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제지방의 중요성

        윤정은(Jeong Eun Yun),이승혜(Seung Hye Lee),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 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 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폐경 후 여성에서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중에 어느 체성분이 더 골다공증과 연관성이 높은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을 골다공증 유무에 따라 구분한 뒤 제지방과 골밀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의 한 대학병원을 건강검진 목적으로 방문한 만 50세에서 만80세 사이의 폐경 후 1년이 경과한 100명의 건강한 환자를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한 요추와 대퇴골부위의 골밀도와 생체 전기저항분석법을 사용하여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을 측정한다. 요추와 대퇴골 부위 골밀도의 T score 값이 2.5 표준편차 이상 감소한 군을 골다공증군으로, 모든 골밀도 값이 1.0 표준편차 이하로 감소한 군을 정상군으로 그 외를 골감소증으로 분류하였다.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독립변수로 한 골다공증유무에 따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100명의 환자 중에 골다공증군이 28명(28%)이었으며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6.97±5.76세 였다. 체중과 체질량 지수는 요추 및 대퇴골의 골밀도(경부 및 전체)와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요추의 골밀도는 연령, 허리 둘레와 체지방량, 제지방량 및 상지, 하지, 몸통의 근육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는 연령, 제지방량 및 상지와 하지, 몸통의 근육량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퇴골 전체의 골밀도는 허리둘레 체지방량 및 체지방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요추의 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와 전체 골밀도 각각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 결과 제지방량은 골밀도 부위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5). 골다공증의 유병위험은 제지방량이 1 kg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은 0.6배 감소하였으나 (95% CI: 0.384~0.934) 체지방량은 골다공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값은 체지방 값보다는 제지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an mass and fat mass to the determination of bone mineral density(BMD) in postmenopausal women is a controversy. In this study, the impact of lean mass on BMD was examined, after the postmenopausal women were grouped by BMD level. Methods: The subjects were 100 postmenopausal women aged older than 50 and below 80 years old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for medical check-up from July 2008 to November 2010. The lumbar spines and femur BMD T score were assessed with DEXA. And body fat mass and lean body mass were assessed with Inbody 720. Osteoporosis was defined as T score of any BMD lower than −2.5 SD. Normal group was defined as T score greater than −1 SD. They didn’t any disease and didn’t received hormone therapy or other medication that influence the bone dens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28% of this study. The mean age was 56.97±5.76.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eight, BMI and The lumbar spines and femur BM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ith all subjects show that lean body mass, as independent variable, has significant determinants of BMD.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osteoporosis prevalence decreased 0.6 fold with 1kg increase in lean body mass (95% CI: 0.384~0.934).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an body mass rather than fat mass may be associated with BMD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약물과민반응 환자에서 탈감작요법 적용

        윤정은 ( Jeong-eun Yun ),정지웅 ( Jiung Jeong ),강혜련 ( Hye-ryun Ka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23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1 No.2

        Drug desensitization is a treatment strategy for patients with hypersensitivity to essential drugs without alternatives. The gradual increase in the drug dosage from low doses to therapeutic levels induces a transient immune tolerance to the culprit drug. Although desensitization has traditionally been recommended for IgE-mediat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this indication has recently been expanded to include non-IgE-mediated immediate responses, nonimmunological responses, and T-cell-mediated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s.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behind desensitization remains unclear, the process is thought to attenuate various intracellular signals in target cells through Fcε receptor 1 internalization, alteration in signaling pathways in mast cells and basophils, reduction in Ca<sup>2+</sup> influx, and production of anti-drug IgG4 blocking antibody. Desensitization can be used for the safe administration of anti-neoplastic agents, antibiotics, aspiri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Various desensitization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for each drug. The optimization of drug concentration, target dosage, administration interval, and route of administration is key to successful desensitization. In addition, the desensitization protocol should be individualized for each patient with consideration of the severity of the initial hypersensitivity respon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prit drug, and the nature of the breakthrough reaction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23;11:63-71)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대퇴부와 요추부 골밀도에 의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

        이승혜(Seung-Hye Lee),윤정은(Jeong Eun Yun),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2

        Background: Lumbar spine and total hip are widely used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We want to evaluat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osteoporotic diagnosis between lumbar spine and total hip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n both hips and lumbar spine of 100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BMDs of total hip and lumbar 1~4 were classified into normal (T-score>−1.0), osteopenia (−1.0≥T-score>−2.5), osteoporosis (T-score≤−2.5) using WHO definitions. Results: Based on L1~4 T-score there were 15 osteoporotic, 35 ostepenic, 50 normal persons, and based on total hip T-score there were 1 osteoporotic, 20 ostepenic, 79 normal perso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BMDs (r=0.695). For all age groups, lumbar BMDs are lower than hip BMDs and the gaps are severe in older group. The discordance rate was 43% for all cases, and this was 36% in their 50’s, 65% in 60’s, and 60% in 70’s with the highest rate in 60’s (P<0.05). The discordance rates of the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groups were 39, 60 and 0%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rate in osteopenic group (P<0.05). Conclusion: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spine was as high as 43%, and was the highest in the osteopenic group in their 60’s. Therefor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BMD of both sites should be checked together, but if not, the lumbar BMD should be checked first. 연구배경: 현재 골밀도 측정은 요추와 대퇴골 부위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상태로, 저자들은 만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골밀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진단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DEX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퇴 총골밀도와 제 1~4요추 골밀도를 WHO 정의에 의하여 각각 정상(T-score>−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진단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 1~4요추 T-score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5명, 골감소는 35명, 정상은 50명이었으며,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명, 골감소는 20명, 정상은 79명이었다. 제1~4요추 평균 T-score와 총대퇴 T-score의 상관계수는 0.695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는 전 연령대에서 요추부가 총대퇴부 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하였다. 제1~4요추 골밀도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도는 100예중 43예에서 불일치를 보여 43.0%였다. 연령대별 불일치율은 50대, 60대, 70대가 각각 36%, 65%, 60%로 50대에 비해 60, 70대에서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각 군에 따른 불일치율은 정상인군, 골감소군, 골다공증 군에서 각각 39%, 60%, 0%로 골감소 군에서 가장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결론: 요추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율은 43.0%로 높았으며, 특히 60세 이상과 골감소 군에서 높았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측정시 가능하면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함께 측정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한 곳만의 골밀도를 측정한다면 요추부 골밀도를 우선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