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적 현실인식과 정의의 개인적 실천 - 해방 전 김진수의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윤진현 ( Youn¸ Jinheon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90 No.-

        김진수(金鎭壽)는 1930년대 후반 한국희곡사에서 반드시 거론되는 작가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공연이 있었던 당대에서 최근까지 본격적인 조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간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던 김진수의 가계와 성장 및 성격의 형성과정, 간도에서의 활동 등을 추적하였으며 희곡 <길>과 <향연> 이외에 아동극 <세발자전거>, <종달새>, <산타클로즈> 등 해방 전 작품의 방송과 상연 이력을 살펴보았다. 김진수는 기독교 민족운동에 참여한 기독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기독교계 평양 숭실중학을 나와 미국성공회에서 설립한 일본 릿쿄대학을 졸업하였다. 기독교 정신은 그의 작품세계의 근저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길>에서 김진수는 위선적이고 타락한 조선인 군상을 현실적으로 그려내어 당대 조선인으로서 일상적으로 해야 할 개인적 과제를 환기하고 있다. <향연>에서는 특별한 극적 사건이나 갈등이 없으나 저마다 갖고 있는 고통과 고민을 감당하면서 삶을 긍정하는 태도를 보여주었으며 아동극 <세발자전거>와 <종달새>, <싼타클로즈>에서도 어려운 현실에서도 두려움을 이기고 옳은 행동을 하며 살아가는 것이 결국은 개인의 결단에 의한 것이며 저마다 감당해야하는 삶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현실적인 문제에 집중하면서 기독교적인 구원의 날을 기다리던 식민지 시기 기독교의 현실대응방식에 상응한다. 즉 김진수는 기독교적 현실인식에 기반하여 개인이 독자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인간주의의 구현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Kim Jinsu is a writer who is alway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Korean dramas in the late 1930s. However, his works did not receive a full-fledged outlook until recently at the time of the performances. In this study, Kim Jinsoo's family lineage, the process of growth and personality formation, and activities in Gando, which were not well known,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the plays < Gil(way) > and < Hyangyeon(banquet) >, the broadcast and performance history of pre-liberation works such as children's plays < Sebaljajeongeo(Tricycle) >, < Jongdalsae(Lark) >, and < Santa Claus > were examined. Kim Jinsoo was born as the son of a Christian pastor who participated in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nd graduated from Christian Soongsil Middle School in Pyongyang. He graduated from Rikkyo University in Japan, founded by Anglican Church. It can be said that the Christian spirit forms the basis of his work. In < Gil(way) >, Kim Jinsoo realistically depicts the hypocritical and depraved group of Koreans, evoking the personal tasks that Koreans of the time must do on a daily basis. In < Hyangyeon(banquet) >, there are no special dramatic events or conflicts, but they show an attitude that affirms life while dealing with their own pain and anxieties. Even in the children's plays < Sebaljajeongeo(Tricycle) >, < Jongdalsae(Lark) >, and < Santa Claus >, it is revealed that overcoming fear and doing the right thing in a difficult reality is ultimately a personal decision and life that each person has to bear. This corresponds to the way of responding to the reality of Christian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ch focused on real problems and waited for the Christian day of salvation. Kim Jinsoo aims to realize humanism that can be practiced independently by individuals based on Christian reality perception.

      • KCI등재

        최연호의 삽화로 보는 유치진의 농촌 3부작

        윤진현 ( Youn Jin-heon ) 민족문학사학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3 No.-

        성문각판 『유치진희곡전집』은 유치진의 생전에 발표된 유치진 희곡의 결정판이다. 여기에는 한국무대미술사를 대표하는 무대장치가의 하나인 최연호의 삽화가 실려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진의 대표작이며 통상 농촌 3부작으로 꼽히는 <토막>, <버드나무 선동네 풍경>, <소>의 세 작품을 최연호의 삽화를 매개로 살펴보았다. 이 삽화들은 사실성과 현재적 의미, 무대에 대한 종합적 고려 등 작품을 해석하는 최연호의 관점을 잘 드러내주며 유치진의 희곡 해석에도 하나의 새로운 근거가 된다. 우선 최연호는 <토막>의 삽화에서는 무대를 표현하는 다듬어진 각진 선을 통해 무덤과도 유사한 `토막`이란 공간 안에 고대의 유적에서 볼 수 있는 위엄을 부여하였으며 이로써 궁핍한 토막민의 역사에 경의를 드러내었다. <버드나무 선 동네 풍경>에서는 `버드나무`로 표현 되는 원형적 장소성을 해체하고 나무의 생육이 정상적이지 않은 현실을 비판하면서 화류계를 의미하는 휘늘어진 수양버들로 표현하여 산업사회의 도래를 암시하였다. <소>에서는 외양간이란 공간을 적극적으로 배치하여 인물들의 행동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소의 시선은 물론 관객의 시선까지도 고려하는 안목을 보여주었다. 즉 최연호의 삽화는 유치진 희곡을 해석하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로서 그의 무대삽화는 실제 공연에서와는 달리 무대미술의 상상력을 크게 확대하면서 삽화만의 독자적인 메시지를 발신하는 미적 주체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를 통해 희곡을 보는 새로운 이해의 거점을 시도 할 수 있을 듯하다. 삽화를 통한 최연호의 해석을 기반으로 1971년 『유치진희곡전집』이 발간된 시점에 최연호는 어떤 해석을 부가하고 이를 삽화를 통해 독자/ 관객에게 선보였는지를 점검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Collection of Yoo Chijin`s Plays” (Sung Moon Gak edition) shows the best of his plays published in his lifetime. In the Collection, illustrations by Choi Yeonho, one of the Korean set designers representing the history of Korean stage art, are included. This study looked into 3 works “Tomack” (A Mud Hut), "Budnamu sun dongne ponggeong" (Scene for The Villege with Willows), and “So” (Cow), generally considered Yoo Chijin`s "The Trilogy of a Farm Village", his representative works, through Choi Yeonho`s illustrations. These illustrations not only display Choi Yeonho`s perspectives well-realism, present meaning,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n stage, etc.-but also become one new basis for interpretation of Yoo Chi-jin`s plays. First, through the illustrations in "Tomack" Choi Yeon-ho used intricate angled strokes that were for depicting the s tage to provide the space Tomack, s imilar to a tomb, with dignity that can be seen in ancient ruins; and by doing so he showed respect for the history of Tomack residents, who lived in poverty. In "Budnamu sun dongne ponggeong", he dismantled archetypal placeness that is expressed through "willow trees" and criticized the reality wher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rees were not normal, and what is more, implied the advent of industrial society by depicting the reality as weeping willows, which mean the demimonde. In "So", he provided the characters` behaviors with strong senses by positioning the cowshed, a space, noticeably; and showed discernment-he considered the gaze of the audience as well as that of the cow. That is, his illustrations are one important example of the interpretation of Yoo Chijin`s plays; and it can be seen that his illustrations of the stage are an aesthetic subject sending illustration`s own messages, greatly extending the stage art`s imagination unlike the real performance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doing this would be able to help gain a foothold in the new understanding of plays, as it is possible to check what interpretations Choi Yeonho added and how he displayed them to the readers / audience through illustrations in 1971, the point when the Collection was released based on his interpretations through illustrations.

      • KCI등재

        논문 : 일제 말 조선인을 위한 차선의 모색과 그 한계 -해방 전 이찬의 시와 희곡-

        윤진현 ( Jin Heon Yo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시인으로 알려진 이찬(李燦)은 일제 말, 1943년에서 1945년까지 4편의 희곡을 남긴 희곡작가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으로 < 세월 >(『조광』, 1943.5~6), < 보내는 사람들 >(『신시대』, 1944.8), < 이기는 마을 >(『춘추』, 1944.10)의 3편은 이미 알려져 있었고 1945년 6월 발간된 『조광』 5-6월 합병호에 실린 일본어와 한국어 혼용의 < 사랑의 전선을 넘어서[愛線を越 へて] >가 있다. 이 작품은 창씨명 아오바 가오리[靑葉薰]로 발표된 이찬의 희곡이다. 시인 이찬이 연이어 희곡을 집필했다는 것은 다소 의외이지만 일찍이 『우리동무』 사건으로 신고송등과 투옥되기 전 < 추수 >라는 슈프레히콜 희곡의 발표를 예정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선전수단으로서의 희곡은 서정시로 포착되지 않는 일제 말의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한 장르적 고심의 결과라고 할 것이다. 첫 작품 < 세월 >은 전쟁의 와중에 조선인의 선택지에 대한 판단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동연예대의 대본으로 집필된 < 보내는 사람들 >과 < 이기는 사람들 >은 당대 전조선을 순회하던 이동연극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 작품은 징용과 징병에 찬성하면서 전쟁 참여를 독려한다는 점에서 그 친일성을 부정할 수 없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 시기의 이찬의 시와 희곡이 지닌 친일성을 따지기보다는 그 작품의 이면에서 당대를 살아남기 위한 차선책으로서의 생존방법에 주목하였으며 작품의 이면에 균열을 초래하는 작가적 회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우선 이 시기 친일시로 구분되는 시가 당시 같은 제목으로 씌어진 여타 시인의 시들과 달리 시적 화자가 대상과 동일화되지 못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균열은 희곡에서는 선명히 드러나기보다는 이면적 주제로 잠복한다. 희곡 < 세월 >은 전쟁 2기인 1943년에 발표되었으나 1기적 기반 위에서 구상된 것으로서 일본의 패권을 전제로 조선인의 이익과 선택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황민화 정책의 골자를 이루는 ``국어(일본어)학습``에서 실제 전황을 왜곡하는 정보가 조선인의 현실과 내적으로 대립하여 일관된 작품 주제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 보내는 사람들 >과 < 이기는 마을 >에서 적대세력은 원경화되어 있는 대신에 기층민 인물을 중심으로 이들의 능동성과자발성, 연대와 우애가 전면화되어 있으며 이로써 이찬은 멀리 있는 전쟁의 적대세력에 대한 적개심보다 위기를 극복하는 기층민의 지혜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적 주체를 향한 낭만적 대안은 < 사랑선을 넘어서 >에서 완전히 파탄에 이른다. 전쟁동원의 선동적 논리와 가족 상실의 비극이 전면적으로 충돌하는 가운데 주인공의 이중적 표현을 통해 전자를 비판하고 주관적 낭만성에서 이탈해가는 것이다. 요컨대 이찬은 일제말 희곡을 통해 일제에 저항하는 대신, 생존의 차선책을 선택하고 여기에서 조선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우회 전략을 구사하였으나 결국 실패하였으니 일제 말 총동원 체제 하에서는 그조차도 달성 불가능했던 것이다. Lee Chan(李燦), known as a poet, was also a playwright who left 4 plays from 1943 to 1945,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3 works ``Sewol`` (``Jogwang``, from May to June in 1943), ``The People Sending`` (``Shinsidae``, Aug. in 1944), ``The Victorious Village`` (``Chunchu``, Oct. in 1944) are already known, and ``Beyond the Front Line of Love`` (愛線 を越へて) writte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was included in the combined issue (the May 1945 issue and the June 1945 issue) of the magazine ``Jogwang``. The work ``Beyond the Front Line of Love`` is his play published in his Japanese name Aoba Kaori(靑葉薰). The fact that the poet wrote a series of plays is rather unexpected; but he had been planning to publish the Sprechchor play ``Chusu(秋收)`` before he was imprisoned with Shin Go Song, etc. for the Wooridongmu case. The play as a means of propaganda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deliberation on genre, deliberation aiming to solve the undetectable real problems of the period through lyric representation. That is because his first work ``Sewol`` was focused on judgement on the choices the People of Choseon had during the war and ``The People Sending`` and ``The Victorious People`` written as scripts for mobile musical troupes connoted critical alternatives to the Mobile Theatre that was on a tour of the whole Chose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were pro-Japanese works in that they approved of the draft and conscription and encouraged participation in the war. But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works`` hidden side where survival methods as the second best survival plans in the period were presented, rather than discussing his pro-Japanese poems and plays published then. In addition, it intended to look at the doubts he had as a writer, the doubts causing a crack on the hidden side of the work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is poems classified into pro-Japanese poems written in the period and the poems with the same title written then by other poets : the poetic narrators and objects could not be unified. Such a crack stakes out in the hidden theme of a play, rather than being exposed clearly. The play ``Sewol`` was published in 1943, during the 2nd period of the war. But it was contemplated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2nd period, and deals with the advantages of the people of Choseon and with the choices they made on the assumption that Japan would gain supremacy. But as for ``learning the official language (Japanese language)``, the gist of the Japanization policy, information distorting the actual military situation was in internal confrontation with the reality of the people of Choseon, which creates a crack in the consistent theme of the work. In ``The People Sending`` and ``The Victorious Village``, the antagonists look far away; instead, activeness, spontaneity, solidarity, friendship are placed on the front side, people from lower classes playing a main role in showing those, through which it can be seen that he is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s`` wisdom in terms of overcoming crisis, rather than the feelings of hostility towards the warfare antagonists looking far away. But the romantic alternative for such active main agents ends up being destroyed completely in ``Beyond the Front Line of L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inflammatory logic of war mobilization is in an all-out confrontation with the tragedy of family loss, the former (the inflammatory logic) is criticized and a deviation from subjective romanticism is done through the protagonist`s dual expression. To sum up, he chose the second best survival plan and then used the turnaround strategy, that is the maximization of the advantages of the people of Choseon, instead of resisting the Japanese Empire through his plays writte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he finally failed, which means that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even such a strategy in the full-scale mobilization system then.

      • KCI등재

        논문 : 연극인 홍사용 연구

        윤진현 ( Jin Heon Yo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연극인 홍사용의 면모를 조명하고 그의 희곡과 연극 활동을 탐구하였다. 홍사용은 현재 4편의 희곡을 남기고 있고 부전 희곡 3편 외에도 여러 작품의 번안, 각색, 연출자로 활약하였다. 최초의 근대적 신극전문단체를 표방했던 토월회의 문예부장을 맡고 있었고 극단 ‘산유화회’를 창단하였으며 신흥극장, 예천좌, 동양극장 등에 각색, 연출 등으로 다수의 작품에 관여하였다. 우선 연극인 홍사용의 진면목은 『백조』와 ‘토월회’의 제휴에서 『백조』의 해소 이후 토월회에 적극 참여하면서 시작된다. ‘토월회’의 활동 중단 이후, 홍사용은 1926년 ‘산유화회’를 직접 창단하면서 자신의 창작극 <향토심>을 창단공연으로 선보였다. 또한 홍사용은 불교잡지 『여시』에 1928년 6월 <할미꽃>을 1928년 7월 『불교』지에 <벙어리굿>(전문삭제), 1928년 9월호에 <흰 젖>, 1929년 2월 <제석>을 게재하였다. 이렇게 활발히 희곡을 발표하던 1928년 그의 예술관을 집약한 평론 「조선은 메나리 나라」를 발표하였으며 여기에서 ‘산유화’(메나리)는 홍사용 문학 지향의 근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홍사용의 희곡은 백조적 낭만정신에 기초하여 토속성, 현실성, 역사성 등을 문제의식으로 삼고 있으며 이는 당대 주요한 문학적, 연극적 흐름과 연속되어 있다. 우선 <할미꽃>의 서정성과 낭만주의는 ‘백조’의 문학적 성취에 연속되어 있다. 부전희곡이지만 <향토심>과 <벙어리굿>은 토속적인 세계의 보존이라는 주제를 매개로 당대 민중의 삶에 대한 홍사용의 이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조선문화의 근간을 ‘메나리’에 두고 이를 문학적 기반으로 소환하였던 홍사용의 시세계와 그의 희곡이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바이기도 하다. 아울러 <제석>은 몰락한 양반 가문이 천박한 물질만능의 자본주의 세태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비극적 정조를 잘 포착하고 있다. 홍사용의 극적 성취는 불교소재이면서 역사소재인 장막극 <흰 젖>과 <출가>로 대표된다. <흰 젖>은 이차돈의 순교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 다른 시대를 한 작품 안에 다루면서 사실에 기초한 다채로운 역사적 갈등을 다루면서 국가의 번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공주‘성국(盛國)’조차도 중생의 구제를 위한 불교적 목표 속에서는 넘어서야 할 마장으로 해석하였다. 이 같은 주제의식은 아예 왕좌와 가족을 버리고 중생의 구제를 위해 출가하였던 ‘불타의 일대기’를 다룬 <출가>에서 극단적으로 확대된다. 이것은 <향토심>에서 시도되었던 ‘대동세상’의 이상이 단순히 시류의 이념이 아니라 홍사용의 깊은 작가의식의 일환이었다는 판단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이는 홍사용이 1930년대 이후 간헐적으로 연극계 및 문단에 돌아왔을 뿐, 유랑하면서 엄혹한 시기를 견뎌낸 홍사용의 생존방법이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lluminated aspects of the theater person Hong SaYong and explored his plays and play activities. He has written 4 plays in his life. In addition, he has translated, adapted, and directed several works apart from 3 incomplete plays. He was truly one of the eminent theater people-he was the head of the literary section of Toweolhoe, which claimed to be the first modern group specializing in new drama, founded the theater company ‘Sanyuhwahwe’, and participated in many works of Sinheung Theater, Yecheonjua, Dongyang Theater, etc. by adapting, directing, etc. First, the theater person Hong SaYong started to prove his real worth when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oweolhoe after the alliance between the literary magazine Baekjo(meaning a white tide) and ‘Toweolhoe’ and the dissolution of Baekjo. After the interruption of the Toweolhoe activity, he founded ‘Sanyuhwahwe’ himself in 1926 and showed his own original play <Hyangtosim>(meaning love for hometown), the group’s first play. Although the play was extremely criticized at that time, it showed the ideal world, the Age of Universal Peace, based on ‘Spirit of Menari’. After that, he published <Halmikkot> (meaning a pasqueflower) in the Buddhism magazine ‘Yeosi’ in June 1928, ‘Bungarigut’ (meaning exorcism by a speech-impaired person)(the full text deleted) in another Buddhism magazine in July 1928, <Hinjut> in the same magazine in September 1928, and <Jesuk> in the same magazine in February 1929. Especially, <Hinjut> was about Lee Chadon’s martyrdom and it was specially created for ‘Lee Chadon’s Martyrdom’, the theme for commemorating the 4th foundation anniversary of the magazine ‘Buddhism’ His plays question folk characteristics, reality, historicity, etc. based on the romantic spirit in the magazine Baekjo. The characteristics of his plays are related to the main literary and drama trends at that time. First, <Halmikkot>’s lyricism and romanticism are related to the literary achievement of Baekjo, which created a special sensitivity. Although <Hyangtosim> and ‘Bungarigut’ are incomplete plays, they show his ideal approach to the people’s lives at that time through the medium of the theme the preservation of the folksy world. This also shows that his poetry world and play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his poetry world and plays are based on the literary basis-he thought that Chosun culture was based on ‘Menari’). In addition, <Jesuk> successfully depicts the tragic atmosphere whil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ruined noble families and social conditions created by vulgar capitalism (mammonism). Judging by the characteristic of <Jesuk>. The comedies <Hinjut> and <Chulga> (meaning leaving home) represent his achievement in play (<Hinjut> and <Chulga> are about Buddhism and history). These works are different from Lee Gwangsu’s work that is about Lee Chadon as well as popularized works that are about the veiled enmity in royal palace. Hong SaYong’s <Hinjut> dealt with the affection between the male and females equally beyond social status and various historic conflicts based on fact dealing with different times in the same work. Besides, it limited meetings between Princess Sungguk and Lee Chadon so that the meetings are not interpreted as a simple triangular love affair. Thanks to that, even Sungguk, which could also have been interpreted as the prosperity of a nation, was able to be interpreted as evil obstructions that should be surmounted in terms of the purpose of Buddhism(salvation for people). The thematic consciousness like this is maximized in <Chulga>, which is about ‘the biography of Buddha’, who left home leaving the throne and his family with the purpose of the salvation for people determinedly. Judging by this, the ideal world, the Age of Universal Peace, attempted in <Hyangtosim> was not a simple widespread ideology, but one of his deep writer consciousnes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일보판 함세덕 <해연>의 부정한 어머니와 서브 내러티브

        윤진현 ( Youn Jin-h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8 No.-

        함세덕은 1936년 <산허구리>의 발표, 1939년 <도념>의 공연, 1940년 <해연>의 신춘문예 당선까지 여러 차례의 등단과정을 거쳤다. 이중 <해연>은 1940년 『조선일보』에 처음 발표되었고 1947년 발간된 희곡집 『동승』에 개작되어 수록된 작품으로서 함세덕의 긴 등단과정을 완결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간 주로 희곡집 『동승』에 수록된 판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작품 자체의 완성도와는 별도로 최초의 구상과 문제 의식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1940년의 원작을 별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1940년 발표된 <해연>은 조선일보 신춘문예의 1등 당선작으로서 당선과 동시에 극단 고협에서 상연을 예고하면서 고협의 스틸사진과 정현웅의 삽화가 동시에 수록되어 발표되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형식이었다. 여기에 삽입된 이미지는 <해연>을 이해하는 당대적 관점을 보여주는 바이다. 이들 이미지를 중심으로 희곡과 대조할 때 가장 적극적으로 해석된 장면은 진숙 부모의 과거를 형상화한 것이다. 이러한 장면이 추가될 때, 작품의 중심은 개작본의 진숙, 세진과 같은 젊은 소년 캐릭터가 아니라 기성세대인 등대지기와 진숙모의 갈등과 선택의 문제로 이동한다. 이는 기성세대의 문제가 인과적으로 후속세대에 장벽과 좌절이 될 수 있음을 환기한다. 아울러 이처럼 기성세대의 문제를 완결된 현실적 상수로 간주할 때 현실을 감당하는 리얼리즘적 선택의 의미가 두드러진다. 즉 <해연>은 당시 유치진, 이광래 등 극예술연구회 작가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부정한 어머니’라는 시대 캐릭터에 대한 여러 가지 대응 중 하나로서 청년 극작가 함세덕이 문단과 극단 등 범문화계의 문제의식과 캐릭터를 수용하고 이에 대해 나름대로 도전적인 답변을 시도한 결과인 것이다. 특히 함세덕의 <해연>은 자식을 버리고 개인의 삶을 택했던 ‘부정한 어머니’가 단순한 징벌의 대상이 아니라 현재의 원인으로 작동하면서 여기에서 비롯된 소년 캐릭터를 통해 후속세대의 미래라는 새로운 역사적 질문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요컨대 이 같은 구조 자체가 당대의 문제를 적시하면서 이후의 변화를 예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Haeyeon(Sea swallow)” by Ham Seduk was first released in 1940 by the Chosun Ilbo, and the adapted version of it was included in “Dongseung” the Collected Plays, published in 1947. To date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the latter, but this paper mainly considered the 1940 original to explain the initial plan and critical mind, apart from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itself. As soon as the work released in 1940 was selected as the winner of the first prize i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of the Chosun Ilbo, Gohyeob the Korean theater company announced that it would be staged and both Gohyeob’s stills and Jeong Hyeonung’s illustrations were included and released. This was a very rare form. The images included in here show a perspective of those days that helps to understand “Haeyeon”. When contrasting the work, mainly these images, with play, the most actively interpreted scene is the part where the past of Jinsuk’s parents is depicted. When such a scene is added, the focus of the work does not move to the boy characters, such as Jinsuk and Sejin appearing in its adapted version, but to a matter of conflicts between the lighthouse keeper and Jinsuk’s mother, who are older generation persons, and to a matter of their choice. This awakens people to the fact that older generations’ problems can therefore become barriers and frustration to succeeding generations.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older generations’ problems as a completed realistic constant in such a way, the significance of realistic choice that bears the reality stands out. That is, “Haeyeon” is one of several ways to deal with the character of the time “unfaithful mother” found in the then works of writer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Dramatic Art (writers including Yoo Chi Jin and Lee Gwang Rae) ― the work is the result of the young playwriter Ham Se Deok’s efforts, the playwriter who accepted the critical mind and character of the whole cultural world, including literary circles and drama companies, and then attempted to give a challenging answer of his own to the very critical mind and character. Notably, in Ham Se Deok’s “Haeyeon” the “unfaithful mother” who abandons her children and chooses to live her own life does not act as a mere person who has to be punished but as a cause of the present, and at the same time the boy characters from that cause help to easily move to the new historic question of the future of succeeding generations. In summary, it can be thought that such a structure itself points out the then problems, preparing for changes to come after then.

      • KCI등재
      • KCI등재

        1960년대 세조정변의 영화화와 현실인식 : 이규웅의 〈단종애사〉,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윤진현 ( Jin Heon You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2 No.-

        This piece of writing is intended to explain the underlying political consciousness in films by Lee Gyu-Woong, called 〈Tragedy of Danjong〉 (original novel by Lee Gwang-Soo, adapted by Lee Seo-Goo, 1963) and 〈King Sejo〉(original novel by Lee Gwang-Soo, adapted by Kang Young-Jo, Yu Il-Soo, Lee Jang-Soo, Ha Hui-Ryong, 1970). Although a film, 〈Tragedy of Danjong〉, by Lee Gyu-Woong used an original novel by Lee Kwang-Soo,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facts and is also very different from 〈Tragedy of Danjong〉, produced in 1956 by a director named Jeon Chang-Keun. As 12-year-old child, Danjong, was featured as an adult, his affectionate love with Danjong``s wife, Queen SONG, and tragic ending were being emphasized, and this signifies that the political change by King Sejo and Danjong``s fate were being reorganized into a melodrama, which was the most preferred genre by Koreans at the time. This is political in two aspects. First, as it was reorganized into the most popular genre, it expanded opportunity of popular thinking on ``Political Change by King Sejo``, and by shaping a young and weak politician, who was ruined in just two years, it aroused the 2nd republic that was replaced by the coup d``etat. Specially, an image of Danjong``s wife, who was escaping long distance with a body of a weak woman to avoid the government troops and to protect ``Danjong,`` was representing the politicization of a female character, who supported nationality of colonial period. Somber outlook of the 3rd republic is foreseen when their love eventually comes to the tragic catastrophe. In a sequel called 〈King Sejo〉, as ``Sejo,`` who ascended the throne but suffered with sleepless nights when he was not even approved by his own children, and his death were being shaped dramatically, it revealed the passion of a political power turnover of the eve of Revitalizing Reform.

      • KCI등재

        유치진 희곡 〈토막〉의 공연성 연구 : 1971년 성문각판 『유치진전집』 소재본을 중심으로

        윤진현 ( Jin Heon You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6 No.-

        유치진의 희곡 〈토막〉은 근대희곡사 최대의 극작가인 유치진의 등단작품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그간 주로 초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유치진은 작품을 출판할 때마다 계속 수정하였고 따라서 최종 텍스트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새로이 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1971년 성문각판은 이전 판에 비해 한국어화와 약간 표기상의 변화 정도가 바뀌었을 뿐이지만 결정적으로 무대구상을 보여주는 최연호(崔衍昊)의 삽화가 수록되어 있어 공연에서와는 달리 ‘토막’이라는 극적 무대구상을 유지, 구체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토막〉의 공연성을 다루는 데는 1971년 성문각판이 가장 우선적인 판본인 것이다. 당대 극빈층의 주거지로서 ‘토막’은 땅을 파고 지은 움집이지만 1933년 공연에서는 단순한 농촌의 초가삼간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유치진은 이에 대한 비판을 받으면서도 무대를 수정하지 않았고 이는 끝까지 유지되었다. 아울러 무대 사용에 있어 명서는 온돌에, 명서처는 부엌 토방에 한정되고 있으며 이 한정된 공간을 넘어 이동하면서 인물의 성격이 변화하여 파국의 상태에 이름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매우 대립적인 자질로 구성되었음에도 같은 파국에 이른다는 점에서 공간의 분할과 교차가 주제의 심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녀는 부모 세대의 문제를 조정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무대 전체를 활용하고 마찬가지로 오빠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종교적 차원으로 해석하여 희망을 생산함으로써 부모 세대의 비극을 온전히 공감할 수 있도록 무대의 힘을 안배하고 있다. 금녀는 무대전체를 아우르는 동선을 갖고 있으면서 무대의 상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명서와 명서 처가도달하는 행동의 종료와는 다르게 삶이 지속되어야 이유에 도달하고 있다. 특히 원망을 부르짖는 명서, 귀기에 사로잡힌 듯 정신착란을 일으켜 그 자체로 공포심을 유발하는 명서처, 믿음과 신앙으로 이를 이겨내고자 하는 금녀는 간절한 소원이 좌절되고 절망적 상황에 처하여 인간이 보여주는 새로운 대응방식, 엄청난 사회적 시대적 질곡과 억압에 인간은 어떤 행동역학을 보여주는가에 대한 한 모델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The play 〈Tomack(A Mud Hut)〉 is already well-known as the debut work of Yoo Chi-Jin, the greatest playwright in modern drama history. Studies on this work have been mainly focused on its first edition so far. However, he has modified the work whenever he publishes a new version. That is why the importance of the final text also needs to be dealt with newly. The version published by Sung Moon Gak in 1971 is the translation into Korean and a little change in notation. However, one conclusive thing is that there are illustrations by Choi Yeon-ho showing the stage planning in the latter version, meaning Tomack (mud hut), dramatic stage planning, was being maintained and concretized. This is different from the performance.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mode in 「Tomack」 the version published by Sung Moon Gak in 1971 is the best version. Although a Tomack, the shelter of the poorest at that time, was a dugout hut based on a depression dug into the ground, it was depicted as a common rural three-bay-straw-roof house in the performance in 1933. However, Yoo Chi-Jin did not modify the stage despite criticism, and maintained to the end. When it comes to the use of the stage, Myung Seo only uses the Ondolbang (room with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and Myung Seo`s wife only uses the kitchen and earth-floored room. We can know that when they move to other places out of the limited places, their personalities change and end up with the serious conditions. In addition, although they have very oppositive personalities, they end up with the same serious conditions, meaning that space division and crossing contribute to deepening the theme. Gum Nyeo uses the entire stage playing a role in adjus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with parents` generation. Similarly, she distributes the power of the stage by interpreting her brother`s death as religious dimension and showing hope so that the audience can completely sympathize with the tragedy of parents` generation. She contributes to the symbolization of the stage moving around the entire stage and shows the reason why she should continue to live (Myung Seo and Myung Seo`s wife end up with different endings.). Especially, Myung Seo who deeply resents, Myung Seo`s wife who ghastly becomes mentally deranged, evoking fear, and Gum Nyeo who trie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ith her beliefs and religious belief also provide a new example of the way human beings cope with a desperate situation where an earnest desire has not been fulfilled finally, and a model of the way human beings react to a dreadful social ordeal and suppression of th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