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연구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부엌의 문화사” 연구프로젝트 자료의 분류 및 기술을 중심으로 -

        윤택림,최정은 한국기록관리학회 2012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2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research records in order to include ethnographic data into research records by comparing the laboratory records with the ethnographic data produced in the field work. And it discusses the records management task of ethnogrpahic data using the field work data collected in the research project of ‘Cultural History of Kitchen’ which was carried out by one of the authors from 2002 to 2005. The authors draw out the classification of laboratory records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research records, apply it to the ethnographic data and illustrate the new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research records reflecting the features of ethnographic data. Doing so, the authors expand the concept of research records and provide a case study of research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archivist. Ultimately this study will be a footstep toward construction of community archives and everyday life archives since the records for those archives may be as diverse as the research records based on the ethnographic data from the research project of ‘Cultural History of Kitchen’.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기록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면서 자연과학에서 생산되는 연구기록과 질적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기록의 차이를 밝히고 질적 연구 자료를 연구기록화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기존의 연구기록 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연구기록의 개념, 분류와 유형, 그리고 연구의 방향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문화기술지적 자료를 연구기록화하기 위하여 자료의 맥락을 생산과 수집의 특수성을 통하여 정리하고 그것에 연구기록 분류 방식을 적용하여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분류와 기술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윤택림이 수행했던 “부엌의 문화사” 연구프로젝트에서 생산 수집된 자료들을 사례로 이용할 것이다. 이 연구는 질적 자료를 포함하여 연구기록의 개념과 범주를 확장시키면서, 자료를 생산한 연구자와 아키비스트와의 공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구기록관리의 사례를 보여준다. 또한 다양한 문화기술지적 자료들을 연구기록화 하는 작업은 일상사,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의 시발적인 연구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근현대역사박물관의 구술 전시와 공공역사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24 구술사연구 Vol.15 No.1

        한국사회에서 2000년대 전후로 일어난 역사박물관 붐은 최근 근현대역사박물관의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근현대역사박물관의 성장과 2010년대 말부터 논의되고 있는공공역사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왜냐하면 공공역사 연구에서 가장 많이 분석되어온 것이 바로 박물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근현대역사박물관은 당대의 사건을경험한 목격자들의 존재로 인해 구술 전시가 도입되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근현대역사박물관의 구술 전시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술 전시에 연관된쟁점들을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근현대역사박물관의 현황과 추세를 정리하고 연간 관람객 10만 이상인 근현대역사박물관 25개 중 7개의 구술 전시 상황을 파악한다. 이 사례들을 통하여 현재 활용되고 있는 구술 전시의 유형과 효과를 논의하고 구술 전시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전시 방향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공공역사 관점에서 구술 전시의 쟁점들을 논의하고 근현대역사박물관에서 구술전시가 공공역사에 기여하는 바를 밝힌다. Modern-contemporary history museums have increased since 2000 in Korean Society with the boom of history museum which started in the 1990’s around the worl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cent discussions about public history because it is museums that have been the major subjects of public history research. Lately oral history exhibitions have been introduced to modern-contemporary history museum since the oral narratives of witnesses who experienced major historical events have been collected through oral history interviews.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modern-contemporary history museums, discuss the issues involved in oral history exhibitions,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this, the first part of the paper looks into 25 modern-contemporary museums in terms of opening year, major theme, location, types of administration whose visitors are more than 100,000 in 2020, out of which 7 museums turn out to have oral history exhibitions. The types of oral history exhibitions are illustrated and their effects are analyzed to offer the more elaborated orientations for oral history exhibition. Lastly, several issues generated in oral history exhibitions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ublic history, pointing out how oral history exhibitions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public history in museums.

      • KCI등재후보

        구술사와 역사학의 어색한 관계 : 그 성과와 전망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16 구술사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역사학과 구술사의 어색한 관계를 진단하고 그 어색함을 만들 고 있는 핵심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여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전망을 하고자 한다. 이 를 위하여 우선 구술사가 한국 역사학에 어떤 도전을 하였는지를 논의한다. 구술사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대체로 구술사가 한국근현대사 연구에서 문헌이 드러내지 못 하는 경험들을 드러내어 아래로부터의 역사쓰기를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필자는 2000년 이후 역사학자들이 배출한 구술사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그 성과를 분석하였 는데, 한국전쟁 관련 연구에서는 공식역사와는 다른 대안적 역사쓰기가 이루어졌고, 여성사, 지방사, 노동사, 재외한인사 등에서 역사 연구의 주제와 소재가 다양하게 되 고 소외되었던 평범한 사람들을 역사의 주체로 드러나게 하였다. 이러한 역사학계에 서 구술사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역사학과 구술사의 어색한 관계가 드러내 는 쟁점들을 발견하였는데, 그것은 구술성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이해 부족, 주관성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어려움, 그리고 역사와 기억과의 관계 설정이라는 세 부분으로 논 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역사학과 구술사가 어색한 관계를 생산적으로 만들어 가는데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강조하였다.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the awkward relationship between oral history and historiography in South Korea and suggest a productive future vision for both fields. In order to do so, the author illustrates how oral historical researches carried out by Korean historians challenge Korean historiography.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among Korean historians engaged in oral history that oral historical researches have produced a 'history from the below' by uncovering unheard voices and forgotten histories. A review of oral historical researches conducted by Korean historians since 2000 indicated that as for studies on the Korean War, an alternative way of writing history was employed. These researches elevated the ordinary people who had been marginalized to main agents of history. Moreover, they revealed that research topics and subjects have been diversified in different historical fields, such as women's history, labor history, local history and Korean diaspora history. Despite such achievements, there are some issues stemming from the uneasiness between oral history and historiography. These issues were discussed in light of three elements: historian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orality, difficulties that they face when dealing with subjectivity, and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memory. Lastly, the author emphasizes the connecting role that researchers of modern Korean history could play in ameliorating the awkwar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ields.

      • KCI등재

        지방지(地方誌)와 구술사 : 경기남부 지방지를 중심으로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12 구술사연구 Vol.3 No.2

        이 글은 최근 지방지 편찬에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구술사 연구가 지방사 연구에 서 필수적인 구술 기록 수집을 동반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필자는 최근 경 기 남부 지방지에서 활용되고 있는 구술사가 지방사 연구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으며 어 떤 과제를 남기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한국 지방사 연구의 성과와 쟁점들을 검토한다. 두 번째로 지방사 연구에서 지방지의 위치를 자리매김하면서 지방지의 과제를 정리한다. 세 번째로 필자가 집필자로 참여했던 과천시지, 광주시지, 군 포시지, 수원시지, 수원서둔동지, 의정부시사에서 어떻게 구술 자료가 수집되고 활용되었 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지방지가 진정한 지방사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지방의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과 더불어 편찬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서울사람들의 한국전쟁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11 구술사연구 Vol.2 No.1

        이 연구는 서울토박이를 포함하여 서울사람들의 전쟁에 대한 기억과 이야기들을 통하여 서울에서의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지방사 연구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서울에서 한국전쟁을 겪은 사람들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서울사람들의 특수한 전쟁경험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서울사람들은6·25가 나자마자 서울이 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한강다리가 폭파되었기 때문에 거의 피난을 가지 못했다. 이 시기 피난갈 수 있었던 사람들은 전 서울 인구의 1/3로 정부관리, 경찰, 군인과 우익정치인, 월남인들이었다. 따라서 서울에 남을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 중 남자들은 서울 내에서 이리저리 도망 다니면서 숨거나 또는 좌익에 협조하는 척하며3개월 동안의 인민공화국의 지배 속에 살았다.9·28수복이 되어 지방 우익들에 의한 학살이 시작되었으나 곧 중공군의 참전으로 1·4후퇴 이전인 12월 초부터 서울사람들은 생존을 위해서 대부분 피난을 떠났다. 그러나 서울 토박이들은 지방에 연고에 없었고 자신들의 가산이 서울에 있었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1951년 초부터 서울로 돌아왔다.반면 월남인들은 서울이 확실하게 수복이 된1953년도에나 서울로 돌아왔다. 일찍 돌아온 서울 토박이들은 폐허와 정적 속의 서울에서 전후 복구와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만들어갔다.이와 같은 서울주민들의6·25경험은 서울의 지정학적 특징뿐만 아니라 당시 서울에서 살고 있었던 사람들의 지방적 특수성을 보여준다. 즉 강을 건너지 못했던 서울주민들의 6·25경험은 서울이라는 지방의 전쟁 경험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당시 서울사람들의 전쟁 경험은 문헌 중심의 한국전쟁 연구에서 서울을 한국(남한)과 동일시하는 경향에 대하여 서울의 지방적 특수성을 보여줌으로써 서울의 지방사 복원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치유를 위한 자기서사 : 한 실향민 여성 구술 생애사와 자서전 비교 분석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11 구술사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해방과 한국전쟁, 그리고 분단이 삶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는 경기도 개풍군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와 자서전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것은 여성의 자기서사 연 구에서 소외되어온 해방 전후와 분단을 다루면서 이 시기에 대한 여성들의 자기서사의 특 징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기 위함이다. 또한 문학계에서 아직 주목 받지 못한 구술 생애 사가 여성의 자기서사로서의 자서전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생애이 야기가 어떤 서사구조와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분석하 고자 한다. 이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와 구술 생애사의 서사적 특징은 남성 지식인들의 인과 적이거나 일관된 정형적인 서사가 아니라 일회적이고 파편적인 무형식의 형태라는 것이다. 또한 두 가지 형태의 자기 서사는 형태적 특징과 생산 맥락의 차이로 해서 다른 종류의 경 험과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지만, 서술의 내용 면에서 보면 두 개의 생애이야기는 종합하여 하나의 삶을 보다 더 총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녀의 자기서사의 목적은 자신의 역사적 경험 의 고통을 고백하고 공감을 받으면서 고난극복의 서사를 가족공동의 서사로 만들어가면서 과거와 화해하고 자기 치유를 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나 자기 치유의 토대가 다복한 가족 이라는 점에서 그녀의 자기 서사는 가부장제의 굴레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해방과 분단 의 현실이 60년 이상 지속되면서 국가가 이산가족의 좌절과 고통을 해결해줄 수 없는 상황 에서 그 역사적 상흔으로부터 자기 치유의 몸짓은 바로 해방과 분단경험에 대한 여성들의 자기서사의 한 특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an autobiography and a life history of a woman who left her native place, Gaepung County of Kyonggi Province during the Korean War. It seeks to illustrate the features of women‘ self narratives about the Liberation,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nation. Also it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autobiography and life history which has been ignored in the study of women’s self narratives in terms of their narrative structure, strategy and meanings. The main feature of her narratives in the autobiography and life history is episodic, fragmental and anti-form, compared with the autobiographies of elite men. Although her autobiography and life history have different audiences and narrative styles, and contexts of production, they provide a full picture of her life together. In her narratives, she seems eager to reconcile herself to past wounds and to reach self-healing by telling her life story, gaining empathy from the audience and transforming the narrative of overcoming such hardships to the narrative shared by her family. But her self-narrative is not free from the restraints of Korean patriarchal family relations since her self-healing is based on family empathy. While the division of nation continues over 60 years, the government has not lessened the pains and frustrations of the separated families. In this situation, the attempt of self-healing from the historical wounds may be a major feature of women’s self narratives about the Liberation and the division of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