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판 맬버른 저시력 일상생활지수(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의 신뢰도 및 타당도

        유연환(Yoo, Yeon Hwan),박지혁(Park, Ji-Hyuk),정민예(Jung, Min-Ye),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서 개발된 수행기반의 관찰평가도구인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MLVAI)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저시력인 26명, 정안인 42명으로 총 68명이었다. 한국판 MLVAI는 번역 검증 및 도구 구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완성하였다. 한국판 MLV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립하였고, 신뢰도 는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수립을 위해 저시력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한 문항적합도 검증에서는 .78이 상으로 타당성이 수립되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저시력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낮았다 (p<.05). 수렴타당도는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LVQOL)을 이용하여 한국판 MLVAL 총점과의 상관계수 .751을 산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 s α값은 .983으로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6(p<.05),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2,1) .91로 모두 양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MLVAI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일상생 활 평가도구로 작업치료 중재 시 저시력인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odify the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ool,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 had been developed in Australia to suit the Korea culture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only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communities, 26 with low-vision and 42 normal persons. The Korean MLVAI was completed through the expert translatio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e configuration tool. The validity of the Korean MLVAI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ontent,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Also, the reliability was analyz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for the items,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Results: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was more than .78.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low in low-vision. Also,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low in low-vision. The convergent validity was determin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751 analyzing LVQOL and Korean MLVAI total scor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Cronbach s α coefficient indicated an internal consistency of .983(p<.05). Test-retest reliability had a high, significant correlation of .976 and interrater reliability had a high,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91(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the Korean MLVAI which was modified to fit the Korean is the ADL assessment tool with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this study, the Korean MLVAI can be used as a useful ADL assessment for OT interventions in low vision.

      • KCI등재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홍승표,유연환,권재성,Hong, Seung-Pyo,Yoo, Yeon-Hwan,Kwo, Jae-Su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of college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degree of flow.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s (ESM) were conducted for 12 college students using smart phones. As a resul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group, apath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34%) and in over work group, flow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41%). In occupational balance group, frequency of labor and leisure activities was high but boredom was experience a lot in leisure activities. When the students experienced flow in main activities, mean score of positive emotions showed the highest value.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of flow experience in occup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and confirmed improvement of positive emotions in activities experienced flow.

      • 저비용 안구마우스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과제수행시간 비교: 사전연구

        홍승표 ( Seung Pyo Hong ),정진훈 ( Jin Hoon Jeong ),이수진 ( Su Jin Lee ),이두나 ( Doo Na Lee ),윤미지 ( Mi Ji Yoon ),유연환 ( Yeon Hwan Yoo ),이지연 ( Ji Yoen Lee ),용준환 ( Joon Hwan Yo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4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국내에서 개발된 저비용으로 사용한 안구마우스를 이용하여 eyeCan과 GazeMouse 소프트웨어의 입력방식에 따른 과제수행시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저비용 안구마우스를 도구로 사용하여 장애가 없는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훈련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제수행시간 비교를 위하여 eyeCan과 GazeMous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별로 마우스 적응훈련을 각 소프트웨어별로 30분씩 5일 동안 실시하였고, 훈련 전과 후에 과제수행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안구마우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적응훈련 전·후 eyeCan은 과제수행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GazeMouse도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그러나 eyeCan과 GazeMouse 소프트웨어 간의 과제수행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안구마우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일정기간 적응훈련이 필요하고, 소프트웨어 별과제수행시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사용 대상자의 기능상태 혹은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eye mouse softwares, eyeCan and GazeMouse, during computer operation. Method of Research: Six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and evaluation, and they are all enrolled in D University and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valuation of the task speed was done with eyeCan and GazeMouse softwares using a low-cost eye mouse device developed in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5 training sessions for 30 minutes by softwares, which included 3 session of the task speed. Result: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participants’ task speed of posttraining decreased in eyeCan software compared to pretraining(p<.05), and also generally decreased in GazeMouse. However comparison of the task speed of according to eyeCan and GazeMous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daptive training is needed for using eye- mouse de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select the software of eye-mous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r functional status of the us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