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난의 일상 속 여성의 국민-되기 : 박완서의 『목마른 계절』과 강영숙의 『부림지구 벙커X』를 중심으로

        우현주 ( Woo¸ Hyun-ju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6

        본 연구는 한국 재난소설 속 재난에 취약한 여성들의 타자화된 삶을 고찰하고 국가 권력과의 길항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재난 공동체에서 여성의 위치, 국민으로 호명된 여성의 역할을 분석하면서 작가의 창작 시기와 연동하여 재난에 관한 작가의 세계관을 함께 탐구해 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여성 인물이 재난의 현실에서 국가 권력과 분투하는 과정이 뚜렷이 드러난 박완서의 『목마른 계절』과 강영숙의 『부림지구 벙커X』를 분석했다. 우선, 재난을 통한 국민/비국민의 재구성 과정에서 『목마른 계절』은 이데올로기를 기준으로 국민의 자격이 부여된다. 전쟁 재난 속에서 여성은 노약자를 위한 생계유지 및 피난과 더불어 남성 가족의 보호까지 책임지는 가부장(家婦⻑)의 역할을 떠맡는다. 이데올로기의 패권과 전쟁의 관습은 권력의 가부장(家父⻑) 형태로 여성을 억압하고 국민 주권을 성찰하는 여성 인물을 비동일적 국민-여성으로 호명한다. 반복되는 재난과 생존의 위협에도 발화의 기회 없이 수난을 당하던 상황에서 정당한 분노로 증언하는 박완서 소설은 공적 역사와 사적 기억의 경계를 허물며 70년대 갱신된 여성 재난 서사로서 누락된 진실을 환기한다. 『부림지구 벙커X』에서는 신자유주의 경제 논리에 의해 낙후된 로컬이 지진 재난 후 폐쇄되면서 해당 지역의 이재민이 오염된 지역-몸-전염의 위험으로 분류되어 경계 밖 국민으로 호명되는 과정이 재현된다. 지진 생존자의 몸에 생체정보인식칩을 삽입하여 개인 정보, 계급, 지위 등을 공적 아카이브화하려는 국가 권력에 맞서 부림시 생존자들은 인간의 취약성과 상호성을 바탕으로 하는 돌봄 공동체로 연대한다. 자매애 가족 형성, 상처입은 동물 보호, 듣기의 윤리를 실행하는 여성 인물은 공적 돌봄을 대체하는 실재의 윤리자이다. 지역 봉쇄로 거주와 이동을 제한하는 국가 권력에 대항하여 지역 공동체 연대는 자발적인 비국민을 선언한다. 이렇듯 재난의 일상 속에서 여성의 위치와 대응 관계를 고찰하면서 권력의 국민 호명에 대항하는 양상의 연구는 재난과 젠더의 현재성을 반추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therized lives of women who are vulnerable to disasters in Korean disaster novels and to explore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state power.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disaster community, the role of women called as citizens, and the author's worldview were studied on Park Wan-seo's The Thirsty Season and Kang Young-sook's Bunker X in Burim District. First of all, The Thirsty Season grants the qualifications of the people based on ideology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citizens/non-nationals through disasters. In the midst of a war disaster, women take on the role of a female head of household responsible for maintaining livelihoods and evacuating for the elderly and protecting male families, but fall victim between national power ideology and social customs. Author Park Wan-seo speaks as a woman's voice with justified anger at a society that does not recognize women who reflect on the true condition of the people as citizens. According to neoliberal economic logic, Bunker X in Burim District was classified as a risk of contaminated area-body-contagion as the underdeveloped city of Burim was closed after the earthquake disaster, and the victims of the area are designated as out-of-boundary citizens. Victims unite as a community of caring against the state power to archive personal information, class, status, etc. by inserting biometric identification chips into the bodies of earthquake survivors. The act of female characters showing sisterly family formation, protecting wounded animals, and listening ethics is a feminine ethics of the real that replaces public care. Kang Young-sook declares a voluntary non-citizen against the state power that restricts residence and movement due to local blockade and presents a solidarity local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disasters. In this way,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correspondence of women in the daily life of disasters, the study of the aspect against the national call of power will b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current nature of disasters and gender.

      • KCI등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수평적 신(新)가족 공동체 형성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를 중심으로-

        우현주 ( Woo Hyun-ju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6 No.-

        박완서의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는 가족 상실의 테마가 종용하는 죄의식과 생존의 논리에 의해 파장되는 개인의 윤리적 책임 사이에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 소설이다. 한국 사회에서 ‘운명공동체’로 각인되던 수직적인 혈연 가족은 실상죄의 공모와 개인에게 내재된 악의 요소를 대속하는 대리물에 의해 유지되는 불완전한 집단의 성격을 띤다. 텍스트 내에서 전쟁에 대한 불안은 아이들의 본능을 악의 존재와 착한 아이 콤플렉스로 이분화시킨다. 오목은 전쟁과 언어폭력의 공모로 인해 가족 내에서 호모 사케르적인 타자로 전락하고 동생을 유기한 수지의 죄의식은 중산층의 빈핍 속에서도 끊임없이 오목과의 인연을 만들며 개인의 윤리를 직시하도록 수지에게 회귀된다. 죄의 공모를 통해 ‘우리’라는 합리화로 의식을 외장했던 인물들은 죄의 대속물을 설정하면서 개인의 윤리에 다가간다. 일남의 친부에 대한 진실, 은 표주박, 고아원으로 대변되는 실재의 파편들은 오목-수지-수철이 처한 상황에서 개인이 직시해야 할 수직적 혈연 가족의 균열지점이다. 인물들이 외면한 진실에 의해 수직적 혈연 가족이 파열되고 죄의 공모에서 벗어나 “1951년의 추위와 그 이상한 허기”가 바로 자신만의 몫임을 깨달은 수지의 윤리에 의해 新가족 공동체의 형성이 가능해 진다. 죽은 오목이 남긴 인재, 일환의 아이들과 수지는 고아들의 집단이자 타자들의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박완서 소설은 혈연과 계층의 폐쇄성이 소거된 상황에서 가족 구성원의 타자성을 인정하는 수평적인 新가족 공동체를 지향한다. The winter was warm in that year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among the dilemma that entirely blockades the individual ethical responsibility that spreads into the logic of survival and compulsion on the sense of guilt that the theme of family loss urges. The vertical blood ties family in the Korean society was recognized as the destiny community. It has the character of the incomplete group maintained by the acting thing redeeming the evil elements immanent in the individual and the conspiracy of the crime. The anxiety on the Korean war divides the children's instinct into the evil existence and good child complex. The O-mok falls as the Homo Sacer in the family due to the conspiracy of the language violence and war. Soo-ji endlessly faces the individual ethics even in the rich life of the middle class due to the sense of guilt of abandoning her brother. Characters who forged the awareness by the rationalization of ‘we’ through the conspiracy of the crime approach to the individual ethics as setting the atonement of the crime. The truth on the real father of Il-nam, silver gourd dipper, and the orphanage as Object a of the Real are the equal spot of the vertical blood ties family that the individual should face in the situation which Omok-Sooji-Soocheol face. The vertical blood ties family bursts by the truth the characters face away. The formation of the new family community becomes possible by Soo-ji who realized “the cold and that odd hunger in 1951” escaping from the conspiracy of the crime. The talented persons Soo-ji and dead O-mok left and Il-hwan's children are the group of orphans and the community of Others. Park's novel pursues the horizontal new family community that admits the Otherness of the family members in the situation that the closeness of the blood ties and hierarchy.

      • KCI등재

        소문의 타자와 정동의 윤리

        우현주 ( Woo Hyun-ju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문학 작품 속에서 서사화된 소문은 그것의 생산자와 대상의 직접적 관계만이 아니라 소문의 전제가 되는 외부 담론과 그것의 의도, 공명-확산-전환에 따른 공동체의 영향 관계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고는 소문 서사에 내재된 사회 메커니즘과 그에 대응하는 주체의 수용 및 타자의 대항 정동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 ‘일하는 여성’에 대한 담론은 여성에게 경제적 의무를 부여하고 절대적인 모성의 표상으로 여성을 공동체에 각인시키면서도 국가 가부장에 의해 여성을 배제하거나 성적 일탈로 공동체를 오염시키는 인물로 그들을 경계하게 만들었다. 박완서 소설 속에서 행상하는 과부나 식모에게 적용된 소문은 이 부분을 정확히 드러내면서 무성화되고 불결한 인물로 그들을 대상화한다. 이후 2000년대에 이르면 자본주의의 일상 속에서 정당한 분배에 대한 담론이 유산, 보상금, 공공 복지에 이르는 불로소득의 개념 속에서 확장된다. 생산성이 부재한 노년의 인물에게 부여된 불로소득으로 인해 대상자는 소문을 통해 반인륜적인 도덕성 결여의 인물로 재현된다. 이렇듯 당대 일상의 지배적 권력 담론은 소문의 공동체에 무의식적으로 내재화되어 지속적으로 공동체의 혐오 감정을 양산하고 이들에 의해 타자로 배제되는 인물들은 인간/비인간으로 대별되며 존재가 부정된다. 그러나 소문의 서사에서 주로 타자로 낙인찍히는 박완서 소설의 여성 인물은 여성성의 가시화, 사랑, 몸의 고통, 감정의 교신이라는 정동의 언어로 공동체의 혐오에 전략적으로 포획되거나 그것을 반향하면서 대항한다. 공동체에서 억압받고 배제된 타자가 자신의 목소리로 소문을 해명하거나 그들의 정동 언어가 공동체에 전이된다는 점에서 박완서 소설은 차별화된다. 무엇보다 박완서 소설의 소문 서사는 소문의 공동체와 대상 타자 사이에 반성적 성찰의 인물을 설정한다. 타자와의 교집합 속에서 중개적 인물들은 타자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자신의 무능을 확인하면서 공동체의 새로운 윤리 재건에 기반이 되는 것이다. 이는 소문의 발화 진원지가 붕괴되는 과정과 그런 소문에 저항하는 타자의 정동 언어가 공명하는 지점에서 공동체의 윤리를 재사유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박완서 소설의 특징을 드러낸다. In literature, rumors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the relations of their producers and objects, but also complex ones, such as external discourse, rumor intentions, and resonance-diffusion-transition. In this study, the social mechanisms inherent in the rumored narrative of Park Wan-seo’s novel,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s acceptance and counter-affect of the other were analyzed. The dominant power discourse in everyday life is unconsciously embedded in the rumor-making community, constantly arousing hate to the other. Characters excluded by community as the other are identified as non-human and denied existence. In general, the other of the novel is suppressed by rumors and excluded from the community. However, Park Wan-seo’s novel is different from other novels in that the other explain the rumors in their own voice and their affective language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ty. Above all, the rumored narrative of Park Wan-seo’s novel establishes a reflective character between the community of rumors and the target other. They listen to the voices of the other and ascertain their incompetence, which is the basis for the renewal of ethic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어문학 : 어머니의 법과 로고스(logos)의 세계 -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엄마의 말뚝1」을 중심으로 -

        우현주 ( Hyun Ju 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박완서 소설에 등장하는 엄마는 아버지에 대한 환상을 소거하고 딸에 대한 교육을 아들과 차별 없이 강행할 정도로 파격적인 가치관을 가진 인물이다. 본 연구는 박완서 소설에서 어린 화자가 어머니를 어떻게 극복하면서 주체로 구성되는가에 대한 정치한 연구를 위해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원용하였다. 클라인은 자아가 ‘좋은 어머니/나쁜 어머니’의 양가성을 배려와 연민의 사랑으로 극복하고 우울적 위치(depressive position)를 성공적으로 통과해야만 주체로서 상징적 질서에 기입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박완서 소설에서 어머니의 법은 단순한 근대적 규율 체득 자체가 아니라 전근대성-박적골-야성의 질서/근대성-문안-문명의 질서 모두에 대한 욕망을 아우른다. 엄마의 생물학적인 몸과 현실의 문화로부터 분화되도록 강요하는 것이 어머니의 법이며 엄마를 향한 복합적인 욕망과 저항충동에도 불구하고 화자는 엄마를 향한 자신의 동일시를 인지한다. 이런 어머니의 법은 화자가 상징계에 이입되기 전겪어야 할 과정 중의 법으로서 가치가 있다. 엄마가 화자에게 강조하는 근대적 신여성은 문밖의 화자가 다가설 수 없는 중심에 위치하며 학교의 규율 체계 또한 일제말기 호전적인 전쟁의 그늘이 드리운 근대의 이면이다. 화자는 어머니의 법이 지닌 타자적 이방의 목소리를 내재화하고 엄마의 양가성과 분투하면서 이를 극복해 간다. 화자에게 지적 호기심의 영역인 로고스적 세계는 할아버지의 덕국물감에서 풍기던 문명의 냄새이자 어머니의 나쁜 젖가슴을 계승하는 오빠의 근대적 지식의 세계를 거쳐 근대적 학교 규율의 질서로 형성된다. 문자적 로고스의 세계이자 아버지의 법인 식민적 학교 규율의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화자는 어머니를 상실하는 모친 살해의 심리적 자유를 경험한다. 이후 오빠의 정신적인 로고스 세계와 동일시하는 화자는 오빠와 같은 이념적 지향을 가졌다는 것에 만족을 느끼지만 오빠 세계의 균열과 더불어 한국전쟁으로 국민을 난민으로 배제시키는 상징질서의 폭력을 경험하면서 타자로 재위치한다. 어머니의 법을 내면화한 화자는 자신이 겪은 ‘벌레의 시간’에 대한 증언자로서의 책무를 느낀다. 어머니를 신화화하지 않고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타자성을 내재한 주체의 예술적 승화로서 박완서 소설은 존재 가치를 갖는다. The mother who appears in the novel by Park wan-seo is different from the mother image who devotes herself to survival when the husband does not exist shown by existing male writers. The mother in Park``s novel is a figure having as sensational values as removing the fantasy on husband and strictly educating her daughter like son. This study focused on this mother-daughter relationship of Park``s novel. For the detailed study on how a young narrator became the main agent overcoming her mother, this thesis tried a new analysis of psychoanalytic viewpoint based on Melanie Klein``s theory. Klein emphasized the ego could reach the symbolic order as the subject only when overcoming the ambivalence of good mother and bad mother by the love of consideration and sympathy and passing the depressive position successfully. The mother``s law in Park``s novel starts from the Seoul living of suburbanite("moonbak") and modern rule acquisition. The mother``s law is the one of process the narrator should undergo before entering the Symbolic, which has the value. The mother bearing the stranger``s voice in the survival world emphasizes the narrator to be a new woman matching the modern school regulations. However, Moonbak``s narrator cannot approach to the center and the school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time was the dark side of modern times teaching the war. While combating this mother``s ambivalence, the narrator overcomes as internalizing the alien voice the mother``s law has. The world of logos is formed as the order of modern school rule passing through the civilization odor from the grandfather``s The German color,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of older brother who connects the bad breast of mother. To enter the world of logos made up of characters, the narrator experiences the psychological freedom of symbolic mother murder. After that, the narrator identified with the brother``s spiritual logos world is satisfied with having the same idea as brother``s one. However, as experiencing the violence of symbol order that excludes the nations as refugee due to the crack of brother``s world and Korean War, she becomes other person again. And the narrator feels the responsibility for testifying the war she experienced. Park``s novel is worthwhile as the artistic sublimation of the subject who understands and considers the mother without deifying her.

      • KCI등재

        주체의 불안과 성장 연구

        우현주(Woo, Hyun Ju)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작가의 원체험이었던 6․25가 한승원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재현될 때, 우리가 주목할 것은 원체험 자체의 실제성이 아니라 그것이 재현되는 방식이다. 본고는 작가체험의 사후성의 논리로 설명되는 1970년대 후반 작품인 연작 『안개바다』의 「석유등잔불」(1976), 「안개바다」(1978), 「꽃과 어둠」(1979)를 중심으로 주체의 불안과 성장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소설들에서 한승원은 전쟁의 폐해를 직접 드러내기보다는 폭력적인 전후 현실이 인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묘파하면서, 그 안에서 삶을 이어가는 주체의 모습을 통해 불안의 문제에 천착해간다. 텍스트 내에서 불안의 심리는 주체와 타자가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그 안에서 욕망과 향락의 발현과정을 추측해 보는 것은 기존의 논의에서 더 나아가 한승원 텍스트를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안개소설』의 연작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심리적인 불안을 극복하고 주체의 성숙에 이르는 성장소설의 면모를 보여준다. 연작소설 『안개바다』의 「석유등잔불」과 「안개바다」에서 주인공 식의 가족은 ‘반동자’로 낙인찍혀 공동체에서 배제된다. 반동자의 정체성을 확인 받을 때마다 식은 전형적인 신호불안의 증후를 보인다. 식의 불안은 이데올로기를 선택하지 못하는 아버지로 인해 거세위협에 직면한 ‘죽음’이 근저를 이룬다. 상징적인 아비부재로 말미암아 식은 인공치하나 경찰치하에서 울력에 동원되면서 ‘어른-되기’를 강요받는다. ‘어른-되기’로 인해 전쟁의 현실에 직접 노출되는 식에게 세계는 자아를 밀어내고 소외시키는 공간으로 인식된다. 연작 『안개 바다』에서 식이 겪는 역사적 현실의 서사 축을 지연시키는 것은 성적인 체험이다. 어린 주체에게 성적인 욕망은 호기심과 함께 타자에 의해 타율적으로 접하기에 자연스럽게 욕망을 통제할 기회를 박탈당하고 타자의 욕망에 흡수될 위험을 느끼게 한다. 이때 주체를 불안을 떠안기 위한 시도로 내재된 초자아를 소환하거나 스스로 상황의 진행을 차단하기 위해 애쓰게 된다. 주체는 불안을 받아들임으로써 완벽한 향유를 포기하고 결여를 받아들이며 분열된 주체($)로 이행하게 된다. 식이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는 과정은 꿈을 통한 간접 체험으로 드러난다. 현실에서 죽음을 목격한 식은 꿈속에서 죽음과 재회한다. 입사식과 같이 물속에서 죽음을 체험하고 깨어난 식의 상태는 키르케고르의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시련과 고난의 상태인 ‘꿈꾸는 상태’와 동궤를 이룬다. 성과 현실 세계의 애도를 거치면서 성숙을 향해 나아가는 식은 차츰 이데올로기의 선택에 따른 책임을 깨달아간다. 아울러 그를 불안하게 했던 아버지를 이해하면서 부정했던 부권의 권위를 회복해 나간다. 오이디푸스적 질서를 회복해가는 식의 깨달음은 상징계적인 질서로의 진입을 의미하며 인물의 성장을 보여준다. When 6․25, in which author’s original experience, keeps reappearing in Han seung won’s novel, the thing we have to pay attention to is not the reality of the original experience of 6․25 but the way of reappearing 6․25 in his works. The manuscript is looking into the anxiety and the maturity of the subject from the work of the late 70’s series of novels 『a sea of fog』, 「a lamplight of petroleum」(1976), 「a sea of fog」(1978), 「flowers and darkness」(1979), in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author’s post traumatic experience. In these novels, Han seung won is describing indirectly how the violent postwar days can affect the character rather than displaying directly as to the bad effect of the war. Han seung won is also attempt to approach the anxiety of the character’s within. The psychological anxiety in han seung won’s novels, is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others. When desire and pleasure revealed within his work, those can provide us an opportunity to study Han seung won’s work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e series of novels of 『a sea of fog』shows the aspect of Bildungsroman which depicts the overcome of anxiety toward war and how to come to maturity of the protagonist. From the series of novels 『a sea of fog』, 「a lamplight of petroleum」, 「a sea of fog」, the main character Sik and his family were branded as reactionist and removed from the community. Whenever he realize his true identity as a reactionist , he shows the symptoms of signal anxiety. Sik’s fear lies in ‘death’ facing castration because his father could not choose ideology. The back room which appears through out the series of novels, was used as a shelter for all fathers from the peasant’s revolt in 1886, compulsory draf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to 6․25 Korean civil war. Dun to the absence of a symbolic father figure, Sik was forced to be treated as ‘to become’ which is the term used by Gilles Deleuze(French Philosopher) by forced labor under the rule of communism and police. Little Sik was placed in the fear of death because of his father’s social standing (a village headman whil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and his brother in law who was a member of the people’s party. In a situation of being questioned often about his father and brother in law and a series of repeated traumatic injuries, Sik becomes so insecure of unknown uneasiness toward other’s desire and helplessness of being excluded from the community that he takes cognizance of the world as a place of pushing out and alienating his ego. In the series of novels, 『a sea of fog』, having sexual experience with sister Soon-Yi makes sik becomes aware of sex. It is a moment that sik feels sexual desire and guilt at the same time. To have a sexual desire along with curiosity for sex could make an immature subject to feel rather difficult to control his passions and possibly in danger to be assimilated into other’s desire. In order to embrace the subject’s anxiety, the protagonist tries to summon superego or to stop the progress of a situation. The subject disrupted by accepting the anxiety and the perfect enjoyment. Consequently, the subject can go into the symbolic system. This particular process is well depicted in the last part of the series in 「flowers and darkness」 The separation between sister Soon-Yi and sik can be symbolized as the fog of sea in hanul-jae. As metonymy of sea , the fog contains the sound of agonizing pain of life and war. After the separation from the painful reality, Sik as though gone through the initiation rite, starts to consider death in positive perspective through his sister’s resurrection in his dream. The mourning work through his sister means farewell to the violent masculine order and the distorted sexual experience from war. The core of Sik’s psychological anxiety(Death) becomes brightly overturned, the s

      • KCI등재

        기성시가지 상업가로 환경개선을 위한 주민협정 가이드라인의 보완방향에 관한 연구 : 한·일 주민협정 가이드라인 사례의 구성체계 및 규정항목 분석을 중심으로

        우현주(Woo Hyun-Joo),김상희(Kim Sang-Hee),김주현(Kim Ju-Hyun),이정호(Lee Jeong-Ho) 한국주거환경학회 201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ompositional systems and properties of commercial street resident agreement guidelines in Korea and Japan. Based on analysis findings, then, this study suggested how to complement the domestic resident agreement guidelines and extracted implications for drawing up and managing resident agreement guidelines to repair and revitalize commercial streets in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information required for implementation of agreement and contents about a form of agreement should be added, when establishing commercial street resident agreement guidelines. Second, terms that are easy for residents to understand have to be used, and a way of organizing the agreement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readability. Third, concrete examples or quantitative values need to be suggested for important regulations in various cases of agreement, and normative items that aren't handled in the existing guidelines should be remedied. Lastly, regulations requiring deliberation or discussion of a consultative group of residents have complemented procedures and method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projects.

      • KCI등재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Pioglitazone을 봉입하기 위한 PLGA 나노입자 제조 및 분석

        우현주(Hyun Ju Woo),김진수(Jin Soo Kim),김준기,너루바리(Nurunnabi),허강무(Kang Moo Huh),조광재(Kwang Jae Cho),이용규(Yong Kyu Lee) 한국고분자학회 2010 폴리머 Vol.34 No.6

        Pioglitazone을 봉입한 poly(lactide- co-glycolide) (PLGA) 나노입자를 emulsion -evapo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최적의 나노입자와 봉입률을 조절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125-170 um이었으며 30% pioglitazone이 봉입된 나노입자(3% PYA)의 봉입률은 85% 이상이었다. 이러한 나노입자들은 40일 동안 일정하게 용출이 되었다. 당뇨병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글루코오스 농도를 저하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직검사에서는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ioglilazone 경구투여를 위한 약물전달을 위한 운반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ioglitazone loaded poly(lactide-co-glycolide) (PLGA) nanospheres were prepared by emulsion-evaporation method and optimized for particle size and entrapment efficiency. The optimized particles were 125-170 nm in size with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showed above 85% entrapment efficiency at 30% of pioglitazone loading when prepared with 3% w/v of poly (vinyl alcohol) (PVA) as a surfactant. These particulate carriers exhibited a controlled in vitro release of pioglitazone for 40 days at a nearly constant rate. The pioglitazone loaded PLGA nanospheres were not only effective to reduce the blood sugar level of diabetic rats but also non-toxic for the animal body. in particular for sensitive organs like kidney, liver. heart, lung and sple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GA nanospheres have a great potential for oral delivery of pioglitazone.

      • KCI등재

        체험적 환경조성을 통한 교육적 전시 콘텐츠로서의 생태박물관 인터랙티브 미디어 전시물 연구 -<Touch Touch Bugs>를 중심으로-

        한다희(주저자) ( Dahee Han ),우현주(공동저자) ( Hyun-Ju Woo ),김경아(공동저자) ( Kyung-A Kim ),이현승(공동저자) ( Hyun-Seung Lee ),이현진(교신저자) ( Hyun-Jean Lee ),전수진(교신저자) ( Soojin J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전통적인 전시 연출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국내 생태박물관들을 타겟으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흐름에 맞춰 현대적 연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생태박물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생태박물관의 현황을 분석하며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물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러한 제안의 형식으로 프로토타입 전시물 작업<Touch Touch Bugs>를 제작한다. 이 작업은 생태박물관에서 전시되는 자연물 중 하나인 곤충이 생태 환경에서 성장 단계에 따른 정보를 자연 환경안에서 체험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패드 기반의 게임과 월 디스플레이 두 가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은 일방적 전시물 형태를 벗어나 전시 관람자들로 하여금, 정보에 대한 이해와 학습을 함께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유도하며 보다 흥미롭게 이끌고 생태적 환경과 생명체에 대한 유기적 이해를 돕게 하여 박물관에서의 자유로운 학습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interactive media installations of ecological museums. Particular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omestic ecological museums and how each museum develop its artefact contextually. The first two chapters sho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ubjec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for methodological approaches using interactive media and then analyze several good artefact examples from overseas museums. From this process, we found that modern digital and interactive media production can enhance its exhibition experience. Based on this theoretical studies, in the next chapter, we propose a prototype work of the ecological museum artefact, <Touch Touch Bugs>. This work provides the knowledge of bugs`` life and their ecological environment. Composed of two media interfaces, a game on touch-pad and a related background moving image on a wall-display, this work is to presenthow bugs live throughout their growing stages and in the optimized natural environments. Visitors may access to interactive experience through this artefact in the exhibition and this could help them understand their ecological environment and living organisms, thereby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ecologies around our living world.

      • KCI등재

        여대생을 위한 직장적응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우현주(Woo Hyun-ju)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preparing women college students to adapt for their future place of work. In order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survey, qualitative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performed. Based on careful analysis, program has developed as follows : 1) Primary contents were organized orientation for ice-breaking, understanding self,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training problem solving ability, cultivating active & positive attitude, and reflecting one's learning outcomes. 2) Educational methods were focused on participation, sharing, and reflection. This educational program showed us proper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woman resource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