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생태 및 토양생태계에서 나노물질의 마이크로코즘 연구

        윤성지(Sung Ji Yoon),안윤주(Youn Joo An)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4

        나노산업의 발달로 인해 나노제품의 제조, 소비, 폐기 과정에서 나노물질이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수생태 및 토양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다. 나노물질은 벌크물질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나노물질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환경내 나노물질의 거동 및 무생물적·생물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나노물질의 생태 독성 연구는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나노물질의 마이크로코즘 연구가 최근 보고되고 있다. 마이크로코즘(Microcosm)은 통제된 실험 조건 하에서 생태계의 일부분을 모사하여 자연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마이크로코즘 연구는 생태계 내 나노물질의 거동과 통합적인 독성영향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수생태 및 토양생태계에서 나노물질을 이용한 마이크로코즘 및 메조코즘(Mesocosm) 선행연구를 국제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마이크로코즘 연구는 총 12건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단 1건의 메조코즘 연구가 보고되었는데, 대부분의 연구들이 미생물 군집 수준에서 나노물질의 영향을 제한적으로 평가하였다. 나노물질의 통합적 독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좀 더 다양한 생물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 및 토양생태계에서 나노물질의 마이크로코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중금속, 유기물질과 같은 일반 화학물질 이용한 마이크로코즘 독성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나노물질의 마이크로코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growth of nano-industries has resulted in released nanoparticles entering into water and soil ecosystems via various direct or indirect rout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noparticles differ from bulk materials, and nanomaterials influence the fates of nanoparticles and the interactions of living or non-living things in the environment. Microcosm analysis is a research methodology for revealing natural phenomena by mimicking part of an ecosystem under controlled conditions. Microcosm study allows for the integrated analysis of toxic effects and fates of nanoparticles in the ecosystem. Ecotoxicity studies of nanomaterials are steadily increasing, and microcosm studies of nanomaterials are currently beginning to surface. In this study, microcosm studies of nanomaterials in water and soil ecosystems were extensively investigated based on SCI (E) papers. We found that the microcosm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12 instances, and mesocosm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only once until now. Advanced research was mostly evaluated at the microorganism level. But integrated analysis of nanotoxicity is required to research the interactions based of various species. Thus, our studies analysed the trend of microcosm studies on nanomaterials in water and soil ecosystem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of microcosm research of nanomaterials.

      • KCI등재

        위해성평가 목적의 하천수 모니터링 빈도 연구: 국내상황을 고려한 적정빈도 제안

        곽진일 ( Jin Il Kwak ),윤성지 ( Sung Ji Yoon ),남선화 ( Sun Hwa Nam ),안윤주 ( Youn Joo An ) 한국물환경학회 ( 구 한국수질보전학회 ) 201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8 No.3

        To protect human health and manage increasing hazardous chemicals in stream area, it is necessary to expand water quality hazardous items based on risk assessment with proper monitoring data. Also, it is essential to set up the suitable monitoring frequency to produce reliable exposure data to derive water quality guidelines. However, there has been no harmonized monitoring frequency for risk assessment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onitoring systems. In addition, the monitoring frequency for risk assessment has been selected as ``Research needs``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riving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Ecosystems (EQSPAE) of 2011. In this study, Cases of UNEP/WHO, EU, European countries, USEPA, ANZECC/ARMCANZ, CCME, Japan, and Korea were analyzed to propose the monitoring frequency for risk assessment. Monitoring frequencies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monitoring object, measurement parameters, and monitoring duration were extensively collected. We observed that a monthly monitoring has been applied at most of organizations including EU, USEPA, and UNEP/WHO. In this study, monitoring frequency of minimum 6 times during 3 years were proposed to conduct the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current domestic status.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agreements among interested parties, and perform additional studies about optimal monitoring frequency to protect the aquatic ecosystem and human health in Korean rivers and streams.

      • KCI등재

        친환경 유기농자재에 사용 가능한 첨가제 및 추출제 평가

        이우미 ( Woo Mi Lee ),윤성지 ( Sung Ji Yoon ),안윤주 ( Youn Joo A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3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6 No.2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친환경유기농자재로 허용하고 있는 보조제 및 추출제 종류 및 세부사용조건을 분석 및 평가하여 허용 조건을 제안하였다. Potassium hydroxide와 발효 ethyl alcohol은 국제적으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추출제로서 허용되고 있고, 미국 환경청 (US EPA)에서 규정하고 있는 inert ingredient list4에 해당하는 물질은 작물생산 보조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adjuvants or extractants used in environment-friendly organic agro-materials used in a range of advanced countries or institutes. We observed that potassium hydroxide and fermented ethyl alcohol are generally acceptable extractants, and the inert ingredient list 4 of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is applicable for crop production adjuvants.

      • KCI등재

        토양 반입 부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적 고찰

        유근제 ( Keunje Yoo ),윤성지 ( Sung-ji Yoon ),김종성 ( Jongsung Kim ),황상일 ( Sang-il Hw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4

        국내에서는 국토개발 목적으로 토양을 반입하고 잔토 및 사토 처리를 위해 토양을 반출하고 있으나, 토양오염에 대한 고려 없이 특정 부지로 토양이 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토양의 이동으로 인한 오염 확산을 방지하고 오염발생 부지에서의 정화책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반입토양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국외 관련 제도를 분석하여 국내에서 토양 반입 부지의 관리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입되는 토양의 합리적인 이동 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율적 규제, 의무적 규제, 단계적 규제를 제안하였다. 향후 국내에서 토양 반입부지에 대한 명확하고 합리적인 관리체계를 성립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것과 같이 현재 토양환경보전법이 가지고 있는 법·제도적 한계점을 개선하여 토양 반입 부지에 대한 규제 및 지침을 빠른 시일 내에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In Korea, soil is being transported in and taken out for the purpose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but the soil is being moved without consideration of soil contamination. Therefore, this is a policy-focused study of the management system on soil mov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management and suggested three alternatives for management of soil moving in 1) self-regulation, 2) obligatory regulation, 3) phase-in according to types of regul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clear and reasonable management system for soil move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soil environmental law as suggested by this study.

      • 환경복지 구현을 위한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개발 방안

        신용승 ( Yongseung Shin ),추장민 ( Jang Min Chu ),윤성지 ( Sung-ji Yo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본연구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복지 구현을 위한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외 환경복지정책 및 환경서비스 사례와 설문조사,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환경서비스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며 환경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환경서비스 개념을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안전하며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대국민 서비스”로 정의하고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 유형을 통해 환경서비스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키고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환경서비스에 대한 국민체감도 및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환경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보통으로 응답하였으나 만족보다 불만족에 대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국민들의 생활환경 및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대기, 물, 환경보건 분야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환경서비스 체감도 향상을 위한 방안에 관한 질문에는 맞춤형서비스 개발, 취약계층 지원, 서비스 콘텐츠 확대 및 질적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고 원하는 서비스 유형으로는 경제적 지원, 정보 제공, 관리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개발 원칙으로서 ‘맞춤형’, ‘소통형’, ‘참여형’의 3대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환경적 부정영향(Negative)을 저감하는 기능적·규제적·환경불평등 해소 측면의 정책과 더불어 환경적 혜택·부가가치(Positive)를 증진시키는 환경서비스를 확대’하는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야별 빈도에 따른 관심 키워드를 도출하여 이를 환경서비스 관점에서의 환경서비스 개발요소로 활용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환경서비스 대상(관심 분야, 서비스 계층)과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기존의 환경정책 또는 서비스와 차별화 될 수 있는 분야별 환경서비스 예시를 제시하였다.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으로는 1) 환경서비스 수요 발굴 및 검증체계 마련, 2) 환경서비스를 고려한 환경복지지표 개선, 3) 환경서비스 가이드라인마련, 4) 중앙부처-지방정부-시민단체 협조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그 밖에 커뮤니케이션 방안으로는 환경서비스에 대한 정기적인 수요 및 만족도 조사와 정보취약계층을 고려한 오프라인 정보를 제공, 그리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행사 및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이제 환경복지정책은 담론 차원에서가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수단을 통해 서비스로서 제공해야 할 시점이다. 환경서비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자인 국민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방법을 고민해야 하며 국민들의 향상된 생활수준을 고려하여 환경에 대한 기본수요를 충족시키는 차원을 넘어서 환경적 혜택과 부가가치를 높이는 환경서비스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principles and measures for ‘practical environmental service’ are suggested by defining its term,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open survey and social big data on environmental welfare and services. Environmental service can be defined as ‘services provided to the people for insurance of secure,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Thi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ervices with more variable contents and types of the service. As a result of the open survey, it is suggested that more customized environm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recipients or targeting vulnerable group. In addition, more variety in the service contents is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ervice.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are more favorable with the service types such as economic incentive, information providing, and management services. Elements of the practical environmental services are derived based on keywords from the social big data analysis. By combining the service targets (i.e., interests and target group) and service measures, environmental service portfolio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ervices are suggested. Including periodical demand survey of environmental services, improving environmental welfare index in consideration of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services, and guideline for developing environmental services are also suggested as institutional measures. Promoting communication for the environmental services to the vulnerable groups is also important by improving the off-line information and educational or experience programme for th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higher environmental welfare, more practical and detailed environm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people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f their needs.

      • KCI등재

        비음용 지하수 오염물질 기준설정체계 구축 연구

        안윤주(Youn Joo An),남선화(Sun Hwa Nam),이우미(Woo Mi Lee),윤성지(Sung Ji Yoon),윤진열(Jin Yul Yoon),정승우(Seung Woo Jeong),김혜진(Hye Jin Kim),김현구(Huyn Koo Kim),김태승(Tae Seung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9

        비음용 목적의 지하수에 대한 국내 수질기준은 기준항목 및 기준치설정에 근거가 명시되지 않아 체계적인 기준설정체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음용 목적의 특정유해물질에 대한 위해성기반 한국 지하수 수질기준 설정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흡입 및 피부접촉 노출경로를 고려한 위해성을 반영하고 있는 선진국의 지하수기준 설정근거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타 수질 관련 매체의 기준 설정 체계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지하수기준의 설정체계를 제안하였다 모니터링 우선항목 선정, 모니터링 수행, 위해성평가, 지하수 수질기준 후보물질 선정, 특정유해물질 지하수 수질기준 신규항목 선정 및 항목별 기준치 설정 단계로 제안하였다.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ystematic procedure of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however, there were no specified basis for establishing substances and values in Korean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for non-drinking water. In this study, we reviewed basis for deriving groundwater quality standard in the developed countries, considering carcinogenic and non-carciongenic risk via inhalation and dermal contact exposure pathways. Also, we reviewed the prior systematic procedure of standards related to water quality (e.g. drinking water, surface water, and wastewater). USEPA RAGS, ASTM RBCA, and Massachusettes presented the formulas for deriving groundwater concentrations of chemicals and there were similarity and differences. We suggests systematic procedure of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as follows. (1) Selection of groundwater pollutants population, (2) Possibility of risk assessment, (3) Selection of monitoring priority substances, (4) Monitoring, (5) Risk assessment, (6) Selection of groundwater quality standard candidates, (7) Selection of new substances and values for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Especially, groundwater concentration of hazardous material were presented according to revised risk formulas via inhalation and dermal cont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