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부 치형과 내부 캠형을 갖는 기어의 정밀정형 냉간 단조공정 및 금형설계에 관한 연구

        윤주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Generally, due to the complicated shape, gear parts have been machined with gear cutting or grinding tool to improve its dimensional accuracy and surface quality. But, increasing demands on higher productivity, lower energy consumption, and mechanical capacity, the trend seems to be toward the use of precision cold forging for manufacturing of net-shape of gears to replace conventional cutting methods. In this study, a precision cold forging process and die have been developed to manufacture a gear part with very complicated shape, including outer involute gear and inner cam profile. In the cold forging process, the high flow stress of the workpiece materials makes it very difficult to produce a precision gear part, so a proper forging method requiring lower forming energy should be used. Some possible forging methods were analysed, and then an extrusion process combined with upsetting was designed because it requires lower forging load, simpler tooling, and better formability. The rigid-plastic finite element simulation was performed to find out concrete informations for the process design such as stress - strain distribution, damage of workpiece, material flow, exact forging load, and so on. From this FE simulation, we have found that the diameter of initial slug changes the final shape of the forging, and we could determine the best size of the slug. To improve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gear, elastic deformations of the die and workpiece were evaluated by using the elastic and elasto-plastic finite element method. Through this evaluati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die was found out to be concentrated on certain region of the die, and the dimension of the region was modified. At the early stage of the forging experiment, damage of the die by the scratch had occurr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die and workpiece. After changing the lubricant, material and surface treatment of the die, a desirable gear part was successfully produced. Finally, the cold forg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to manufacture a gear part with complicated shape is expected to be used for production of other precision parts.

      • 도자 표현을 위한 장식기법의 개발 연구 : 첨장기법(尖裝技法)에 관하여

        윤주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history of ceramics is closely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It probably is a harmony of nature and culture, the past and the present of a nation and its cultural cradle. The Celado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white porcelain and earthenware are korean cultural contents, the important foundation of modern ceramic culture representing Korea, and furthermore the origin of introducing Korean ceramic culture to the world. Since 1960s, we have added new methods to such typical traditional methods, resulting in the accomplishmen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tension in ceramic realm of today. Various concepts of ceramics and its formative values have been established, and its form, material and methods also changed variously. The decoration techniques for ceramic expression includes those creative process such as extrusion, drying, glazing and plasticity,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lots of materials, ceramic expression has widely progressed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titled as a study on decoration technique development for ceramic expression 「on Cheomjang technique 」 lies in build up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coration technique and enlarge the realm of ceramic expression through creative idea and analysis, the results of experiments under the condition of inheriting the tradition of decoration technique. Firstly, this researcher will identify the origin & change process of ceramic culture through existing bibliography and data, and put out the valid basis of the forming of Cheomjang technique and named as sharp+decoration. The idea of developing the technique could be said as the re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Gwiyal technique of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he ceramic decoration technique unique to Korea. Cheomjang technique is engobe technique using the viscosity of muddy water for the broadening of application of today's ceramic decoration through analysis on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of welding method and decoration efficiency. This study is about decoration technique using muddy water, the core technique development, and the muddy used for the technique is called as engobe or slip in Western. Historically, the grayish-blue-powdered celadon made 400 years ago, that is, mad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old the tradition of engobe technique compared with engobe ceramic made in the 18th century perhaps.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inlay, stamping, artificial flower, iron stroke, quiyal, dipping techniques wre the traditional techniques used for the making of Grayish-blue-powdered celadon, which are still used for decorating today's ceramic, and they are widely applicable through development. Cheomjang techniques, derived from traditional techniques of our own is a technique of using muddy water repeating drying and plastering many times aiming to form a certain size of projections on ceramic. Making process revealed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viscosity of muddy water and the projection welding. In other words, the number, thickness, height and shape of projection are dependent on the condition of muddy water. This researcher is to secure the reproducibility of Cheomjang technique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and experiments on muddy water material and the change in projection welding. Brookfield viscometer, laser particle size analyzer, optical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belonging to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were used for scientific analysis. This experiment targets to detect a valid basis of technique development and the order of the experiment i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projection depending on viscosity change, second, analysis on the projection depending on particle size change, third, analysis on the roughness of molding surface, fourth, analysis on the direction to which muddy water is plastered Stable expression of Ceomjang technique will be secured by quantificating the change in the number, shape, height, thickness of projection depending on the viscosity change in muddy water and particle size change with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The expression of directional property of projection welding will be secured through the analysis on artificial flow of projection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 to which muddy water is plastered with the analysis on the roughness of molding surface. Cheomjang technique and decoration efficiency in this researcher's work from 2004 to 2010 and the diversity of projection expression,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ll be suggested as the basis of identifying the reproducibility of the technique in the work This researcher will borrow the analysis on the works by art critics and the manager in charge of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for objective analysis on Cheomjang technique exhibited in 2006 and 2009 invitation exhibition to suggest the validity of ceramic decoration technique and widen the today's ceramic realm As stated above, this researcher will analyze and sugge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eramic decoration technique, an engobe technique using muddy water, and establish the data of projection phenomenon in Cheomjang technique this researcher learned through my entire body, and then will set it up as this researcher's work direction and a technique in expressing ceramic decoration. 도자기의 역사는 의, 식, 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 나라의 자연과 문화, 과거와 현재의 하모니이며 문화적 산실일 것이다. 한국을 대표 하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 옹기 등은 한국의 문화 콘텐츠로써 현대도자문화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한국 도자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시발점이 되었다. 1960년대 이후 우리는 이러한 대표적인 전통기법들에 새로운 접근방식을 더하여 현대 도자영역의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확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도자의 다양한 개념과 조형적 가치로서의 도자가 확립되었으며 형태, 재료, 기법의 변화도 다양해 졌다. 도자 표현을 위한 장식기법은 성형, 건조, 시유, 소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제작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재료의 개발로 도자표현의 영역은 현대에 이르러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본 연구는 도자 표현을 위한 장식기법의 개발 연구「첨장기법(尖裝技法)에 관하여」로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장식기법의 전통을 계승하되 창의적인 발상과 분석, 실험의 결과를 통한 도자표현의 영역을 확대하는데 목적을 둔다. 우선 기존의 참고 문헌과 자료를 통하여 도자문화의 발생 및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첨장기법의 형성과 尖(뾰족할 첨)裝(꾸밀 장)기법으로 명명하게 되어진 타당한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기법개발에 대한 발상은 과거 우리고유의 도자 장식기법인 분청사기의 귀얄기법을 재해석하고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첨장기법은 흙물의 점성(점도)을 이용한 분장기법으로 재료적 특성을 분석하고 성형방법과 장식효과를 이해함으로 현대 도자 장식의 응용범위를 확대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법개발의 중심이 되는 흙물을 이용한 장식기법으로 기법에 쓰이는 흙물을 분장토 라고 하며 서양에서는 엔 고베(engobe) 또는 슬립(slip)이라 불린다. 역사적으로 18세기에 만들어진 서양의 엔고베자기 보다는 400여 년 전에 만들어 졌던 조선시대의 분청사기를 분장기법의 전통성을 가진 기법이라 할 수 있겠다. 분청사기는 상감(象嵌), 인화(印花), 박지(剝地), 조화(彫花), 철화(鐵畫), 귀얄, 덤벙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전통기법으로 현대 도자표현의 장식기법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개발을 통한 응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우리고유의 전통기법인 귀얄기법에서 파생 되어진 첨장기법은 흙물을 이용한 기법으로 건조과정과 바르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일정 크기의 돌기 군을 형성하는 기법이다. 제작과정에 있어 흙물의 점성(점도)과 돌기의 성형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흙물의 조건에 따라 돌기의 갯수, 두께, 높이, 모양이 다르게 표현 된다는 이야기 이다. 본 연구자는 흙물의 변화에 대한 재료적 분석과 실험을 통한 돌기성형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 첨장기법에 대한 재현성을 확보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과학적인 분석을 위하여 한국 세라믹 기술원의 장비「브룩필드 점도기, 레이저 입도 분석기,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등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기법개발의 타당한 근거를 위한 실험방법으로 첫 번째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의 분석, 두 번째 입도변화에 따른 돌기의 분석, 세 번째 성형체표면의 거칠기에 따른 분석, 네 번째 흙물의 바르는 방향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돌기의 성형에 대한 실험을 하고자 한다. 실험에 대한 결과분석으로 흙물의 점도변화와 입도변화에 따른 돌기의 갯수, 모양, 높이, 두께의 변화를 정량화함으로 첨장기법의 안정적인 표현을 확보하고자 한다. 성형체표면의 거칠기에 따른 분석으로 돌기생성의 인위적인 흐름과 흙물의 바르는 방향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돌기성형의 방향성에 대한 표현을 확보하고자 한다.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연구자의 작업에서 보이는 첨장기법의 장식효과와 돌기표현의 다양성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에 표현되어진 기법의 재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6년과 2009년 기획초대전의 전시에서 보여진 첨장기법의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미술평론가과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총괄부장의 시각에서 바라본 작품분석을 인용함으로 도자 장식기법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도자 표현의 확대와 현대 도자의 영역을 넓이고자 한다. 위에서 살펴 본 봐와 같이 흙물을 이용한 분장기법의 하나로 도자 장식기법의 개발과정을 분석하고 실험결과를 제시함으로 연구자의 손과 몸에서 터득되어진 첨장기법(尖裝技法)의 돌기현상에 대한 자료를 구축함과 동시에 연구자의 작업 방향과 도자 장식표현의 한 가지 기법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변천 요인 분석

        윤주철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have changed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n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when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s formulated or revised in the future.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began in 1962 with the work classification of 'Sodding and Grass Planting'. As of 2010, it has been expanded to such 7 main work classifications as ‘Sodding and Herbaceous’, ‘Digging out’, ‘Planting’, ‘Digging round the Root’, ‘Keeping and Management’, ‘Rubble Masonry’ and ‘Planting for Protection of Rocks Split Section’. Under the main work classification, it has 29 sub-work classification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to change, 20 factors were selected and 90 person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groups. They were landscape designers,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ors and government officials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al work. SPSS Statistics 17.0 was used for the factor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crucial factors to change among landscape designers are identified and ordered as the 'Economy and Manpower Change', 'Trend toward Larger-sized Landscape Constructions and Higher Quality of Landscape Constructions' and 'Shifts in Economic Conditions'. The significant factors among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ors are identified and ordered as the 'Diversification and Sophistic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s', 'Transformations of Constructional Environment' and 'Shifts in Economic Conditions'. And the important factors from government official are identified and ordered as the 'Shifts in Economic Conditions', 'Changes of Company Environment' and 'Diversification and Sophistication in Landscape Constructions'. The common factors among all three groups are the 'Sophistic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s', 'Diversific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s' and 'Shifts in Economic Conditions'. The cause of 'Sophistic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s' may be associated with the recent explosive increases in expenditures for landscape project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Diversific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s' is rel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and various constructional technology. And the 'Shifts in Economic Conditions' would be associated with the rapid numerical increases in landscape companies and available landscape manpower output. Because the 'Sophisti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s' are expected to continue and accelerate in the future,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ill show more involvement in the fields of 'Planting', 'Digging out' and 'Keeping and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공사 표준 품 셈의 변천 요인을 규명하여 표준 품 셈의 제정 및 개정 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으로 표준 품 셈에 대한 만족도와 개정 및 개정이 필요한 공 종 그리고 중요한 표준 품 셈의 변천 요인을 도출한다. 변천요인 평가 항목의 선정은 조경 시 공학 및 적산 학 교재 내용 중에서 20개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조경설계, 조경시공, 녹지 공무원 집단으로 구분하여 30부씩 총 90부의 설문을 받았다. 설문 내용의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17.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과 직각회전을 실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경공사 표준 품 셈 은 1962년 ‘떼 뜨기 및 떼 붙임’ 공 종을 최초로 2010년 현재 ‘떼 붙임 초 류 파 종’, ‘굴 취’, ‘식 재’, ‘뿌리 돌림’, ‘유지관리’, ‘정원석 쌓기 및 놓기’, ‘암 절개면 보호 식 재 공’ 등 7개 대공 종과 29개 소공 종으로 다양하게 변천되어 왔다. 1970년대는 주로 식 재 분야의 품 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조경 산업 분야도 건설업의 종류에 조경공사가 신설되고 최초의 조경업체 신설과 조경기술자격 제도가 신설되었다. 1980년대는 유지관리 분야의 품 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조경 산업 분야도 조경공사의 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조경업체나 공사금액도 외형적인 성장을 한 시기이다. 1990년대는 비탈 면 보호 분야의 품 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건설산업기본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조경의 영역이 축소되었으나, 신기술제도의 신설과 함께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한 시기이다. 2000년대는 신소재와 신 공법 및 유지관리 분야의 품 셈이 주로 제정되었다. 조경 산업분야도 조경공사와 관련된 설계기준, 적산기준 등이 제정 및 개정되었고 조경업체나 공사금액도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을 하였다. 조경공사 표준 품 셈에 대한 만족도는 전문가 대부분이 불만족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전문가 집단 별 로 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조경공사 표준 품 셈 중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공종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식 재 공 종을 선정하였다. 개정이 필요한 공종은 굴 취, 식 재, 유지관리 공 종을 선정하였고, 공사단가의 현실화와 품 셈의 부재로 인한 단가의 현실화 등을 개정 사유로 밝혔다. 제정이 필요한 공종은 시설물, 식 재, 조경 토 부설 공 종 등을 선정하였다. 대부분 품 셈의 결여로 인한 단가의 불합리성을 제정 사유로 밝혔다. 조경설계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중요한 변천 요인은 ‘경제 및 인력 발전’, ‘조경공사 대형화와 고급화’, ‘경제여건 변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조경시공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중요한 변천 요인은 ‘조경공사 다양화와 고급화’, ‘건설 환경 변화’, ‘경제여건 변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녹지 공무원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중요한 변천 요인은 ‘경제여건 변화’, ‘업체 환경 변화’, ‘조경공사 다양화와 고급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조경공사 표준 품 셈은 조경공사 다양화, 조경공사 고급화, 경제여건 변화, 건설 환경 변화, 조경공사 대형화, 경제 및 인력 변화 등의 요인 때문에 조경공사 표준 품 셈이 변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집단 전체의 공통적 중요한 변천 요인은 조경공사 고급화, 조경공사 다양화, 경제여건 변화 등이다. 그리고 건설 환경 변화 요인은 조경 전문가 전체적으로는 중요한 변천 요인이나 각 전문가 집단 별로 파악된 결과에서는 조경설계, 녹지 공무원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요한 변천 요인인 조경공사 고급화 요인은 조경공사 금액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되었을 것이고, 조경공사 다양화 요인은 조경공사 공 종의 다양화와 신기술 및 신공법의 도입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제여건 변화 요인은 조경업체 수의 급속한 증가와 지속적인 조경기술 인력의 증가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향후 조경공사의 고급화, 다양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기에 조경공사 표준 품 셈 도 식 재, 굴 취 및 유지관리 공 종 위주로 많은 변천을 보일 것으로 판단한다.

      • 무한 곱과 감마함수

        윤주철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amma function is a solution to a problem that has been researched since the 1700s. Here is the problem : Find a continuous function of a real or complex variable that agrees with the factorial function at the integers. It is analytic on except for simple poles at , and for . The importance of this function was realized by L. Euler and C. F. Gauss as early as the 18th century. Between the year 1729 to 1730, Euler dedicated the significant proportion of mathematics research time to improper integral. Euler suggested the use of the improper integral in a surprising way in his letter to C. Goldbach on January 8, 1730. In 1809, Legendre named it as the gamma function. By the functional relation , Legendre proved that the gamma function is an expansion of the factorial function which is defined only for natural numbers. On October 13, 1729 Euler suggested the definition of the gamma function as to Goldbach. They found a formula . K. Weierstrass obtained the relationship of the gamma function and Euler's constant , via the change of the definition. In summary, the gamma function is defined in two ways. One is given by the canonical products, and the other is by the integral formula. In this dissertation we study the gamma function in the complex domain, and deal with the infinite products before studying the gamma functio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three Chapters. At first, in Chapter Ⅱ the necessary background knowledge to Chapter Ⅲ and Ⅳ is discussed. And, in Chapter Ⅲ the definition and convergence of the infinite products are given, and the properties of convergence and the canonical product are studied. Finally, in Chapter Ⅳ the two definitions and the basic properties for the gamma function are studied.

      • 電子商去來 支拂 시스템에 관한 硏究

        尹柱喆 慶熙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brought out people to use computer and internet has increased the great emphasis on EC. To be a safe and sound EC, basic security service such as confidentiality, authentication, integrity of the message and nonrepudiation access control must be provided. In this high growing EC service field, it needs security system such as authentication payment system. It is very important and the key factor of electronic payment system. Currently electronic payment system on the internet could be devided 4 types. Electronic cash system like using cash in the real world, credit card payment system, electronic check system and electronic money transfer using cyber bank on the internet. In this paper, I want to present new method different to the methods mentioned above which is sending out bills and wirring system by telephone and CTI sever.

      • 뼈의 형태를 주제로 한 도자 조형 연구

        윤주철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삶의 주체를 통해 자아를 확립하고 이상을 실현하며 미래를 창조한다고 할 수 있으며 예술은 정신적 생활에 속해 있다. 또 그 생활에 있어서도 예술은 가장 강력한 대리자중의 하나로서의 역할을 한다. 인간은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의 제도, 문화 등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며 주위환경과 맺고 있는 자신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산업화에 따른 현대사회는 인간관계의 위기성, 불합리성, 비인간화가 된 양상의 심리학적 문제를 야기시켰으며, 이로 인한 문제는 날로 심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대상황 속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은 다양한 양상으로 표출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속에 인간의 존재의미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질 수 있다. 우리는 환경에 대해 단순한 반응자만이 아닌 적극적인 행위자가 될 수 있으며 환경이 우리에게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우리 또한 환경에 영향을 준다. 어쨌든 우리는 자신의 욕구들을 추구하기 위해 새로운 환경을 창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내 자신의 내면세계를 지탱하고 있는 구조적·정신적·신앙적 세계를 골격이라는 조형세계로 투영하여 극적인 긴장감을 느끼게 하였으며 현실경험을 통해 일상적 삶의 모습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의 모습을 토대로 골격의 지주에 해당되는 뼈를 주제로 하여 도자예술의 조형적 창출을 의도함으로써 인간실존의 의미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Through the chief object of Me, man establishes his "self", realizes his ideal and creates the future, and art belongs to the spiritual side of life. Also, in the life itself, art takes the role of one of the strongest agents. Man keeps the indivisible relationship with the systems and culture of society where he lives in, and is greatly affected by the social relations he has made with his surrounding environments. Especially, this modern society in continual process of being industrialized has aroused such diverse aspects of psychological problems as crisis of human relationship, irrationality, non-hymanization, and these problems are getting serious more and more nowadays. Under such circumstances as above, man easily comes to reveal various looks of life and also,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can be raised, above all,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Toward the environments, we can be positive action takers, not just mere respondents. We are not only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s, but also give influences to the environments. Anyhow, we create new environments to pursue our own desires and aspirations. In that point of view, I have aimed in this Study to bring the feeling of dramatic tensions by reflecting those structural, spiritual and religious world which sustains my inner world, into the moulding world called "Frame", and through the real experiences, I have tried to elevate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by the way of creative moulding of ceramic arts upon the subject of "Bones" applicable to the support of Bone Structure, based on the human features which is immanent in our daily living.

      • 정부 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중앙행정조직 실증분석(1948-2010)

        윤주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의 역대 중앙행정조직을 대상으로 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세 가지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정부수립 이후 신설된 전체 159개 조직 중 118개 조직이 개편으로 폐지되었는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의 이론적 접근에서 도출한 행정관리적 요인, 정치적 요인, 그리고 역사적 요인으로 나누어 Cox 비례해저드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개별 요인이 조직개편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할 뿐 아니라 이들 요인을 망라하여 종합적인 설명을 시도하였는데, 분석결과가 보여주듯 특정 접근만으로 중앙행정조직의 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었다. 각각의 요인은 다른 모형의 설명력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고유한 특징과 설명력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 연구는 이러한 요인이 조직개편에 미치는 영향력이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주요 변수와 시기 구분 변수와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조직개편의 시대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특히 민주화 이후의 조직개편은 정치환경의 변화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통령 단임제가 정착됨에 따라 개편주기가 짧아지면서 조직개편의 상징적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 중앙행정조직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부 단위 조직의 통폐합이 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세 가지 이론적 접근에 근거한 각각의 요인이 중앙행정조직의 개편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행정관리적 접근은 팽창하는 국가와 중앙행정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대통령의 행정관리적 리더십을 강조하는데, 이를 제약하는 요인이 클 때 조직개편이 일어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규모가 커지고 전체 중앙행정조직의 수와 그 유형의 다양성이 증가할수록 조직개편의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정적자의 경우는 외국의 논의처럼 조직개편에 있어서 의미 있는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재정적자가 증가한다고 해서 비용절감을 위해 행정조직을 줄이는 개편이 반드시 일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히려 한국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재정적자 요인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 것이 더 타당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의 시기에서는 재정적자가 증가할 경우 행정조직을 폐지하는 경향이 일부 나타나기도 하였다. 흥미로운 발견 중 하나는 중앙행정조직의 수가 42개에 이르기 전까지는 개편 가능성이 감소하나 그 이상이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 조직 수가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앙행정조직의 관리에 있어서 대통령의 통솔범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박정희․전두환 정부 시기는 정부관료제의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안정화된 시기인데, 이 시기의 조직 수는 평균적으로 40개가 유지되었으며 해당 시기 동안 변동도 매우 적었다. 이처럼 행정조직의 수가 일정하게 관리되고, 조직유형의 다양성이 증가할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조직개편이 이루어진 것은 정부 전체 관점에서 통일적으로 조직을 관리하는 전담조직의 존재와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한국적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통령의 행정관리적 리더십을 제약하는 요인이 커질수록 조직개편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해석이 한국의 맥락에서 적절한지에 대해 재해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정부규모의 경우 한국은 발전국가적 특징 때문에 행정조직을 경제성장을 위한 수단으로 동원하였으므로 행정조직의 신설과 폐지가 빈번한 것이었지 정부규모의 증대에 따른 국가 운영의 과부하나 통치가능성의 문제 때문에 개편이 일어난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행정관리적 접근은 대통령의 리더십 이외에 중앙행정조직의 관리적 특성에 따라 개편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는데, 우선 집행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청 단위 조직은 상대적으로 개편 가능성이 낮았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유의미한 수준의 결과가 제시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행정조직이 담당하는 정부 기능에 따라 개편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한국의 경제적․정치적 발전 경험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생산기능과 통합기능을 담당하는 조직이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조직에 비해 자주 개편되었다. 다음으로 정치적 접근은 중앙행정조직을 개편하려는 정치적 행위자의 유인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유인이 클수록 조직개편의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표적으로 대통령의 교체는 중앙행정조직의 개편을 예고하는데, 대통령 집권 후반으로 갈수록 조직의 개편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민주화 이후의 시기에 두드러졌으며, 권위주의 정부에서는 장기집권의 가능성이 컸기 때문에 오히려 설명력이 떨어졌다. 대통령의 임기가 제한되지 않고, 또는 제한되었다 하더라도 재집권의 가능성이 컸기 때문에 집권 초반에 조직개편을 단행할 필요성이 작았던 것이다. 또한 여소야대로 말미암아 대통령과 국회, 여당과 야당의 정치적 경쟁이 치열해져 타협과 협상의 가능성이 커지면 조직개편의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졌다. 특히 대통령 집권 초반에 대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 시기에 여소야대 상황으로 집권 여당의 입법리더십이 제약되면 조직개편 또한 성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조직을 개편하려는 시도는 해당 조직의 규모가 클 경우 상대적으로 성공하기 어려웠으며, 기관장의 임기가 긴 안정적인 조직일수록 개편될 가능성이 낮았다. 단순히 중앙행정조직의 업무 특성이나 담당하는 기능의 차이가 아닌 이러한 관료정치적 특징도 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역사적 접근은 조직개편이 보다 포괄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는데, 시대적 특징에 따라 개편의 폭이 다르게 나타났다. 정부관료제의 제도화가 시작된 정부수립 초기와 민주화라는 외부 요인에 의해 안정된 시스템이 흔들린 전환기에는 상대적으로 조직개편이 자주 일어났다. 다시 말해, 제도화 안정기인 박정희․전두환 시기는 전체 조직의 수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을 뿐 아니라 조직개편에 의한 폐지 자체가 다른 시기에 비해 적었다. 그리고 행정관리적 요인이나 정치적 요인, 그리고 역사적 요인의 영향력이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이 연구의 시기 구분이 적어도 조직개편에 있어서 의미 있는 구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별 조직의 관점에서 조직이 경험한 개편의 특징 때문에 개편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다른 조직과 함께 신설된 조직일수록 개편 가능성이 적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포괄적 조직개편의 대상이 된 조직의 경우 불필요한 개편에 순응한 것이므로 다시 개편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와 다른 것이다. 이것은 가설의 예측이 비교적 최근의 현상에 대한 기술이기 때문에 전체 기간을 대상으로 할 경우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민주화 이후의 시기에서는 ‘꾸러미’ 형태로 신설된 조직이 다른 조직에 비해 다시 개편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통령 집권 초반에 신설된 조직일수록, 그리고 개편을 자주 경험한 조직일수록 다시 개편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했으나 유의미한 결과가 제시되지는 않았다. 다만, 이러한 요인은 특정 시기에 국한할 경우 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reorganization of Korean governmental agencies from 1948 to 2010 by applying survival analysis. These factors induced from managerial, political, and historical approaches on the reorganization of public organizations are tested empirically. This test is the first analysis using comprehensive data on Korean governmental agencies and is also worth comparing with the findings on U.S. federal agencies. In Korea, 159 agencies were established and 118 were terminated between 1948 and 2010. Why did reorganization happen? Why was one agency terminated and the other not? This study suggests six hypotheses on the termination of governmental agencies based on three approaches. First, managerial approach argues that presidents make a decision to arrange agencies when his managerial leadership is constrained. Since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reorganization is the economy and efficiency, they try to eliminate inefficient agencies and merge those with overlapping and duplicating functions. So the hazard of termination is likely to increase under a big government with a number of agencies and diverse agency types. Financial deficit is not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reorganization contrary to the hypothesis. But these environmental variables do not comprise the entirety of managerial factors. Agencies have not been terminated less when their task is to implement a policy or to undertake the maintenance function imposed by law and executive orders than when their major role is to establish a policy or to produce public goods and integrate the society. Second, the political approach emphasized the environmental change of power. The political turnover of the President or majority of the Assembly brings about huge reorganization, but the possibility of chance is lower under a divided government. New administration year is likely to be negatively related to the hazard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government and the recent democratized regime. But in the authoritarian-military government ruled by President Park and Chun (1963-1987), agencies were not more reorganized in the first or second year into their presidency than during their remaining term. And these exogenous incentives weaken when target agencies are large-scaled and stable organizations. It is because agencies with many public officials and long term leaders have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resource to deter termination. Third, the historical approach discussed more macro factors beyond an instrumental purpose of efficiency and control on the bureaucracy. For example, this approach prioritizes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me, historical mission, national context, and social nor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hazard of reorganization depends on the extent of institutionalization of governmental agencies―formation stage, stabilization stage, and transformation stage. In the first stage, many agencies were created and reorganized because of social unstability, the Korean war (1950-53) and the shortage of knowledge on the administration. When the bureaucracy was stabilized, reorganization did not occur as often as it had been witnessed before that stage. After the collapse of the authoritarian-military regime and succeeding revision of 1987 democratic Constitution the hazard increased. At this period many old agencies were transformed to more modern agencies and the hazard line shows dramatic change compared to the U.S. Also, micro historical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founding moments when they were established by the reorganization plan have affected reorganization. Agencies created with many other agencies have survived longer and agencies with much experience before have also lasted for a longer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