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진화론과 신소설 작가, 이해조와 이인직

        유봉희 ( Yu Bo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4

        서세동점(西勢東漸)이 대세였던 대한제국의 시대, 전 사회는 격랑의 파고 속으로 들어가야만 했다. 신소설은 이 시기 전반을 배경으로, 정확히는 이른바 ‘애국계몽기’(1905~1910)에 태어났다. 그 출발과 중심에 이해조(李海朝, 1869~1927)와 이인직(李人稙, 1862~1917)이 자리하고 있다. 신소설은 서구와 일본의 첫 공세에 드러난 당시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다. 이것은‘개화’를 외치지만 ‘누구의 손’에 ‘어떤 거울’이 들려지냐에 따라 그 거울이 비추는 작품의 세계는 판이한 양태로 나타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여기서 ‘한국 근대문학의 아버지’에 대한 정전(正典) 해석은 갈라졌던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논란을 의식하는 가운데 향후 우리 신소설의 가치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데 하나의 방법론으로 개화파 인사들 사상의 저류를 관통했던 사회진화론을 당시 작가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했는지를 이해조와 이인직의 작품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우승 열패’, ‘양육강식’으로 상징되는 사회진화론의 수용 태도야말로 작가들의 문학관 나아가 사상의 기준을 결정하는 척도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지점을 놓칠 때, 신소설연구는 문학성과 정치성(사상성) 양단을 강조하는 단순 이분법적 구도에 빠질 우려가 있다. 사회진화론은 만국공법의 논리와 궤를 같이 하면서 19세기 후반부터 동아시아 지식층을 강타했던 최초의 서양사상이라 할 수가 있다. 동아시아의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축적을 보이고 있다. 정치사상사 연구의 성과에 힘입은 바 크다. 우리 근대문학과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신소설에서 진화론의 영향을 고찰하는 것은, 당시 담론들의 관계망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강의 한 방편으로 수용했는가, 아니면 제국주의의 속성까지도 묵인한 채 받아들여, 궁극에는 민족의 주체적 입지를 망각했는가 하는 갈림길을 선명히 보여주는 기준이 될 수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해조, 이인직 모두 사회진화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이인직은 개인보다 단체를 강조하는 국가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 반면, 이해조는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상반된 사상은 논설 등 여타의 글에서도 여실히 나타나고 있고, 이것은 작품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기도 하다. 특히 이인직과 이해조의 주체 형성 과정은 그들의 작품과 긴밀하게 호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인직이 왜 개화사상에서 친일사상으로 일변했는가 하는 문제제기는 폐기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가 생각한 친일은 곧 그의 개화사상인 것이었다. 그가 보여준 봉건체제에 대한 극단의 혐오 또한 친일로 가는 과정의 하나에 불과할 뿐이었다. 그런 측면에서 이해조의 『자유종』은 당시 시대의 조류였던 사회진화론을 받아들이면서도 주체적 입장에서 민족의 자강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 노력한 결과물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그 담론구조는 당시 토론체 소설의 백미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해조와 이인직을 다시 읽어야 할 필요를 새삼 느끼게 한다. In the era of Korea Empire when the accent point was moving increasingly from the West to the East, the entire society was forced into the upheaval of change. The new-style novel was born during this era; specifically during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1905~1910). That’s where In-Jik Lee (李人稙,1862~1917) and Hae-Jo Lee (李海朝, 1869~1927) are positioned from the outset to the end. The new-style novel was a mirror that reflected the social world which had to be exposed by the first Japanese offensive. This can be said that the world reflected by that mirror may vary greatly depending on ‘who’ holds ‘what type of mirror’ even if it means it was about enlightenment. This was what divided the interpretation of the canon (正典) which was referred to as the ‘father of the modern literature of Korea.’ While this study considers such controversies, we would like to contemplate how the authors at the time comprehended and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at penetrated into subconscious currents of the ideology of the Enlightenment Party via the works of In-Jik Lee and Hae-Jo Lee as one of the methodologies in establishing the criteria of value evaluation for the Korean new-style novels in the future. We opted for this because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symbolized as “The fittest survives” and “The weak fall prey to the strong" is, undoubtedly, the yardstick of determining not only the literary perspectives of the authors at the time but the criteria of their ideology. Unless this notion is considered, the study on the new-style novel is susceptible to the trap of false dichotomy that emphasizes the literary values and the politicization (‘ideologism’). In this regard, inquiring into the effect of the social evolution in the new-style novels can be an effective yardstick for estimating the relationship among discourses at the time. In other words, this will b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if they accepted as one of the ways to make our grounds even stronger or adopted those that belong to the attributes of the imperialism without thinking to a degree that they became oblivious of the nation’s independent status. Both I. J. Lee and H. J. Lee were one of those who fully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While I. J. Lee was distinctive in the spirit of nationalism by putting a group before an individual, H. J. Lee is emphatic more on an individual’s autonomy. Their opposing thoughts are evident in their respective writings including their editorials, to say nothing of their publications. Most notably, the narrative structure of I. J. Lee’s “Teardrops of Blood” by and the discourse structure of H. J. Lee’s “Liberty Bell” are the epitome of the above statement. Further,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procedure of building a sense of independence by both authors is tightly linked with their publication works. With this analysis, we have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controversy over I. J. Lee’s conversion from the Enlightenment Thought to pro-Japanese. To him, pro-Japanese is was his way of practicing the Enlightenment Thought. Take Japan and the USA depicted in his “Teardrops of Blood” into account. How alienated are they from realities? It is nothing but a tool for the imperialistic pro-Japanese. In other words, it was only one of the procedures towards his extreme abhorrence against feudalism or towards pro-Japanese. In this note, H. J. Lee’s “Liberty Bell” confirms the fact that once and again that it is the product of his effort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bolster the nation’s stance from the perspectives of independence with sovereignty rights while accepting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the current tendency. Furthermore, his discourse structure was indeed the epitome of the “dialogue novel” form. This is what made us realize that we must read both authors’ books again at this time. We humbly hope that our study would be the first step in such endeavors.

      • KCI등재

        「윤리학(倫理學)」을 통해 본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이해조의 사회진화론 수용

        유봉희(Bong Hui Yu)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2

        Would our contemporary social darwinism in the mid-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be just one simple slogan? It means to be whether or not having been merely a catch-phrase that had wandered only with Useungyeolpae(優勝劣敗)·Yakyukgangsik(弱肉强食)·Saengjongyeongjaeng(生存競爭). In lots of books and theses that discuss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social darwinism has quite appeared and has been followed even now. They leave a lot to be desired. It is a fact that the aspect, which has been seen by those books and theses with addressing social darwinism, had remained in simple mention and superficial analysis. This brought about a result of having failed to call the social darwinism into a place of in-depth discourse in the analysis of moder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s attitude of accepting social darwinism focusing on Lee Hae-jo`s 「Ethics(倫理學)」 in the middle of recognizing this matter. In this process, the attention was paid 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n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and Liangqichao. The important analytical subjects here included the Chinese-way acceptance based 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and on a human being`s morality and ethics, and the Japanese-way acceptance aspect based on anti-traditionalism and thorough materialism. Lee Hae-jo established the attitude of accepting his own subjective social darwinism by integrating ``ethics``. Especially, he is repeatedly giving emphasis through 「ethics」 to which the object called ``I`` should position as the thoroughly subjective and awakened ``ego`` when being called from ``society`` and ``state``. This is also what is containing a desire for ``creating the awakened people``, which flows in the whole of his work. This, namely, the creation in new name(名) of conforming with matter(實), can be said to be the cardinal point of ? Ethics? by Lee Hae-jo. Here, ``matter`` means reality. ``Name`` means ideology. As the East Asia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the period of Seosedongjeom(西勢東漸), it had been confronted with big gap between name and matter. The concreteness of striving to resolve and settle the gap was literally shown even in the attitude of accepting social darwinism. This is what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and is confirming that it is drawing the same track as Liangqichao`s thought of darwinism.

      • KCI등재

        1910년대 한국근대소설이 보여준 사회진화론과 근대 극복의지의 한 양상,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세계(1)-「서철강덕격치학설(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유봉희 ( Yu Bong-h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2회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하나는 양건식(梁建植, 1889~1944)이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철학사상을 번역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적 배경과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社會進化論) 극복의 의지를 확인하고 (1), 다음으로는 이것을 토대로 양건식의 작품세계를 분석하는 것이다.(2) 이것은 서구가 던져준 ‘폭력적 근대’에 대항하는 ‘근대극복’의 의지까지 담고 있는 ‘가치의 재발견’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첫 시도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양건식의 사상적 배경을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유식불교(唯識佛敎) 등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대한 재발견과 이를 통한 서구사상에 대한 응전 등 당대 양건식의 사상적 고투를 확인할 것이다. 아울러 서양의 칸트 철학 수용과정의 ‘선택적 전유(selective appropriation)’ 양상과 불교옹호론자로서의 양건식과 그와 사상적 영향관계에 있는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의 자유사상과 조선의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의 불교정신을 규명하는 작업이 함께 따를 터다. 이것을 통해 량치차오·한용운·양건식의 사상적 동일성과 차별성을 분석, 양건식의 사상적 위치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양건식의 「西哲康德格致學說」에 주목하는 것은 그가 작가로서 세상에 이름을 알린 직후(1915)부터 생을 마감하는 날(1944. 2.7)까지 불교도·불교연구자로서의 삶을 포기하지 않은 것은 물론, 1910년대 한국에서 칸트철학 수용의 한 단면과 불교를 통한 칸트철학의 재해석을 적실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아울러 ‘진화’와 ‘진보’ 즉 ‘진화=진보’가 보편의 법칙으로 자리했던 1910년대를 관통한 그의 삶에서 오히려 이것을 극복하려는 사고의 조각들을 마주할 수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서양사상을 습합(習合)함으로 ‘힘의 논리’를 앞세운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자 했던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은 근대를 재음미하는 지금 우리에게도 하나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양건식처럼 시종일관 사회진화론과 맞대결한 인물은 드물었던 것이다. 단순한 진화와 진보의 신화를 벗어난 이 깊은 근대극복의 정신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인가? 이 논문은 여기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This study is to be carried on in 2 times. One is to confirm the thinking background and Social Darwinism, subjugation intent of Immanuel Kant (1724-1804) mainly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the translation of Kant philosophical thought translated by Yang Geon Sik (1889-1944)(1)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 works of Yang Geon Sik on the basis of such confirmation(2). This also means the ‘rediscovery of value’ which also includes the intent of modern subjugation that resists against ‘violent modernism’ cast by the West. As the 1st attempt, I intend to investigate the thinking background of Yang Geon Sik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Here, I will rediscover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such as consciousness only school, etc and confirm the thinking struggle of Yang Geon Sik in the age such as response against the Occidental thought through it. Further, I will also look into selective 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Kant's philosophy in the West, freedom thought of Yang Geon Sik as advocate of aspect and Buddhism as well as Lyang Chi Chao(1873-1929) who was in the relation of thinking influence with him and the Buddhist spirit of Han Yong Woon (1879-1944) of Joseon. Through them, I will analyze the thinking uniformity and discrimination of Lyang Chi Chao, Han Yong Woon and Yang Geon Sik in order to reconfirm thinking position of Yang Geon Sik. Above all, Yang Geon Sik's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is notable in the judgment that he did not waive his life as a Buddhist and researcher of Buddhism immediately after he became famous as an author (1915) to the day he deceased (1944. 2.7) as well as he exactly showed reinterpretation of Kant philosophy through a cross section of accommodating Kant philosophy and Buddhism in Korea in 1910s'. Another reason is that his life penetrating 1910s' when ‘evolution’ and ‘progress’ namely, ‘evolution= progress’ was fixed as the law of universality showed the pieces of thought which tried to overcome such law. In this aspect, it is expected that the thought and literature of Yang Geon Sik which tried to overcome Social Darwinism that preferentially presents ‘logic of power’ by combining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based on Buddhism and Occidental thought would be a good example for us as we peruse modern time again. Persons like Yang Geon Sik who consistently confronted with Social Darwinism were rare. What is the origin of this deep spirit of modern subjugation which deviates from simple evolution and myth of progress? This dissertation inevitably starts from this point.

      • KCI등재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진화론 수용의 계보를 통해 본 한국 근대소설①-애국계몽기 이해조ㆍ이인직과 1910년대 양건식ㆍ이광수의 산문을 중심으로 -

        유봉희 ( Yu Bong-h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1

        이 연구는 19세기 중반과 20세기 초, 동아시아 한ㆍ중ㆍ일 3국의 진화론 수용의 동아시아 맥락과 그 계보를 파악한 후, 이것이 이해조ㆍ이인직과 양건식ㆍ이광수에 어떻게 연결되어 나타났는지 분석하는 것을 우선에 두고자 한다. 특히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대한 작가들의 대응양상은 연구의 중요한 지점을 형성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진화론 수용이 이들의 사상과 문학세계에 어떠한 위치와 가치로 자리하고 있었는지를 분명히 하려고 한다. ‘기원 찾기’로 상징되는 근대문학의 근대성에 대한 논의는 1900년대와 1910년대 사이의 불연속적 단절면을 상정하고 그 층위를 강조하는데 초점을 모았다. 이러한 논의가 근대문학의 근대성 논의와 관련된 특수성/보편성 논의나 이식된 근대화/내재적 발전론이라는 순환론을 벗어나는 강점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사상사적 입장, 즉 작품생산의 토대가 된 인식론적 측면에서 본다면 단절면보다는 연속성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1910년대 들어 ‘힘’과 ‘강권’으로 상징되는 1900년대식 사회진화론이 재인식되거나 균열의 조짐이 일부 감지되었던 것은 사실이나 1910년대도 여전히 1900년대식 사회진화론이 지배적 담론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1910년대 중반에 싹터 1920년대 초 본격 등장한 ‘정신적 강력주의’라 할 ‘문화론’ 또한 극복이 아닌 변형된 또 다른 사회진화론이고 보면, 식민지 근대 지식인들에게 강(强)ㆍ약(弱)으로 집약되는 사회진화론이 얼마나 떨쳐버리기 어려운 유혹이었는지를 짐작케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작가들의 산문과 작품을 분석할 계획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해조와 이인직을 비교하고, 이인직ㆍ이광수를 한 항(이해조ㆍ양건식을)으로 묶어 보고, 이것을 다시 양건식ㆍ이해조(이광수ㆍ이인직)와 비교하는 등 서로를 대비시키기도 하고 나란히 놓기도 하는 차별성과 동일성의 회로를 통한 상호의존적ㆍ상호배타적인 관계성에 주목할 것이다. 이 논문은 그 첫 번째 시도로 애국계몽기 이해조ㆍ이인직과 1910년대 양건식ㆍ이광수의 산문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식론의 토대를 바라볼 것이다. 이후 두 번째 논문은 이들의 작품 해석을 통해 진화론 수용 양태를 분석할 각오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mid-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after identifying the context of East Asia, and its genealogy and genealogy, and how it was connected to the two-dimensional and light-emitting. In particular, writers' response to traditional East Asian ideas will form an important point of study. In doing so, it is aimed at making clear what position and value the acceptance of East Asian evolution has been in their thought and literary world. The debate on the modernity of modern literature, which is symbolized as 'finding for origins', focused on the assumption of discontinuous discontinuities between the 1900s and 1910s and highlighting the layers. It is clear that this debate has an advantage over the circular theory of speciality/composition related to the modern debate of modern literature, or of modernization/internal development in transplantation. However,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cognitive aspect that underpins the production of a work,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ontinuity rather than cut-off surfaces. It is true that the 1900s-style social evolution, symbolized by power and power in the 1910s, was recognized again or some signs of cracking, but the 1900s were still the dominant discourse. In the mid-1910s and early 1920s, the theory of culture was not overcome but transformed social evolution. From this point of view, we plan to analyze the writers' prose and works.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o compare the interests of the two groups, compare the two light sources with one another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n its first attempt, the paper will look at the basis of their recognition theory, focusing on the prose of the national enlightenment period, Lee In-jik, and Yang Geon-sik of the 1910s. The second paper is intended to analyze the pattern of acceptance of evolution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ir works.

      • KCI등재

        양건식(梁建植)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①-인물에 비춰 본 양건식 사상궤적의 윤곽-

        유봉희 ( Yu Bong-h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백화(白華) 양건식(梁建植, 1889~1944)은 한국근대문학의 이면사(裏面史)였다. 양건식이 아직까지 한국 근대문학사에 제대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미 그가 1910년대 주목할 만한 단편소설을 발표했던 작가였음에도 번역을 제외하고는 장편소설이 없다는 것과, 1910년대부터 본격 작품을 쓰는 작가가 아닌 ‘중국문학 번역가’ 정도로 인식되어 온 고정관념이 지금도 엄존해 있다는 사실을 먼저 들 수가 있다. 더 큰 이유로 필자는 서구가 던져준 ‘폭력적 근대’에 대항하려 했던 ‘방법론적 가치’로서의 양건식 사상에 주목하지 못한 결과를 지적하고 싶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이 연구는 양건식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을 복원한다는 목적 아래 크게 두 가지의 방향을 가지고 진행할 계획이다. ① 양건식의 사상적 궤적을 통해 그의 사상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② 1910년대 양건식 문학의 재발견, 두 개의 진행항목으로 나누어 추진할 생각이다. 그의 문필활동이 다방면에 걸쳐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으나 그의 사상편력에 대해서는 별반 언급이 없어 왔다. 1910~1930년대 근대담론을 분석한 연구에서 양건식을 거론한 흔적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이를 반증하고 있다. 그는 당대 누구보다도 동아시아 근대담론의 형성과 지식장(知識場)의 전환에 매우 민감했던 인물이다. 그의 글 전체를 독파하다 보면 시대 시대마다 국면 국면마다 그는 자신의 목소리를 정확히 밝혀왔음을 알 수가 있다. 이 논문은 연구방향의 첫 번째 시도로 양건식 사상의 궤적을 통해 그의 사상적 가치를 재평가, 우리의 근대문학사에서 양건식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건식이 한국근대문학의 이면사(裏面史)였던 관계로 양건식 시대 한ㆍ중ㆍ일 주요 인물을 통해 그의 사상적 궤적을 탐색하는 방법론을 택하기로 했다. Baekhwa(白華) Yang Geon-sik(梁建植, 1889~1944) was the back-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hy is Yang Geon-sik still not properly entering Korean modern literature?,Although he was a writer who had already published a remarkable short story in the 1910s, there is no full-length novel except translation, and the stereotyp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Chinese literary translator since the 1910s, not a full-fledged writer, is still strong.,For a bigger reason,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results that I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Yang Geon-sik idea as a ‘methodological value’ that I tried to counter the ‘violent modernity’ thrown by the West., This study is planned to proceed with two major directions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overallity of Yang Geon-sik’s ideas and literature.,1 I will reexamine his ideological value through the ideological trajectory of Yang Kun-sik, and I will pursue it by rediscovering Yang Kun-sik’s literature in the 1910s and dividing it into two progress items.,It is already known that his writing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but there has been no mention of his ideological power.,The fact that there were few signs of mentioning Yang Geon-sik in the study of modern discourse in the 1910s and 1930s disproves this.,He was more sensitive to the formation of modern discourse in East Asia and the transition of knowledge field ().,When you read his entire article, you can see that he has revealed his voice precisely in every phase of the times.,This thesis is the first attempt of the research direction, and aims to reevaluate his ideological value through the trajectory of Yang Geon-sik’s thought and to reestablish the position of Yang Geon-sik in our modern literature history.,Since Yang Geon-sik was a back-to-back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e decided to choose a methodology to explore his ideological trajectory through major figur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Yang Geon-sik era.

      • KCI등재

        1910년대 한국근대소설이 보여준 사회진화론과 근대 극복의지의 한 양상,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세계(2)-불교와 근대비판정신을 중심으로-

        유봉희 ( Yu Bong-h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2회에 걸쳐 진행했다. 하나는 양건식(梁建植, 1889~1944)이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철학사상을 번역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적 배경과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社會進化論) 극복의 의지를 확인한 것(1)이고, 다음으로는 이것을 토대로 양건식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것이다.(2) 이것은 서구가 던져준 ‘폭력적 근대’에 대항하는 ‘근대극복’의 의지까지 담고 있는 ‘가치의 재발견’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진화’와 ‘진보’ 즉 ‘진화 = 진보’가 보편의 법칙으로 자리했던 1910년대를 관통한 그의 삶에서 오히려 이것을 극복하려는 사고의 조각들을 마주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서양사상을 습합(習合)함으로 ‘힘의 논리’를 앞세운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자 했던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은 근대를 재음미하는 지금 우리에게도 하나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난 논문에서 사회진화론 극복의 사상적 바탕을 확인한 바 있다. 이것을 기초로 이번 논문에서는 사회진화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불교정신을 통한 근대비판과 그 극복의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단순한 진화와 진보의 신화를 벗어난 이 깊은 근대극복의 정신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인가? 이 논문은 여기서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양건식의 단편 「석사자상」과 「슬픈 모순」을 중점 분석, 양건식 사상의 뿌리와 1910년대 단편소설의 지형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2 times. One (1) confirmed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Social Darwinism, volition of modern subjugation of Yang Geon Sik(梁建植, 1889~1944) on the basis of 「西哲康德格致學說」, a translation of philosophical thought of Immanuel Kant(1724~1804) completed by him and the other(2) analyzed the world of his works on the basis of the former study. This also meant the rediscovery of value containing the volition of modern subjugation which resisted against violent modern times cast by Occident. Further, we can face the pieces of thoughts which tried to overcome violent modern times in his life which penetrated through 1910s where evolution and progress, namely, evolution=progress was settled as the law of universality. In this aspect, we expect that the thought and literature of Yang Geon Sik which tried to overcome Social Darwinism that manifested ‘logic of power’ by combining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and Western thought on the basis of Buddhism could be a good example to us now as we re-peruse modern times. In the last dissertation, we confirmed the ideological ground of overcoming Social Darwinism. Based on it,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confirm modern criticism and its volition of modern subjugation through Buddhist spirit rather than focusing on Social Darwinism. From where does this deep spirit of modern subjugation that got out of simple evolution and myth of progress come? This dissertation had to start from this point. The short work of Yang Geon Sik, 「Statue of Stone Lion」 and 「Sad contradiction」 was mainly analyzed to view the root of his thought and the topography of short novel in 1910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