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고대 현악기의 구조에 관한 연구(Ⅱ)

        오해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string instruments in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Firs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ancient string instruments of Korea and Japan. Second, it has certain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production of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i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how to concentrate the string.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laying techniques of Korean and Japanese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aterials used to make the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of Korea and Japan.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악기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의 삼국 시대의 현악기 형태는 장방형이며, 현의 수가 4-6개로 나타났다. 일본의 고분 시대의 현악기 형태도 판형, 축상형, 공명형이며, 현의 수도 대부분 4-6현이다. 둘째, 한국과 일본의 현악기는 제작에 있어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태성리 1호분은 거문고에 보이는 괘는 뚜렷하지 않으나 현수가 6개로 분명하게 존재하고, 현을 고정하는 2개의 촉구멍 형태를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의 현악기에는 현공에 구멍이 없으며, 집현공에 줄을 집약해서 사용했다. 바로 집현 방법에 있어 한국과 일본은 독창성이 있었다. 셋째, 현악기의 연주기법은 삼국 시대의 현악기에는 알 수 있었지만, 고분 시대의 현악기에서는 알 수 없었다. 삼국 시대에는 연주자가 악기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연주하며, 연주자의 왼손을 현악기의 몸통 위에 짚고서 오른손으로 연주한다. 하지만 일본의 현악기는 유물로 발견되어 연주기법을 알 수 없었으나 彈琴 埴輪에서 연주 자세와 연주 기법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韓日 古代 絃樂器의 構造에 關한 硏究(Ⅰ) -原三國과 야요이(弥生) 時代를 中心으로-

        오해향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e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of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s are conclusions of this thesis. First, the structure of Korean and Japanese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possess certain origi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of Korea and Japan. The Korean gayageum uses a precess of hollowing out a trough from a single plank of wood. Third, there are commonalities a nd differences in the playing techniques of Korean and Japanese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aterials used to make the ancient stringed instruments of Korea and Japa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의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현악기의 발전 과정을 탐색하고, 한국과 일본의 고대 현악기에 대한 고유성과 독창성을 구명하는 데에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한국과 일본의 고대 현악기를 비교하여 고찰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대 현악기의 구조 형태에서 한국과 일본은 고유성과 독창성을 지녔다. 원삼국 시대의 신창동 현악기와 야요이 시대의 고토는 직사각형이라는 외형적인 동일성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촉구멍과 양이두 및 집현공이라는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차이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야요이 시대의 고토는 작지만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고대 현악기의 제작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은 相異性을 지니고 있다. 한국은 하나의 판을 파서 만드는 구유 제작기법이다. 구유 제작기법은 동양에서 한국에만 존재하는 제작기법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은 한 장의 판재를 사용하여 고토 꼬리 쪽에 돌기를 깎아 제작했다. 셋째, 고대 현악기의 연주법에서 한국과 일본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연주방법에 있어 대부분 ‘무릎 위에 가로 뉘여’의 방법으로 연주하고 있다. 넷째, 고대 현악기의 재질에서 한국과 일본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원삼국 시대에는 벚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지만, 일본의 야요이 시대에는 삼나무와 노송나무 등을 사용하다가 침엽수를 활용하기도 했다. 동북아시아의 문화는 상호교류하면서 발전하였지만, 문화는 본질적으로 문화의 발상지에서 전파해 나가는 것이 하나의 흐름이다. 동북아 지역에 있는 한국과 일본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문화가 발전하였지만, 각국은 각 시기에 따라 독창적인 악기 형태를 제작하면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