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新羅 종이문서의 現狀과 裝幀·廢棄·再活用 과정

        윤선태(Yoon, Seon-tae)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신라촌락문서」와 사하리가반에 부속되어 발견되었던 「사하리가반부속문서」는 실물로 전하는 신라 當代의 종이문서라는 점에서 남다른 가치가 있다. 촌락문서와 가반문서는 문서의 내용 판독과 해석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문서의 裝幀 방식이나 재활용 과정 전체에 대한 관련 정보들도 수집 정리되어야 한다. 관문서의 작성 과정에는 최초 종이의 생산에서, 종이의 연접, 괘선 긋기 등 문서의 裝幀 등 물질적 준비가 먼저 이루어진다. 또 문서가 작성된 후 일정한 보존기간이 지나 그 용도가 폐기되면, 문서 裏面의 백지(空紙)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문서 작성이나 기타 여러 방식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이 있었다. 촌락문서와 가반문서로 볼 때, 신라의 관문서 작성에 사용된 종이는 두꺼운 楮紙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촌락문서 제작에 사용된 기본 종이는 그 크기가 29.5×52㎝로 추정되어, 대체로 당시 종이는 唐尺을 기준으로 1척×2척의 크기로 생산되어 용도에 맞게 다시 재단하여 사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종이 생산은 통일기에는 이미 일반화되어 지방 군현에서도 종이제작기술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관문서는 이러한 기본 크기의 종이를 여러 장 연접하여 두루마리 형식의 卷子本으로 裝幀하였다. 연접방식은 오른편 종이가 왼편 종이의 위로 오도록 붙이는 ‘純繼’와 그 반대의 ‘逆繼’ 방식이 모두 나타나는데, 일정 기간 보존했던 보관용 문서인 촌락문서는 순계로 연접되었고 먹줄이나 자를 사용해 괘선을 정연하게 그어 내용을 정리하였다. 반면에 메모용 문서로 추정되는 가반문서 파편 부분은 역계의 방식으로 연접되었고 괘선도 손으로 대충 그어 사용하였다. 신라에서는 메모가 다 되었거나, 보존기간이 끝난 관문서들은 문서를 작성했던 관청내부나 다른 관청 또는 사찰 등에 불하되었다. 이 불하된 관문서들은 불특정의 크기로 다시 잘라 해체한 뒤에, 최초 문서의 이면 백지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였다. 촌락문서는 사찰에 불하되어 『華嚴經論』의 經帙 제작에 재활용되었고, 가반문서는 관청에 불하되어 다시 또 다른 메모용의 문서로 재사용되었다. 한편 앞뒷면의 종이가 모두 서사된 뒤에도, 관문서는 버려지지 않고 다른 용도로 재활용되었다. 가반문서나 쇼소인 소장의 유기 숟가락 포장 상태 등으로 볼 때, 신라에서는 관문서를 손으로 찢어서 對일본 교역물품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하는 충전용 종이나 포장지로 재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신라의 종이문서는 현재 촌락문서와 가반문서, 이 두 가지 사례밖에 없지만, 一當百처럼 일본의 正倉院文書에 못지않게 신라의 종이 제작, 문서의 생산과 폐기, 문서의 재활용 과정 전반에 관한 유익한 정보들을 소상히 알려준다. 이러한 정보들을 미리 체계적으로 정리해두면, 앞으로 쇼소인 소장의 신라 숟가락 셋트를 포장했던 신라 종이문서들이 공개될 때, 그 문서적 특징을 간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新羅村落文書 SVR)” and the “Document attached to the Sahari-Kaban(佐波理加盤附屬文書 DAS)” which were found at the Shosoin in Japan, are of extraordinary value in that they are actually paper documents of the Silla Dynasty. While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 of documents is important for studying Silla history, relevant information on the making and Recycling Process of Paper Documents should be collected and organized as much as for the method of binding and the entire recycling process of the documen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ocuments of the government office, material preparation, such as the production of the first paper, the bond of the paper, and the binding of the documents, such as drawing the line, are carried out first. In a ddition, after the document was prepared and its use was discarded after a certain period of preservation, there was a process of recycling the white paper on the back of the document to prepare new documents or recycle them in various ways. The SVR and the DAS indicate that the paper used to make documents for the government offices of Silla was made of Dak-paper(楮紙). The basic pap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VR, which remains in full form, is estimated to be 29.5×52㎝ in size, and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the paper was produced in the s ize of 1×2check(尺) based on the scale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was re-cut and used according to its purpose. Paper production has already been generalized during the Unified period, so the existence of paper-making engineers can be confirmed in local county. The oficial do cuments of Silla were made in a scroll format by bonding several pieces of paper of this basic size. The bonding method shows both ‘Soongye(純繼)’, which is a general method of attaching the right paper to the top of the left paper, and ‘Yeokgye(逆繼)’, which is a rare method of attaching it to the opposite of Soongye. While the SVR was bonded to Soongye and arranged the lines neatly, the DAS assumed to be for short-term memos were bonded by Yeokgye, and the lines were roughly drawn and used by hand. In Silla, the documents of government offices, which had been completed or whose preservation period had expired, were referred to inside the government offices, other government offices, or temples. These loaded official documents were cut back into unspecific sizes and then recycled for other purpo ses the white paper on the back of the original document. The SVR was reused as paper cloth for wrapping various scrolls of Buddhist scriptures, while the DAS was returned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reused as another document for memos. On the other hand, even after all the paper on the front and back sides was written, was not discarded and recycled for other purposes. Based on the packing conditions of the brass spoon at the Shosoin, it can be seen that Silla used the documents of government offices to tear them by hand and recycle them as packaging for trade goods sent to Japan. Although Silla currently has only examples of the SVR and the DAS documents,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he overall process of paper making, binding and discarding of documents, and recycling documents as well as numerous ancient Japanese government documents as the Shoso in Documents. If such information is organized in advance, it will be a very useful reference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s when the documents of Silla government offices, which had packaged the Silla spoon set of Shosoin, are released.

      • KCI등재후보

        百濟의 ‘九九段’ 木簡과 術數學

        윤선태(Yoon, Seon-t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泗沘 시기 백제 지배층들의 사상적 기반과 학문적 저변은 상당히 넓었다. 당시 백제 지배층들은 유학이나 불교뿐만 아니라 陰陽五行, 曆法, 醫藥, 占卜, 觀相 등 ‘術數學’의 여러 학문분야에 큰 관심을 갖고있었다. 최근 발굴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백제의 木簡에도 약간이지만 술수학과 관련된 몇몇의 자료들이 보고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목간들의 내용과 기존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백제의 算學 및 醫藥의 일측면을 보완해보았다. 우선 부여 쌍북리에서 백제의 ‘九九段’ 목간이 발굴되었다. 이 목간은 형태와 서식으로 볼 때, 각 단을 횡선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시각화하여 각 단의 공식을 찾기 쉽도록 배열할 목적에서 애초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고안한 ‘구구단 公式表’라고 명명할 수 있다. 말단의 관료도 구구단을 외우고 있었지만 셈법에 틀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기 위해 검산과정에서 이 공식표를 이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九九術’은 단순하지만 사람들은 그 數에 내재된 법칙성과 정연한 논리 구조를 자각하고 감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구구술’은 오랜 세월동안 數術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지녔다. 따라서 구구단을 직각삼각형에 담으려고 한 발상은 『周髀算經』에 3:4:5의 직각삼각형을 우주의 완전체로 이해하고 있었던 점과 관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백제에서는 이미 한성시대부터 중국의 술수학을 통해 음양, 5행, 10간, 12지, 64괘가 만들어내는 우주, 자연, 인간에 구현된 數의 상징성과 규칙성을 깊게 받아들였다. 백제에서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는 5나 6, 또는 그 둘이 병칭되는 사례가 많이 확인된다. 또 백제의 핵심관부인 22部司가 왕실이 관할하는 內官 12개 관청과 중앙행정을 담당하는 外官 10개의 관청으로 구성된 것도 바로 天數 12와 人數 10의 상징성을 政治에 적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支藥兒食米記’목간도 그간 백제의 醫藥과 관련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이 ‘支藥兒食米記’를 ‘藥兒에게 食米를 支給한 記錄’으로 해석하고, 백제의 藥兒를 唐의 ‘藥童’이나 古代日本의 ‘藥生’과 같은 관인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기존에 제기되었다. 이 약아나 약생은 약재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거나 빻고 채질해서 調劑할 준비를 했던 의약전문 관인이었다. 그런데 백제의 藥兒 또는 支藥兒는 지급된 食米의 양으로 볼 때 인원이 22명 이상이었다는 점에서, 율령관인이었던 약아나 약생과는 다른 존재였다고 생각된다. 고대일본의 경우 藥生 밑에 말단의 사역인인 ‘客作兒’나 ‘嘗藥小兒’ 등이 확인되는데, 백제의 약아 또는 지약아는 이들과 그 성격이 유사한 존재가 아닌가 생각된다. 또 작명방식도 이들과 유사한 ‘支藥兒’로 보인다. ‘支藥兒食米記’목간의 출토지는 지방에서 都城으로 들어오는 입구, 도성의 경계지점에 해당된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男根形’ 목간이나 ‘水’字가 여러 개 連書되어 大祓 의식 때 ‘洗淨’의 의미로 만든 주술목간 등으로 볼 때, 이곳은 주기적으로 災厄을 막기 위해 祭祀가 벌어졌던 非日常的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 陵寺가 완공된 이후에는 사찰이 그러한 의식들을 일부를 주관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지약아목간’의 내용으로 볼 때, 능사에는 능사가 완공되기 전부터 都城人이나 지방관(道使), 지방인(彈耶方) 등 도성을 출입하는 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치료소는 고려의 ‘東西大悲院’이나 고대일본의 ‘施藥院’처럼, 大慈大悲의 뜻을 담아 사찰이 완공된 뒤에도 부속시설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치료시설에는 藥園이 할당되었고, 이에는 약을 재배하는 藥戶를 비롯해 藥材를 능사로 운반하는 支藥兒와 같은 말단의 사역인들이 예속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백제와 왕릉을 수호하는 능사가 도성의 경계 지점이라는 비일상적 제의공간을 활용해 도성을 출입하는 관인과 인민에게 施惠를 베푸는 권력 장치로 기능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부여 관북리 蓮池에서 출토된 나무로 만든 팔과 다리는 어깨와 고관절 부위에 연결용 구멍이 두 개 있는 나무인형의 부속품으로 추정된다. 이 목제의 팔과 다리는 일본에서 소위 ‘마리오네트(marionette)式 人形’으로 부르는 ‘詛呪’와 ‘呪禁’의 치료용으로도 사용했던 인형의 부속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주금의식에는 고대일본이나 고려의 사례로 볼 때, 인형을 ‘結縛’하는 의식이 행해졌는데 그때 주술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와 방불하도록 손과 발이 움직일 수 있는 인형을 제작하였다. 또 고대일본의 발굴사례로 보면 결박된 팔이 빠진 채로 발견된 인형도 있어서 관북리 연지의 팔과 다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형에서 분리된 부속품일 가능성이 있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s Shushu(artifice studies), calculations and medicines through wooden document from the recent excavation in Buyeo. In Ssangbuk-ri, a wooden multiplication table was excavated. Originally designed in the form of a right-angled triangle, it can be called the “official table for multiplication” in terms of its form and format. Most petty officials memorized it, but it is presumed that they used this official table in order to make the best of the calcul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wooden document will be excavated in China and Japan in the future. At a temple site in Neongsan-ri, wooden document of ‘Jiyakasikmigi(支藥兒食米記)’ was excavated. The place where it was excavated is the entrance to the capital, Sabi, the border of the city. It was a special space where ceremonial ceremonies periodically took place to prevent calamity. There seemed to be facilities for treating people who entered and exited the city. At this treatment facility, low ranking servants such as ‘Jiyaka(支藥兒)’, would have been subordinated. At a lotus pond In Kuanbuk-ri, wooden arms and legs were excavated. Researchers estimated that they were used as parts of a wooden doll with two holes in the shoulder and hip joints. In Japan, accessories for the marionette type dolls used for treatment were unearthed. In ancient Japan and Goryeo, a ceremony of witchcraft was held to “tie” the dolls. For this purpose, they made dolls that could move their hands and feet. Wooden arms and legs of Kuanbuk-ri are also possible accessories of such dolls.

      • KCI등재

        『三國遺事』의 後人夾註에 대한 再檢討

        윤선태(Yoon, Seon-Tae)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This dissertation is a critical study on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other people except Ilyeon(一然, 1206~1289) in the compilation of Samkukyusa(三國遺事 Yusa), especially, to the problems concerning the additional record of Muguek(無極, 1251~1322) and annotation of other people except Ilyeon in the compiling process of Yusa. The compilation of Yusa was not completed while Ilyeon was still aliv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umerous Muguek’s Additional Record(無極記), such as the chapter ‘Bring several times a sarira of Buddha’(前後所將舍利), the chapter ‘Jinpyo"s epitaph’(關東楓岳鉢淵藪石記), we can reasonably assert that Ilyeon and Muguek did not get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Yusa as the general editors. Therefore, Muguek closely reviewed incomplete draft of Yusa for nearly 20 years, it may well be said that Muguek does not think that incomplete draft Ilyeon’s works. Ilyeon as writer’s name are recorded only at the preface of Vol.5 of Yusa,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only Vol.5 of Yusa was written by Ilyeon. However Ilyeon as writer’s name are not recorded anywhere except Vol.5 of Yusa,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other volume except Vol.5 of Yusa was a perfect state, not finished in his lifetime. Problematic inconsistent relation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additional annotation in the chapters of Yusa led me to suspect the high possibility that other peoples except Ilyeon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Yusa. The illogical annotation recorded in the heading of the chapter ‘Sundo was the first to propagate Buddhism’(順道肇麗) can be an evident proof that the later people than Ilyeon and Muguek got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Yusa as the general editors.

      • KCI우수등재

        [고대] 한국 고대사학과 신출토 문자자료에 대한 비판적 성찰

        윤선태(Yoon, Seon-tae) 역사학회 2013 역사학보 Vol.0 No.219

        In 2010~2011,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cience in Colonial Korea was critically examined. The intellectual discourses of historiography in contemporary are found at historical studies of Gaya(加耶). Those is not popular, while studies of Koguryo(高句麗) and Palhea(渤海) are thriving as well. The ports for foreign trade of Geumgwan Gaya were possibly located in areas far from the chiefs" palaces. It suggests a policy of neutral external trade ports. Debates regarding the issue of how to perceive the ancient period of korea were initiated and is underway. The Samguksagi and the Samgukyusa are the most important primary sources we have on ancient Korean history, and have been analyzed. Studies on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 of those data continued as well. On the other hand, wooden documents, new discoveries of literary data, and new historical materials were excavated and examined, while Studies on the Area of Korean Ancient History continued as well. Until now, a number of wooden documents that we can recognize characters on it is about 600. It is not a large number. But They are very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in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So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m. And there have been many achievements. Research of structure of ancient Capital city, Restoration of system, such as Yul-Ryeong(律令) and local ruling system,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comparison with Japan wooden documents are major achievements.

      • KCI등재

        「昌寧拓境碑」의 ‘四方軍主’와 新羅의 天下觀

        윤선태(Yoon, Seon-Tae)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2

        그간 한국학계의 天下觀 연구는 민족주의적 시선에서 중국 중심의 화이관적 조공책봉론에 대항하는 ‘또 다른 中心’의 형성을 강조하였다. 이로 인해 천하관의 의미가 중국과 대등한 독자 세력권을 표상하는 어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신라의 천하관에 대한 연구도 화이관에 입각한 천하관이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신라의 경우에는 화이관 외에도 佛敎的 世界觀과 王者觀이 신라의 천하관 형성에 상당히 큰 영향을 끼쳤다. 「昌寧拓境碑」를 보면, 진흥왕은 자신이 한강유역으로 영토를 확대하여 田畓과 山地 등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서해의 漢城과 북해의 碑利城까지, 기존의 동해와 남해에 더하여 四海를 획득한, ‘網羅四方’의 이상을 구현한 자기세계의 통일자임을 강조하였다. 창녕비의 ‘四方軍主’는 그러한 진흥왕의 위엄과 권위를 자랑스럽게 표현한 것이다. 진흥왕은 당시 北齊의 序階的 天下觀을 받아들여 조공책봉관계를 맺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巡狩碑에 잘 드러나듯이, 불교적 세계관과 왕자관을 통해 미래 세계의 통일자인 轉輪聖王을 希求하였다. 「文武王陵碑」에 화이관적 천하질서를 받아들이면서 그와 함께 자기 세계의 四方을 통합했던 문무왕의 ‘直九合一’의 공훈이 특필되어 있는 것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신라는 당의 조공책봉국이었지만, 신라왕은 사방을 통일할 미래의 전륜성왕이라는 불교적 세계관과 왕자관을 의연히 견지하였다. Until now, the study of perception of the world in the Korean historial academic community has been widely used as a Perception to express its independent sphere of influence on par with China in order to counter the Chinese-centered tribute policy theory(朝貢冊封論). However, in the case of Silla, Buddhist worldviews had a significant impact rather than Huai-Gwan(華夷觀), the perception of central and subordinate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Four-way territorial military commander(四方軍主)” and the unified world by the Cakravarti-rajan(轉輪聖王) based on King Jinheung’s Buddhist worldview in the monuments of King Jinheung, including the Changnyeong Monument. The tombstone of King Munmu in later times also shows the unified world by Silla based on the Buddhist worldview, which was found in the Monuments of King Jinheung. This article sought to emphasize Silla’s own historical experience and Buddhist worldview,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study of the world based on the perception of Huai-Gwan.

      • KCI등재

        百濟의 文書行政과 木簡

        尹善泰(Yoon Seon-tae)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8

        본고에서는 백제의 문서목간과 문서표지용 꼬리표목간을 분석하여, 백제의 문서 생산, 보관, 폐기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우선〈능산리 사면목간〉을 통해, 당시 백제에서 최종 장부를 정리하기에 앞서 사면목간을 중간 정리용 메모장으로 사용하였고, 메모의 기능이 다한 뒤, 기존의 묵서를 깎아내고 또 다른 내용의 메모장으로 여러 차례 재활용하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관청의 결산보고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다. 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세세한 出納에 관한 일상적인 메모가 그때그때마다 필요한데, 이 경우 당시에는 종이가 귀했기 때문에 목간이 가장 효율적인 서사재료로 애용되었다. 이어 관북리 목간을 활용하여 문서의 정리와 보관 방법을 검토하였다. 관청에서는 방대한 양의 문서를 생산하기 때문에, 이들을 분류·정리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卷軸을 이용해 말아놓는 두루마리 종이문서의 경우, 그 문서의 명칭을 권축 자체에 기록하여 標識로 삼았는데, 크게 題簽軸과 木簽軸 등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백제에서는 이보다 더욱 세련된 꼬리표목간을 문서의 표지로 권축에 매단 것도 확인된다.〈관북리 283호목간〉은 중국 漢代의 표지용 목간인 ?과 형태가 유사하고, ‘兵?記’라는 장부명칭이 묵서되어 있다는 점에서, ‘兵?記’라는 장부의 표지로 기능한 꼬리표였다고 생각된다. ‘兵?記’는 두루마리(卷子本) 형태의 권축문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문서의 보존과 폐기방식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문서목간의 가장 손쉬운 폐기방식으로는 태우거나 목간의 묵서를 削刀로 깎아내는 방법이 있다. 백제목간에서는 이 외에도 목간 자체를 삭도로 두 쪽 혹은 세 쪽 이상으로 절단하는 폐기방식이 확인된다. 이는 고대일본의 郡符木簡에서도 똑같이 확인된다. 특히〈관북리 283호목간〉처럼 목간의 상단부를 조금씩 차례차례 조각내 부러뜨리는, 아주 미세한 부분까지도 고대일본의 목간 廢棄行程과 동일한 목간이 발굴되기도 하였다. 이는 백제멸망 후 백제 관인층의 상당수가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그러한 과정에서 일본으로 백제의 문서생산과 폐기방식 등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결국 백제에는 문서의 오용을 막기 위해 문서목간을 일정한 방식으로 폐기하는 관례가 관인사회 내에 존재하였고, 이것이 양국 사이에 동일한 정형화된 폐기행정이 발생한 원인이었다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affairs by Wooden Documents of Paekche kingdom. I first reviewed the creation of documents with a wooden tablet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record(文書木簡), that has a lot of pages(‘多面’), which excavated at the old temple-ruins in Nengsanri, Booyeo. There Were many lines(‘多行’) upon it. These were written by the paekche's governmental officer, and only brief memos about the administrative affairs. The paekche's governmental offices would have had to use such wooden tablets equipped with many pages or lines to establish office registers or official documents. Secondly, I examined the arrangement and classification of documents with a wooden tablet related to the title mark of document(文書標識用木簡). There were many kind of title mark of document. For example, scroll spindle on which written the title of document(題籤軸·木籤軸) was used under the administrative documentation. On the other hand, Wooden tablet No.285 seems to have been produced as a Wooden tag on which written the title of document(文書標識用?). In the future, the wooden tablets found from Booyeo should be put under comparative studies, and established as evidences of the paekche officer's usage of letters and documents in their ordinary lives.

      • KCI등재

        한국 고대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윤선태(Yoon, Seon-tae)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한국의 고대목간은 전체 출토점수가 647점에 달해, 현재 그 자료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발굴된 한국고대목간의 대부분은 신라목간이다. 경주의 안압지, 월성해자, 황남동 376번지유적과 같은 신라의 도성유적을 비롯해, 하남 이성산성, 함안 성산산성 등 지방의 관아유적에서도 목간이 발굴되었다. 신라목간은 백제목간에 비해 출토점수도 많고, 목간출토 유적이 시대별로, 또 지역별로 골고루 분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라목간문화의 변천과정이나, 목간제작이나 서사방식에 나타나는 지역별 차이까지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월성해자 출토 목간과 안압지 출토 목간은 그 출토 유적의 시기적 선후가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신라 문자문화의 계기적 변화와 발달을 유추할 수 있는 지표 유물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백제목간은 부여 官北里 유적에서 1983년에 최초로 발굴되었고, 1995년 부여 宮南池 유적에서‘西部後巷’이 墨書된 1호목간이 발굴되면서 5부5항의 실재성이 증명되었다. 이로 인해 연구자들 사이에 목간 자료의 가치가 새롭게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부여의 여러 유적에서 연이어 백제목간이 출토되면서 목간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크게 고조되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羅州 伏岩里 유적 등 지방관아에서 생산된 각종 문서목간이 여러 점 발굴되어 이제는 백제의 都城뿐만 아니라 지방사회의 존재양태와 인민에 대한 지배방식에 대한 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목간은 신라목간에 비해 그 출토점수는 비록 적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매우 다양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불모지였던 백제의 戶籍, 量田, 度量衡, 地方行政體系, 문서행정, 都城 내외의 공간구조와 景觀, 術數學, 심지어 제사의례의 복원까지도, 목간자료를 제대로만 활용한다면 접근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