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한 진화 창조론: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은 과학의 연구 결과를 “일반계시”와 혼동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기 때문에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요 교리에 있어서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심각한 불협화음을 일으키기에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 없다. 첫째, 우종학은 성경이 특별계시라고 한다면, 자연과학의 발견들은 일반계시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심각한 개념적 오류이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이런 근본적인 혼동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점차로 잘못된 논변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과학자를 마치 일반계시의 설명자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주장이다. 일반계시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특별계시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둘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는 경향성이 있다. 그가 비록 신(新)무신론을 비판하긴 하지만, 창조과학을 비판하는 지점에 가서는 거의 신(新)무신론과 다를 바 없는 입장을 전개한다. 이것은 논리적 모순일 뿐 아니라, 자연주의적이며 반기독교적인 세계관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조화되기 힘들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아담과 언약에 대한 가르침을 왜곡시키며, 그로 인하여 원죄론은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구원론 역시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신론에 있어서는 이신론과 범신론을 왔다갔다 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가르침 역시 침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전통적 개혁신학은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presen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is unacceptable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his theory shows the errors of confusing the results of science with “general revelation,” includes an anti-Christian worldview that is too attached to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and discords seriously with major doctrines of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First, Jong-Hak Woo claims that the discoveries of natural science are general revelation, if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This is a serious conceptual error.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starting from this fundamental confusion, gradually moves on to the wrong argument. He regards a scientist as a describer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an entirely different argument from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for general revelation is found in the Bible which is special revelation. Second,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Jong-Hak Woo has a tendency to be affiliated too much with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Though he criticizes New Atheism, he formulates arguments that are very similar to New Atheism when he criticizes Creation Science. This not only is a logical contradiction but has the risk of falling into a naturalistic and anti-Christian worldview. Third, it is difficult for Jong-Hak Woo’s evolutionary creationism to harmonize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distorts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s of Adam and covenant, and in so doing loses a proper place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strikes a blow to soteriology. Additionally, in the doctrine of God, i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ism and pantheism and also damages the doctrine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formula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 KCI등재

        청교도 경건론과 코로나19 시대 목회의 방향 : 토머스 맨톤의 시편 119편 설교들을 중심으로

        우병훈 ( Woo¸ Byungho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8 No.3

        청교도 설교자들의 왕이라고 불렸던 토머스 맨톤(Thomas Manton, 1620~1677)의 시편 119편에 대한 설교들에 나타난 경건론은 팬데믹 시대에 어떻게 목회의 방향을 잡아가야 할지에 대한 여러 가지 통찰을 준다. 맨톤에 따르면 참된 경건이란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과 사랑으로 구성된다. 그는 경건한 사람만이 유일하게 행복한 사람이라고 주장하는데, 경건한 사람은 행복의 목표와 그것에 도달하는 방법을 알기 때문이다. 맨톤은 최고선이 되시는 하나님 안에서 참된 행복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며, 경건의 목표점에 이르는 길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이라 가르친다. 맨톤은 묵상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한다. 묵상은 지식과 경건의 어머니이자 유모이며, 모든 은혜의 직분들에서 위대한 도구가 된다. 맨톤에 따르면, 고난은 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회이다. 고난 속에서 경건한 사람들은 오직 하나님만이 우리의 유일한 위로가 되신다는 것을 깨닫는 까닭이다. 경건한 사람들은 고난 가운데 하나님 말씀의 공급을 통해서 독특한 영적 유익을 얻는다. 그것은 곧 자기부인을 배우며, 하나님을 더욱 사랑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이다. 맨톤의 경건론이 주는 통찰을 따른다면, 목회자들은 팬데믹 위기가 막연히 지나가기만을 바랄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시기를 기회로 삼아 신자들이 참된 경건을 배양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Because of Covid-19, a social and ecclesial crisis surrounds our society like a dark cloud, and ministers of the church are pondering how to serve the church. The doctrine of piety in the sermons on Psalm 119 by Thomas Manton (1620-1677), who was called the King of Puritan preachers, gives several insights into how to orient one’s ministry in the pandemic era. True godliness, according to Manton, consists of fear and love toward God. He argues that only the godly person can be happy because only a pious person knows the goal of happiness and how to reach it. Manton teaches that one can find true happiness in God, who is the highest good, and that the only way to reach the goal of godliness is through the word of God. Manton strong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ditation on the word. Meditation is the mother and nurse of knowledge and godliness and is the great instrument in all the offices of grace. For Manton, suffering is not a crisis but rather an opportunity, because, in suffering, godly people realize that God alone is our true comfort. In our suffering, we find unique spiritual benefits through the supply of God's Word: we learn to deny ourselves, love God more, and become more like Jesus Christ. Based on Manton’s doctrine of piety, pastors need not only hope that the pandemic crisis will pass soon, but also use this period as an opportunity to help believers cultivate true piety.

      • KCI등재

        루터의 하나님―루터의 "숨어계신 하나님" 개념에 대한 해석과 적용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1 No.-

        루터의 "숨어계신 하나님" 개념은 그의 신학의 핵심과 맞닿아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의 신학 초기인 제 1차 시편 강의에서부터 그는 이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며, 신학적으로 성숙한 단계에서도 여전히 그 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루터의 "숨어계신 하나님" 개념은 성부, 성자, 성령과의 관계성 속에서 각각 고찰할 때에 그 특징을 빠짐없이 다룰 수 있다. 성부와 "숨어계신 하나님"의 관련성은 하나님의 주권성을 잘 보여준다. "숨어계신 하나님"은 하나님의 불가해한 본질 그 자체이며, 죄인이 죽건 말건 상관하지 않으시는 무서운 하나님이다. 그러나 그 하나님이 기도와 믿음 가운데서 "보이는 하나님"으로 나타나는 순간 위로자로 변하신다. 성자와의 "숨어계신 하나님"의 관련성은 루터 신학의 역설적 측면을 가장 잘 보여준다. 루터는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달리신 숨어계신 하나님"이라고 표현한다. 그 하나님은 "영광의 신학자"가 아니라 "십자가의 신학자"가 오직 고난을 통해서 알 수 있는 하나님이다. 루터의 "숨어계신 하나님"은 성령론적으로도 관찰할 수 있다. 성령님은 하나님의 숨어있는 말씀을 알려주시는 분이시다. 숨어있는 교회 안에서 은밀하게 구원을 이뤄 가시는 분이시다. 또한 루터는 율법으로 우리를 정죄하시는 "신적 본성과 본질 가운데 [숨어]계신 성령 하나님"과 우리를 성화시키고 살리시는 "선물로서 우리에게 주어진 성령 하나님"을 구분한다. 이처럼 루터의 "숨어계신 하나님"은 성부, 성자, 성령의 측면에서 하나씩 고찰할 때에 그 고유한 의미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다. Luther`s concept of the "hidden God" (Deus absconditu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hat is related to the core of his theology. He explains the concept in his first lectures on the Psalms at the beginning of his theological career, and he continues to endorse the notion in his mature theology. The notion can be treated very well when it is investigated from a trinitarian perspective. Its relationship with God the Father shows the sovereignty of God. The hidden God is the incomprehensible essence of God. He is a fearful God who does not care whether the sinner dies. This God, however, becomes a God of comfort when he becomes the visible God through the prayer and faith of the beli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dden God and God the Son clearly demonstrates the paradoxical aspect of Luther`s theology. Luther describes Jesus Christ as "the crucified and hidden God." Only "the theologian of the cross" can recognize this God through their sufferings. The hidden God of Luther`s theology also can be examined from the pneumatological perspective. The Holy Spirit reveals the hidden Word which is the Word of faith. The hidden Spirit works for the salvation of the believer secretly in the church that is the hidden people of God. Luther distinguishes between the [hidden] Spirit as "God in his divine nature and substance" and the Spirit as "the gift given to us." In conclusion, the inherent meaning of the hidden God in Luther`s theology can be perceived best from the above trinitarian perspective.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 나타난 사랑의 갈등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0 No.-

        안더스 니그렌, 한나 아렌트, 베르너 진론드, 마사 누스바움과 같은 학자들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론이 이웃에 대한 참된 사랑의 여지를 주지 않으며 오히려 이 세상의 사회정치적 문제에 무관심한 기독교인들을 양산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저 『신국론』에 나타난 것처럼, 그의 사랑론에서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서로 갈등 관계에 있지 않고 오히려 서로를 필요로 함을 보여준다. 첫째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주제를 “예배”와 관련하여 다룬다. 참된 예배 혹은 제사는 하나님께 바치는 것이며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상징이 된다. 따라서 참된 예배는 이 두 사랑이 동시에 성취될 때 이루어진다. 둘째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주제를 “선한 의지”와 연결해서 다룬다. 하나님을 사랑하기로 결심한 사람이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기로 결정할 때, 그 사람은 선한 의지를 가진 사람이 된다. 왜냐하면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은 선한 의지에 함께 속하기 때문이다. 셋째로, 사랑의 이중계명(마 22:37-40)은 또한 “평화”와 관련하여 다뤄진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만인과의 평화를 이룬다. 그러한 평화는 획득하는 길은 다른 이들을 섬기는 사랑의 길이다. 참된 평화는 섬기는 사랑이 아내, 자식, 형제자매, 이웃과 모든 사람에게 확대될 때 이뤄진다. 넷째로, 이 주제는 “정의”와 함께 나타난다. 정의란 각자의 몫을 각자에게 배분하는 것이다. 사랑이 정의롭게 이뤄지는 상황에서는, 모든 사람은 하나님께 바쳐 마땅한 사랑을 하나님께 드리게 마련이며, 이웃들에게 주어야 할 사랑을 그들에게 주기 마련이다. 다섯째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주제를 그리스도와 연결지어 다룬다.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가운데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동료 그리스도인들을 사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전체 그리스도(totus Christus) 사상”에서 그리스도를 사랑함과 그리스도인을 사랑함은 나눠지지 않는다. 우리가 이웃을 사랑하면 거기에 하나님이 계시는데, 이는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이다. 이웃을 사랑하지 않는 자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으니,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이다. 신자들이 하나님을 사랑할 때 이웃도 사랑하기 마련인데,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님이 사랑이시라는 성경의 선언 속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은 필연적으로 동연성을 획득하게 마련이다. For some scholars, such as Anders Nygren, Hannah Arendt, Werner G. Jeanrond, and Martha Nussbaum, Augustine’s doctrine of love does not have room for true love for neighbors. Rather, it produces Christians who are not interested in the socio-political issues of this world. This essay, however, demonstrates that love for God and love for neighbors do not conflict but need each other in Augustine’s doctrine of love, as is shown in his major work, The City of God. First, Augustine discusses love and “worship.” True worship or sacrifice is an offering to God and is a symbol of love for God and love for neighbor. Thus, true worship is truly achieved when these two loves are fulfilled at the same time. Second, Augustine discusses love and “good will.” When a person who is determined to love God decides to love her neighbor as herself, that person is a person of good will since the love of God and the love of neighbor belong together in good will. Third, the double commandment of love (Matt. 22:37-40) is dealt with in relation to “peace.” Those who love God make peace with everyone. The way to achieve this peace is by having a love of serving others. True peace is achieved as the serving love extends to wife, children, siblings, neighbors, and everyone. Fourth, love emerges with “justice.” Justice is to distribute a due share to each one. If love is to be fulfilled justly, then everyone must give God the love that is worthy of God, and the love that is due to the neighbor must be given to the neighbor. Fifth, Augustine deals with love concerning Christ. A Christian loves Christ while loving his or her fellow Christians with the love of Christ. Conversely, those who love Christ are bound to love fellow Christians. Love for Christ and love for Christians is not divided in Augustine’s doctrine of the whole Christ (totus Christus). If Christians love their neighbors, God is there because God is love. Those who do not love their neighbors cannot love God because God is love. When believers love God, they must love their neighbors because God is love. Therefore, the love of God and the love of neighbor inevitably acquire a close correlation in the biblical declaration that God is love.

      • KCI등재후보

        바이어하우스의 통전적인 하나님 나라 관점에서 본 현대 유토피아 사상 비판

        우병훈(ByungHoon Woo)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7 No.-

        독일의 선교학자 페터 바이어하우스는 현대 유토피아 사상의 문제점을 파헤치고 성경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주로 메시아주의적 마르크스주의와 WCC 및 그것이 승인했던 문서들에 나타난 현대 유토피아 사상의 오류들을 비판했다. 첫째로, 바이어하우스는 메시아주의적 마르크스주의를 분석했다. 그 사상의 대표자들은 에른스트 블로흐, 비테츨라프 가르다프스키, 밀란 마초베크, 로저가로디 등이다. 둘째로, 바이어하우스는 해방의 신학, 민족들의 신학, 해방신학 등이 제시한 기독교 사회주의와 유토피아 사상을 평가했다. 그는 이들의 사상이 가진 무신론적 성격과 비성경적 특징을 자세히 해부했다. 셋째로, 바이어하우스는 WCC에서 승인한 선교 문서들에 나타난 유토피아 사상을 분석했다. 그는 대표적으로 카이로스 문서, 멜번 문서 등에 나타난 사상에 주목한다. 바이어하우스는 이 문서들이 지닌 상황화 신학과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를 성경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본 논문은 바이어하우스의 비판뿐 아니라, 그의 하나님 나라 사상이 가지는 건설적인 특징들을 분석한다. 그것은 성경중심적이며, 종교개혁신학적이며, 삼위일체론적이며, 선교적인 특징이다. The German missiology scholar Peter Beyerhaus tried to uncover the prob-lems of modern utopian thought to present a biblical alternative. He criticized the errors of Messianic Marxism and the modern utopian thought both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and in the documents it approved. First, Beyerhaus analyzed the Messianic Marxism of its main proponents Ernst Bloch, Vitezslav Gardavsky, Milan Machovec, and Roger Garaudy. Second, Beyerhaus analyzed in detail the atheistic and non-biblical features of the ideas of Christian Socialism as well as the utopian ideas endorsed by the Theology of Liberation, People’s Theologies, and Liberation Theology. Third, Beyer-haus analyzed the utopian thoughts in modern missional documents approved by the WCC. H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deas that appeared in the Kairos Document and the Melbourne Documents. Beyerhaus critiqued the contextual theology and Marxist ideology of these documents from a biblical perspective. This essay examines not only the criticism of Beyerhaus on mod-ern utopian errors, but also the constructive features of his doctrine of the Kingdom of God. His doctrine is distinctive because of its biblical-centered, Reformational, trinitarian, and missional features.

      • KCI등재

        츠빙글리의 성화론: 그의 신론, 교회론, 국가론과 연결하여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4 No.-

        츠빙글리의 성화론은 그의 신론, 교회론, 국가론과의 연계성 속에서 그 특징이 잘 드러난다. 그의 신론은 하나님 주권 중심 사상 및 삼위일체적 특징이 강하게 드러난다. 그의 성화론이 지니는 하나님 중심적인 토대는 성화론이 로마 가톨릭적 공로주의에 빠지지 않게 해 준다. “하나님의 뜻”에 대한 츠빙글리의 강조는 루터의 신학에서 발견되는 율법과 복음의 불필요한 긴장을 해소시켜 준다. 츠빙글리에 따르면, 참된 교회란 교회의 유일한 머리가 되시는 그리스도의 말씀에 신실하게 순종하고 점점 성화되어 가는 공동체이다. 츠빙글리는 지상의 교회를 “혼합된 몸”이라고 부른다. 신자와 불신자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성화가 참된 교회와 거짓된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그는 권징과 직분론과 목사의 설교사역 및 총회와 같은 외적 제도를 통하여 교회가 성령의 성화를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교회와 국가에 대한 자신의 이론에서 츠빙글리는 자신의 고유한 “신정” 개념을 발전시킨다. 그는 위정자와 목회자 모두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를 확립하고 복음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라는 개념을 구분하는데, 전자가 내적인 정의라면 후자는 외적인 정의이다. 하지만 그는 신자가 이 두 가지 정의를 복음 안에서 함께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점에서 츠빙글리는 당시 재침례파의 일방성과 편협성을 극복하고 있다. 헤르만 바빙크가 잘 지적했듯이, 츠빙글리는 종교개혁자들 가운데 기독교인의 삶이 지니는 사회적 측면을 가장 포괄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츠빙글리의 성화론은 로마 가톨릭의 공로주의 및 비복음적 요소를 극복한다. 또한 그것은 칭의가 성화를 자칫 침해할 수 있는 루터 신학의 위험성에 빠지지도 않는다. 그것은 신자의 삶의 영역을 사회정치적 차원에서 상당히 축소시켜 버렸던 재침례파적 한계를 뛰어넘는 탁월성을 보여준다. 요약하자면, 츠빙글리의 성화론은 이 시대 개혁신학이 필요로 하는 매우 건실한 교리이다. Zwingli’s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evident in its connection with his doctrines of God, church, and state. His doctrine of God is well-featured in the ideas of the sovereignty of God and His trinitarian character. The God-centered foundation of his doctrine of sanctifica-tion keeps it from falling into the merit theology of Roman Catholicism. Zwingli’s emphasis on “the will of God” relieves the unnecessary tension of law and gospel, which was found in Luther’s theology. According to Zwingli, the true church is a community that faithfully obeys the Word of Christ who is the only head of the church, and is sanctified more and more. Zwingli calls the earthly church a “mixed body” as much as believers and unbelievers are mixed in it. He believes, however, that sanctification can be the standard that distinguishes the true church from the false church. In particular, he argues that the church can experience the sanc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through disciplines, church offices, pastoral preaching, and external systems such as synod. In his theory of state and church, Zwingli develops his own concept of “theocracy.” He emphasizes that both the magistrate and the pastor should strive to establish the sovereign rule of God and to promote the gospel. He distinguishes between the two con-ceptions of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e righteousness of human beings”; the former is an inward righteousness, and the latter is an outward one. He is convinced that believers should seek these two righteousnesses together in the gospel. In this respect, Zwingli overcomes the unilaterality and intolerance of the Anabaptists of his time. Among the Reformers, as Herman Bavinck points out, Zwingli emphasizes most comprehensively the social aspects of the Christian life. Zwingli’s doctrine of sanctification overcomes both the merit theology and non-evangelical elements of Roman Catholicism. Neither does it fall in danger of Luther’s theology, in which justifica-tion can infringe upon sanctification. It also demonstrates excellence beyond the Anabaptist limits that significantly reduce the sphere of the life of believers at the social and political levels. In summary, Zwingli’s theory of sanctification is a very sound doctrine that is needed by Reformed theology of our time.

      • KCI등재

        도르트 회의와 아우구스티누스: 파레우스의 “조사”와 영국 특사들의 “의견서”를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도르트 회의(1618-1619)는 최초의 그리고 현재까지 유일한 국제적 개혁파 총회였다. 회의의 참가자들은 항론파의 다섯 가지 요점들에 대하여 오직 성경만으로 반박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르트 회의의 몇몇 주요 문건 속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이 종종 인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점은 매우 중요한데 항론파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던 아르미니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에 의지하여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곤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의 신학자 파레우스(David Pareus; 1548-1622)가 작성한 “항론파의 다섯 개 요점에 대한 조사(Quinque Articuli Remonstrantium, Cum Examine)”와 영국 특사들이 작성한 “의견서(Iudicium)”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을 각각 25회 이상씩 인용하여 항론파의 다섯 가지 요점들을 반박하고 있다. 도르트 회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은 주로 하나님의 예정은 인간의 행위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내용, 하나님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셨다는 내용, 모든 인간의 의지가 타락했음에 대한 내용, 타락한 의지는 은혜로만 변화가능하다는 내용, 하나님의 은혜는 불가항력적이라는 내용, 성도는 끝까지 인내한다는 성도의 견인에 대한 내용을 주장함에 있어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도르트 회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은 반항론파의 견해를 뒷받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Synod of Dort (1618-1619) was the first and, presently, only international Reformed synod. The attendants of the Synod tried to repudiate the five points of the Remonstrants only through scriptural verses. Nevertheless, one can find that the works of Augustine often were cited in several important documents of the Synod of Dort. This fact is meaningful because Arminius, who provided theoretical foundations to the Remonstrants, developed his own view that depended on Augustine. The Heidelberg theologian David Pareus’s (1548-1622) work (Quinque Articuli Remonstrantium, Cum Examine) and the British Delegation’s Report (Iudicium) cited the works of Augustine more than 25 times respectively to refute the five points of the Remonstrants. The works of Augustine in the Synod of Dort were cited to demonstrate: God’s predestination does not depend on human works; God elected believers in Christ; the will of all humanity is corrupt; the corrupt will of humanity can be changed only by grace; the grace of God is irresistible; and, the saints persevere to the end. In sum, the works of Augustine in the Synod of Dort were endorsed usefully to support the views of the Contra-Remonstrants.

      • KCI등재

        배우면서 전수하는 지혜와 경건 : 4개의 공동체를 향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멘토링

        우병훈 ( Woo Byunghoon ) 한국개혁신학회 2022 한국개혁신학 Vol.74 No.-

        오늘날 멘토링(mentoring)이란 주로 교육, 예술, 스포츠, 상업 분야에서 이뤄지는 지도, 상담, 조언, 훈련, 교정, 격려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기독교에서 멘토링은 복음의 충만성을 깨닫게 하고 경험하도록 도와주는 일을 뜻한다. 아우구스티누스(354-430년)는 기독교 신학자, 기독교 철학자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히포 레기우스에서 391년부터 죽을 때까지 거의 40년간 목회자이자 신학자로서 설교, 편지, 저술 등을 통해서 멘토링을 실천했다. 그가 남긴 562편의 설교, 252통의 편지, 134권의 책이 현재까지 전해진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는 공동생활을 통해서 멘토링을 실천했는데, 그는 일평생 4개의 공동체를 만들어 직접 지도했다. 그 공동체들은 카시키아쿰 공동체(386-387년), 타가스테 공동체(388-391년), 히포의 정원 수도원(391-396년), 히포의 성직자 수도원(396-430년)이다. 이들 공동체에서 수행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멘토링의 목적과 방법은 조금씩 달랐지만,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었다. 첫째, 아우구스티누스는 지혜와 경건을 배워가면서 전수했다. 둘째, 아우구스티스는 겸손함을 통해서 멘토링을 실천했다. 셋째, 아우구스티누스는 스스로 종의 모범을 보임으로써 형제들에게 영향을 끼치고자 했다. 스스로 배우는 제자, 형제들의 겸손한 동료, 그리스도의 신실한 종으로 살면서 지혜와 경건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길 원했던 아우구스티누스의 멘토링은 오늘날 교회와 목회를 위해서 여전히 큰 도움이 된다. Today, mentoring is understood as a process of guidance, counseling, advice, training, correction, and encouragement mainly in the fields of education, arts, sports, and commerce. In Christianity, mentoring means helping people to realize and experience the fullness of the gospel. Augustine (354-430) is known to us as a Christian theologian and Christian philosopher. However, he practiced mentoring through sermons, letters, and writings as a pastor and theologian for nearly 40 years at Hippo Regius from 391 until his death. During this time, he left 562 sermons, 252 letters, and 134 books. In particular, Augustine practiced mentoring through communal life, and he created four communities throughout his life and led them directly. They are the Cassiciacum Community (386-387), the Tagaste Community (388-391), the Garden Monastery of Hippo (391-396), and the Clerical Monastery of Hippo (396-430). Although the goals and methods of Augustine’s mentoring in these communities were slightly different, they had the following three points in common: first, Augustine passed on wisdom and piety as he learned it; second, Augustine practiced mentoring through humility; third, Augustine sought to influence his brothers by showing himself as an example of a servant. Augustine lived as a self-taught disciple, a humble fellow of his brothers, and a faithful servant of Christ, who wanted to pass on wisdom and godliness to others. His mentoring is still very helpful for the church and ministry today.

      • KCI등재

        동성애에 대한 독일 개신교 신학자들의 이해 차이: “EKD Texte 57”과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를 비교하여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2 No.-

        “EKD Texte 57(1996)”과 판넨베르크의 글들은 동성애 문제에 접근하는 독일개신교 신학자들의 이해가 어떻게 대립되는지를 매우 잘 보여준다 크게 세 가지 대조점이 있다. 첫째,성경해석과 관련하여 차이가 난다. “EKD Texte 57”은 성경이 동성애 행위를 반대하고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가르친 사랑의 이중계명과 은혜의 원리에 따라 성경본문들을 읽는다면 오히려 교회는 동성애를 인정하고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서 판넨베르크는 성경을 윤리적으로 적용하는 데 있어서 그리스도의 중심성을 인정하지만, 이웃 사랑을 하나님 사랑보다 우위에 두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판넨베르크는 동성애를 인정하는 것이 사랑의 이중계명의 중요한 취지를 놓치는 것이며, 성경의 명백한 가르침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주장한다. 둘째,성(性)과 결혼과 가정에 대한 이해에서 차이가 난다. “EKD Texte 57”은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종류의 동거 방식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결혼을 한 남자와 한 여자의 결합이라고 보는 창조규례와 예수 그리스도 및 시도들의 일관된 가르침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하지만 판넨베르크는 예수께서 결혼을 일부일처제로 규정한 것을 강조하며,그 원리는 모든 시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기억해야 할 결혼의 기초라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문화인류학적이고 역사적인 탐구에 근거하여 다른 동거 방식들보다도 일부일처제가 인간의 상(性)을 가장 숭고하게 통합시킨다고 주장한다. 특별히 판넨베르크는 일부일처제가 가지는 종교적 기반에 대해서 강조한다. 셋째,교회 내의 동성애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EKD Texte 57”은 소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차별을 철폐하기 위해서 동성애 목사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사관(牧師館)을 동성애 목사에게 주어서는 안 된다든지,동성애적 동거 가 이성 결혼만큼 온전하다고 설교해서는 안 된다든지,동성애자들을 특정해서 축도해서는 안 된다든지 하는 제한사항을 둔다 무엇보다 “EKD Texte 57”은 동성애 문제가 “고백적 지위(status confessionis)”를 가진 문제는 아니라고 말하면서 이 문제의 중요성을 약화시킨다 판넨베르크는 성경이 동성애를 아주 심각한 죄로 다룬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그는 동성애를 수납하려는 자들은 교회 분열을 야기하고 있으며,“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 에서 이탈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EKD Texte 57 (1996)” and the writings of Pannenberg show very well how conflicting are the understandings of German Protestant theologians in their approach to homosexual issues. There are three contrasting points. First, they differ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Bible. “EKD Texte 57” recognizes that the Bible opposes homosexual conduct. However, if one reads the related biblical texts according to the double commandment of love and the principle of grace taught by Jesus Christ, argues “EKD Texte 57,” one should be led to acknowledge and embrace homosexuality. On the contrary, Pannenberg acknowledges the centrality of Christ in the ethical application of the Bible, but emphasizes that believers should not place love of neighbors over love of God. Pannenberg argues that embracing homosexuality misses the important purpose of the double commandment of love and disregards the obvious teachings of the Bible. Second, they differ about sex, marriage, and family. “EKD Texte 57” emphasizes the existence of various forms of cohabitation without biblical and theological grounds. In so doing, it ignores both the creation order for marriage as a union of one man and one woman, and the consistent teaching of Jesus Christ and the apostles. Pannenberg, however, stresses that Jesus defines marriage as a monogamy, and that principle is the foundation of marriage that all Christians through all ages should remember. He also maintains that, based on cultural-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studies, monogamy is a more noble integration of human sexuality than any other form of cohabitation. In particular, Pannenberg underscores the religious foundations of monogamy. Third, they differ in the way they approach homosexual issues in the church. “EKD Texte 57” argues that homosexual ministers should be allowed to protect minority rights and eliminate discrimination. Nevertheless, it places restrictions on whether to give a rectory to a homosexual pastor, to preach that homosexual cohabitation is not as complete as heterosexual marriage, or to give a benediction to homosexuals. Above all, “EKD Texte 57” weakens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of homosexuality by saying that it is not an issue with “state of confession” (status confessionis). On the contrary, Pannenberg points out that the Bible treats homosexuality as a very serious sin. He also declares that those who want to accommodate homosexuality are causing divisions in the church and depart from “a holy, universal, apostolic church.”

      • KCI등재

        미로슬라브 볼프의 하나님: 그의 책 『알라』를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3 No.-

        미로슬라브 볼프의 『알라』(IVP, 2016)는 여러 면에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이슬람에 대한 무지와 공포가 만연한 한국교회에 이슬람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적인 자극을 제공했다. 하지만 『알라』에서 제시하는 볼프의 신론(神論)은 여러 모로 정통 기독교 신론을 위협하는 위험한 사상이다. 『알라』에 나타난 신론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주장들을 제시할 것이다. 첫째, 볼프가 『알라』에서 제시하는 신론은 아우구스티누스, 루터, 칼빈, 바빙크 등이 가르쳤던 정통적인 삼위일체론적 기독교 신론을 떠난 것이다. 둘째, 볼프의 신론은 성경신학적 측면에서 볼 때에 매우 위험한 사상이다. 볼프의 신론이 기독교의 하나님을 묘사하는 것이라면 이단들의 신론 가령 여호와의 증인에서 제공하는 신론도 역시 기독교의 하나님을 묘사하는 것이 될 것이다. 셋째, 『알라』에서 제시된 신론은 논리적 측면에서 문제가 많다. 그의 신론은 이전에 『삼위일체와 교회』에서 자신이 제시했던 관계적 삼위일체론과 모순이며, 『배제와 포용』에서 제시한 방법과도 맞지 않는 전략을 취한다. 넷째, 볼프가 묘사하는 이슬람의 `알라`는 사실상 이슬람에서 보더라도 부족한 모습이다. `알라`와 기독교의 하나님을 억지로 끼워 맞추려는 노력은 이슬람 측의 삼위일체론 이해와 종말론의 관점에서 볼 때에 실패할 수밖에 없는 기획인데, 볼프는 이런 점들을 무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 『알라』를 통하여 기독교와 이슬람 사이의 정치신학적대화를 시도하고자 한 볼프의 의도는 이해한다 하더라도, 그의 신론을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는 없다. `알라`를 포용하려다가 `삼위일체 하나님`을 배제시켜 버리는 형국이 되기 때문이다. Miroslav Volf`s Allah: A Christian Response created a sensation in South Korea in various ways. On the one hand, it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help many Islamophobics in Korean Churches to better understand Islam and Muslims. On the other hand, it caused much theological debate regarding Volf`s idea of “God” since he suggests reconciling the Christian God and the Islamic Allah.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doctrine of God in Volf`s Allah on four points. First, Volf`s formulation of “God” cannot be harmonized with traditional theology such as that of Augustine, Luther, Calvin, and Bavinck. Second, the “God” in Volf`s book cannot side with biblical theology. If Volf`s idea of “God” were biblical, Christianity would have to accept a heretical concept of God such as the Jehovah of Jehovah`s Witnesses. Third, Volf`s Allah is logically inconsistent. His doctrine of “God” and his strategy for reconcili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in Allah contradicts with Volf`s previous two books, After Our Likeness, which emphasizes relational Trinitarianism, and Exclusion and Embrace, which prefers “embrace” to “inclusion.” Fourth, Volf`s understanding of “God” cannot satisfy the concept of the Islamic Allah in its traditional description. Most traditional Muslims do not accept the Trinitarian God of Christianity, and they believe that the Quran, not the Christian Bible and Jesus Christ, is the final revelation of Allah. Thus,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Volf`s idea of “God” as conceptualized in his book Allah. Volf theologically excludes Jesus Christ and the Trinity in his formulation of a very curious “God” in order to politically embrace Musl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