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Al<sub>2</sub>O<sub>3</sub> 나노복합분말의 치밀화 및 특성

        유승화,양재교,오승탁,강계명,강성군,좌용호,Yoo Seung-Hwa,Yang Jae-Kyo,Oh Sung-Tag,Kang Kae-Myung,Kang Sung-Goon,Choa Yong-Ho 한국분말야금학회 2005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2 No.6

        In-situ processing route was adopted to disperse carbon nanotubes (CNTs) into $Al_2O_3$ powders homogeneously. The $Al_2O_3$ composite powders with homogeneous dispersion of CNTs could be synthesized by a catalytic route for in-situ formation of CNTs on nano-sized Fe dispersed $Al_2O_3$ powders. CNTs/Fe/$Al_2O_3$ nanopowders were densified by spark plasma sintering (SPS). The hardness and bending strength as well as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Howev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sintered at above $1500^{\circ}C$ showed decreased value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due to the oxidation of CNTs.

      • KCI등재

        철원지역 두루미 취식지의 핵심지역 설정을 위한 MCP, 커널밀도측정법(KDE)과 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LoCoH) 분석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두루미(Grus japonensis)의 이용분포 내에서 행동권 분석의 기법인 MCP(최소볼록다각형법), KDE(커널밀도측정법), LoCoH(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를 이용하여 이용면적과 핵심서식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기법의 차이와 의미를 고찰하도록 하였다. 두루미의 분포자료는 철원지역 2012년 2월 17일 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MCP에 의한 두루미류 서식영역은 140㎢이었다. KDE 분석에서 띠폭에 해당하는 ?값을 1000m, CVh, LSCVh로 달리하여 KDE 등치선을 생성하였을 때, 핵심지역에 해당하는(Kernel 50% 이상) 면적은 33.3㎢(KDE1000m), 25.7㎢(KDECVh), 19.7㎢(KDELSCVh) 이었다. 결과적으로 띠폭에 대한 기본값(1000m)-CVh(554.6m)-LSCVh(329.9m) 순으로 변수를 작게 입력할 경우 핵심면적 개수는 늘어나고,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형태의 복잡성은 증가하였다. 두루미류의 KDE 분석에 의한 핵심지역의 선정에서 적합한 띠폭변수는 CVh 값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LoCoH분석에서는 서식범위와 핵심지역 (50% 등치선 이상의 지역)의 면적이 k값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점차 큰 핵심지역으로 합쳐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핵심지역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k 값은 24로 나타났으며, 전체 개체군의 핵심지역은 18.2㎢로 전체 서식면적의 16.5%를 차지하였다. 최종적으로, LoCoH 분석은 두 개의 큰 핵심서식지를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KDE에 의한 핵심지역에 비하여 작은 수의 핵심지역을 제시한 것이었다. 국내의 게재논문 및 발표자료를 포함한 연구에서 KDE는 대부분 기본설정으로 분석되었으며, 띠폭에 의한 변수를 고려한 것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띠폭변수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We tried to find out the core feeding site of the Red-crowned Crane(Grus japonensis) in Cheorwon, Korea by using analysis techniques which are MCP(minimum convex polygon), KDE(kernel density estimation), LoCoH(local nearest-neighbor convex-hull). And, We discussed the difference and meaning of result among analysis methods. We choose the data of utilization distribution from distribution map of Red-crowned Crane in Cheorwon, Korea at 17th February 2012. Extent of the distribution area was 140㎢by MCP analysis. Extents of core feeding area of the Red-crowned Crane were 33.3㎢(KDE1000m), 25.7㎢(KDECVh), 19.7㎢(KDELSCVh), according to the 1000m, CVh, LSCVh in value of bandwidth. Extent, number and shape complexity of the core area has decreased, and size of each core area have decreased as small as the bandwidth size(default:1000m, CVh: 554.6m, LSCVh: 329.9). We would suggest the CVh value in KDE analysis as a proper bandwidth value for the Red-crowned crane`s core area zoning. Extent of the distribution range and core area have increased and merged into the large core area as a increasing of k value in LoCoH analysis. Proper value for the selecting core area of Red-crowned Crane`s distribution was k=24, and extent of the core area was 18.2㎢, 16.5% area of total distribution area. Finally, the result of LoCoH analysis, we selected two core area, and number of selected core area was smaller than selected area of KDE analysis. Exact value of bandwidth have not been used in studies using KDE analysis in most articles and presentations of the Korea. As a result, it is needed to clarify the exact using bandwidth value in KDE studies.

      • 제3분과 : 야생동물 ; 음성녹음장치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와 경관요소에 따른 조류군집비교

        유승화 ( Seung Hwa Yoo ),한현진 ( Hyun Jin Han ),김동원 ( Dong Won Kim ),주우영 ( Woo Yeong J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장에서의 조사만이 아닌, 음성녹음장치(Song-meter)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와 함께 이를 통해 경관요소에 따라 조류군집을 비교하였다.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 내의 곰배령과 조침령 유역 구간, 그리고 소백산 국립공원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산림유역이었으며, 조사지점은 조사경로의 길이에 따라 곰배령은 8개, 조침령은 11개, 죽령은 14개, 고치령은 15개 기본조사지점으로 하였다. 시기는 2012년 8월부터 2012년 2월까지 5차례의 현장조사와 음성녹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녹음장소에서 발견되는 조류상과 녹음된 조류의 기록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혹은 사람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검증을 실시하였다. 녹음과 현장조사는 지점당 5분씩 실시하였으며, 50m 이내 지역에 대하여 청음과 육안 및 쌍안경을 사용하였다. 녹음 취득은 SONY PCM-D50을 이용하였고, 최대주파수 22kHz, 파일유형은 음질을 고려하여 Wave 파일로 저장하였다. 현장조사와 함께 진행되었던 지점별 동시녹음조사와 달리 곰배령과 죽령의 2개 지점에 한시간단위로 5분간 녹음을 실시하는 고정조사지를 설치하였다. 고정조사구의 녹음은 Wildlife Acoustics SM2+를 이용하였으며, 녹음 시간은 06시에서 19시까지로 한정하였다. 전체 녹음은 11월 6일에서 14일까지 녹음한 것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녹음된 음원의 분석은 Cooledit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리를 재생하면서 스펙트로그램을 활용하여 조류의 소리를 구분하였다. 그 중 조류의 소리는 번식음(Song)과 경계음(Call)을 구분하여 종별 횟수를 기입하였다. 번식기가 아닌 경우 비번식음은 종간 구분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구분이 힘든 경우 과(family) 수준에서 구분하였다. 소리분석의 경우 개인의 경험에 의한 차이와 함께, 자연의 배경음에 섞이어 나타날 경우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소리자료를 3인의 조류전문가가 각각 동정결과를 제출하여 분석하였다. 곰배령, 고치령, 죽령, 조침령의 8월 초에서 2월 말까지 현장조사에서 총 39종 합계수 688개체가 조사되었다. 번식기가 아닌 상황에서 종다양도가 2.9로 높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으며, 곰배령 지역이 가장 높은 종다양도를 보였다. 곰배령 지역은 우수한 산림보전상태를 보였으며 계곡지역의 저지대 완경사면이 발달되어 높은 종다양도와 우수한 서식종의 수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조사지역이 능선부위가 많이 선정되었던 조침령의 경우에는 낮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다. 현장조사와 녹음조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녹음한 파일을 세명의 전문 조사자에게 블라인드 테스트로 분석을 의뢰한 후 비교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점봉산 곰배령과 소백산 죽령에 각각 설치하였던 고정조사 songmeter의 자료와 함께 현장조사에서 실시한 것을 포함하였다. 세명의 조사자에게 모두 기록된 종은 흔히 관찰되는 텃새이거나 울음소리가 매우 명확한 종에 해당하였다. 이에 반하여 1명의 조사자에게서만 기록된 종은 비교적 흔하지 않거나 소리가 유사하여 혼동되거나 개인적으로 친숙한 조류의 음향을 가진 경우였다. 모든 조사자에 의하여 조사되었을 때 1명의 조사자에게만 기록된 경우는 14종으로 36.8% 이었으며, 2인 혹은 3인 모두에게 기록된 경우는 12종으로 31.6% 이었다. 이는 비번식기에 조사된 것이라 혼동의 여지가 많았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하지만, 각각 분석자의 기록종의 종수의 최대값을 이용한다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하여 곰배령 등 현장에서 조사된 군집지수의 결과와 녹음자료 분석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명의 조사자가 녹음파일을 분석한 각 지점별 종 수의 최대값은 현장조사결과에서 종의 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개체수나 종균등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정식 녹음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소리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류 종의 수와 울음소리의 횟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녹음시기가 11월이었기 때문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조류의 활동빈도(소리의 횟수)는 오후보다는 오전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었다. 녹음결과의 비바람 등에 의한 영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출현종이나 울음의 횟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형(구릉지, 산정, 산복, 계곡)에 따른 조류의 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에서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구릉지에서 가장 많은 서식종이 확인되었으며, 산정과 산복 부근에서 낮은 서식 종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저지대의 구릉지에서 생물생산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종다양도와 종풍부도에 있어서도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는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형 유형 중 구릉지와 평탄지에서 가장 높은 종다양도와 종풍부도가 나타났다. 저지대 및 구릉지는 생물생산성 뿐 아니라 서식지의 다양성에 있어서도 조류의 다양한 서식을 유도하며 조류의 종다양성 및 종풍부도의 측면에서도 같은 경향을 확인하였다. 경관유형(계곡과 능선, 산중턱, 산정상)에 따른 조류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 모두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관유형 중 계곡에서 가장 많은 서식종이 확인되었으며, 능선과 산중턱 부근에서 낮은 서식 종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물이용 가능성이 풍부한 계곡부에서 조류의 서식지 선호성이 높은 것을 보여준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류의 소리녹음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는 종다양성 및 종 풍부도의 차원에서 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있었다. 또한, 동일한 시간대의 표본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은 조사자의 부족 및 현장출장일의 부족 등을 보완해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특히 동일시간대에 조사를 하는 것이 필요한 연구구상의 경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의한 조류의 도래시기 변화 등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활용 될 경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사후분석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과 함께 녹음된 음원을 분석할 사람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음성녹음에 의한 조류군집의 조사는 조사자에 의한 현장조사에 비하여 많은 서식종을 확인할 수는 없겠지만, 객관적인 비교를 할 수 있음으로서 대상지를 비교연구해야 하는 경우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었다.

      • KCI등재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류의 장기 모니터링 및 개체군 변화 요인 : 역사적 변화와 MODIS에 의한 기상변화 영향의 평가

        유승화(Seung-Hwa Yoo),이기섭(Ki-Sup Lee),김진한(Jin-Han Kim),박종화(Chong-Hwa Park)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철원지역의 1970년대부터 2010년까지 두루미류의 개체군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고 최근의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하려 하였으며, 개체군 변화요인 및 인구학적변수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70년대부터 여러 연구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온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개체군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2000년대 후반에 이르러 두루미는 800, 재두루미는 1500여 개체가 지속적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90년대의 증가경향은 북한지역 두루미개체군의 유입으로 판단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의 개체군 증가는 먹이주기 등의 보호에 의한 개체군의 증가로 판단되었다. 철원지역에서 두루미류의 분포지역은 1980년대에 7.8㎢였으나, 꾸준히 확대되어 76.7㎢로 10배가량 확대되었다. 철원지역 두루미의 유조비율은 평균 20.2±2.6%로 안정적이었으며, 재두루미는 17.4±2.4%로 두루미에 비해 낮으며 변화도 컸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유조의 비율과 개체군 증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루미류의 서식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도는 두루미의 경우 10개체/㎢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재두루미는 20개체/㎢ 가까이 높아졌다. 2000년대 후반의 재두루미 증가추세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철원지역의 눈 덮임 감소와 온난화로 인한 월동개체수 증가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the trend of population change of wintering cranes and distribution pattern in the Cheorwon, Korea. Data collected by our team since 2000 and previous reference data of others were employed. The size of wintering population of cran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the area. Red-crowned Crane’s population had reached to 800 in the latter half of 2000’s, and White-naped cranes about 1,500 that the individual stays over the winter continuously. The crane’s distribution was 7.8㎢ at 1980’s but it was magnified steadily and 10 doubling quantity it was magnified with 76.7㎢. The White-naped Crane increasing tendency of latter half of 2000’s appeared with the rapidly. Juvenile ratio of the Red-crowned Crane was stable with average 20.2±2.6% and the average juvenile ratio of the White-naped Crane was 17.4±2.4% and this changes was more high. Both crane species were not shown correlation between population increasing and juvenile ratio. Total wintering habitats area of cranes have been increased continuously until 2010. Density of the Red-crowned Crane have been maintained about 10 individuals/㎢ after 1990s, but density of the White-naped Crane have been increased 20 individuals/㎢ until recently year. Increasing tendency of the White-naped Cranes has been shown rapid increasing. Decreasing of the snow fall and cover depth and warm winter temperature were suggested as causes of rapid increasing of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s.

      • KCI등재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 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 We evaluated the landscape ecological value of selected minefields and wetland patches as a habitat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The avian fauna of three minefields of 8.5ha, 17.4ha, and 40.6ha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at of three control sites of mountain area. Average number of forest bird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index,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evenne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ize of patc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esence of wetland and connectivity. Community similarity was evaluated between test and control plots. Avian faun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3 species were recorded, and the sum of maximum counts was 828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index was 3.8, and the species richness was 9.2. Species evenness was 93.3. Second, small, isolated forest patch had a low averag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as expected. But, small forest patches with streams had higher bird density than patches without water surface. Third, forest patches with marsh wetland were evaluated as lower habitat quality than forest patches with stream wetl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bird species per unit area, number of individuals per unit area, species diversity index, species richness index, and species evenness. Finally, Community similarity of the small forest patches with streams was similar with large connected forest. As a result, lowland forest patch was shown the good quality for the forest bird community in spite of small extents, and community structure was similar with mountain forest bird community. Thus, riparian forest restoration could improve the biodiversity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 KCI등재

        기후요인에 의한 철원지역 두루미류 월동개체수 변화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덮임 범위와 지속기간의 영향-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정화영 ( Hwa Young Jung ),김화정 ( Hwa Jung Kim ),허위행 ( Wee Haeng Hur ),김진한 ( Jin Han Kim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5 생태와 환경 Vol.48 No.3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size of wintering crane population would change due to the climate factors. We assumed that wintering population size would differ by climate values in January, which is the coldest period in year. Especially, White-naped cranes were able to choose wintering site between Cheorwon and other alternative place where snow coverage had low influence, differing from Red crowned cranes. For this reason, we predicted the population size of White-naped cranes would fluctuate according to the extent of snow coverage in Cheorwon. Therefore we used snow coverage data based on MODIS and climate data from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at are generally used. We analyzed the crane``s population size in Cheorwon in January from 2002 to 2014. The temperature in the Cheorwon increased from 2002 to wintering period in 2007~ 2008 and went down, showing the lowest temperature in 2011~ 2012. With this phenomenon, warmth index showed the similar pattern with temperature. Amount of newly accumulated snow (the amount of snow that fallen from 0:01 am to 11:29 pm in a day) was low after 2002, but rapidly increased in 2010~ 2011 and 2011~ 2012. The area of snow coverage rapidly declined from 2002 to 2005~ 2006 but suddenly expanded in wintering period in 2009~ 2010 and 2010~ 2011. Wintering population size of the White-naped cranes decreased as snow coverage area increased in January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m, compared to the other climatic factors. However,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Red crowned cranes had little relationship with general climate factors including snow cover range. Therefore it seems that population size of the Red crowned crane varied by factors related with habitat selection such as secure roosting site and area of foraging place, not by climatic factor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ogarithmic value of snow cover range and its period.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population size of the White-naped crane was affected by snow cover range n wintering period and this was because it was hard for them to find out rice grains which are their main food items, buried in snow cover. The population size variation in White-naped cranes was caused by some individuals which left Cheorwon for Izumi where snow cover had little influence on them. The wintering population in Izumi and Cheorwon had negative correlation, implying they were mutually related.

      • KCI등재후보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서식밀도모델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김화정 ( Hwa Jung Kim ),허위행 ( Wee Haeng Hur ),김진한 ( Jin Han Kim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distribution model of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according to the anthropogenic and natur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crane in Cheorwon, Korea.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power and its range of the indirect anthropogenic influence to feeding flock density in cranes from the road,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civilian control zone (CCZ), greenhouse and natural influence such as roosting site and available feeding area. Available feeding area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crane`s feeding site selection. The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cranes near the residenti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area far from the area, and tended to increase within 2.5 km distance. The increasing tendencies of feeding flock density from military facilities and high traffic volume road were similar, but the density in military facilities increased within 800 m, and the density from high traffic volume road increased within 2 k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and the road with high traffic volume had significant effect on foraging densities to the certain range. As the distance from the road with low traffic volume and roosting site increased, feeding flock density tended to decrease. The density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side the CCZ were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outside the CCZ, especially for the Red-crowned crane. As a result, density of Red crowned cranes inside the CCZ was 5.2 times higher than that of outside, while that of white-naped cranes was 2.2 times bigger. If the density of greenhouse is lower than 40 km-2, crane`s feeding flock density in the low greenhouses density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greenhouses density are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eeding flock density if the density of the green houses is higher than 40 km-2. The model for the Red-crowned Crane was related with available feeding area, distance from residential area, civilian control zone and distance from high traffic road. The model of the White-naped Crane was related with available feeding area, distance from roosting site and distance from lake. Finally, the estimated feeding flock density of cran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nsity model according to the natural and anthropogenic factors.

      • KCI등재

        천수만에 도래하는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의 변화

        유승화 ( Seung Hwa Yoo ),김준범 ( Jun Beom Kim ),김인규 ( In Kyu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6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변화에 대한 연구를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천수만 부남호와 간월호에서 실시하였다. 기러기류는 주간에 주로 농경지에 분포하였으며, 해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격자별 최대개체수를 이용한 분포도에서, 농경지에서 관찰된 기러기류는 부남호와 간월호 지역 모두 면적이 넓은 지역에 대한 분포비율이 높았다. 특히, 잠자리지역인 저수지와 가까운 지역의 취식비율이 높았다. 기러기류의 주간 취식지는 부남호와 간월호 모두 초기 10월에는 잠자리 지역인 저수지 인근 농경지를 이용하였지만, 월동 중기 1월 이후에는 잠자리에서 먼 지역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월동말기인 3월에는 개체수 규모가 크게 줄어들고 잠자리에서 먼 지역의 농경지를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하였다. 저수지에서 가까운 1㎞이내 지역의 평균 개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았다. 월동초기(10~11월)에는 저수지 인근지역이 취식지로 선호되었지만, 12~1월 그리고, 2~3월로 갈수록 평균 서식개체수의 차이가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이내의 격자지역은 초기에 매우 높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차차 감소하여 2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반면, 저수지로부터 2㎞이상 떨어진 지역은 초기에 매우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점차 증가하여 1월말에 최대 이용률을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1㎞이상 2㎞미만에 해당하는 지역은 초기에 2㎞이상지역보다 이용률이 높고, 1㎞미만의 지역보다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11월까지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러기류의 취식지 선택이 잠자리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으며, 취식무리의 체류 시간에 따라서 먹이량이 감소하여 취식지 선택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deals with feeding site distribution aspect and seasonal distribution change of the wintering geese in Cheonsu bay and reclaimed area from October 2006 to March 2007. Geese were distributed mostly in agricultural land(rice field) during day tim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ap by maximum counts, observed geese of agricultural land were frequently distributed in large agricultural land. Especially, Geese were more used agricultural land near the reservoir where used as roosting site than the other sites. Diurnal feeding site of the geese were agricultural land near the reservoir with huge flock during early wintering season(October), but geese were used the agricultural land far from reservoir after mid wintering season(after January). The feeding flock size of Geese were decreased and feeding site was more far from the reservoir than in mid wintering season during late wintering season(March). Habitat use rate of the quadrat area where below 1㎞from the reservoir was most high in early wintering season. Contrary, habitat use rate where 2㎞far from the reservoir was shown lowest habitat use rate in early wintering season, but it was increased during mid wintering season(January) and decreased after mid wintering season. Habitat use rate of the agricultural land where 2㎞below and 1㎞far from reservoir was shown middle rate, but it was increased until November and decreased after November. This result shown that feeding site preference of the wintering geese was affected by distance from roosting site(reservoir), and feeding site was changed as a food sources decreasing by stay time of geese flock.

      • KCI등재

        두루미류의 취식무리 크기 및 구성과 도로에 대한 회피 : 도로의 영향 vs 통행에 의한 영향?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김인규 ( In Kyu Kim ),강태한 ( Tae Han Kang ),이한수 ( Han S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1

        두루미류의 취식무리 크기 및 구성과 도로 유형별, 취식무리 규모에 따른 분포거리 연구를 월동기인 200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총 8회 실시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취식무리는 주로 2~4개체로 구성된 무리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혼종무리 보다는 단일종의 취식무리가 많았다. 두루미와 재두루미간 취식무리 크기별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루미의 포장도로(PR)와의 평균거리는 비포장농로(UPR), 포장농로(PFR), 비포장농로(UPFR) 도로와의 거리에 비하여 멀었다. 재두루미의 경우 도로로부터의 이격거리는 농로로부터의 거리와 차이가 있었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종간 도로유형 별 이격거리는 포장도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두루미류가 차량 출입이 잦은 도로를 차량 출입이 낮은 농로에 비하여 선호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포장도로에서 5개체 이상의 두루미 취식무리는 전체 취식무리와 5개체 미만의 취식무리에 비하여 도로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었다. 재두루미는 5개체 이상의 취식무리가 5개체 미만의 취식무리에 비하여 포장도로 및 포장농로와 비포장농로에서 이격거리가 멀었으며, 비포장도로에서는 무리크기에 따른 이격거리의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무리의 크기가 큰 경우 방해요인에 대한 영향이 일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루미류의 큰 취식무리가 주변을 감시하는 효율이 무리크기가 작은 경우보다 높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the feeding crane`s size, formation and distribution distance subsequent to road pattern and feeding flock`s size during the wintering season eight times at the Cheolwon basin in Korea from December 2005 until February 2006.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eding flocks of the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 were found to mainly consist of two to four individuals. Mono-specific feeding flocks were more identified than hetero-specific feeding flocks in both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s.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by size between the feeding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s. The crane`s average distribution distance from the paved road was much farther than from the unpaved road, paved farm road and unpaved farm road. In case of the white-naped crane, there was a difference in its distance length from between the road and farm road and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ved road in the distance length by road pattern between these two bird species[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 Such a result indicates that crane species don`t prefer the road with frequent vehicular traffic to the road with low vehicular traffic. 5 or more individuals of feeding flocks of the Red-crowned Crane were located at a farther distance length from the paved road comparing to less than 5 individuals of the whole feeding flocks and less than 5 individual feeding flocks. 5 or more individuals of feeding flocks of the White-naped Crane were located at a farther distance length from the paved road, paved farm road and unpaved farm road than less than 5 individuals of feeding flocks of the White-naped Crane; however,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distance length subsequent to their group size. Conclusively, it was found out that the flocks with a larger size were more greatly affected by interrupting factors. Considering such results, there seems to be a more relation to the fact that larger size feeding flocks of crane species have a higher efficiency in the lookout for their surroundings.

      • KCI등재

        시화호 초지대의 계획소각에 의한 조류군집의 영향

        유승화 ( Seung Hwa Yoo ),강태한 ( Tae Han Kang ),백인환 ( In Hwan Paik ),김호준 ( Ho Joon Kim ),이한수 ( Han Soo Lee ),김인규 ( In Kyu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4

        시화호 초지대의 소각에 의한 조류의 서식 영향에 대한 연구는 2007년 3월에서 10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송정리 인근 시화호간척지의 초지에서 실시하였다. 계획소각은 2007년 2월 28일에서 3월 1일까지 시화호 간척지의 초지 중 육상부에 인접한 지역에 대해 실시하였다. 소각지역에서는 총 30종 최대개체수 합계 181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존치지역에서는 24종 최대개체수 합계 154개체가 관찰되어 소각지역의 관찰조류 종수와 개체수가 높았다. 하지만 우점종은 소각지와 존치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조류와 산림성조류를 제외한 소각지와 존치지의 평균 종수, 평균개체수, 종 다양도, 종 풍부도는 차이가 없었다. 초기의 군집특성은 계획소각에 의하여 변화하였지만, 후기에는 차이가 감소하였다. 계획소각에 의한 서식지 교란은 일시적으로 새로운 서식지 및 취식장소를 제공하였다. 계획소각이 목본식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초지생태계를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주기적인 계획소각이 초지생태계를 유지 및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presented to effect of prescribed burning to the avian fauna and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07 in Sihwa grassland, Gyeonggi-do, Korea. Prescribed burning was conducted at Sihwa grassland of Songjeong-ri Mado-myeon, Hwaseong city from 28th February to 1st March 2007. Thirty birds species were observed and sum of the maximum count was 181 individuals at the prescribed burning area for all survey time. Observed species was 24 species and sum of the maximum count was 154 individuals on the unburned area. Number of species and sum of the maximum count at the prescribed burning area was greater than unburned area. There is no differences in the dominant species between prescribed and unburned area. Average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 the prescribed burning area were greater than unburned area in early stage (from March to June) after prescribed burning. Community indices in burned area during early season were different with unburned area by prediscribed burning. However, the indices had became similar between burned and unburned area as time goes by. Disturbance by prescribed burning created new habitat and feeding site temporarily for the avian species in grassland. We would suggest that prescribed burning is most effective method to maintain grassland ecosystem from the invading bush or tree and periodical prescribed burning is a good method to preserve and manage the grassland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