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나강역고

        위가야 ( Ga-ya We ),쓰다소키치 ( Tsuda Soukich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0

        1908년 1월,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조사부 산하에 ‘만선역사지리조사부(滿鮮歷史地理調査部)’가 설치되었다. 도쿄[東京]대학 교수였던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가 당시의 만철 총재인 고토 신페이[後藤新平]에게 ‘만주 및 조선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연구’가 만철 경영을 위한 실제상의 필요성과 함께 순수한 학술적 관점에서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득한 결과였다. 1) ‘만선역사지리조사부’는 이른바 ‘만선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성과는 1913년부터 1914년에 걸쳐 편찬된 3종 5책의 『歷史調査報告』를2) 통해 공개되었다. 이번에 소개하는 논문 「任那疆域考」는 그 중 하나인 『朝鮮歷史地理』 제1권(1913)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역사지리의 집필을 담당한 인물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였다. 그는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권유를 받아 만선역사지리조사부에 참여하여,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와 함께 중국 唐代 이전의 만주사 관계 자료 및 삼국사기, 동국통감등의 조선 사료의 조사·연구를 담당했다. 3)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그는 조선의 역사지리를 주로 강역과 지명 비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임나강역고」는 쓰다 소키치가 「일러두기」격인 「서언(緖言)」에서 밝히고 있는것처럼 임나일 본부가 처음 설치되고부터 신라에 의해 멸망하기에 이르기까지의 약200년간 임나에 속했던 강역과 소속 諸國의 위치를 고증한 것이다. 주요 사료로는[일본서기]에 기록된 임나 관련 기록을 이용하였고, 삼국사기 등의 한국측 사료는 방증 자료로 이용할 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그는 음상사를 통해 지명을 비정하는 언어학적 방법론을 가급적 배제하고 기록된 역사적 정황을 정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려 하였는데, 이는 쓰다 소키치 이후 임나 관계 지명을 비정한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과 스에마츠 야스카즈[末松保和] 등의 연구에서4) 오히려 언어학적 방법론을 중시한 것과 비교된다. 쓰다 소키치는 임나의 범위를 가야 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임나일본부의 영토를 가야 지역에 등치시켰기 때문이다. 지명 비정의 대상이 되었던 기문 등의 섬진강이서 지역에 대해서는 그 영유가 일시적이었다 하여 임나일본부의 영토에서 제외하였다. 일본의 임나 지배와 그 성격을가야 諸國의 보호에 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훗날 스에마츠 야스카즈에 의해 제기된 한반도 남부경영론이 일본의 한반도 남부 諸國에 대한 직간접적 지배를 상정하고 임나의 영역을 전라도 일대까지 확대하고 있는 것과 비교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가야 諸國의 보호가 관계 사료의 실증을 통해 입증된 사실이 아니라 오히려 지명 비정을 위한 역사적 정황의 전제로서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5) 일본서기 신공기 기록에 전설적 요소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공기의 내용 심지어는 그 이전인 숭신기의 내용조차 지명 비정을 위한 역사적 정황으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모순적 태도는 ‘가야 諸國이 일찍부터 일본의 보호 아래 있었다’는 쓰다 소키치의 편견이 전제로 기능하고 있었던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처럼 실증에 우선한 전제가 존재한 것은 시라토리 구라키치가 조선역사지리의 「序」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연구의 목적이 “반도의 실제적 경영에 대하여 학술상의 측면에서 다소의 참고자료를 기여하는 것”에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임나강역고」는 1995년 가야문화 8(가야문화연구원 발행)에 이미 번역본과 원문이 함께 수록된 적 있었다. 6) 이 번역은 그것을 참고로 의역이 지나친 부분과 오역 일부를 수정한 것이다. 본문에 인용된 사료 또한 모두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다만 번역자와 저자의 이해가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사료 원문을 본문에 인용된 구두점 그대로 [역자주]에 수록했다. Study on Territory of Imna(任那疆域考) was a Tsuda Soukichi(津田左右吉)``s historical research paper that was included in Historical Geography of Joseon(朝鮮歷史地理). In this paper Tsuda Soukichi analyzed Ilbonseogi(日本 書紀) as fundamental historical records. On the other hand Samguksagi(三國 史記) and Korean historical records weren``t considered to be major research materials. Tsuda Soukichi thought that territory of Imna was limited to Gaya(加耶). Because he believed Imnailbonbu(任那日本府) was a protector of Gaya. His Research omitted historical proof, and Imnailbonbu was regarded as unwavering confidence in his research. It reflects the view of colonialism.

      • KCI등재

        472~475년 백제 · 고구려의 對북위 외교전과 한성 함락

        위가야(Wee, Kaya)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6 No.-

        이 글은 475년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킨 사건의 배경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472년에서 475년 사이에 백제와 고구려가 북위를 상대로 진행한 외교전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472년 8월 백제는 북위를 상대로 청병 외교를 진행하였다. 이 외교전에 대해서 기존의 견해에서는 대체로 對고구려전에서 수세에 몰린 백제가 북위에 구원을 요청한 것으로 파악해 왔지만, 백제와 북위 사이에서 오고 간 표문과 조성의 내용을 분석하면 실제로 이 시기 백제가 북위를 공격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청병 외교를 진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는 북위에 보내는 표문에서 고구려가 북위를 적대하고 있음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지금이 고구려를 공격할 적기임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알렸다. 또한 故事를 활용해 북위를 자극하면서 백제 자신은 고구려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신종할 의사를 전달 했는데, 이는 북위의 고구려 공격을 유도하기 위한 백제의 외교적 전술로 파악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북위가 백제의 요청을 거절한 것으로만 파악했다. 하지만 북위가 백제에 보낸 조서 내용을 분석하면 백제의 청병 이후 북위와 고구려 사이에 모종의 갈등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위는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하여 백제가 표문을 통해 고발한 사신 파견 방해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를 시도했다. 북위는 고구려가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자 그 해명을 받아들여 백제의 청병 요청을 거절하였지만, 조서를 통해 조건부로 고구려 공격에 나설 수 있음을 언명하기도 하였다. 이때 북위는 백제로 귀환하는 사신을 고구려를 경유하게 하였다. 고구려의 북위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였다. 고구려는 사신의 통과를 가로막았고 북위와 백제의 사신은 다시 북위로 귀환하였다. 이로써 북위가 백제에 내린 조서에서 언명한 고구려 공격에 나설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된 셈이었지만, 이후 북위의 사신이 백제에 파견되지 못하여 양국의 연계를 통한 합공이 실행에 옮겨지지는 못했다. 백제는 북위의 반응을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북위를 설득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물길과의 연계를 시도하였고, 이는 물길의 사신을 통해 북위에 알려질 수 있었다. 그러나 물길의 사신이 도착한 것은 고구려가 한성 공격에 나선 한 달 뒤의 일이었기 때문에 백제의 시도는 결과적으로 실패하였다. 고구려는 백제의 對북위 교섭 시도를 확인한 후 우선 양자의 연계를 저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북위 사신의 백제 파견과 백제 사신의 귀환을 가로막은 것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와 동시에 북위와의 관계를 원활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그것은 과거 핑계를 대며 거절했던 북위와의 통혼 재개 제안이었다. 다만 고구려는 통혼 제안을 통해 북위에 적대할 의사가 없음을 전달하려 했을 뿐이고 실제로 통혼을 성사시킬 의도는 없었다. 그러나 북위는 실제로 통혼을 진행하려 했고, 이를 위한 사신의 파견 과정에서 고구려와 북위 사이에 다시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북위와 백제의 연계로 인한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려 했고, 그것은 수도 강습을 통한 백제의 완전한 제압이었다. 475년에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기습하여 함락시킨 것은 이러한 국제정세를 배경으로 해야 실상에 부합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aspects of diplomatic war of Baekje and Goguryeo from 472 to 475 against the Northern Wei, and the background of the fall of Baekje’s capital Hanseong(漢城) by Goguryeo. A summary of analysis is as follows. In 472, Baekje conducted diplomacy requesting reinforcements to the Northern Wei.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is diplomacy was carried out as part of a plan to attack Goguryeo unlike existing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documents and the activities of Baekje at the time. The Northern Wei first refused the request, but notified Baekje that they could conditionally go on a conquest of Goguryeo. However, the contents of the report of the Northern Wei were not delivered to Baekje the envoy’s return to Baekje was blocked by Goguryeo. Baekje attempted to connect with Mulgil(勿吉) as another means to persuade the Northern Wei. The envoy of Mulgil arrived in the Northern Wei and announced the connection with Baekje, but this too failed. The reason was that Goguryeo raided Hanseong and captured it at that point. After confirming that Baekje was negotiating with the Northern Wei, Goguryeo trie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Goguryeo also proposed resuming a royal marriage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Northern Wei. This proposal was only to convey that Goguryeo had no intention of being hostile to the Northern Wei,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re was a willingness to practice the royalmarriage. Northern Wei, on the other hand, tried to proceed it in practice. Goguryeo refused it by making excuses, and prepareda way to resolve the situation more fundamentally. The way was to completely suppress Baekje. This was the reason why Goguryeo raided Hanseong, the capital of Baekje in 475.

      • KCI등재

        한국고대사 시대 설정에서의 가야사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위가야 수선사학회 2023 史林 Vol.- No.83

        This article summarizes the several points that can be raised in establishing the status of Gaya history in ancient Korean history and presents tasks considered as a premise for establishing the status. First, this article summarizes the present condition of debate on “Former history theory” and “Former generation theory” while call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set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Gaya history. Former generation theory, which understands Byunhan (Byunjin) and Gaya as a succession relationship and considers Byunhan history as the former generation of Gaya history, has long been common knowledge about Gaya history. Former history theory, however, understands that an understanding based on fact of the nature of the political body of Gaya and social development was possible only when Byunhan was regarded as the former history of Gaya history. The issue of set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Gaya history is inherent in the basis of debate on two theori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at Gaya is to solve the issue. Existing studies have understood Gaya his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ederation, but recently criticism has been raised on the theory of federation. Therefore, what the research at this point should explain is what Gaya is if it is not a federation, and why several states are grouped as Gaya. “The four kingdoms period”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establish the status of Gaya history in ancient Korean history. To group the three kingdoms and Gaya into the same category and recognize them as four kingdoms, grounds for grouping several political groups that were separated into states into a single category called “Gaya States” must be presented first. In domestic and foreign historical records, “Imna” is identified as a term encompassing all states at the time Gaya States existed. This is a usage confirmed as a case of recognizing the Gaya States as a group in all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Imna is also a term used during the time when the Gaya States existed. Therefore, its implications need to be closely examined. Some connect the use of the term Imna with following the “Imna-ilbonbu theory (claims that ancient Japan rule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f Japanese colonial history in the past. However, the way out of Japanese colonial history represented by the Imna-ilbonbu theory lies in facing the term Imna and clearly reveal its historicity. .

      • KCI등재

        6세기 前半 安羅國 주도의 加耶諸國 관계 이해를 위한 기초적 검토

        위가야(Wee, Ka-Ya)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이 글은 안라국이 6세기 전반 가야제국 관계를 주도할 수 있게 된 요인을 안라국 대외관계사의 주요 쟁점인 ‘포상팔국 전쟁’, ‘안라인수병’, ‘안라국제회의’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하려 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포상팔국 전쟁’을 전하는 『삼국사기』 본기와 열전, 『삼국유사』의 기록을 비교·검토하면 전쟁의 대상이 안라국임을 확인할 수 있다. 포상팔국이 안라국을 공격한 이유는 함안 지역의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안라국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격에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라국은 신라의 지원을 받아 포상팔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광개토대왕비문』의 ‘안라인수병’은 안라국을 직접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400년 고구려 남정 당시 고구려군이 빼앗은 지역을 신라인 수비병을 배치하여 지키게 한 사실을 가리키는 문구로 이해할 수 있다. ‘안라인수병’의 이해를 통해 안라국이 고구려-신라군과 임나가라-왜군이 충돌한 전쟁의 戰火를 피해 국력을 온존할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이것이 이후 안라국이 가야제국 가운데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는 신라와의 우호관계에 따른 결과로 그 계기는 포상팔국 전쟁 당시 신라의 구원군 파견이었다. 따라서 포상팔국 전쟁의 시기는 고구려 남정이 이루어졌던 400년 이전으로 그 하한을 좁혀볼 수 있다. ‘안라국제회의’는 기존 연구에서 이해되었던 것처럼 ‘남가라·탁기탄’이 신라에 병합된 것을 계기로 개최된 것이 아니라 백제군과 신라군에 의한 탁순국 점령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최된 것이었다. 안라국은 왜를 끌어들여 우군을 확보하는 동시에 백제와 신라 사이를 저울질 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양국 모두를 안라가 마련한 국제회의의 무대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안라국제회의’는 탁순국의 점령 저지라는 개최 당시의 의도를 달성했으며, 이것이 가야제국 내에서의 안라국의 위상을 고양시켰다. 이렇듯 고양된 위상이 6세기 전반 가야제국의 관계를 안라국이 주도하게 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allowed Allaguk to lea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Gay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by examining the three major issues in the history of foreign affairs of the country. The three issues are ‘War of Posangpalguk’, ‘Allainsubyong’,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la’.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records of the ‘War of Posangpalguk’ that the target of the war was Allaguk. There were two reasons why Posangpalguk attacked Allaguk. The first is to secure farmland in Haman area, and the second is to counterattack against the expansion of Allaguk’s power. Allaguk had opportunity to grow by winning the war against Posangpalguk by virtue of the support of Silla. ‘Allainsubyong’ in The Great Gwanggaeto Stele does not refer to Alla. It is a phrase indicated the fact that Koguryo army tried to defend the territory which was taken from Silla by arranging guards of Silla during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in 400. Allaguk was able to protect the country’s power by avoiding the war between Koguryo-Silla and Imnagara-Wa. This was the reason why later Allaguk stood out in the countries of Gaya. It was also the result of amicable relation with Silla, which established because of the reinforcements from Silla during the War of Posangpalguk. Therefore, the year when the War of Posangpalguk broke out was before 400 when the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was made at the lates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la’ was held not because Namgara and takgitan were absorbed into Silla as was understood in the previous research, but because Alla tried to prevent Baekje and Silla from taking Taksunguk. By winning Wa over to their side and gained ally and balancing between Baekje and Silla, Al laguk succeeded in bringing both countries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by Alla. The Conference achieved its intention of preventing the occupation of Taksunguk, and this elevated the status of Alla in the countries of Gaya. This eventually made Allaguk lea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Gay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 KCI등재

        근대전환기 역사 교과서의 가야사 인식과 식민주의 역사관

        위가야 한국역사연구회 2023 역사와 현실 Vol.- No.130

        Kim Taeg-yeong and Hyeon Chae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historians of the time when Korea was facing the eve of modernity, and their writings on ancient history of Korea have been strongly criticized for displaying a colonialist, ‘Superior Japanese’ perspective, as they were recognized to be either partially or wholly embracing the theory of ‘Wae(倭) Japan ruling the Imna(任那) reg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article, whether or not Kim and Hyeon’s view on ancient Korean history really adopted the theory of Imna Ilbon-bu(任那日本府設, which believed in the Japanese Wae’s dominance in the Imna region) is examined based on contents, nuances and connotations featured in their writings. The result is as follows. In case of Kim Taeg-yeong, we can indeed say that he was embracing the Imna Ilbon-bu theory, but Hyeon Chae’s case is a little bit more ambiguous. And although Kim Taeg-yeong did seem to have adopted the notion of Japan governing the Imna region, it does not look like a result of merely embracing a colonialist attitude. In Kim’s writing there seems to be an underlying logic, which is seemingly shared by Hyeon Chae as well. They were envisioning an ancient status-quo situation, in which Korean(ancient Joseon) civilization and Japan’s armed power formed sort of a balance in their relationship, and in order to suggest ways for the Koreans to resolve the unequal present-day situation in which Japan grew superior to Joseon in civilization and arms altogether, Kim and Hyeon seem to have been trying to prove that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an absolutely superier culture, using no other than Japanese historical records in a detailed and irrefutable fashion. Although in reality Korea was not able to overcome Japan with firearms just yet, apparently they hoped that Korea could someday regain a status-quo as a superior cultural civilization. The result of their intentions and attempt to relay such past reality to students learning history, was the underlying current of logic that we can detect from their writings inside history textbooks.

      • KCI등재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현황과 전망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Assuming that the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is the founda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the space of Baekje history is located outside the current Chinese territory.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were not many achievements in analyzing Chinese research on Baekj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distor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based on the so-called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Northeast Project”. However,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their interest in areas that were outside the scope of the Northeast Project. Now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and analyze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a that have been identified so far.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current research situation based on the existing trends on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examines it by reviewing the system and contents of recent publications, Chronicles of Baekje History(『百濟歷史編年』)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百濟·集史』).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confirmed so far are over 360 pieces which show huge increase in quantity since 2000.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topic selection is that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relations, cultural exchanges, and refugees takes significant proportion.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historical perception, politics, system, economy, and research history has increased. This article has confirmed the following facts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recently published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will serve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that provides a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a milestone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other fact is that Baekje·Collection of History aims to build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Baekje history in China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long with compiling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other characteristic of recent research is that there are many results that have attempted micro-analysis focusing only on the content of the historical material itself. This means that the basis of Baekje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ing in China.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promote presenting more organized academic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foundat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completed b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academic circles should not lose interest in future research achievements while reorgan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역사 인식이 동북공정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때, 백제사의 공간은 현재의 중국 영토 밖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른바 ‘동북공정식 역사 인식’에 입각한 중국의 한국 고대사 왜곡이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분석한 성과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중국학계는 동북공정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던 영역에까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다시 정리하고 분석해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동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최근 출간된 『백제역사편년(百濟歷史編年)』과 『백제·집사(百濟·集史)』의 체제와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동향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 성과는 360여 편이며, 2000년 이후 연구의 양적 증가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 선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국제관계와 문화교류 및 유민 관련 연구 주제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역사인식과 정치·제도·경제 및 연구사 관련 논문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된다. 최근 발간된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역사편년』은 후속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사료집인 동시에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백제·집사』는 이제까지 중국학계에서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를 집성하는 것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향후 중국에서의 백제사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 편찬의 목적이 있다고 여겨진다. 최근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백제사 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사료의 내용 자체에 천착한 미시적 분석이 시도된 연구 성과가 다수 제출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중국에서 백제사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저변의 확대가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를 통해 완비된 백제사 연구의 토대 위에서 학술적으로 좀 더 정비된 연구 성과의 제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학계가 중국에서 이제까지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 성과를 다시금 정리하는 동시에 향후 이루어질 연구 성과에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하는 이유이다.

      • KCI등재

        연동하는 전쟁, 6세기 삼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위가야(Wee, kaya)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12

        이 글은 ‘연동하는 전쟁’이라는 관점에서 고구려에 대한 대응과 함께 가야지역 진출을 둘러싸고 백제와 신라의 군사협력에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한 6세기 초부터 신라가 가야제국을 모두 병합하는 6세기 중반까지의 전쟁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당시 전쟁의 양상과 각국의 행동을 좀 더 정합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509년 이후 대외진출 정책을 가야지역 진출로 전환한 백제는 512년과 513년에 걸쳐 ‘임나 4현’과 ‘기문·대사’ 방면으로 세력을 확정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백제의 군사 활동은 제한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512년 9월의 고구려 남침이 백제의 전략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었다. 512년 6월 신라의 우산국 정복 또한 백제의 가야지역 진출이라는 정황과 연동하여 진행되었고, 고구려의 남침이 시도될 수 있었던 조건으로 기능하였다. 529년 일본 열도에서 벌어진 ‘磐井의 亂’ 또한 같은 시기 백제와 신라가 시도한 가야지역 진출과 연동하고 있었다. 신라가 가야지역 진출의 경쟁 상대인 백제의 활동을 제한하려는 목적에서 ‘磐井의 亂’에 개입하였다. 실제로 백제는 상대적으로 가야지역에 대한 군사 행동을 자제하고 있었는데, 이는 앞서 말한 신라의 활동과 동시에 고구려의 남침이라는 외부 요인이 백제의 군사 활동을 제한했기 때문이었다. 즉 512년과 529년을 전후한 시점에 벌어진 백제·신라·고구려의 전쟁은 각각의 전쟁이 연동되어 진행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삼국과 가야 왜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제정세라는 관점에서 각각의 전쟁을 단순한 양자의 대립을 넘어 서로 유기적인 상관성을 가진 연동하는 전쟁으로 이해할 때, 전쟁의 양상을 새롭게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onnected wars, this article analyzes the patterns of warfare between Baekje and Silla from the early 6th century, when cracks began to appear in their military cooperation, to the mid-6th century, when Silla annexed all of the Gaya. Through this analysis,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warfare and the actions of each country more coherently. Baekje, which switched its foreign expansion policy to the Gaya region after 509, tried to establish its power in the direction of ‘the four prefectures of Imna’ and Gimun-Daesa between 512 and 513. However, in this process, Baekje’s military activities were limited because the southern invasion of Goguryeo in September 512 was a factor that limited Baekje’s strategy. Silla’s conquest of the ‘Usanguk’ in June 512 was also linked to Baekje’s advancement into the Gaya region and served as a condition for Goguryeo’s southern invasion to be attempted. In 529, the ‘Rebellion of Iwai’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as also linked to the advancement of Baekje and Silla into the Gaya region at the same time. Silla intervened in the disturbance to limit the activities of Baekje, its rival in the Gaya region. In fact, Baekje was relatively restrained in its military actions in the Gaya region because the external factor of Goguryeo’s southern invasion at the same time as the aforementioned activities of Silla limited Baekje’s military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wars between Baekje, Silla, and Goguryeo that took place around the years 512 and 529 can be understood as interconnected wars. In this way, when we understand each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Gaya, and Wa, we will be able to organize the aspects of the war in a new way, beyond the simple opposition of two sides, but as interconnected wars with organic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 KCI등재

        6세기 전반 한반도 남부의 정세와 ‘안라국제회의’

        위가야(魏加耶)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5

        In the early half of the 6th century, Baekje and Shilla began their advances into the Gaya realm. In defending themselves from Goguryeo’s southbound activities, they shared a common interest, but when it came to the issue of advancing toward Gaya, they were competitors. Yet they had to refrain from exchanging blatantly hostile actions, as the Goguryeo threat was also getting worse. In the Nihon Shog i’s “Gyeche-gi” record, there are references which could shed some light upon the situation that was unfolding at the time. Previous studies tended to ignore this record or choose to cite it rather arbitrarily, while in this article it is examined carefully to verify how much of this record we could actually rely on. The record seems rather genuine, so hopefully Baekje and Shilla’s advances into the Gaya realm and the Gaya entities’ responses in the early half of the 6th century could be revealed more vividly by properly examining it. In response to Baekje’s advances into the Gaya region, Gara-guk approached Shilla and sought out for a marital arrangement. Shilla was also concerned about Baekje’s making inroads within the Gaya realm, and in order to secure its own foothold in the Gaya region decided to agree to Gaya’s offer. But when Shilla annexed some parts of the Gaya union, Taksun-guk (one of the Gaya entities) vehemently protested. In response, Shilla declared the marriage alliance annulled and threatened Taksun-guk, which unsuccessfully attempted to defuse the situation with Japanese Wae’s intervention. Later, Shilla tried to seize Taksun-guk with Baekje’s help. In the wake of the Shilla-Baekje allied forces’ invasion of Taksun-guk, an inter-regional conference was held at An’ra(-guk), which was located near the hot zon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Gaya union, An’ra invited Japanese Wae into the equation, and exploited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Shilla-Baekje relationship. The result was a successful convening of an interregional conference, which led to the invasion indefinitely put on hold.

      • KCI등재

        백제 무령왕대 ‘更爲强國’설의 재검토

        위가야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5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ity of “beating Guryeo several times(累破句驪)” and “becoming a strong country again(更爲强國)” recorded in Baekjejeon of Liangshu(梁書). These two phrases have functioned as a premise as well as a result of grasp of the historicity of King Muryeong period.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circumstances provided two results. The first result is that “beating Guryeo several times” is an exaggeration reflecting perception of Baekj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the war against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 In other words, this was mere Baekje’s foreign propaganda. The second result is that “becoming a strong country again” is only an evalu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image of Baekje which was understood by the writer of Baekjejeon of Liangshu. This can also be understood that it is irrelevant to the actual history of King Muryeong period. The first result is that the exaggeration was reflected in the historical records based on the historical subject’s interests. The second result is the altern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by the evaluation of recording subject’s understanding. Considering the research on ancient history of Korea so far,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first on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possibility of second one is also an important task of historical records criticism as well as the first one, and it is a matter to consider along with the work of verifying the original text of historical records and analyzing the compilation process. Researches on Ancient history of Korea has always had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Finding a new way of the research will begin with a new approach to the facts of historical records that have been believed without question. 이 글은 지금까지 무령왕대의 역사성 파악에 결과인 동시에 전제로 기능했다고 여겨지는 『양서』 백제전의 ‘累破句驪’와 ‘更爲强國’이 실제로는 어떠한 역사성을 지니는가에 대해 검토하고,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무령왕대 대외관계를 새롭게 이해하는 방향을 제시하려 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무령왕대 對고구려전의 戰況을 분석하면 ‘累破句驪’는 실상과는 차이가 있는 백제의 인식이 반영된 과장, 또는 대외선전에 불과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更爲强國’은 『양서』 백제전 찬자가 이해하고 있던 백제 역사상에 기반하여 내려진 평가일 뿐 무령왕대의 역사상과는 무관한 것이었다. 이는 ‘更爲强國’을 『양서』 백제전의 원사료였을 『梁職貢圖』 百濟國記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점, 동성왕대 南遷이라는 『양서』 백제전 찬자의 인식 오류가 무령왕대 ‘更爲强國’ 인식으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통해 입증할 수 있다. 즉 전자는 역사 주체의 利害에 따른 과장이 사료에 반영된 것이고, 후자는 기록 주체의 理解에 따른 평가가 사료를 개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고대사 연구를 생각해 볼 때, 전자에 대한 비판적 이해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후자의 가능성 또한 전자 못지않게 사료비판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으며, 사료의 원전을 확인하고 편찬과정을 분석하는 작업과 더불어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늘 영성한 사료의 한계에 봉착하는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은 그동안 별다른 의심 없이 믿어왔던 사료의 실상에 다시금 접근하는 데서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무령왕대 대외관계는 다음과 같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무령왕대 백제는 왜와 신라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로 교섭에 나섰다. 이는 즉위 초 고구려에 대한 공세가 수세로 전환되면서, 백제 혼자만의 힘으로는 고구려를 극복할 수 없음을 다시금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즉 무령왕대 백제가 대외전략의 변화를 통해 모색한 것은 과거 추진했던 왜와 신라에 가야를 포함한 對고구려 공동전선의 재건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역사교과서에 서술된 한군현 내용의 변화과정 검토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 process of contents that describe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of Korean education field and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hange. The examin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show remarkable changes in both amount and content after the History textbook of third curriculum, when the publication system converted from authorized to government-designated system.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 It can be described in two major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reduced as the curriculum developed. The tendency to reduce is also confirmed in the Han Commanderies’ influence and meaning in Korean history. The next characteristic is the attitude of the author of the non-specific and ambiguous description. Such description causes learners’ confusion and violates the description principle of textbooks, which should lead to clear understanding with accurate description. External pressures, not internal changes within the history academia, have influenced this tendency. Problem-posing in the so-called pseudo-history based on the nationalistic perception of ancient history in the 1980s was relatively easy to exert influence on the description of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under the background of government-designated system. Giving validity to this assumption is that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Han Commanderies, which were confirmed after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was converted to authorized system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returned to the tendency to reduce in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ublished after the government-designated system was promoted again in 2015. 이 글은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된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 내용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변화의 배경과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은 교과서 발행제도가 검인정에서 국정으로 전환된 3차 국사교과서부터 서술의 분량과 내용 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경향성이 7차 교과서까지 지속되었다. 그 특징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먼저 차수가 진행될수록 한군현 관련 내용 서술이 축소되었다. 6차에서 이러한 추세가 역전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대체적인 추세는 축소 일변도였다. 서술 분량뿐만 아니라 한군현이 한국사에서 가지는 영향력 및 의미에 대해서도 같은 경향성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이지 않고 모호하게 서술하려는 집필자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 결과 교과서의 본문 서술을 통해서 한군현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서술이 초래할 결과는 학습자의 혼란이며, 이는 정확한 서술로 명확한 이해를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의 서술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상의 경향성에 영향을 끼친 것은 역사학계 내부의 변화가 아닌 외부의 압력이었다. 1980년대 국수적 고대사 인식에 기반한 이른바 재야사학계의 문제 제기는 국정화라는 배경하에 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에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영향력을 끼칠 수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발행 제도가 검인정으로 전환된 이후 확인되는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가 2015년 국정화가 재추진된 이후 발행된 국정교과서에서 다시 과거의 그것으로 회귀한 사실이 이러한 추정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