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 요소를 기반으로 한 이동도서관의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우정숙,전양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Recently, the number of mobile libraries has been increased and the number of mobile libraries has been increased so that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library can easily enjoy culture anywhere in the underprivileged, mountain books, or urban areas.,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mobile libraries are mainly on the status of library, actual use,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experience and spatial production in mobile library space.,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and function of mobile library to investigate how spatial direction based on experiential elements is applied to mobile library through case analysis, reconstructs the spatial direction characteristics of mobile library introduced with experience based on experience elements of Pine & Gilmore, and selects and analyzes 8 cases of experience elements and spatial direction applied to mobile library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entertainment experience factors were strong both at home and abroad in the experience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s except Goyang city were evenly strong or normal.,In terms of escape from reality, weakness level was shown in the rest except for Mexico strength, Goyang, Hanam and Netherlands, and aesthetic experience factors were also weak in the rest except Germany., In space production, mobility and variability were all strong in other places except Bucheon and Yangsan, and in the complexity part, strongness or normal level was shown in places except Bucheon and Yangsan., In the part of synesthetic, Bucheon, Yangsan, and Germany showed strong levels of strength in Mexico and Yangsan in the last event., In other words, in the experience factor, if domestic entertainment and education were somewhat stronger than overseas, it was confirmed that overseas was stronger in space production. 최근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이 지역의 소외계층, 산간도서 또는 도심 어디에서나 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도서관의 수를 늘리고 찾아가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동도서관의 선행 연구는 주로 도서관 현황 및 이용실태와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이동도서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체험 및 공간연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체험요소를 기반으로 한 공간연출이 이동도서관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를 사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이동도서관의 개념과 기능을 정리하고, Pine & Gilmore의 체험 요소를 바탕으로 체험이 도입된 이동도서관의 공간연출 특성을 재구성을 하고, 체험 요소와 공간연출이 이동도서관에서 적용된 사례를 국내외 이동도서관 8곳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험요소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체험요소가 국내외 모두 강하게 나타났으며, 고양시를 제외한 교육 체험요소 또한 고르게 강함 또는 보통 수준이 나타났다. 현실도피 측면에서는 멕시코 강함, 고양·하남·네덜란드를 제외한 나머지 곳에서는 약함 수준을, 미적 체험 요소 또한 독일을 제외한 나머지 곳에서 약함 수준이 나타났다. 공간연출에서는 부천, 양산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 이동성, 가변성 모두 강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복합성 부분에서는 부천·양산을 제외한 곳에서는 강함 또는 보통 수준이 나타났다. 공감각성 부분에서는 부천·양산·독일이 강함 수준이 마지막 이벤트성에서는 멕시코·양산이 강함의 수준이 나타났다. 즉, 체험 요소에서는 국외보다는 국내가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측면이 다소 강하게 나타났다면, 공간연출에서는 국외가 강함이 나타났다.

      • KCI등재

        챗봇서비스 캐릭터의 시각적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우정숙,편정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2 No.-

        In the recent mobile market, messenger-based SNS, an ICT platform that lea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changing and growing with superior usability and convenience. Chatbots are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communication software that finds information and services that people need in the right place. In particular, the messenger-based chatbot service is emerging as a new ICT convergence service alternative for the vast app market, which is saturated in the future, as you can receive the desired service by sending a message without having to install a new app or learn the skills necessary to use it. On the other hand, characte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recognize and easy to remember due to their visual characteristics. It is not just a visual image, but a unique personality and image, and plays a role of self-expression, replacing not only the external aspect of the user, but also the emotional aspect. This study categorizes the expression types of chatbot service characters by industry to examine the expression types of messenger-based chatbot service characters, and analyzes a total of 56 chatbot service characters that have been released or used for 3 years from 2018 to 2020. I tried to derive it. As a result, realization was higher than simplification with 41.0% of simplification and 58.9% of realization, which were the expression methods. It was higher than other figures, animals, and robots. In the case of the computer graphic type, the 2D planar type was 78.5% and the 3D solid type was 21.4%, which was higher in the 2D planar type than the 3D stereoscopic type. This provides basic data on how to express characters in future chatbot services and suggests design directions. 최근 모바일 시장에서는 4차산업혁명을 이끄는 ICT 플랫폼인 메신저 기반의 SNS가 뛰어난 사용성과 편리성을 앞세워 급 속히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다. 챗봇은 인공지능(AI)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로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서비 스를 적재적소에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메신저 기반의 챗봇서비스는 새로운 앱을 깔거나 사용에 필요한 기술을 배울 필요 없이 메시지만 보내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향후 포화상태에 이른 방대한 앱 시장의 새로운 ICT융합서비스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캐릭터는 시각적인 특성상 인지가 쉽고 기억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히 시각적 이미지가 아닌 독특한 성격과 이미지가 부여된 존재로 시각적 측면뿐만 아니라 감정적 측면도 존재한다. 오늘날 캐 릭터는 사용자의 외적인 측면뿐 아니라 감정적 측면을 대신하는 등 자아표현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어 더 쉽게 공감하고, 사용자의 경험 속에 녹아 들어 캐릭터가 가진 친밀감과 신뢰도는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빠르게 관계를 맺고 동화되는 특징 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메신저 기반의 챗봇서비스 캐릭터의 시각적 표현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챗봇서비스 캐릭터의 표 현 유형을 산업별로 분류하고 2018년에서 2020년까지 3년간 출시 또는 사용되고 있는 총 56개의 챗봇서비스 캐릭터를 분 석하여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현방법인 단순화 41.0%, 사실화 58.9%로 사실화가 단순화보다 높게 나타났 으며, 소재 및 형태 유형에서는 인물형 16.0%, 동물형 23.2%, 로봇형 23.2%, 융합형 48.2%로 융합형태가 다른 인물형, 동물형, 로봇형 보다 높게 나타났다. 컴퓨터그래픽 유형의 경우, 2D 평면형이 78.5%, 3D 입체형이 21.4%로 2D 평면형이 3D 입체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챗봇서비스의 캐릭터 표현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기반의 학습 앱 사용자경험(UX)이 만족에 미친 영향과 시스템 품질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우정숙,전양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8 No.-

        As the use of learning apps using mobile-based device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 etc.) increases, many learning contents are being implemented in mobile environments (app stores and Google Play).However, the growth of the smartphone market has become the basis for using various mobile apps, but on the other hand, indiscriminate distribution leads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app,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the app user experi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influence of user experience and quality of mobile-based learning apps on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user experience, quality, and satisfaction for 100 male and female employees and college students who have mobile-based learning apps. And the effect of user experience and quality on satisfaction was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analysi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As a result,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based learning app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the system qual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user experienc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모바일 기반의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PC 등)들을 이용한 학습 앱 사용이 늘어나면서 많은 학습 앱 콘텐츠가 모바일 환경(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에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다양한 모바일 앱을 사용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유포가 앱의 품질 저하로 이어져 앱 사용자경험의 만족 및 품질에 대한 관심 과 평가가 주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학습 앱의 사용자경험과 품질이 사용자만족과의 구조 및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먼저, 기존 문헌 과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모바일 기반의 학습 앱 경험이 있는 남녀 직장인 및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사 용자경험, 품질, 만족에 관한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각각 측정 변수들의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분석을 통해 사용자경험과 품질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기반의 학습 앱 사용자경험이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경험이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시스템 품질이 매 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Achromobacter sp. YJ-66가 생산하는 생물응집제의 성분 특성

        우정숙,정준영,도대홍,조재민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0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4

        Achromobacter sp. YJ-66가 생산한 미생물 응집제의 정색반응 실험 결과, 단백질과 아미노당을 포함하지 않는, 환원당을 구성단위로 다당성 응집제로 조사되었다. 생산 응집제의 구성당의 종류를 검토하기 위한 TLC 및 HPLC 분석 결과, fructose와 glucose로 1:2.4의 몰비로 검출되었다. 한편 분자량 측정 결과, 약 9×10 exp (5) dalton으로 추정되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carbon 37.72%, hydrogen 5.37%, oxygen 56.89%로 조사되었다. Infra-red(IR) spectroscopy 결과, 3,400 cm^-1 부근에서 다당류의 전형적인 O-H stretching 흡수 peak를 나타내었고, 2,900 cm^-1에서는 C-H stretching 흡수 peak를 나타냈다. 한편 정제 응집제의 구성당을 검토하기 위한 NMR 분석 결과, glucose의 고리구조를 이루는 탄소에 의한 peak와 fructose를 구성하는 탄소에 의한 peak를 60-100 ppm 부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Achromobacter sp. YJ-66가 생산하는 생물 응집제는 지금까지 보고된 미생물 응집제와는 다른 새로운 응집제인 것으로 생각된다. To develop biodegradable and safe flocculant, Achromobacter sp. YJ-66 were isolated from soil. The purified flocculant was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in an approximate molar ratio of 1 : 24. Molecular weight was approximately 9×10 exp (5) dalton by Sepharose CL-4B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Element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tnents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were 37.72%, 5.37% and 56.89%,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O-H stretching, C-H stretching, carboxy ester and C-H bending were confirmed by IR absorption spectrum analysis. We suggest that a bioflocculant produced from Achromobacter sp. YJ-66 is new and different from other bioflocculants.

      • SCOPUSKCI등재

        Achromobacter sp. YJ-66에 의한 생물응집제의 생산 특성

        우정숙,정준영,정만재,도대홍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7 No.6

        자연계로부터 응집제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Achromobacter sp. 로 동정 되었다. 분리균에 의한 응집제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을 겸토한 결과 탄소원은 2% sucrose로 응집제 생산에 탄소원이 필수적인 성분이었다. 한편 무기 및 유기 질소원의 조사 결과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응집활성은 715 unit, 가장 우수한 질소원으로 조사된 peptone 첨가시에는 865 unit로 응집활성이 증가하였으나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적 탄소원 첨가농도에 대한 질소원의 첨가농도를 C/N 비에 의해 조사한 결과, C/N비 30일 때 가장 우수한 응집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질소원 첨가 농도는 0.067%였다. 또한 최적 무기염류 및 첨가농도를 조사한 결과, MgSO_4 첨가로 응집활성이 약 98 unit에서 약 830unit로 크게 증가되어 응집제 생산에 필수적인 것으로 추측되며 KH_2PO_4의 첨가에 의해서도 응집제 생산이 촉진되었다. 따라서 Achromobacter sp. YJ-66에 의한 응집제 생산은 sucrose 2%, peptone 0.067%, MgSO_4 0.1 %, KH_2PO_4 0.1%의 배지를 pH 7.5로 조절한 후 30℃에서 72시간 배양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mong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YJ-66 strain was the best producer of flocculant and was examined for flocculating ability in the active carbon and CaCl_2. YJ-66 strain was identified to be a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chromobact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 for production of bioflocculant with the isolated strain was for 72 hrs at 30℃ and pH 7.5. The favorable carbon, nitrogen sources and inorganic salts for production of the flocculant were sucrose, peptone, MgSO_4 and KH_2PO_4, whose optimal concentrations were 2%. 0.067%, 0.1% and 0.1%, respectively. Addition of the carbon and inorganic sal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flocculant. Compositions of optimized culture medium for bioflocculant production by Achromobacter sp. YJ-66 were 2% sucrose, 0.067% peptone, 0.1% MgSO_4 and 0.1% KH_2PO_4 in initial pH 7.5 during at 30℃ for 72 hrs.

      • 體育活動이 人體成長에 미치는 影響

        禹貞淑 德成女子大學校 1972 德成女大論文集 Vol.1 No.-

        The interrelationship of structure and function has been of concern to scientists for many years. A number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unravel this relationship and to determine the primacy of structure of function.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No student of physical growthcan ignore the umportant function of heredity in detemining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 evidence supporting the vital role or function of exercise in optimum development is steadily accumulating. From conception on heredity and evironment interact to shape the individual. 2. Experiences immediately after birth influence later behavior. Exercise of all sensory and neuromuscular functions is essential for so-called normal development. 3. Grwth in physique and in physical abilities occurs Simultaneously, but exercise is certainly a limiting factor in increase in abilities. Physique appears to limitphysical performance but in turm influenced to some extend by the amount and the type of exercise performed. 4. Desirable changes in bones, connective tissues, fat, and musculature occur as a result of exercise. These nchagesare not necessarily permanent but are dependent upon continued activity. More lasting changes in structure almost cercertainly result from long continued specialization. 5. Exercise, then, stimulated growth of body and makes the individual stronger and more capable of efficient function.

      • KCI등재

        실증형 광고 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조절모드의 조절효과 연구

        우정숙,장동련,여준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광고의 소구 유형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그 방식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 중 실증형 광고 소 구는 제품이 다른 제품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실제 증명해 보여주는 광고 소구로써 실무에서 많이 활용되어지 고 있는 유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실증형 광고 소구와 관련된 다양한 효과를 다룬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 이며, 다른 변수에 의한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증형 광고 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소비자의 개인차 변수의 하 나인 자기조절모드를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상 광고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실증적 소구 유무(실증/비실증)가 광고 태도, 제품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조절모드 유 형(평가지향적/행동지향적 모드)이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광고 태도는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 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제품 태도에서도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한계 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구매 의도는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증형 광고 소구의 효과가 자기조절모드라는 개인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 써 광고 실무자에게 제품 광고의 제작 시 표적 소비자의 개인성향 파악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pproaches and methods of advertising appeals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Among them, demonstrative appeal is one of largely applied appeals in the field which can actually demonstrate the winning point of target compared to other products. However, there are less researches about demonstrative advertising effect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through other variables. Therefore our study aims to address the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ory mode a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towards the influence of demonstrative appeal on consumer attitudes. We investigate, specifically, on the moderation effect of regulatory mode(assessment vs. locomotion) in the influences of appeal type(demonstrative vs. non-demonstrative) on ad.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we fou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ppeal type and the regulatory mode on ad. attitude, also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m on product attitude. There is, however,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finally, provides an evidence that the demonstrative appeal effects could be moderated via self-regulatory mode as an individual chronic tendency, which can give managerial implications to ad. practitioners fo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arget consumers’ individual dispositional differences when creating the 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