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윤리’ 개념과 ‘도덕’ 개념의 구분을 통해서 본 번역윤리

        윤성우 한국통역번역학회 2015 통역과 번역 Vol.17 No.3

        This essay attempts to explain why the issues of ethics become more important, and to find its concrete meaning of ethics in the dimensions of translation. Specially by referring to Paul Ricoeur's idea of differentiating 'Ethics' and 'Morals', it discusses its application in the fields of practical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tudies. It further discusses how the two ideas are articulated from analysing Berman's and Venuti's work. While this essay explains Berman's idea of how 'Ethics' and 'Morals' have a definitive difference and a good articulation, it also explains how Venuti appropriates Berman's and Deleuze's thoughts. To conclude, it examines Hans Jonas' concept of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generations, and suggests its potential meaning for practical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tudies.

      • KCI등재

        들뢰즈의 차이 번역론과 그 가능성들

        윤성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9 통번역학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what directions can be made possible when the theoretical assets and achievements of Gille Deleuze’s ‘philosophy of difference’, or ‘the ontology of difference’ – which is thoroughly discussed at a considerable extent in Korea – are applied to the field of translation discourse and its activities. That is to say, we aim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translation theory based on the ‘difference’. Accordingly, we should evaluate the factors that relate to translation and the points of inquiries from the concepts ‘difference’ and ‘the ontology of difference’, of which are already somewhat familiar to us. Eventually, this will ultimately be an attempt to explore Deleuze's translation theory that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feasibility and practicality. In addition, this search invites us to observe the resonance of translation discourse and repercussions of Deleuze’s ‘ontology of difference’. In other words, we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works of two scholars. One is Lawrence Venuti, a translation theorist who has developed his argument by explicitly applying Deleuze’s ‘philosophy of difference’ to the discourse and practice of translation. The other is Antoine Berman, who has claimed – prior to Venuti and dissimilar to Deleuze – the Platonic overturn of translation theory and the advent of ‘the foreign’, ‘the difference’ and ‘the other’ in the world of translation. Conclusively, our discussion will be meaningful in that we can more clearly perceive the transition from the logic of ‘the same’ to that of ‘the difference’.

      • KCI등재후보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윤성우,Yoon, Seong-Woo Korean Academy of Traditional Oncology 2010 大韓癌韓醫學會誌 Vol.15 No.1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타자의 유형을 통해서 본 번역학: 윤리적/사회적·정치적/생태학적 전환을 중심으로

        윤성우 한국통역번역학회 2020 통역과 번역 Vol.22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oughly sketch how and in what form the concept of ‘the other’ appears in the translation studies. The idea of ‘the other’, both in translation discourse and humanities, is often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is not oneself. In other words, it signifies other individuals, languages, cultures, and world views, as they are different from one’s own. One can agree that various types of the other have appeared in the translation discourse from its beginning to the current age. However, rather than attempting to survey all the known types of the other, due to the limited length of this particular essay, it will focus specifically on the types of the other that emerged after 2001, at the ethical, socio-political, and ecological turn.

      • KCI등재
      • KCI등재

        성문위기도기 인후두 튜부(SALT)를 이용한 기관내삽관 유용성 평가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연구-

        윤성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ed, ease, and confidence of endotracheal intubation during CPR, especially during chest compressions, by using a Supraglottic Airway Laryngopharyngeal Tube (SALT) and a direct laryngoscope to achieve and suggest a way to effective professional airway manag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first-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an experimental study designed with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was conducted, and SPSS 24.0 Ver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during CPR,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SA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ed compared to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a direct laryngoscope(p<.001), and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idence and ease(p<.001). When securing the airway for emergency patients, the use of SALT is judged to be a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advanced airway management in difficult or diverse environments, including CPR, and it is considered that active introduction and education are needed at domestic emergency sites and hospitals. 본 연구는 성문위기도기 인후두 튜브(Supraglottic Airway Laryngopharyngeal Tube, SALT)와 직접 후두경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중 특히, 가슴압박 시 기관내삽관의 신속성, 용이성, 자신감 등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전문기도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급 응급구조사 30명을 무작위 교차방법(Randomized crossover design)을 통하여 디자인한 실험연구로 자료 분석은 SPSS 24.0 Ver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심폐소생술 중 SALT를 이용한 기관내삽관은 직접 후두경을 이용한 기관내삽관보다 신속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자신감과 용이성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응급환자의 기도확보 시 SALT의 사용은 심폐소생술을 비롯한 어렵거나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전문기도관리를 할 수 있는 장비로 판단되며, 국내 응급 현장 및 병원에서 적극적인 도입과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적외선 체열촬영을 이용한 배변습관과 하복 및 수족 냉증의 관련성 고찰

        윤성우,하지연,이경섭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4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17 No.2

        Cold hypersensitivity is the condition with unusual cold sensitivity at temperature when others don't feel so. It is not disease in itself, but is known as having relationship with infertility, dysmenorrhea, anemia and endocrine disorder. The symptoms of cold hypersensitivity appear on limbs and abdomen especially, and may affect bowel movement such as constipation or diarrhea. We made a research of 86 healthy young girls who took medical examination and examined subjective bowel habi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by defecation type, constipation(42), diarrhea(14) and normal group(30). Temperature differences(ΔTs) measured by DITI on upper and lower abdomen of each group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e. Otherwise ΔTs between upper arm and palm and between upper leg and foot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 The severity of cold hypersensitivity on hands was in order constipation, normal and diarrhea group, and same as feet. The diarrhea patients had more severe cold hypersensitivity as compared with constipation patients. Correlation between ΔTs on abdomen and hands or feet didn't exist. ΔTs on hands and feet, however, had positive relationship. This research showed cold hypersensitivity could be related with diarrhea.

      • KCI등재
      • KCI등재

        언어, 장소 그리고 환대: 난민 문제와 함께

        윤성우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7

        What kind of impressions do these three terms, or concepts, give: language, place, hospitality? Language and place are familiar concepts to us, but perhaps the problem lies within hospitality. Where does the status for ‘hospitality’ lie within the realm of modern philosophy? Let us set a more specific boundary for this problem with the term ‘refugee’ to closely pinpoint its coordinates. When put in this way, rather than quickly jumping to a direct conclusion of hospitality for or of refugees, it must be argued that we should take a detour from the hospitality of language then to the hospitality of location within this context of hospitality. Hospitality of language means a linguistic one through translation. Hospitality of place would mean a physical place and a space of living, but we should also consider the formation of ‘the world (welt)’ and ‘the in-between (inter-esse)’. To conclude, let us briefly find suitable examples of the close relevance between the hospitality of language and the hospitality of place. Practically, all hospitality, no matter what circumstances it occurs in, is by definition and concept tied to the hospitality of location, to some extent. Perhaps the order of our questioning should have first been the ‘hospitality of place’ then the ‘hospitality of language(s)’. However, the reason why we cannot jump directly into the hospitality place is because there is no place on earth that is irrelevant or unrelated to each individual natural language. Humans exist as both beings-in-world and beings-in-languag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xt of the refugee problem lies within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of both the hospitality of language and place most fiercely cross one another. 언어, 장소, 환대, 이 세 용어, 세 개념이 주는 인상과 느낌은 무엇일까? 언어와 장소는 우리에게 낯선 개념들은 아니다. 아마 문제는 환대일 것이다. 현대철학에서 ‘환대’의 위상이나 좌표는 어디인가? 우리는 그 좌표를 명확하게 찍어보기 위해 ‘난민’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문제영역을 설정하려고 한다. 이렇게 말하고 보면 난민을 위한 환대, 난민의 환대라는 직접적이고 신속한 결론을 내기보다는 우리는 그 문제 영역에서의 환대는 언어의 환대, 그 다음으로 장소의 환대라는 우회로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한다. 언어의 환대는 번역을 통한 언어의 환대를 의미하고, 장소의 환대는 물리적 장소와 삶의 공간의 의미에서 환대는 물론이고 ‘세계’(Welt)와 ‘사이’(inter-esse)의 형성이라는 의미도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려고 한다. 끝으로 언어 환대와 장소 환대라는 개념들이 서로 간에 지니는 긴밀한 관련성을 적절한 예를 찾아간략하게나마 그려보는 것으로 만족하고자 한다. 실상 모든 환대는 그것이 어떤 경우에 발생하든 그 정의상 그리고 그 개념상 어느 정도 장소의 환대이다. 우리 문제제기의 순서가 먼저 ‘장소의 환대’, 그 후에 ‘언어(들)의 환대’였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장소의 환대로 바로 갈 수 없는 이유는 지구상에서 그 장소는 어디든 개별 자연 언어와 무관하거나 관계없는 장소는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세계-내-존재임과 동시에 언어-내-존재이다. 언어와 장소라는 두 문제, 언어의 환대와 장소의 환대라는 두 환대의 성격이 가장 격렬하게 접점이 되는 문제영역이 바로 난민 문제의 영역라고 판단된다. 필자는 이점을 국내의 선행연구를 통해 난민임(refugeehood)을 인정받는 첫 관문과 그 과정을 거치며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두 번째 관문의 차원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접근하고자 한다. 비록 언어 환대의 문제가 보다 극명하게 드러나는 지점이 난민의 영역이라는 필자의 판단에서 이런 문제제기를 하는 것이지, 난민 문제가 언어 환대의 유일무이한 지점이라는 주장은 할 수 없다고 본다. 우리가 앞으로 하려는 작업은 방금 위에서 제기한 두 관문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를 아주 구체적인 수준에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는 정책적 방향은 아니며, 언어 간의 비대칭과 제도적 해결에 있어서 언어를 바라보는 태도, 지향, 관계설정이라는 보다 철학적이고 인문학적 방향임을 전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