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기숙 『녹두장군』의 민중 역량 조직화 양상 고찰

        우수영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The goal ot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ystematization of the power of the people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ntity of the people, the mutual relation of the people and how to systematize their power. This study starts with the different sight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that focus on the people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The narration of Song Gi-suk's 『General Nokdu』 places the people on the center, but it informs the man who systematizes the power of the people. The man is the leader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bove all Jeon, Bong-jun who understands the power of the people. The systematization of the power of the people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is disscussed in the Samlae mass meeting, the secret in Maitreya, the funeral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nd the signal fire of the Baisan. The Samlae mass meeting for the Leader of Identity acts as to bring Jeon, Bong-jun to the wise leader. Donghak Peasantry Military mass meeting acts as to systematize their power. The secret in Maitreya acts to rise the status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nd the funeral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cts to form a whole them. Finally, the signal fire of the Baisan acts to give the hope to Donghak Peasantry Military, in the other words the people. The hope for the people is the wise leader, Jeon, Bong-jun.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the people are in the center of the narration. Nevertheless, the great man who systematize the power of the people is Jeon, Bong-jun. 본 글의 목적은 송기숙의 『녹두장군』에 등장하는 민중들의 잠재된 역량이 어떤 과정을 통해 조직화 되어 가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그 고찰 과정에서는 먼저 민중의 정체와 그들 상호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사 속 사건과 놀이, 전쟁 상황 등에서 발생되는 민중 역량 조직화 양상에 주목하였다. 본 논의는 송기숙의 『녹두장군』에서는 작품 제목과 달리 녹두장군 전봉준에 주목하기보다 전쟁의 주체 민중에 주목해야 된다고 하는 기존 논의들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출발하고 있다. 『녹두장군』의 서사는 전쟁 주체로 민중을 서사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있지만, 뜬구름 같은 민중들을 조직화하여 그들의 잠재된 역량을 발휘하게 하는 인물의 존재 역시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포괄적으로 그 인물은 동학의 두령들이고, 그 중에서도 전봉준은 민중의 잠재된 역량을 잘 파악하고 조직화된 분출로 이끌어 가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녹두장군』의 서사에서 보이는 민중 역량의 조직화는 교조신원을 위한 삼례대회, 두령회의 등의 이성적 역량 조직화와 미륵 비결 사건, 농민군 장례식, 농민군 백산 진영의 봉화 등의 감성적 역량 조직화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국 송기숙의 『녹두장군』은 서사를 이끌어 가는 중심축에 민중을 위치시키고 있지만, 민중들의 소같은 우직한 마음을 잘 파악하고 사건이나 전쟁 상황을 통해 이성적으로 또한 감성적으로 그들의 역량을 조직화 해나간 주체는 전봉준임을 드러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주거 공간의 탄생과 주체의 변이 -이효석의 <화분>을 중심으로-

        우수영 한국어문학회 2023 語文學 Vol.- No.159

        In the 1930s, under the arrangement of modern Joseon, there are two great series: the body that must survive in the gloomy reality and the spirit that moves toward the ideal beyond the gloomy reality. In this paper, I paid attention not to the act of sexual play that appeared in Lee Hyo-seok's (1907-1942) novel Hwaboon(花粉) , but to the arrangement and series that generate the play. In the 1930s, Joseon showed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to modern residential space. The spatial movement of the subject of Hwaboon(花粉) is between Hyeonma's Blue House, Danju's Apartment, and Jukseok Couple's villa. Modern residential spaces such as Blue houses, Apartments, and Villas are anti-traditional and closed spaces that enable individual-centered activities. In an unfamiliar modern residential space, the subject connects with desire and proceeds to new creation and various mutations. The author's aesthetic sense that all flowers and subjects are equally beautiful and have their own differences is concretely embodied in Hwaboon(花粉) . Furthermore, in Flowerpot , it can be seen that the author Lee Hyo-seok gives ultimate beauty to the Subject who overcomes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leaps toward the completion of art, and heads for Harbin through 'connection' located between the new and the old. there is. 1930년대 근대 조선이라는 배치 아래 암울한 현실에서 생존해야만 하는 육체와 암울한 현실을 벗어나 이상을 향하는 정신이라는 거대 두 계열이 자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효석(1907-1942)의 1930년대 장편소설 화분(花粉) 에 등장하는 성적 유희라는 행위가 아니라 그 유희를 발생시키는 배치와 계열에 주목하였다. 1930년대 조선은 전통 주거 공간에서부터 근대 주거 공간으로의 전이를 보인다. 화분 의 주체가 보이는 공간적 이동은 현마 푸른집, 단주 아파트, 죽석 부부 별장 사이를 오가고 있다. 푸른집, 아파트, 별장이라는 근대 주거 공간은 개인 중심의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반전통적이며 폐쇄적 공간이다. 낯선 근대 주거 공간 속 주체는 욕망과 접속하면서 새로운 생성과 다양한 변이로 나아간다. 모든 꽃과 주체는 동등하게 다 같이 아름다우며 각자의 차이를 지니고 있다는 작가의 미의식은 화분 에 와서 구체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더 나아가 화분 에서 작가 이효석은 새로움과 낡음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을 통해, 식민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고 예술의 완성으로 도약하며 하얼빈으로 향하는 주체에게 궁극의 아름다움을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Influences of Environmental Gradients on the Pattern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Tree Age Distribution in the East Side of Cascade Range, Washington, USA

        우수영,이경준,이상돈,Woo, Su Young,Lee, Kyung Joon,Lee, Sang Don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99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5 No.1

        산림(山林)의 환경구배(環境勾配)에 따른 식생변화(植生變化)를 구명(求明)하기 위하여, 미국(美國)워싱턴주 케스케이드 산맥(山脈) 동쪽의 위나치 국유림(國有林)에서 해발 975m, 1280m, 1700m에 있는 남사면(南斜面)과 북사면(北斜面)의 6개 천연림(天然林) 지역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선형법(線型法)을 이용(利用)하여 식생조사(植生調査)를 실시(實施)하고, ordination법에 의하여 요인(要因)을 분석(分析)하였다. 미송(美松)(최고 수령 286년, DBH 110cm)은 해발고(海拔高)와 사면(斜面)의 방위(方位)에 관계(關係) 없이 모든 6개 지역(地域)에서 우점종(優占種)의 하나로 관찰(觀察)되었으며, 폰데로사소나무(최고수령 312년, DBH 97cm)는 남사면(南斜面)에서만 우점종(優占種)이었다. 그란디스젓나무(최고수령 115년, DBH 51cm)는 1280m 북사면(北斜面)에서, 그리고 라시오카파젓나무(최고 수령 127년, DBH 42cm)는 1700m 북사면(北斜面)에서 우점종(優占種)이었다. 사면방향(斜面方向)과 관계(關係)있는 수분(水分)은 특히 남사면(南斜面)에서 식생구조(植生構造)를 결정(決定)하는 가장 중요(重要)한 요인(要因) 가운데 하나이었다. 남사면(南斜面)에 비해서, 북사면(北斜面)은 수분(水分)이 제한요인(制限要因)이 아니었고, 수관(樹冠)이 더 크게 자랐으며, 고도(高度) 혹은 상호수종(相互樹種)간 경쟁(競爭)이 더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이었다. 종(種)의 다양성(多樣性)은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악화(惡化)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특히 남사면(南斜面)은 북사면(北斜面)보다 수분부족(水分不足)과 심한 온도차(溫度差)로 인(因)하여 종다양성(種多樣性)이 감소(減少)하였다. 상층식생(上層植生)의 연령구조(年齡構造)는 북사면(北斜面)과 남사면(南斜面)이 서로 다른데, 광량(光量), 수분(水分), 그리고 기후(氣候)가 양쪽사면(斜面)에서 다르게 작용(作用)하기 때문이며, 큰 규모(規模)의 교란(攪亂)(산화(山火) 혹은 해충(害蟲)의 피해(被害)) 이 연령구조(年齡構造)를 바꾸는 요인(要因)이었다. DBH와 연령(年齡)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성숙목(成熟木)보다 어린수목(樹木)에서 높았고, 남사면(南斜面)에서 양수(陽樹)의 DBH값은 북사면(北斜面)에서 보다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사면(斜面)의 방향(方向)이 연령(年齡)과 크기를 결정(決定)짓는 가장 중요(重要)한 요인(要因)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To understand vegetation changes along environmental gradients in the natural forests in the east side of the Cascade Range in Washington state, USA, line transects were used to sample six different forest environments in the Wenatchee National Forest in the north-facing and south-facing sites at 975, 1280 and 1700m elev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ordination by detranded correspondence analysis. Pseudotsuga menziesii was found as one of the dominant species on all the six sites regardless of elevation or aspect, while Pinus ponderosa was dominant on south slopes only. Abies grandis and A. lasiocarpa were dominant species on north slopes at elevations of 1280 and 1700m, respectively. Moisture, as it related to aspect,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gradients for explaining the variation of vegetation types. On north-facing slopes, compared to south-facing slopes, where moisture was not as limiting and canopies could grow denser, probably, elevation or competitive interaction was more important. Species diversity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environmental severity, with south slopes having less diversity than north slopes due to extended water stress and harsher temperature extremes on south slopes. The age structure on north-facing and south-facing slopes was different. Light intensity, moisture and climate were different between these two slopes. Large scale disturbances(e.g., big fire or insects) were major causes in changing age structure. Younger trees showed a closer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age than adult trees. DBH values of shade intolerant species in south-facing slope were bigger than those of north-facing slope, which suggested that aspect of stands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ge and size.

      • KCI등재

        수운 최제우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시론(試論) -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自生) 문화인 동학(東學)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전략으로써 최제우의 역사적ㆍ문학적 콘텐츠를 공간형 콘텐츠로 활용하고 유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문화라는 콘텐츠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지역 문화 산업과 관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획-제작-유통의 전체 분야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가공과 창출까지의 과정을 하나로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제우 관련 역사 기록 및 문학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논한 후 이에 바탕하여 대구 소재 공간형 콘텐츠의 창출 과정이 진행된다. 영남지역은 한국 자생 문화 ‘동학’의 발상지이며 그중 특히 대구는 동학 교조 최제우(1824-1864)가 1864년 좌도난정(左道亂政)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된 곳이다. 당시 최제우의 체포와 처형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및 『천도교 창건사』에 기록되었다. 또한 이광수(李光秀)는 『개벽』수록소설 「거룩한 죽음」에서 최제우의 대구 처형 장면을 형상화하였다. 이들 세 자료들은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의 바탕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가 구상되었다. 즉 대* 본 논문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주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년도 제1차 전국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에는 수용공간ㆍ공감공간ㆍ체험공간이 구성되고, 각 공간의 핵심가치를 전달하는 소장 콘텐츠가 배치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에 대한 자긍심과 동학의 혁명 정신에 공감하는 대구 지역의 장(場)이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of applying and distributing Choe Je-u(崔濟愚)’s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nts to the space-type contents as a strategy for modern succession of the Donghak(東學) Spirit,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Thes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associated with the realistic regional cultural industry without remaining in the content zone called culture. In relation to this,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is demanded a research available for uniting the process from understanding the whole field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p to processing and creating into one. This study is discussed a meaning and a value of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literary work relevant to Choe Je-u, and then is progressed the creation process of space-type contents placed in Daegu on the basis of this. The Yeongnam region is the cradle of ‘Donghak’ that is Korea’s homegrown culture. Among the rest, Daegu is especially a place where Choe Je-u(1824-1864) as the founder of Donghak was executed under the name of a crime dubbed Jwadonanjeong(左道亂政) in 1864. What Choe Je-u was arrested and executed at that time was recorded in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and 『Cheondogyo-changgeonsa(天道敎創建史)』. Also, Lee Gwang-su(李光秀) embodied Choe Je-u’s scene of the Daegu execution in 「The Holy Death」, which is a novel of being included in 『Gaebyeok(開闢)』. These three materials correspond to the background of Choe Je-u’s space-type content situated in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ill need to be operated properly for each spatial function with being secured the acceptance space, the empathy space and the experience space.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being likely arranged a place of Daegu area that empathizes with the revolutionary spirit of Donghak in addition to a pride of Donghak,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동학농민혁명의 문학적 형상화 - 채길순『 웃방데기』와 김용락「하늘이 내려다보고 있다」를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historical situ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of GumiㆍSeonsan in Gyeongsang-do Province, and to clarify how characters’ awareness of reality is being embodied recently in Korean literatur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yeongsang-do area showed the aspect different from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Honam area. In other words, when the primary rebellion took place in Honam area, the peasant army in Yeongnam area failed to do together with this. But with being influenced by the reform activity of the peasant army in Honam area, the Donghak Peasant Army even in Yeongnam area was united and proceeded with forming great force. The peasant army, which rose up in each region of Chungcheong-do ProvinceㆍGyeongsang-do Province, with responding to Giporyeong(起包令) by Haewol of the Donghak Assembly in September 18, rebelled in order to fight together with the main unit of the peasant army moving northward.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area united with the peasant army mainly in Gimsan, Sangju, Yeongdong and others and then developed the organized combat. They ever occupied Seonsam-eup and attacked Nakdong War Commissaries of the Japanese army as well. This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area of Gyeongsang-do Province in 1894 was reborn as a number of literary works that embodied many Donghak peasant revolutions. The awareness of reality in characters of a work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works by Kim Yong-rak and Chae Gil-soon, who were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area of Gyeongsang-do Province in 1894 out of it. In Kim Yong-rak's two poems,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Donghak peasant army of Seonsan, which appears in the Haepyeong Plain of GumiㆍSeonsan area, is being uplifted. It could be known to be relevant even to the expansion in time and space. That is to say, the image of true man, who is going to right path that is inevitable when it comes to human being under the heaven of looking down, is just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umiㆍSeonsan themselves. In Chae Gil-soon's 『Utbangdegi』 and Jo Jung's 『Ruined Country』, the awareness of reality in each class,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army in 1894, was examined. It elicited the fixed awareness of reality in upper-class characters of Joseon who have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through characters Lee Dae-gam and Jo Min-gu, the variable perception of reality in Joseon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the government army Kim Seok-jung and Kim Byeong-don, and the recognition of reality toward the new world in the Donghak peasant army through ‘Gapi.’ ‘Possibility of new world’ perceiv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of being represented as a character called 'Gap,' may be spoken for the awarenes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Joseon. It can be said to contribute to which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Province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umiㆍSeonsan is enhanced. It could be grasped that lot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sang-do Province following Haewol's Giporyeong(起包令) is actually entering 'way of true man' based on the conviction in 'possibility of new world,' through the above works. 본 글의 목적은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상황을 살피고, 동학농민군을 중심으로 한 각 계층 인물들의 현실인식이 최근 한국문학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경상도 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은 호남지역에서의 전개과정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호남지역에서 1차 봉기가 발생했을 때 영남지역 농민군은 이에 함께 하지는 못했으나, 이후 호남지역 농민군의 개혁활동에 영향을 받으면서 영남지역에서도 동학농민군이 결집되어 크게 세력을 형성해 나갔다. 동학교단 해월의 9월18일 기포령에 호응하여 충청도ㆍ경상도 각지에서 기포한 농민군들은 북상하는 농민군 주력 부대와 합세하기 위해 봉기했다.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군은 주로 김산, 상주 영동 등지의 농민군과 연합하여 조직적 전투를 전개했다. 그들은 선산읍을 점거하기도 했고, 일본군 낙동병참부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혁명 과정은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2014년을 맞아 동학농민혁명을 형상화 한 다수의 문학작품으로 재탄생되었다. 본 글에서는 그 중 1894년 경상도 구미ㆍ선산 지역 동학농민혁명에 관계한 김용락과 채길순의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 속 인물들의 현실인식을 분석하였다. 김용락의 시 2편에서는, 구미ㆍ선산 지역 해평 평야에 등장하는 선산 동학농민군의 현실인식이 고양되고 있으며 그것은 시간과 공간의 확장과도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내려다보는 하늘 아래 인간이면 가야하는 바른 길을 가고 있는 참사람의 모습이 바로 그들 구미ㆍ선산 동학농민군인 것이다. 채길순 『웃방데기』와 조중의 『망국』에서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각 계층의 현실인식을 살펴보았다. 인물 이대감, 조민구를 통해 유교 세계관을 지닌 조선 상층 인물들의 고정된 현실인식을, 관군 김석중, 김병돈을 통해 조선 관리들의 변동적인 현실인식을, ‘갑이’를 통해 동학농민군의 새세상을 향한 현실인식을 도출하였다. 『웃방데기』 ‘갑’이라는 인물로 대표되는 동학농민군이 해월의 눈빛을 통해 감지한 ‘새로운 세상의 가능성’은 조선 동학농민군의 인식으로 대변될 수 있다. 그것은 경상도 동학농민군, 구미ㆍ선산 동학농민군의 현실인식이 고양되어가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실제 해월 기포령 이후 많은 경상도 동학농민군이 ‘새로운 세상의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바탕에 두고 ‘참사람의 길’로 들어서고 있음을 앞의 작품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정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東學) 담론

        우수영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s on Donghak(東學)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headed by Donghak(東學) discourse in the place of Beolgyo(地名) and Yureo(地名), and in the characters' dialogs.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place of Beolgyo and Yureo are meant by Donghak(東學) discourse. The Beolgyo is the Place of suppression that the landlord and tenant farmer's relationship is continued, and the Yureo is the Place of liberation that the Peasant troops develop the possibility for revolution.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equality and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mastery are opposing repeatedly. They are presented by the logic of enlightenment and the testimony of experience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Finally,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shows that the sprit of Donghak(東學) for the new world is the result from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equality, the spring of the post-liberation partisan organization' action, furthermore our descendants of the endless tasks. The sprit of Donghak(東學) is working continuously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 담론이 작품 전체 의미망에 어떻게 기여 하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태백산맥』의 동학 담론의 생산 지형을 시대 담론과의 관계에서 먼저 살핀 후, 그 지형에서 생산된 조정래 『태백산맥』의 동학 담론이 서사의 의미망에 어떻게 기여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은 서사에 등장하는 벌교와 율어라는 장소를 통해 발생하는 동학 담론, 그리고 인물들의 대화에서 등장하는 동학 담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태백산맥』에서는 동학 담론을 통하여 벌교와 율어라는 공간이 의미화 되고 있다. 즉 벌교는 여전히 지주와 소작농의 관계가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는 억압의 장소로, 율어는 지주의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한 동학군이 자신들의 혁명 가능성을 키워 나갔던 해방의 장소로 구체화 되고 있다. 『태백산맥』에서는 위계와 억압을 통해 이윤을 증대하는 지주/지배층의 수직적 욕망 그리고 위계와 억압에서 벗어나 평등 세계를 지향하는 소작인/피지배층의 수평적 욕망이 서로 길항하며, 계몽의 논리와 체험의 증언 속에서 등장하는 동학 담론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국, 조정래의 『태백산맥』은 동학을 피지배층 민중이 지닌 수평적 욕망의 실현이자 해방 후 빨치산 활동의 원류이며 나아가 이 땅의 후손들이 이어가야 할 과업으로 담론화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문화 콘텐츠의 연구 동향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 - 부안 백산 역사공원에서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60

        이 연구는 부안 동학농민혁명 공간 콘텐츠 개발을 위한 문화 콘텐츠 양상과 동향에 대한 논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이 역사적 사료나 기념적 사건이라는 기억의 과거 공간에 머물지 않고 21세기 한국인이 공감하고 체험하는 부안 백산 역사공원이라는 공간 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 첫 번째 논의에서, 동학농민혁명 관련 문화 콘텐츠의 범주와 양상에 대한 기존연구 동향을 살폈다. 1960년대 초반부터 문화 콘텐츠에 대한 학술지 논문이나 학위 논문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꾸준하게 그 편수가 증가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폭발적으로 문화 콘텐츠를 연구한 논문의 수가 증가했다. 이들 기존 논의에서 특히 눈에 띄는 점은 201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문화 콘텐츠의 입지 및 위상 그리고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자주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2010년대 후반에 갈수록 문화 콘텐츠를 기술과 융합된 지역 사례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후반에 생산된 동학농민혁명과 관련한 문화 콘텐츠 연구는 지역 사례와 연관되어 논의되고 있다. 두 번째 논의 단계에서, 콘텐츠의 원형 즉 한국문학에 초점을 두고 한국문학에서 보인 부안 동학농민혁명을 재현한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 송기숙의 『녹두장군』, 신동엽의 『금강』, 차범석의 『새야 새야 파랑새야』을 논의했다. 박태원과 송기숙은 앞의 대서사에서 백산 대회의 실체를 생생하게 재현함으로써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집결지 및 전주성 승리의 단초로 백산을 부각한다. 또한 신동엽은 앞의 대서사시에서 동학군이 보인 동학 정신과 혁명성을 내재한 엄청난 우리의 역사를 고부, 백산, 전주에서 펼쳐진 동학농민혁명의 이야기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앞 희곡에서 차범석은 과거 녹두장군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박해받는 현재 의인의 죽음으로 마무리하면서 동학농민혁명이 여전히 현재적 사건임을 파랑새 노래를 통해 상기하게 한다. 마지막 논의에서, 부안 백산 역사공원에서 공간 콘텐츠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6개의 공간즉 디지털 플랫폼, 체험 공간, 공연 공간, 교육 공간, 전시 공간, 소통 공간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기획되고 조성된 공간 콘텐츠는 지역민뿐만 아니라 일반 공간방문자들이 동학 정신을 체험하고 계승하는 토대가 될 것이며, 더 풍부한 동학농민혁명 문화 콘텐츠의 확장 발전하는 향후 동력으로 작동할 것이라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aspects and trends of cultural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ntents for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n Buan(扶安).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that Buan(扶安) Baeksan(白山) Historical Park can be converted into the spatial contents so that koreans in the 21st century can sympathize with and experience, rather than staying in the past space of memories as historical documents or commemorative events. As the first dicussion stage of this study,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on the categories and aspects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were examined. From the early 1960s, academic journal papers or dissertations on cultural contents began to appear, and the number steadily increased. What is particularly striking about these existing discussions is that as we enter 2015, discussions about the location, status and methodologies of cultural contents are frequently being discussed. Furthermore, in the late 2010s, more and more local cases where cultural contents were fused with technology are appearing. In particular,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roduced in the late 2000s is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local cases. Next, we discussed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reproducing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n Buan(扶安) in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prototype of the contents in Korean literature. Park Tae-won and Song Ki-suk vividly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Baeksan Congress(白山大會) in the preceding epic, Baeksan(白山) is highlighted as a gathering place to a new world and a starting point for victory in Jeonju-seong(全州城). In the previous epic, Shin Dong-yup vividly conveys the story of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n Gobu(古阜), Baeksan(白山), and Jeonju(全州). And in the previous play, Cha Beom-seok reminds us that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s still a current event, starting with the death of General Nokdu in the past and ending with the death of a righteous person who is currently being persecuted. As a result, the song reminds us that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s still a current event. In the last discussion, six spaces that can be concretely realized as spatial contents in Buan(扶安) Baeksan(白山) Historical Park were planned: a digital platform, an experience space, a performance space, an education space, an exhibition space, and a communication space. The spatial contents planned and created in this wa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local residents as well as general spatial visitors to experience and inherit the spirit of Donghak(東學),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act as a driving force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richer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cultural contents.

      • SCOPUSKCI등재

        오존 환경에 대한 잡종 포플러 묘목의 가스 교환과 생장에 관한 연구

        우수영 한국생태학회 1997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0 No.4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clones were fumigated with ozone. Fumigation was applied for 6 to 8 hours each day for approximately 3 months at ozone concentrations of 0.090 to 0.115 ppm using by open-top chambers. Growth and biomass of hybrid poplar seedlings were reduced by ozone exposure. Mean percentage of falling leaves in ozone-treated plant was 6 times higher than that of charcoal-filtered plant. Among physiological responses, rate of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initial Rubisco activ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edlings grown in ozone environment compared seedlings grown in charcoal-filtered air. All these physiological results supported that biochemical process to be a key feature to understand reduction in photosyn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