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세인하의 총요소생산성(總要素生産性) 효과 : 중국 제조업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우지에 ( Wu Jie ),허찬국 ( Huh Chan-guk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8 국제통상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1998년~2007년 기간의 중국 통계청 『공업기업 데이터 베이스』의 제조업 기업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품관세(Output Tariff)와 투입품관세(Input Tariff)의 인하가 개별 기업의 총요소생산성(TF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국은 WTO 가입 이후 적극적으로 관세인하를 추진한 결과 대부분 품목의 세율이 낮아졌고 산업 간 세율 격차도 줄어들었다. 둘째, 전 기간 생산성 연평균 증가율이 3.2%이며 여기에 기업내 효과가 56%를 설명하며 전체 생산성 증가에 제일 크게 기여하였다. 셋째, 산출품 관세율 및 중간 투입품 관세율이 낮을수록 개별 기업의 TFP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입품 관세율의 인하효과가 산출품관세율 인하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즉, 간접적 경쟁압력 경로로 작용하는 산출품관세의 인하효과보다 투입품 관세율이 인하로 인한 직접적 투입비용 절감효과가 중국기업의 TFP 증가율에 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ariff red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irm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We define two variables, named input tariff rates and output tariff rates to characterize the tariff level. The output tariff rates are calculated by using highly disaggregate products, and further the input tariff rates are calculated based on input-output table. And then conduct an empirical study by using firm level panel data on Chinese manufacturing during 1998-2007 perio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a has actively promoted tariff reductions to fulfill its commitments to the WTO. Tariff rates for most products have been reduced and the rate gap between industries has also been reduced. Second, the TFP growth per year is about 3.2% on average, among which the with-in effect contributes 56%, the largest to productivity growth. Third, import tariff reductions has significantly promoted increase of Chinese manufacturing firms’ productivity, and the cost saving effect of input tariff reductions appears to be greater compared to the competition effect caused by output tariff reductions.

      • KCI등재

        모형에서 추정된 한류 대리변수와 소비재 수출과의 관계 분석

        우지에(Jie Wu),허찬국(Chan-Guk Huh),손복래(Fulai Sun) 한국경제연구학회 2016 한국경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새로운 방법으로 한류 효과를 추정하여 한국의 소비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 단계에서 50개국을 대상으로 한국으로부터의 화장품 수입이 각국의 전체 화장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한류의 대리변수를 도출하였고, 다음 단계에서는 추정된 한류 효과 대리변수를 소비재 수출을 종속변수로 하는 중력모형에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2006~2014년 동안 50개국에 대한 세 종류 소비재(직접소비재, 내구소비재, 비내구소비재) 수출의 연간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력모형을 추정한 결과, 한류가 소비재 수출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아울러 소비재 수출의 분포가 지역적 · 국가별로 현격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류 진출에 비해 내구소비재 수출이 동아시아 인근 국가에서 모형의 예상에 못 미치고 있어 민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s a Hallyu effect proxy variable estimated from a simple gravity model to quantitatively assess its effects on Korea’s consumer goods exports to 50 trading partners using annual data from 2006 to 2014. In the first stage estimation, a simple gravity model in which the ratio of cosmetic products imports from Korea to the total cosmetic imports of each of 50 countries i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iduals from the first stage are interpreted as the proxy for the country specific Hallyu effect. In the second stage, a more fully specified gravity model for consumer goods exports are estimated, using the Hallyu proxy as an explanatory variable. We fi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the Hallyu proxy variable on Korea’s consumer goods exports. We also find that the level of Korea’s exports of durable consumer goods to East Asian trading partners have been below what the model would have projected. Efforts by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to close this gap are recommended.

      • KCI등재

        한국 제조업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관세인하의 총요소생산성 효과 분석

        우지에(Jie Wu),허찬국(Chan-Guk Hu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8 한국경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관세율과 기업 단위 총요소생산성(TFP)의 관계를 1995~2014년 『광업제조업조사보고서』에서 구축한 사업체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무역과 산업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품관세율과 투입품관세율, 그리고 사업체 단위의 자료를 사용하여 TFP를 계산하여 분석에 사용했다. 분석 결과 두 종류의 관세율 인하는 기업의 TFP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관세인하의 긍정적 효과는 300인 이상의 사업체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당 부가가치로 측정한 노동생산성에도 TFP의 경우와 같이 관세인하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추정치에 따르면 10%p의 관세인하는 TFP를 7%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전체 사업체의 결과에 비해 300인 이상의 경우 관세인하 효과는 약 두 배 정도 크고 투입품 관세인하 효과가 산출품 관세의 경우보다 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ariff reduction on firm level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using the manufacturing sector plant level panel data of Korea from the 1995~2014 period. We derive input and output tariff rates linking international and Korean commodity and industry data, and input-output tables. Two firm level TFP measures are used. We found that input and output tariff reduction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ncreases of manufacturing firms’ productivity, both TFP and labor productivity. A 10%p fall in tariffs would raise TFP by 7%. This magnitude is close to the findings of key preceeding studies. Additionally, we found input tariff reduction to have a bigger positive effect than an equal output tariff reduction for plant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