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일 젊은이의 사회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 ― 한국과 일본 웹소설의 인트로 차이를 중심으로 ―

        尹恩鎬 한국일본학회 2021 한국일본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8

        본 논고는 스토리텔링의 최전선에 있는 2010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의 웹소설 내용 전개, 특히 도 입 부분인 인트로(Intro)의 차이에 주목하고자 한다. 2010년대 후반 현재의 형태를 띤 한국의 웹 소설과 일본의 라이트노벨은 주요 독자층이 1030년대 독자층으로 비슷해 청년층의 니즈를 투사 하고 있으며, 기존의 소설과 달리 미디어의 차이로 인한 텍스트 호흡의 변화, 화수 개념의 도입으 로 인한 플롯 서술 방식의 무의미화, 타 작품보다도 유저친화성이 강화된다는 측면에서 기존 소 설과 다른 측면을 지닌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웹소설에는 분명히 차이가 있으며, 본 논고에서 는 이러한 차이의 핵심을 각 소설에서의 인트로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고에서는 카카 오페이지와 소설가가 되자의 주요 작품을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차이가 웹소설에도 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일 웹소설 인트로의 비교연구─ 웹소설에서 찾는 한일 젊은이의 사회인식 ─

        윤은호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0

        본 논고는 스토리텔링의 최전선에 있는 2010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의 웹소설의 서사, 특히 인트로(Intro)의 차이에 주목하고자 한다. 2010년대 후반 현재의 형태를 띠게 된 한국과 일본의 웹소설은 주요 타깃인 청년층의 니즈를 투사하고 있으며, 미디어의 차이로 인한 텍스트 호흡의 변화, 화수 개념의 도입, 유저친화성의 강조라는 측면에서 기존 소설과 다른 측면을 지닌다. 한일 웹소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기 위하여, 본 논고에서는 카카오페이지와 ‘소설가가 되자’의 주요 작품의 인트로를 각 50건씩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웹소설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현실과 가까운 공간에서 ‘사이다’ 이야기를 진행하는 반면, 일본의 웹소설은 이세계에서 이뤄지는 연예나 모험물 등의 소재로 스펙트럼이 좁고 현실로부터의 ‘탈출’을 보여줬다. 또한 한국 웹소설의 경우 ‘회귀’나 ‘기연’을 통한 ‘리셋’을 꿈꾸는 반면, 일본 웹소설은 ‘이탈’을 통한 ‘복수’와 ‘연애’를 꿈꿨다. 본 논고는 한국과 일본의 웹소설의 차이가 장르나 유행을 넘어 웹소설의 주요 독자인 한국과 일본 젊은이층이 마주하고 있는 사회 현상에 따른 인식 차이에 기반하고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웹소설이 청년 세대층의 사회 인식을 담는 이야기-하기의 도구이자 문화콘텐츠로서 사회를 투영하는 도구로 활용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웹소설이나 웹툰 이해관계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사회에 대한 자신의 의미를 재생산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 The article focuses on the narratives of Korea and Japan’s web novel from the 2010s. Recently, Korean’ ‘websoseol’ and Japanese’ ‘web novel’ are projecting the needs of youth people, mainly their primary target. The web novels were made different from existing stories by changing their tone, dividing them into episodes, and emphasising user-friendliness. The current work analysed 100 intros from ‘kakaopage’ and ‘Syōsetsuni narō’ novels. The result shows that the web novels of Korea had various spectrums and showed ‘cider’ (refreshing) stories. However, the web novels of Japan had a narrow scope and led to ‘escape’ from reality. Also, the Korean web novels dreamt of ‘reset’, by ‘chance’ and ‘return’. By contrast, the Japanese web novels dreamt of ‘revenge’ and ‘romance’ by ‘breakaway’. The current study found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youth’s social phenomenon recognition and their story-telling through Korean and Japanese web novels. The result implied that the cultural contents, including web novels, could be analysed to reflect the society and reproduce the meaning, while the stakeholders of webtoon and web novels utilise their work to decipher new meaning.

      • KCI등재

        신경다양성 개념 및 변화에 대한 일고찰

        윤은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4

        The study finds out the origin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notion of Neurodiversity, which has increased awareness of the Autistic trait and ADHD. The idea of Neurodiversity started in the 1990s, based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ackgrounds, thanks to autistics' real-time debates on autistic characteristics worldwide. By the way, the notion counters the theory of mind(ToM). ToM aims to make the world a ‘neuronormal’ society by denying membership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reating ‘Autism’ as the cure target. ToM began from evolutionary psychology; deteriorated into a rationalisation tool for proving the mindblindness of autistics for downgrading into non-human by researchers in autism, including Baron-Cohen. As Autistic people refute the theory using Neurodiversity and the Double Empathy Problem(DEP), opponents block the Neurodiversity by distorting or reducing the notion. Nevertheless, a recent proposal that expands Neurodiversity into mental illnesses by 3Oceans is different from the interruption: which gives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problems from DEP of autistic people.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a proper understanding of Neurodiversity, Initiative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and new autistic studies in Korea: which could free autistic people resolved from isolation and objectification as the target of service and care. 본 연구는 최근 자폐특성과 ADHD에 대한 인식 증대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신경다양성 개념의 유래 및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신경다양성 개념은 1990년대 자폐당사자들이 실시간적으로자폐에 대해 논의할 수 있게 되면서 형성되었으며 인문․사회과학적 배경을 두고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은 마음이론에 대항하기 위해 형성되었다. 마음이론은 진화심리학적 논의에서 시작되었으나 바론코헨 등의 자폐연구자들에 의해 점차 자폐당사자의 마음맹, 즉 비-사람 상태를 입증하기 위한 도구로변질되었다. 마음이론 개념은 표준분포 개념과 함께 장애인의 성원권을 부정하고 자폐를 치료의 대상으로 만들어 전세계를 ‘신경규범적’공간으로 만들려고 한다. 이러한 마음이론적 개념에 자폐당사자들이 신경다양성과 이중공감문제를 통해 문제를 제기하자, 신경다양성을 왜곡하거나 신경다양성을 축소하는 방법을 통해 신경다양성 개념에 대한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세바다가 제안하는 신경다양성에 대한 정신질환으로의 확대 제안은 이와 별개의 제안으로서 자폐의 이중공감문제적 문제를 해소할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신경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형성되고 국내에서도 신경다양성 및 신자폐연구활동이 시작되어 자폐당사자가 소외의 대상이자 서비스의 대상, 돌봄의 객체로 분리된 현상이 해소될실마리가 잡히길 희망한다.

      • KCI등재

        ‘자폐적’ 용어에 대한 연구

        윤은호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3

        Recently, The awareness of autistic traits in Korea seems to have ‘raised’. But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autistics is quietly low. With notice of the growth of the japyejeog ('autistic') language in Korean speakers, the study reviewed the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of japye (self-close) and japyejeog usage in Korea year from 2019 to 2021. After analysing ‘japyejeog’ usage in the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japyejeog has recently been used in Korean society to denigrate individuals and groups rather than speak to autistic people. However, outside of Korea, autistic people enjoy neurodiversity and autistic culture: which allows entering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careers without being bound by linguistic stigma.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oposes the possibility that persons are given japyejeog ‘names’ through zhengming (正名, rectification of names): it would create discrimination and stigma through interpellation and anchoring. Recently, CRPD recommended that Korea eliminate hate expressions toward autistic persons. Therefore, Korea should make alternative motions that include Korean neurodivergent persons in its society. 최근 특정 드라마를 계기로 자폐특성 인식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나 자폐인의 삶의질은 여전히 낮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간극의 이유로 최근 ‘자폐적’ 용어의 사용 증가에 주목하고 ‘자폐’의 의미 형성과정 및 현재 ‘자폐적’ 언어 사용현황을 파악하였다. ‘자폐’(⾃閉)는 일본 정신의학자들에 의해 1937년 정립되었다. 한국어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문자적 의미로 쓰이다 1970년대 국내 정신의학자들이 조현병과 결부된 부정적이미지를 부가한 것이 현재까지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9년부터 3년간 미디어의 ‘자폐적’ 용례를 분석한 결과, 한국사회에서 최근 ‘자폐적’이 자폐인을 조명하기 보다 개인이나 집단을 깎아내리는데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이유로 본 논고는 정명을 통해 개인에게 ‘이름’이 부여되고, 이 과정에서 호명과 정박을 통해 차별이 일어나고 낙인이 형성될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해외에서는 신경다양성과 자폐문화로 인한 문화다양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면서 자폐인들이 언어적 낙인에 얽매이지 않고 고등교육 및 전문직에 진출할 수 있었다. 최근CPRD 2․3차 최종견해에서 자폐인 대상 혐오표현의 방지가 권고된 만큼 자폐인과 신경다양인의 사회참여를 위해 ‘자폐적’ 언어 사용을 금지하는 등 대안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 하위문화의 공간 변용 현상 연구 : 놀이-창조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윤은호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2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8 No.-

        In recently, many city authorities make attention to the notion of the creative city. They think making of efforts on building or center on culture and art, or supporting professional artists or companies can make their ‘creative city’. But In really, creative city needs spontaneous participations of citizens, that will create new cultures and creative cores. In this research, I researched how subcultures, the typical examples of spontaneous cultural creation of citizens, are helpful for making creative cities. So for the research, I set up the notion of play-creative space, and presented cases of subcultures like cosplay and TRPG, that makes diffusion by actions and changes in cyber and reality spaces. In recently, many city authorities make attention to the notion of the creative city. They think making of efforts on building or center on culture and art, or supporting professional artists or companies can make their ‘creative city’. But In really, creative city needs spontaneous participations of citizens, that will create new cultures and creative cores. In this research, I researched how subcultures, the typical examples of spontaneous cultural creation of citizens, are helpful for making creative cities. So for the research, I set up the notion of play-creative space, and presented cases of subcultures like cosplay and TRPG, that makes diffusion by actions and changes in cyber and reality spaces.

      • KCI등재

        애니메이션과 현실공간의 결합에 대한 연구 ― ‘현실반영 애니메이션’ 개념을 중심으로 ―

        윤은호 한국일본학회 2023 日本學報 Vol.138 No.-

        그동안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유아, 어린이 타깃 작품 중심의 전략을 가져왔으나 코로나19 시기 언택트 트렌드에 올라타지 못한 채 오히려 감소세를 보였다. 그런데 최 근 국내에서도 연상호 감독의 <사이비>, <서울행>이나 한지원 감독의 <그 여름> 등의 대안 애니메이션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실공간을 애니메이션 에 투영한 애니메이션의 가능성 및 국내 적용 방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반영 애니메이션을 ‘세계관이나 배경에 현존하는 공간이 묘사되 며, 그 일부는 현실을 애니메이션을 통해 매개하는 작품’으로 조작적 정의하고, 관여 정 도에 따라 참조형, 비평형, 매개형으로 분류했다. 이어 시뮬라크르 및 불쾌한 골짜기 이 론을 통해 현실반영 애니의 재현도가 높아질수록 불호감이 발생할 가능성을 지적하고, 그 예시로 ‘직업 시리즈’ 중 <SHIROBAKO>와 <사쿠라 퀘스트>를 사전분석해 연구가 설화하였다. 이어 현실재현 애니메이션 중에서 극장판을 제작하여 지속가능성이 입증된 일상계 아니메인 <극장판 시로바코>, <극장판 유류캠△>을 사례분석했다. <시로바코>의 경우 아니메 제작사의 경영위기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으며, <유루캠>의 경우 마을만들기 프 로젝트와 행정적 절차, 그리고 프로젝트의 위기를 재현하였다. 연구 대상들은 수익창출 은 성공했으나, 재미 정도의 차이가 발생해 흥행수익과 호감도에 차이가 있었다는 점에 서 가설을 입증하였다. The work of the animation industry in Korea, which targeted infants and children, was unable to catch up with the untact trend during COVID-19 and is found to decline gradually. On the other hand, alternative animation productions are recently increasing in Korea.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nimation that projects real space into animation and the direction of domestic application. The present study defined reality-reflective animation as ‘A work that depicts real-world spaces in their worldview or background and some of them mediates reality through the work.’ and classified it into reference, critical, and mediated types. However, only some animations succeed at the box offi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reasons using the theory of simulacra and uncanny valley and preliminarily analysed SHIROBAKO and Sakura Quest from the Occupation Series. The study studied cases of Shirobako: the Movie and Laid-back Camp Movie. The results proved the hypothesis that although the films were successful,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un factor, which led to differences in the box office revenue and popu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