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Hylomorphism of Aristotle and T’oegye

        유원기(Yoo Weon-Ki) 동양사회사상학회 2005 사회사상과 문화 Vol.11 No.-

        시대와 배경을 달리 하는 서로 다른 사상가들의 동질적이거나 이질적인 이론들의 비교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잘못에 대한 답습을 피하거나, 잊었던 과거의 사고로부터 우리가 현재 필요한 사고를 상기하거나, 또는 진리를 탐구함에 있어서 각각의 이론이 결여하고 있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각각 질료와 형상, 그리고 리와 기라는 개념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이황의 관점을 비교하고, 어떤점에서 그들의 이론이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검토한다. 이 논문의 근본적인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우월한가 또는 이황의 이론이 우월한가를 평가하는 데 있지 않으며, 오히려 진리를 탐구함에 있어서 서로가 지니고 있을지도 모르는 이론적 허점 내지는 약점이 있는가, 있다면 그것은 어떤 약점인가, 그리고 그런 약점은 어떤 식으로 보완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 개념과 주희의 리/기 개념을 비교하고, 또한 주희와 견해를 달리하는 이황의 리/기 개념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 비교를 통해, 우리는 형상 또는 리가 물질보다 시간적으로 선재先在하지 않는다는 것이 위 사상가들의 공통적인 견해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나 주희와는 달리 이황은 리동설理動說, 리발설理發說, 리자도설理自到說을 주장함으로써 리의 동적인 측면을 주장하는 특징적인 면을 갖고 있다는 잘 알려진 결론에 도달하고, 그 결론이 함축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무엇보다도 이 논문에서는 리기론이 이론적인 근거를 이루고 있는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태와 잠재태 이론을 통해 이해하려는 시론적인 해석이 시도된다. 성性은 물론이고 정情도 각각 체體와 용用의 두 가지 측면을 지닌다고 주장하는 이황의 주장이 담고 있는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나는 성과 정이 지닌 이러한 두 가지 측면, 즉 ‘성의 체/용’과 ‘정의 체/용’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 현실태와 제1 잠재태’라는 개념과 ‘제2 현실태와 제2 잠재태’라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을 제시한다. This paper concerns the hylomorphic distinction of Aristotle’s form and matter in relation to that of Yi Hwang’s li and ki. Both of them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try to understand worldly existents in terms of two components, i.e. form and matter, and li and ki.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in detail. We shall see on what points they are the same and different. Secondly, I am concerned with the so-called Four-Seven Debate, a serious discussion of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Four Beginnings (四端) and the Seven Feelings (七情) between the two Korean philosophers, Yi Hwang and Gi Dae-seung. An examination of this debate will show how, and through what courses, cosmological theories can be applied to ethical theories. In course of examining this Detabe, I try to make sense of Yi Hwang’s dichotomy of seong and jeong in terms of Aristotle's conception of actuality and potentiality. This will provides a new way of looking at Yi Hwang’s theory. My purpose in this paper is not to judge which of Aristotle’s theory or Yi Hwang’s theory was superior, but to find the truth by means of helping them and their readers to understand each other. I hope that this brief comparison between Western philosophy and Oriental philosophy or, to be more precise, Aristotle’s philosophy and Yi Hwang’s philosophy will interest the readers and give them the motive to study broader areas.

      • KCI우수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지각 이론에 있어서의 프뉴마의 역할

        유원기(Weon-Ki Yoo)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78 No.-

        일부의 고대철학 전문가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적 저술에서 언급되는 '쉼쥐톤 프뉴마(ο'υμφυτον πνε?μα)'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그 개념은 생물만이 갖는 물질로서 실제로 생식, 출산, 감각지각, 오렉시스, 장소운동 등에 관한 그의 이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의의로 그 개념을 아리스토텔레스와 관련하여 논의한 연구는 서양에서도 그리 많지 않으며, 국내에서는 전혀 없다. 이 논문에서는 그의 철학 체계 속에서 '프뉴마'가 하는 역할을 상세하게 검토하고, 특히 신체기관 형성, 감각지각, 그리고 (감각지각을 필요로 하는) 장소운동에 관한 이론 속에서 그 개념이 차지하는 위치를 분석한다. 이 분석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심적 작용과 물질적 작용의 본질적인 관계를 염두에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분석 결과의 토대 위에서,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동일한 심적 작용이 다수의 물질 속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다수 실현가능성'의 측면에서 그를 기능주의자로 이해하는 현대 심리철학적 해석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다.

      • KCI등재

        여성의 위상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유원기(Yoo, Weon-ki)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6 No.-

        여성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성차별주의자, 여성혐오주의자, 남성 우월주의자, 또는 그들의 대변자라고 비판해왔다. 실제로 그는 『정치학』에서 남성이 본성적으로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말하며, 또한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영혼의 숙고 부분을 갖긴 하지만 권위가 없다고 말한다. 더구나 『동물생성론』에서, 그는 남성이 생식작용에 있어 형상과 작용인을 제공하지만 여성은 질료인만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 또한 여성을 결함을 가진 존재자로 묘사한다. 이러한 그의 이런 진술들만을 전반적인 문맥의 고려없이 접하면, 그에게 부여된 혹독한 비평과 비난이 당연하게만 여겨진다. 하지만 논자는 이 논문에서 그에게 부여된 비평과 비난이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즉,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런 진술을 했음은 부정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성차별주의자라는 결론이 즉각적으로 따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논자는 그의 핵심적인 철학이론들인 질료형상론과 4원인론에서 부여된 질료와 형상의 가치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남성과 여성의 위상에 대한 그의 견해를 보일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그 이론들이 형상과 질료 가운데 어떤 한 가지만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모두의 동등한 필요성을 함축하며, 따라서 그에게 성차별 주의자의 혐의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Feminist critics have criticized Aristotle as a sexist, misogynist, male chauvinist or masculinist, or, at least, their chief spokesman. Indeed, he says in the Politics that the male is by nature superior to the female and, also, that women possess the same deliberative part of the soul as men, but without authority, etc. In the Generation of Animals, he claims that the male supplies the form and the efficient cause, whereas the female supplies the material cause only in reproduction and describes the female as a mutilated being. When these remarks of Aristotle are read without considering their overall context, it hardly seems possible for him to escape from such severe criticism and condemnation. On the contrary, in what follows, I shall claim that the criticism and condemnation that has been ascribed to him is unfair. Although it is undeniable that Aristotle has made such remarks, it does not immediately follow that he was a sexist. In particular, I shall show his view on the status of men and women by analysing the value of matter and form ascribed in two of his main philosophical theories, the theories of hylomorphism and four causes. In consequence, we shall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since the theories do not imply the significance or necessity of either form or matter alone, but of both, there is no sign of sexism or misogyny or male chauvinism in Aristotle.

      • KCI등재

        플라톤의 철학에서 여성의 본성과 역할

        유원기 ( Yoo Weon-ki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플라톤은 남성과 여성이 성별의 차이로 인해 역할의 차이를 갖지만, 그럼에도 남성과 여성은 평등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성에 따른 성별의 차이 또는 성적 차이가 가져오는 사회적/정치적 역할의 차이는 결국 플라톤의 철학에서 평등성의 분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런 해석은 부분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해석에 근거한다. 즉, 여성의 본성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가 여성 차별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맥락에서, 플라톤의 견해도 그렇게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아래에서 논자는 플라톤의 『국가』 5권을 중심으로 그의 여성관이 여성 우호적으로만 설명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주지하듯이, 여성에 관한 그의 진술들은 우호적인 것들도 있고 차별적인 것들도 있으므로, 사실상 어떤 해석이 제시되든 반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논자는 여성에 관한 플라톤의 일반적인 진술들을 분석하고 검토하기보다는 여성의 본성에 관한 진술들에 초점을 맞추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에 대한 해석 방법과 기준을 검토함으로써, 『국가』 5권에 나타난 플라톤의 여성관이 여성 차별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음을 보인다. Plato claims for sexual egalitarianism by saying that, although men and women have sexual differences and so social and political differences, they basically have the same nature. As for this claim, I suggest that their sex difference which calls for their social and political differenc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destruction of equality in Plato`s philosophy. This interpretation is partially relying on the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view of women. That is, as Aristotle`s understanding of women`s nature is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sexism, Plato`s understanding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way.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I shall conclude that Plato`s view of women presented in Bk. V of the Republic is not quite egalitarian. As noted, in his dialogues, some of his statements on women are egalitarian, and others inegalitarian. Therefore, by focusing on Plato`s statements specifically on women`s nature rather than his general statements on women as a whole and, also, by examining the method and criterion of interpreting Aristotle view of women, I shall conclude that Plato`s view of women in Bk. V is inegalitarian.

      • KCI우수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에 있어서의 자동운동(self-motion)의 문제

        유원기(Weon-Ki Yoo)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3 No.-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학』이 운동(또는 변화)하는 사물들의 근본 원인과 원리에 관한 탐구라고 말한다(l84a 10-16; 184b 27-185a 4). 운동하는 사물들에 관한 그의 논의는 운동의 존재 여부에 대한 증명으로부터 출발하여 운동의 성격에 대한 문제제기와 답변을 거쳐 운동의 영원성과 그것의 근본 원인인 최초의 부동의 원동자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노력하는 Ⅷ권에 이르러 그 절정에 달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Ⅷ권(특히. 2장과 4장)에서 시각 경험을 통해 쉽게 관찰되는 ‘스스로 움직이는 듯이 보이는 동물’, 즉 ‘자동자’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자의 존재는 운동의 내적 근거로서의 본성(phusis) 개념, 운동의 영원성, 최초의 운동원인으로 소개되는 부동자의 존재 등 그가 이전에 정립했던 많은 원리들과 상충한다. 따라서 자동자 존재의 승인은 『자연학』을 일관성 있는 저술로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만 할 많은 문제들을 제기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험을 중시하는 그로서는 자동자의 존재를 단순하게 무시해버릴 수만은 없는 입장에 있게 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입장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난해한 ‘자동자’의 문제를 자신의 철학적 들에 끼워 넣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노력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폼포나치의 견해

        유원기 ( Weon Ki Yoo ) 한국중세철학회 2006 중세철학 Vol.0 No.12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문제는 르네상스시기에 첨예한 논란이 되었던 문제이다. 폼포나치는 영혼이 사멸성과 불멸성이란 두 가지 속성들을 갖는다고 보고, 이 두 가지 속성들이 A) "하나의 동일한 본성인가?" 또는 B) "두 가지 서로 다른 본성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에 대해 그는 "하나의 동일한 존재가 서로 상반된 속성들을 동시에 가질 수 없다."는 모순율을 위반한다는 이유를 들어 A)를 배제하고, B)를 다시 "1) 사람들이 각자 하나씩의 사멸적인 영혼과 하나의 불멸적인 영혼을 갖는 경우, 2) 사람들이 각자 하나씩의 사멸하는 영혼을 갖고, 또한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나의 불멸하는 영혼을 갖는 경우, 그리고 3)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나의 사멸하는 영혼을 갖고, 또한 각자 하나씩의 불멸하는 영혼을 갖는 경우"로 분류한다. 또한 그는 불멸하는 영혼이 다수이거나 사멸하는 영혼이 하나일 수 없다는 이유에서 2)와 3)을 배제한다. 폼포나치는 1)을 다시 "a) 절대적인 의미에서는 불멸적이고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사멸적인 경우, b) 절대적인 의미에서는 사멸적이지만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불멸적인 경우, 그리고 c)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사멸적이고 또한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불멸적인 경우"로 분류하고, b)가 자신의 견해임을 밝힌다. 아래에서 우리는 폼포나치가 어떤 이유에서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어떤 경로를 통해 b)의 견해에 도달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그의 견해가 그 자신이 전거로 사용하는 아퀴나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와 어떤 연계성과 상이성을 지니는가 하는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The problem of immortality of the soul was a largely and closely discussed view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Pomponazzi who views that the soul has the two properties, mortality and immortality, raises the question whether A) the properties are one and the same nature or B) two different natures. In answer to this question, he excludes A) on the ground of the law of contradiction that "one and the same thing cannot have the contrary properties at the same time" and divides B) into the three cases 1) in which each man has his own mortal and immortal natures, 2) in which the mortal are distributed in each man, while all men have but one immortal nature, and 3) in which all men have one mortal nature and each of them has his own immortal nature. Again, he excludes 2) and 3) for the reasons that the immortal soul cannot be many and that the mortal soul cannot be one. Pomponazzi thus divides 1) into the cases in which the soul is unqualifiedly immortal and relatively mortal, b) in which the soul is unqualifiedly mortal and relatively immortal, and c) in which the soul is relatively immortal and relatively mortal, and elucidates that he is in favour of b). In what follows, we shall examine such questions as for what reasons Pomponazzi comes to be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rough what courses he comes to have the view b), and whether his view has any relevance to, and difference from, the views previously presented by Aquinas and Aristotle, both of which he uses in order to support his own.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심신론은 기능주의인가 ?

        유원기(Weon Ki Yoo) 철학연구회 1999 哲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은, 현대심리철학의 기능주의적 측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심신철학`을 해석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거의 모든 학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지각 작용에 관한 언급을 분석함으로써, 심신관계에 대한 그의 전반적인 사고를 규정지으려 해온 노력과는 달리,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승인하는 다양한 영혼작용들 가운데 하나인 `장소운동`에 초점을 맞춘다. `장소운동의 원인으로서의 영혼작용`과 `그에 상응하는 (신체기관을 구성하는) 프뉴마`와의 관계를 자세히 검증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이 반드시 프뉴마 안에서만 실현된다는 본질주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특집 :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행복의 조건

        유원기 ( Weon Ki Yoo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인간의 ‘행복’에 대해 논의한다. 그는 1권 7-13장에서는 인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모든 활동들의 총합을 행복이라고 말하지만, 10권 6-8장에서는 관조라는 한 가지 이성적 활동만으로도 행복이 가능한 듯이 말함으로써, 이 견해들 가운데 어떤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정한 견해인가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아래에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영혼에 관하여』에서 소개했던 ‘영혼의 포용성’이란 개념을 토대로 하여, 각각 포괄론과 지배론이라 불리는 그의 발언들이 양립할 수 없는 견해들이 아니라 사실상 하나의 동일한 견해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그가 행복에 필요한 영혼을 때로는 한 가지를 언급하고 때로는 여러 가지를 언급하는데, 하나를 언급할 때는 다수의 하위영혼들을 포용하는 상위영혼을 언급하는 것이므로 결국 그 두 가지 경우는 동일한 의미를 함축한다는 것이다. 이 논의를 통해, 우리는 비일관적으로 보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이 사실상은 일관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Aristotle in the Nicomachean Ethics discusses the concept of human happiness. However, since he in Book 1, chs. 7-13 appears to regard the sum of all the activities as happiness, whereas he in Bk. 10, chs 6-8 seems to say that contemplation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happiness,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concerning which one of the two views really represents Aristotle. In what follows, I shall bring in the conception of “the comprehensibility of the soul” introduced by Aristotle in the De Anima and claim on the basis of it that his views called inclusive thesis and dominant thesis, respectively, are not incompatible, but can be interpreted as one and the same view. That is, he sometimes mentions a single soul and sometimes various souls, but since when he mentions a single soul, he has in mind a higher soul which subsumes or includes various lower souls, both cases can be understood as having indeed one and the same connot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we can conclude that the seemingly inconsistent theory of Aristotle`s conception of happiness is in effect consistent.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한 행동”

        유원기(Yoo, Weon-ki)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1 No.-

        “모든 자연물들이 내부에 본성을 갖는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은 그의 목적론적인 견해를 함축한다. 즉, 모든 자연물들은 방해되지 않는 한 그것들에 본성적으로 주어진 구체적인 목적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며, 그렇게 실현된 목적은 행위주체에게 유용한 어떤 것임에 틀림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론적인 견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이 ‘아레테(aretē)’ 개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는 모든 인간이 본성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이 바로 행복이며, 이러한 행복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아레테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아레테는 ‘본성적인 어떤 능력(dunamis),이 아니라 ’본성적이지도 않고 본성에 위배되지도 않는 상태(hexis)'이라고 말함으로써, 아레테의 획득은 물론이고 행복의 획득도 반드시 가능하지는 않다는 여지를 남긴다.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논의되는 행복의 추구에 필수적이라고 말해지는 ‘아레테(aretē)’의 의미와 역할을 자세히 규명한다. 나는 먼저 ‘아레테’의 일반적인 의미와 그의 다양한 규정들을 검토함으로써, 그것을 ‘덕(virtue)'이 아니라 ’탁월성(excellence)‘으로 번역하는 정당성을 확보한다. 그런 뒤에, 성품의 탁월성과 지성의 탁월성이 각각 영혼의 어떤 부분에 배속되는가를 밝힘으로써, a) 성품의 탁월성이 영혼의 비이성적인 부분에 속한다는 견해와 b) 실천적 지혜가 지성의 탁월성과 관련된다는 견해를 부정한다. Aristotle's statement that "all the natural beings have a nature within themselves." implies his telelogical view. That is, all the natural beings will try to actualise their innate purposes, insofar as they are not obstructed, which are good for the agencies. However, this kind of the teleological view hardly seems to apply his conception of aretē. Aristotle says that the purpose that all human beings naturally aim at is happiness and that the aretē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perfection of happiness. However, by saying that the aretē is not 'a certain kind of natural capacity(dunamis)' but 'a state(bexis) which is neither nature nor contrary to nature', he leaves the possibility that the acquisition not only of aretē but also of happiness is not guaranteed.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aretē which is said in the Nicomacbean Ethics to be the necessary condition for happiness. Firstly, I analyse the historical meaning and Aristotle's conception of aretē and justify my claim that it should be translated as 'excellence', not 'virtue' which is the traditional term for it. Secondly, I go on to refuse the general understanding (a) that the excellence of character belongs to the irrational part of the soul and (b) that the practical wisdom is only concerned with the excellence of intellect, by revealing to which part of the soul each of the two types of excellences belong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심신이론에서 이원론적 해석의 가능성?

        유원기 ( Weon Ki Yoo ) 한국중세철학회 2013 중세철학 Vol.0 No.19

        In the Physics, Aristotle presents as a universal principle the so-called hylomorphism that all the natural beings are composed of matter and form. And this view which implies that there cannot be any form without matter or any matter without form frequently appears in many passages of the De Anima. However, his remarks on nous seem quite inconsistent with the universal principle. Above all, at 413b 25-28, 429b 5-6, 430a 17 etc., he says as if nous would exists without any corresponding bodily organs and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is article discusses whether and how Aristotle`s inconsistent remarks on nous can be dissolved within his hylomorphism. In this article, we shall first analyse Aristotle`s hylomorphic account of soul and body in terms of a number of the characteristics of Cartesian dualism and examine in detail the roles or functions of souls and their difference. And we shall discuss in what sense his remarks on nous raise problems for him, in what way they have been interpreted, and how valid they are. Above all, we explicitly show in what follows that his dualistic remarks are not to be identified with Cartesian substance dualism which implies the substantiality, separability, and immateriality of the mind, the interaction between soul and body, etc. and so we are to find a way to interpret them within the context of, or in accordance with, Aristotle`s hylomorp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