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식 언톨러지 개념을 이용한 전문 문서의 지식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오창윤,조정래,나영남,배상현 조선대학교 통계연구소 2000 統計硏究所論文誌 Vol.2 No.1

        The knowledge of the specialized fields has been changed rapidly in the both side of quantity and quality. A hyper media as a knowledge based system is so fixed in the linked media in mutual that we could not tell it information provision with the view of us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way of offering intellectual and flexible information which is same with demand in the side of user, selecting, searching and composing the HyperText at the point of user's view through the design of knowledge media system, three concepts is used in order to challenge the knowledge media system : special document, agent system and ontology. The special document is a knowledge using special fields. The agent system is a homogeneous controller that operates on an application to ensure that its activities are coordinated with those of the others within the community, providing a uniform control mechanism. The last 3th concept, ontology is a language for exchanging knowledge, which is a message exchanged among agents to ensure the proper interaction among them. The combination of these three concepts is used designed the prototype of knowledge media system.

      • KCI등재후보

        제주 돌가마(石窯)의 축조(築造)에 관한 연구 -제주 돌가마도예연구소의 돌가마(石窯) 축조(築造)를 중심으로-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09 한국도자학연구 Vol.5 No.2

        Natural and geographic environment of Today's Jeju island was made by a lot of volcanic activity. This volcanic island is Jeju's peculiar cultural aspect, which we can't find out in other areas. 'Dol'(Jeju volcanic stone, that is, basalt) is the most peculiar thing in Jeju environment, by which we can understand Jeju culture very well. It's not exaggeration that we regard Jeju culture as 'Dol'(basalt) culture. Through Jeju stone kiln, we can understand Jeju basalt culture. Jeju stone kiln was made by basalt (stone formed by volcanic activity),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area's traditional kiln. We can find out Jeju own's characteristic structure through Jeju stone kiln. A windbreak house was formed by Jeju's peculiar environment. If we look through the windbreak house, we know that there is a fire wall between the combustor and the plasticity room, and a rear hole located in the back of stone kiln. Korean traditional kiln's variety is based on the purpose of plasticity and the material. It is very meaningful and exciting that Jeju stone kiln is built by Jeju's native 'Dol.' This thesis examines that inner structure and material of Jeju stone kiln influence on the plasticity and records all the making process of Jeju stone kiln, which will show us a new possibility of kiln building, contribut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Jeju Onggi, and provide many potters with various information about Jeju stone kiln. 제주도는 수차레 화산활동에 의해 이루어진 섬으로 오늘날과 같은 자연. 지리적 환경을 갖추게 됐다. 또한 지질의 대부분 구멍이 많은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산섬이란 점은 제주에 있어서 육지부와는 다른 독특한 유형의 문화를 낳게 한 요인이 됐으며 돌이 많다는 의미의 "석다(石多)가 제주의 풍토와 문화를 가장 함축적으로 잘 나타낸 삼다(三,多)의 하나를 이루는 것은 단순한 수사가 아니다. '돌'은 화산섬 제주의 자연 조건을 규정짓는 독특한 요소일 뿐 아니라 제주문화를 이해하는 핵심 키워드라 할 만하다. 제주문화는 '돌문화'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잘 보여 주는 것 중 하나가 제주 돌가마(石窯)이다. 전통 가마는 지역적으로 소성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그 재료 또한 다양하다. 제주 전통 가마인 제주 돌가마의 제작 재료가 '돌'이라는 점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제주의 돌(현무암)은 화산폭발에 의해 이미 한번 구워진 상태이다. 또한 현무암이 한번 구워졌다는 점 외에 다공질이어서 열을 흡수, 저장해 내화재로서 훌륭한 역할을 한다. 제주 돌가마는 내륙에 가마에서 볼 수 없는 구조들을 가지고 있다. 바람이 많은 환경에 의해 부장쟁이(바람막이 집)가 생겨났으며 연소실과 소성실 사이에 기물의 파손을 줄이기 위한 불벽, 가마에 굴뚝이 따로 없고 자연 경사를 그대로 이용해 가마 맨 뒤에 뒷구멍이 있다는 점 등이 제주 돌가마 만이 지닌 독특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주 돌가마의 내부구조와 재료 등이 소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제주 돌가마의 모든 축조(築造)과정을 기록, 정리함으로서 전통에 기반을 둔 가마 제작의 방향성과 제주 옹기에 대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고 많은 도예인들에게 제주 돌가마에 대한 여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긴 지연시간을 갖는 ABR 트래픽에 대한 피드백제어 모델

        오창윤,배상현,O, Chang-Yun,Bae, Sang-H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4

        ATM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통신에 적합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 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ATM의 QoS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비율에 대해 네트워크 초과적조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는데 대부분의 제어알고리즘이 임계값을 기반으로 한 피드백 제어방식이다. 그러니 실시간 음성 트레픽과 같은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서비스 동안에 동적인 연결이 설정되고 종료될 수 있으므로 피드벡 제어정보가 지연된다면 고속으로 서비스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품질은 소스의 목적지 사이의 시간 지연으로 인해 손실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최소평균제곱오차에 근거를 둔 제어 알고리즘은 예시적인 피드백 제어로 피드백 제어를 위해 미지함수의 기울기와 버퍼크기를 이용하여 미래의 버퍼크기를 예측하려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질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제어 알고리즘은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an be efficiently used to transport packet data services. The switching system will support voice and packet data services simultaneously from end to end applications. To guarante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offered services, source rateot send packet data is needed to control the network overload condition. Most existing control algorithms are shown to provide the threshold-based feedback control technique. However, real-time voice calls can be dynamically connected and released during data services in the network. If the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delays, quality of the serviced voice can be degraded due to a time delay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in the high speed link. An adaptive algorithm based on the optimal least mean square error technique is presented for the predictive feedback control technique. The algorithm attempts to predict a future buffer size from weight (slope) adaptation of unknown functions, which are used fro feedback control.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which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 KCI등재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 선정 알고리즘: AT 링크와 TA 링크

        오창윤,Oh, Changy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다중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 전송전력과 최적의 엑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문제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지난 연구결과를 확장하여 TA 링크와 AT 링크에서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를 함께 최적화한다. 목적은 모든 단말이 요구하는 최소의 신호대 간섭비를 유지하면서, 총 전송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TA 링크와 AT 링크 모두에서 제안하는 반복적 기법을 통해서 최적화된 결과값에 수렴함을 증명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1) 전송전력과 엑세스 포인트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방법이 전송전력만을 최적화하는 방법보다 전송전력 소모에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 다중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는 TA 링크와 AT 링크에서의 알고리즘의 결과값인 전송전력 벡터와 엑세스 포인트 벡터는 쌍대성이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 the joint selection problem of the transmit power level and the best access point for multi-access points. We further reduce the transmit power by jointly optimizing the transmit power and the access point selection. Our aim is to minimize the total transmit power, while each terminal maintains minimum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requirement. We observe that the optimum solution can be achieved through proposed iterative algorithm for both TA link and AT lin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joint optimization of transmit power level and access point) outperforms the algorithm which optimizes the transmit power only. We also observe that the duality between the TA link and AT link does not hold in multi-access points environment. Accordingly, the resulting power vectors and the access point vectors for TA link and AT link are different in general.

      • KCI등재후보

        제주 화산석(火山石)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釉藥) 개발 연구

        오창윤,양형석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present pottery glaze with which potter can express Jeju characteristic colors and texture on ceramics, by developing single taste-glaze(glaze made only of Jeju volcanic stones) using volcanic stones that have greatly influenced on Jeju culture. JejuIsland, which was formed by several volcanic eruptions, is a mysterious, exotic volcanic island where Halla mountain, wide lava region, and more than 360 ‘orum’(parasitic volcano) are located beautifully. The volcanic eruption made Jeju covered with a lot of volcanic stones and harsh environment. However, Jeju citizens have been accustomed to this harsh environment and developed their own unique culture. Recently, Jeju culture is considered as valuable culture and many people are studying about it in various fields. In this situation, pottery industry has shown considerable research results centering on Jeju soil, Jeju onggi, but no outcome in pottery glaze.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development of single taste-glaze and try to develop glaze which enables us to express Jeju own colors and tones. For thi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elected samples among volcanic stones which covered all the area of Jeju and made them into powder. Second, I made a variety of samples using Jeju soil and conducted the process of plasticity. I conducted nine times of the process of plasticity at 10°C intervals from 1170°C to 1250 °C to find out a melting point of volcanic stone and its color and characteristics by temperature. On the basis of experiment result, I drew the optimum melting temperature by analyzing the melting condition and the color by plasticity temperature. Jeju volcanic stones, generally very dark red, show the difference of melting condition by temperature. I can make sure that volcanic stone forms glassiness in plasticity of high temperature over 1230°C. which means that Jeju volcanic itself can be made into pottery glaze. I have shown the single taste-glaze which I made can be used as pottery glaze. The prominent results of this research of developing single taste-glaze using Jeju volcanic stone are that Jeju volcanic itself can be made into pottery glaze and I presented Jeju unique culture by the single taste-glaze. However the limit of research is that I didn’t reveal the detailed ingredient of the glaze, which I will stud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제주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던 화산석(火山石)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釉藥) 개발을 진행하여, 제주적인 색채와 질감 표현이 가능한 도예용 유약을 개발·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도는 여러 차례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한라산과 넓은 용암지대(鎔巖地帶), 크고 작은 360여개의 오름(기생화산)들이 분포해 있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화산섬이다. 화산폭발은 제주에 있어 수많은 화산석이 섬 전체를 뒤덮이게 하였고, 척박한 환경을 만든 배경이었다. 하지만 제주 사람들은 이런 단점적인 환경에 적응하며,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로 발전시켜 왔다. 최근 제주의 문화는 독특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자영역인 경우 제주점토, 제주옹기를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도예용 유약의 경우 그 연구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전역을 뒤덮고 있는 화산석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 개발이란 범위를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주적인 색채 표현이 가능한 유약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과정은 제주전역을 뒤덮고 있는 화산석 중 시료(試料)를 선정․채취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소지시편을 제작한 후 시유와 소성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소성과정은 화산석의 녹는점과 온도에 따른 색상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170℃부터 1250℃까지 10℃간격으로 총9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소성(燒成)온도에 따른 용융(熔融)상태와 색채의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용융온도를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제주 화산석은 대체로 어두운 적색계열의 색상을 보여주었으며, 온도에 따라 용융상태의 차이가 나타났다. 1230℃이상의 고온 소성에서 대부분 용융되어 유리질이 형성되었고 일부 시편에서 결정이 생성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이는 제주 화산석 자체만으로도 유약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결과이다. 또한 개발한 단미(單味) 유약을 실제 작업에 적용시켜봄으로서 도예용 유약으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화산석을 이용한 단미(單味) 유약을 개발 한 본 연구는 화산석 자체만으로 유약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 점, 개발한 단미(單味) 유약으로 제주적인 특수성을 보여준 점 등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 KCI등재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변천과 발전 방안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to enhance cooperation and friendship among its members and conduct research on creative activities and Onggi (pottery or earthenware) culture in Jeju in 1999. Since its foundation, the institute has elevated its status through exhibitions, seminars and workshops based on creation of Onggi in Jeju. The study aimed to reflect on activities conducted by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20 years and suggest a method of facilitating and develop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based on it.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cused on examining and sorting through the background and transition of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analyzing such activities as seminars, exhibitions and workshop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uch problems as reasons for failure in facilitation.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its membe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figure out problems and reasons for reduction in membership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ses, it turned out that reduced membership of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caused by change in its name into Jeju Onggi Design Association in 2013, failure in clarification of characterization of the organization (between exhibition and academic research), commercialization-oriented operation and transformed environment in terms of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in Jeju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decreased interest among its members, increased problems and reduced members. In order to facilitate and develop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push for invigoration through systematic improvement of on-going projects. In addi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able non-majors an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terested in Onggi culture to take part as members with an aim to proliferate Onggi culture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Jeju Onggi Preservation Association and Jeju Onggi Cave Festival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acilitating the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to in-depth discussions, a lot of thoughts need to be given to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so that it can make a leap forward and maintain its status as a leader in the Onggi culture and the pottery culture in Jeju in the future. Toward this end, th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enabl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to establish a new vision and mission and make a mid-to-long-term plan. 제주옹기문화연구회는 회원 간 협력과 유대를 도모하고, 창작활동 및 제주옹기문화에 대한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제주에서 창립된 단체이다. 창립이후 제주옹기작업을 기반으로 전시, 세미나와 워크샵을 통해 단체의 위상을 높여 왔다. 본 연구는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과거 20여년의 활동을 뒤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보다 발전적인 단체로 나아가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제주옹기문화와 옹기문화연구회의 성립배경과 변천과정에 대하여 조사·정리하고 세미나, 전시, 워크샵 등 제반활동을 분석하여 회의 활성화 실패요인 즉,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회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과회원감소 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회원감소 원인은 2013년 제주옹기디자인협회로 단체명칭변경, 전시/학술연구 사이에서 단체성격을 명확하게 하지 못한 점, 사업위주의 회 운영과 2000 년 이후 제주의 단체형성 환경 변화 등으로 회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여러 가지문제점이 발생시키며, 회원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단체의 개념과 성격을 명확히 재정립함과동시에 단체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 또한옹기문화 확산에 초점을 두고 비전공자, 옹기문화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회원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마련과 제주전통옹기보존회, 제주옹기굴제 등과 지속적인 교류와 연계를 통한 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발전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제주옹기문화와 도예문화를 선도하는 연구회로 위상을 유지하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향후, 많은 고민과 함께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서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새로운 비전 및 미션을 정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해나감에 있어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