coin of dealing with an imperial state’s responsibility in its colonial rule. In this context, Korea’s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is not at all separate from the East Asian world order. This is also why the issue of investigating and coming to terms with Japanese collaborators should not be reduced to a Korean particularity. Second, when collaborative acts are viewed as transnationally constructed, the universal aspect of collaboration is brought to mind. All acts of occupation including colonial rule by the modern state invariably accompany collaboration. Therefore, defining collaboration is intricately connected with grasping the nature of the modern state. There is a need to look at collaboration as an important mediating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modern state and its power mechanism.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활동의 성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위원회는 특별법이 규정하는 진상규명의 구체적 목표가 조사-결정 대상자의 전인격적인 판정이 아니라 ‘행위 중 일부’에 대한 판정을 목표로 삼았음을 분명히 했다는 점이다. 이런 목표 설정은 위원회의 활동이 준사법적 성격을 띨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또한 이를 통하여 비로소 협력행위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묻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과거청산 논의에서 큰 진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진상규명의 구체적 목표를 협력행위에 국한하게 됨으로써, 국가기구로서의 위원회 활동이 규범을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정당화 노력을 어느 정도 중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조사대상자의 전인격을 윤리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통하여 국가통합과 사회정의를 확립하기 위한 새로운 규범을 창출해야 한다는 위원회의 강박적 목적의식이 상당히 완화되어 표출되었던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셋째, 조사대상자 선정이 기관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대상자의 수에서도 시기별 편중을 보이는 등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학계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폭넓은 조사활동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보고서』를 일종의 귀중한 학문적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을 듯하다. 이제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친일협력자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연구 성과를 산출해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위원회 활동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새로이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친일협력행위를 조사하고 청산하는 작업은, 제국주의 지배 자체를 전체적으로 문제 삼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언제나 트랜스내셔널한 과제로 제기된다는 점이다. 협력자의 책임을 묻는 일은 제국주의의 식민지배 책임을 묻는 일과 동일한 사태의 양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친일협력자 청산의 경험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향방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은 바로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또 협력자 조사와 청산의 문제가 한국적 특수성의 맥락에 봉쇄되어버리면 안 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둘째, 협력행위가 트랜스내셔널한 맥락에서 구성된다는 지적은 협력행위가 가지는 보편성의 측면을 환기시킨다. 식민지배를 포함하여 근대국가가 실행하는 근대적 형식의 모든 점령행위에는 반드시 협력행위가 동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협력의 성격을 따지는 문제는 바로 근대국가의 성격을 파악하는 일과 깊은 관련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협력을 근대국가와 그 권력의 속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매개 개념으로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