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윤세순 ( Se Soon Yun ) 한국고소설학회 2010 古小說 硏究 Vol.30 No.-

        본고에서는 명나라 遺民인 강세작을 입전한 세 개의<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에 대해 살펴보았다. 네 명의 작자는 모두 동일한 인물을 소재로 글을 지었고, 서로 비슷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각기 다른 시선으로 강세작을 바라보고 있었다. 작자 중에 박세당과 남구만은 소론계 인물로서 혈연적 학문적 동지였고, 최창대 역시 두 사람을 스승으로 모셨던 소론계 인물이라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박세당은 강세작이 요동의 전쟁터에서 겪은 일들에 대해선 스치듯이 서술하여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조선 땅에 살면서 명나라 유민으로서 강세작이 보여준 면모에만 관심을 집중하였다. 반면 김몽화는 요동의 전투지역을 누볐던 세작의 모습만을 집중적으로 서술하였다. 박세당은 강세작의 인간됨됨이와 성격, 식견 등을 부각시키기 위해, 김몽화는 강세작을 의열지사라 칭송하여 전쟁 영웅으로 재탄생시키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에 각기 이런 구성방식을 택한 것이다. 남구만과 최창대는, 강세작이 요동의 전쟁터에서 겪은 일들과 조선 땅에 살면서 그가 보여준 면면들을 아울러 서술하였다. 남구만은 현실 속에서 강세작이 겪은 일들과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주려고 하였다. 반면 최창대는 작품 사이사이에 의론을 끼워 넣어 강세작을 君子나 烈士라 칭송하여 미화시켰고 강세작을 오자서에 견주어 과대평가를 하기도 하였다. 한편 박세당과 남구만의 작품에서는 강세작의 모습이 추상화되어 있지 않았다. 즉 村老의 질박함을 풍기는 현실 속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박세당과 남구만은 강세작과 동시대를 산 사람으로서 함경도에서 관직생활을 했을 적에 직접 강세작을 만나서 담소를 나누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강세작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 반면 최창대와 김몽화의 작품에서는 관념화가 진행된 강세작의 모습이 보였다. 이들은 강세작의 살아생전 모습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事前에 미리 구상해 놓은 강세작의 이미지 틀 속에 현실의 강세작을 손쉽게 끼어 넣어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강세작을 새롭게 재탄생시켰다. 바로 이 때문에 강세작은 君子나 烈士의 모습으로, 나아가 전쟁영웅의 모습으로 형상화될 수 있었다. 즉 일상적 인식으로 강세작을 바라본 박세당과 남구만은 강세작의 실제 모습 속으로 침투해 들어가 현실 속에서 보고 느낀 그대로 강세작을 서술하였다. 반면 강세작을 직접 만나본 적이 없었던 최창대와 김몽화는 강세작을 쉽게 타자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의도한 강세작의 모습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처럼 미시적인 차원에서 바라볼 경우, 네 명의 작자는 서로 다른 시선과 목적으로 강세작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거시적인 차원 즉 이 작품들이 지어질 수 있었던 사회적 배후에는 조선의 전통적인 중화주의가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었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Kang Se-jak Jeons and Kanggun Se-jak Myojimyeong, which all described the life of Kang Se-jak, a migrant of Ming Dynasty. The four authors wrote a book about the same person and adopted different perspectives on him, telling similar stories. Park Se-dang(朴世堂) and Nam Gu-man(南九萬) belonged to the Soron Family and the same kin and academic circle. It is also noteworthy that Choi Chang-dae(崔昌大) was a disciple of the two and belonged to the Soron Family, as well. Park Se-dang roughly talked about what Kang experienced at the battlefield of Liaodong, showing no interest in it. What he focused on was his aspects as a migrant of Ming Dynasty in Joseon. On the contrary, Kim Mong-hwa(金夢華) provided intensive descriptions of him dominating the battlefield of Liaodong. The two authors` compositions were different because Park tried to highlight Kang`s character, personality, and insight and Kim intended to make him be reborn as a war hero, calling him a man of heroic and noble mind. Meanwhile, Nam Gu-man and Choi Chang-dae depicted both what Kang experienced at the battlefield of Liaodong and the aspects he showed living in Joseon. While Nam tried to what Kang experienced in real life and his human aspects with no addition or subtraction, Choi beautified him, calling him a man of honor or a man of fervid loyalty by inserting his arguments in the book, as well as overestimated him by comparing him with O Ja-seo. Park and Nam did not depict Kang in an abstract manner in their stories; that is, they presented his simple life as a rural serf as it was. Both of them were his contemporary figures and had chances to talk with Kang while serving in an official position in Hamgyeong Province, thus being able to show him as he was. On the other hand, Choi and Kim presented the conceptualized aspects of Kang in their stories. Having no chance to meet him in person, they easily put real Kang in the image framework they prepared in advance and gave him a new life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Thus Kang was embodied as a man of honor or fervid loyalty and further a war hero. While Park and Nam, who saw Kang from the perspective of daily life, penetrated into his actual aspects and wrote what they saw and felt about him in reality, Choi and Kim, who never had a chance to meet him in person, could easily put him in the othering process and create him the way they intended. From a microscopic dimension, it is obvious that the four authors adopted different perspectives and goals regarding Kang. However, it seems that Joseon`s traditional Sino-centrism must have worked in subtlety in the social background that the four books were written from a macroscopic dimension.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2) : 한문소설에 나타난 주요 동물의 문학적 형상

        윤세순 ( Se-soon Yun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조선후기 사대부 소설작가들은 국문소설 가운데서 당시 유행하고 있었던 동물우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동물 소재 한문소설을 지었다. 이들이 이처럼 쉽게 동물우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한문으로 동물 소재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이유는 한문학의 전통 속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관물정신과 우언양식, 그리고 동물전과 동물설의 한문학 양식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동물을 소재로 다룬 한문소설에는 「호질(虎叱)」·「서대주전(鼠大州傳)」·「서옥기(鼠獄記)」·「토공전(兎公傳」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 작품에서 서사적 추동력이 있는 주요 동물만을 다루었다. 즉 「호질」의 호랑이, 「서대주전」의 늙은 쥐, 「토공전」의 토끼와 자라의 문학적 형상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호질」에서는 호랑이를 동물의 제왕으로 인정하였고, 인간이 호랑이를 두려워한다는 점을 들어 호랑이가 인간의 우위를 차지하게 하였다. 또 동물의 입장에서 인간은 배고픔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고기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여겨 인간을 동물 가운데 하나로 여기거나 동물의 먹잇감으로 취급함으로써 호랑이의 위상을 상대적으로 격상시켰다. 이로써 호랑이는 허위의식으로 가득찬 인간을 통렬히 비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되었다. 「서대주전」에서는 쥐의 생태를 잘 파악하여 이를 늙은 쥐 서대주의 모습으로 잘 형상화해 놓았다. 서대주의 만행과 뻔뻔스런 행태는 현실사회에 존재하는 파렴치한 인간을 비유한 것이다. 「토공전」에서는 토끼의 총명함보다는 어리석음에 대해 다루어 보았고, 자라의 달변가적 면모와 표리부동한 모습, 즉 표면적인 충성심과 이면의 욕망과 두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해 보았다. In late Joseon dynasty, gentry intellectuals expresse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warm of newly published Korean novels by insisting that the novels deserve to be burned as they brought about the phenomenon of social pathology. However, in the midst of this major commotion, gentry novelists wrote Sino-Korean novels after they were influenced by animal fable novels among Korean novels which were popular at the time. The novelists were able to easily write animal-based novels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inspired by animal fables because literary styles of Gwanmul spirit, fable style, animal-Jeon, and animal tale were deeply rooted in the Chinese literature. 「Hojil 虎叱」, 「Seojdaejujeon 鼠大州傳」, 「Seookki 鼠獄記」, and 「Togo ng-Jeon 兎公傳」 are some Sino-Korean novels which storylines are based on animals and this dissertation dealt with main animals which have narrative impetus. That is, the thesis set literary form of the tiger in 「Hojil」, the old mouse in 「Seodaejujeon」, and the rabbit and the turtle in 「Togong-Jeon 토끼전」 as the targets of discussion. Moreover, the paper tried to grasp how the animals were formed within the works by internal methodology. In 「Hojil」, the tiger is acknowledged as the king of animals and at a superior position than humans since the humans have fear toward it. In addition, the tiger is raised to a higher status by merely treating humans as preys or a type of animal. With this, the tiger is authorized to bitterly criticize humans who are full of falsity. In 「Seodaejujeon」, the old mouse Seodaeju has been well formed afte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mice. Seodaeju``s barbarous acts and impudent behavior are a stark comparison to shameless humans. Generally, in the Korean version of 「Tokki-Jeon」, the rabbit``s wisdom and the turtle``s fidelity have been mentioned. However, in the 「Togong-Jeon」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Tokki- Jeon」,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rabbit``s foolishness and the turtle``s eloquence and treacherousness. The witty rabbit somehow manages to escape from the Dragon King``s Palace but displays a foolish act of heading back toward it after being deceived by the turtle``s eloquence. The turtle is an eloquent speaker who is equipped with strategies and practical ingenuity to accomplish his desire for success. Furthermore, outside he is a courageous loyalist but inside he``s full of desires and fears.

      • KCI등재

        유만주의 윤선도 시조 한역의 배경과 양상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중심으로-

        윤세순 ( Se Soon Yun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1 No.-

        본고에서는 노론계 경화사족인 유만주가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한역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개인적 배경, 그리고 한역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만주는 18세기 중후반 경화사족이 시조를 향유하던 환경 속에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조 한역을 하나의 취향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아가 그의 자국어문학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자연경물에 대한 관심, 탈속의 경지를 동경하던 마음은 당파와 학맥을 벗어나 남인이었던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한역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한역 양상의 외형을 살펴본 결과 네 가지 방식으로 한역하였다. ①한 편의 시조 3장을 그대로 한역한 경우 ②한 편의 시조 2장을 장단구나 제언체로 한역한 경우 ③한 편의 시조 1장을 장단구로 한역한 경우 ④두 편의 시조를 합쳐 한 편으로 한역한 경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한역 양상을 들여다보면, 거의 장단구 형식으로 원-시조의 말을 그대로 살리는 방향 즉 시조쪽에 중심을 두었고, 비슷한 이미지의 시조작품을 결합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주로 <춘사>와 <추사>를 한역의 대상으로 삼았고 <하사>는 1편, <동사>는 전혀 한역하지 않았다. <춘사>와 <추사> 중에서도 강촌의 아름다운 봄날 풍광과 秋江에서 노니는 정취 등 세속과 멀리 떨어져 있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한가로운 전원생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시조를 한역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통해 유만주가 당파와 학맥을 과감히 탈피하여 자신의 문예취향을 소신 있게 추구한 선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18세기 중후반 무렵에 자유로운 문예창작의 분위기가 꿈틀대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personal background behind Yu Man-ju, a scholar of Noron family, translating <Eobusasisa漁父四時詞> and <Manheung漫興> into Chinese well as the patterns of translation into Chinese. Growing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Gyeonghwasajok京華士族enjoyed Shijo in the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Yu naturally accepted the translation of Shijo into Chinese as a taste. It was his affection for literary works in his native tongue, interest in natural matters, and yearning for the level of unworldliness that drove him into translating the Shijo works of Yun Seon-do into Chinese. The examination of the patterns in which he translated Shijo into Chinese revealed that he usually adopted four patterns, taking the direction of keeping the original words in the Shijo works intact in almost the Jangdangu pattern with a focus on Shijo. He also created new images by combining the Shijo works of similar images. He usually chose the Shijo works that depicted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of fishing villages and reflected a leisurely fishing life for translation into Chines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Yu was a scholar with his own belief, making a bold escape from the partisan and school-related bondage and pursuing his own literary taste. They also imply that there was an atmosphere for free literary creations in an emerging state in the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 KCI등재

        한국(韓國) 한시(漢詩)의 특징(特徵)과 전개(展開)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삽입시가의 존재양상과 기능 -「주생전(周生傳)」·「위경천전(韋敬天傳)」·「운영전(雲英傳)」·「상사동기(想思洞記)」를 중심으로-

        윤세순 ( Se Soon Yun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2

        Inserted poems refer to poems inserted in novels and are found through the classical novels of Korea. Diverse forms of inserted poems can be found in Chuachi(傳奇), Mongyurok, chapter-titled, Hangul love, heroic, and Pansori novels. Inserted poems made their first appearance in biography novels including 「Ssangnyeobungi 雙女墳記」, the first biography novel between the end of Sh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Geumosinhwa 金鰲新話』and 『Gijaegiyi 企齋記異』from the former half of Chosun, and many more biography novels from the 17th century. The inserted poems performed various roles in biography novels, enhanced their lyricism, highlighted their composition, and even revealed the writers` talents and personalities, settling down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huach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nctions of inserted poems with four works of Chuachi from the 17th century, 「Joosaeng-jeon 周生傳」·「Wheegyeongchon-Jeon 韋敬天傳」·「Unyeong-jeon 雲英傳」·「sangsadongyi 想思洞記」. Below is a chart for the investigation: Performing such diverse functions in Chuachi from the 17th century, the inserted poems brought out the unique aesthetic nature of novel, a narrative format. Their functions were not independent, rather mingling with each other and helping themselves take a solider root in narrative. That is, inserted poems would function as a character description to present his or her psychology, as the development of an event or underplot, and means of communication to deliver his or her emotions or thoughts to others at the same time. Performing diverse roles as one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uachi, inserted poems influenced other formats of narrative later.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it felt natural to find inserted poems throughout the formats of narrative.

      • KCI등재
      • KCI등재

        『난실담총(蘭室譚叢)』의 편찬 시기와 지식 구축 방식

        윤세순 ( Yun Se-soon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蘭室譚叢』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학자인 成海應(1760~1839)이 편찬한 저작이다. ‘蘭室’은 성해응의 號인데, 좋은 친구나 본받을 만한 훌륭한 사람이 있는 곳을 비유한 말이다. 또한 蘭臺와 같은 뜻으로, 漢나라 때 궁중에 있던 藏書閣의 이름이기도 하다. 성해응은 이 두 가지 의미를 아우르는 차원에서 ‘난실’이란 호를 채택했을 것이다. 성해응은 29세 때인 1788년(정조12)에 규장각 檢書官이 되었는데, 이후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각종 서책들을 마음껏 열람할 수 있었고, 뛰어난 학자인 이덕무·박제가·유득공 등과 학문을 토론하고 담소를 즐기며 학자로서의 황금기를 보냈다. 따라서 『난실담총』은 성해응이 다양한 분야의 많은 서적을 열람하고, 당대의 박식한 학자들과 교유하여 폭넓은 견문을 얻을 수 있었던 규장각 검서관 시절 기획되어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난실담총』의 정확한 자료수집 기간과 편찬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전체내용을 자세하게 읽어보니, 자료를 채록한 시기를 알 수 있는 내용들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최소한 20여년(1789~1812)임을 알 수 있었다. 『난실담총』은 총6권으로 『연경재전집외집』 56권부터 61권까지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子餘 부문에 해당한다. 또 자여 부문 안에서도 筆記類로 분류해 놓았다. 권1에 수록된 내용은 주로 국가 제도 및 왕실과 궁궐에 관련된 것들이다. 권2에 수록된 내용은 주로 관직제도와 조정의 벼슬아치들과 관련된 것들이다. 권3에 수록된 내용은 주로 남다른 면모를 지닌 인물, 이름과 호칭, 풍속, 복식, 장례, 국방, 역사적 공간과 관련된 것들이다. 권4에 수록된 내용은 주로 식물, 동물, 奇石, 글자, 귀신, 외국과 관련된 것들이다. 권5에 수록된 내용은 주로 명말청초 시기와 관련된 인물과 사건, 그리고 청나라와 관련된 것들이다. 권6에는 주로 考證, 서책, 서화, 종교, 歸化人, 금석문과 관련된 것들이다. 『난실담총』에 수록된 내용이 이처럼 다양하고 폭넓은 것은 18,9세기 조선의 학술계에 유행했던 박물학의 영향을 받은 성해응의 박물학적 지식취향 때문이다. 『난실담총』은 필기류 양식이 변화를 겪고 있던 당시의 상황 속에서도 필기류 본연의 글쓰기 방식인 述而不作의 전통을 지키고 있었다. 성해응은 자신이 견문한 사실이나 문헌 기록들을 정리하여 『난실담총』에 지식정보로 구축해 놓았는데, 본고에서는 지식구축 방식을 6가지로 나누어 파악해 보았다. 지식구축의 6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① 직접 목격하거나 측근에게 전해들은 이야기로 구축 ② 동일하거나 비슷한 소재의 이야기를 하나의 항목으로 묶어 구축 ③ 기존 문헌에서 필요한 부분만 발췌하고 재구성하여 구축 ④ 기존 문헌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옮겨와 구축 ⑤ 기존 문헌의 내용에 후속 정보를 보완하여 구축 ⑥ 한 서책에서만 발췌하여 구축 『난실담총』은 외양적으로는 이것저것 모아놓은 잡다한 기록물처럼 보일수도 있다. 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일정한 체계를 갖추어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각 항목에 적절한 제목이 달려 있고, 서로 비슷한 類에 속하는 항목들이 모아져 있다. 이는 『난실담총』이 類書의 형식을 어느 정도 모방하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Nansildamchong』 is written by Seong Hae-eung(成海應), the literary scholar of the late Choson Dynasty. He became Gyujanggak(奎章閣) Gemseguan(檢書官) 1788, at the age of 29. In there, he was able to read a lot of books in various fields and to get a wide range of knowledge by communicating with erudite scholars of the era. Perhaps he started to collect data for the compilation of 『Nansildamchong』 when he worked as the Gyujanggak Gemseguan. I can not know when he collected the data and compiled the 『Nansildamchong』exactly, but I could figure out that it took at least 20 years(1789~1812) to collect data after reading the book thoroughly. This book has six volumes in total, and is classified as a Pilgi(筆記) genre in Yeongyeongjae waejip (硏經齋外集). Volume one is about the national system, royal and palace. Volume two is about the official system and government officials. Volume three is about characters with special aspects, name and title, customs, costumes, funerals, defense and historical space. Volume four is about plants, animals, strange stones, letters, ghosts, foreign countries. Volume five is about the characters and events from late Ming Dynasty to the early Qing Dynasty and Qing Dynasty’s characters. Volume six is about historical investigation, books, book paintings, religion, naturalized persons, inscription on a stone monument. The diverse and wide contents of 『Nansildamchong』 come from Seong Hae-eung’s knowledge preference for natural history that was influenced by the study of nature which was popular with scholar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18<sup>th</sup> and 19<sup>th</sup> century. On the other hand, Seong Hae-eung summarized document records or the facts which he observed and built up knowledge information with these in 『Nansildamchong』. The building of knowledge was conducted in six ways. ① He used the story that he witnessed or heard from his aides. ② He built a series of stories of similar material into a single story. ③ He extracted only necessary part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and reconstructed it. ④ He quoted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literature almost identically. ⑤ He added the following information to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literature. ⑥ He extracted the information from only one book and built knowledge information with it.

      • KCI등재

        18세기 사대부 지식인 유만주의 고독

        윤세순 ( Se Soon Yun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8 No.-

        본고는 조선시대 사대부 지식인 유만주가 느낀 고독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독의 개념이 다양하고도 모호한 부분들이 있어 우선 고독의 개념을 정리해 외재적 고독과 내재적 고독으로 나누어 보았다. 외재적 고독이란 홀로인 상태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여 외로움[loneliness]을 느끼는 것이고, 반면 내재적 고독이란 홀로인 상태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내면으로 沈潛[solitude]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외재적 고독과 내재적 고독을 정확하게 분리하여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혼자라는 외로움 속에서 쓸쓸함과 우울함이 지속되어 고통 받을 수도 있겠지만, 외로운 상태로 한 동안 지내다 혼자임을 기꺼이 인정하며 내면의 동굴 속으로 들여가 침잠할 수도 있다. 또 이와는 반대로 침잠의 상태에서 빠져나와 혼자라는 외로움에 몸서리칠 수도 있다. 고독을 느끼는 인간이라면 외로움[loneliness]과 침잠[solitude] 사이를 오가며 이 둘을 모두 경험할 것이다. 유만주는 타고난 본래적 성향과 주변인들과의 소통부재, 사회적 정체성의 부재, 그리고 소중한 사람의 죽음으로 인해 외재적 고독의 상태 속에 있기도 했고, 반면 자신의 내면으로 침잠하여 탈속의 경지를 동경하다가 마침내 ‘臨華洞天’이라는 상상의 세계를 구축에 나아가기도 했다. ‘임화동천’은 造景의 ‘설계도’ 같은 특징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허구의 가상세계로 이루어진 소설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이는 유만주가 외로움을 극복하고 내면으로 침잠하여 창조적 힘을 발휘하여 만들어간 그만의 세상이었다. 유만주는 이 상상의 공간 속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개성을 활짝 펼치면서 마음껏 자유하였다. 또 사회적으로 미미한 존재감 때문에 현실 속에서 상처받은 자신의 영혼을 이곳에서 치유 받았다. 하지만 자신의 희망이었던 맏아들 구환의 죽음을 겪은 후에 끝내 절망의 외로움 속에서 병약한 몸을 지탱하지 못하고 아들이 죽은 지 1년이 못되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neliness of YuMan-Ju, a Sadaebu(the noble class) intellectual from eighteenth-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It also analyzes the solitudinous aspect of his life showing that he was willing to immerse himself in his inner world. In this paper, loneliness and solitude will be dealt in a different perspective and meaning. Loneliness is regarded as an attitude where one passively receives the situation being alone, whereas solitude is an active acceptance of being apart from others. It is not eas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tate of loneliness and solitude because while one could be suffering from chronic depression and loneliness, at the same time that person could embrace his emotions and further delve into his mental “cave”, entering a state of solitude. The converse also applies: a person in a state of solitude may come to realize that his emotions were in fact loneliness. People in general, when alone, may experience a constant fluctuation between loneliness and solitude. Yu Man-Ju’s inherit character,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absence of social presence, and the death of a beloved person ultimately led him to experience feeling lonely. On the other hand, letting himself sink into his inner world and longing to transcend the secular world, Yu established imaginative world called ‘Imhwadongcheon(臨華洞天)’. The aspect of Imhwadongcheon is similar to the landscaping scheme, and it also reminds us of a fantasy novel. It is a world created through his overcoming of loneliness and the finding of solace in his solitude. In addition, this recluse allowed him to cure his soul, heavily wounded by the reality of his faint social presence. However, the death of his first son(Gu-Hwan), who he regarded as his hope, left his mind in a state of desperate loneliness, and the resulting shock led to his death, less than a year apart from his son`s death.

      • KCI등재
      • KCI등재

        외래 도서가 한국한문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의 탐색 조선시대 중국소설류의 국내유입에 대하여

        윤세순 ( Se Soon Yu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6

        This paper will analyze the influx of various works of Chinese fiction in Chosun dynasty in periodic characterisation of 15th century through 19th century.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Chinese fiction has consistently been transported 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Yi Dynasty from the 15th century until its end. It was urgent to establish the state system in the 15th century, which Confucianism was the principal basis of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us government was instrumental in importing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 into the country. Bringing fictions into the country was nearly impossible. However, the fiction Jeondeungsinhwa(剪燈新話) was introduced at this time period, although we do not know of the details of it importation. From the 16th century, there was an improvement in government affairs; its operation became lenient. Hence, it was easier to acquire Chinese books than during the previous century. In addition, Chinese fiction was brought in by Chosun envoys or interpreters who visited Beijing. Book dealers appeared in this time period allowing the books to be more accessible. These book dealers were active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The two consequent wars in the 17the century generated a new paradigm, which led to a new awareness that made changes to the way people viewed the various life tales in fiction in a positive light. Furthermore, during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the soldiers and migrants naturally diffused Chinese culture. Thus, the thriving fiction literature in China were permitted naturally without much resistance. During this period, the recently published books from China were imported inland of Chosun much faster. More genre of fictions were introduced such as Yan-yi novel(演義小說), The Gong`an theme novel(公案小說), Freestyle Chinese novel(筆記小說) and Scholar-Beauty romances(才子佳人小說). The 18th century Chosun society was the renaissance of Korea as it led a far different cultural atmosphere from the prior century. In this century abundant amount of various books overflowed from China. For the affluent and some of the middle classes, who had time on their hands, reading Chinese fiction became a part of their leisure actives. In result, this period brought with it a considerable amount of books focused on the demands of the wealthy. Thus the influx of Chinese fiction continued until the very end of its dynasty in the 19the centu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