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와 헤이안(平安)시대의 사경(寫經) 비교연구

        吳貞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7 문화와예술연구 Vol.9 No.-

        서로 비슷한 시기에 해당하는 고려(918~1392)시대와 일본의 헤이안 (平安, 794~1192)시대의 사경(寫經)은 다른 점이 많다. 먼저 고려시대 의 사경에는 금자(金字), 은자(銀字) 사경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묵서경(墨書經)은 별로 남아있지 않다. 반면에 헤이안시대의 사경에는 묵서경이 금자, 은자 사경보다 많다. 묵서경에 있어서도, 고려시대의 묵서경은 경문(經文)이나 천지선(天 地線), 계선(界線) 등을 금, 은으로 장식한다든지 변상도(變相圖)를 그리 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비해 헤이안시대 묵서경의 특징은 장식경(裝 飾經)이라고 불러서, 사경지(寫經紙)에 금은박(金銀箔)을 뿌린다든지, 경문을 쓰는 본지(本紙)에 새, 구름 등의 그림을 그려 넣거나 경문에 보 탑(寶塔)이나 연화대(蓮花臺)를 그려 넣는다든지 하는 다양하고 화려한 장식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헤이안 시대의 사경장식의 발달은 법화경과 밀접한 관계에 있 다. 일본에서는 중국, 우리나라에 비하여 법화경 신앙이 더 강했는데, 법 화경은 서사(書寫)의 공덕이 강하게 설해지는 경전이다. 특히 헤이안시 대에는 법화경을 서사할 때, 법화경 28품(品)을 별개의 사람들이 각각 1 품씩 서사하는 일품경(一品經)이 생기게 되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1 품씩 사경했기 때문에 경쟁적으로 화려함을 추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양식의 작품이 생기게 되었다. Many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Sagyeong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Goryeo period (918-1392) and Japanese Heian period(794-1192), which can be regarded as similar periods. In the Goryeo period, the gold and silver ink Sagyeong took up more than 90%; however, few India ink Sagyeong remains. Meanwhile, the India ink Sagyeong is found more than the gold and silver ink Sagyeong in the Heian period. In the India ink Sagyeong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scriptures or sky & land lines and boundary lines were just decorated with gold and silver, or Byeonsangdo (Buddhist paintings) was drawn with gold and silver. The ink Sagyeong in the Heian period is called “Jangshikgyeong (Decorated Sagyeong),” namely diverse and splendid decorations were applied to Sagyeong: Gold and silver were gilded on the transcription paper, birds and clouds were drawn on the paper writing scriptures, or Botap(pagoda decorated with treasures) or Yeonhwadae (lotus flower seat where a female Buddhist sits) was drawn on the scriptures. The development of such Sagyeong decorations during the Heian perio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otus Sutra. The religious belief of the Lotus Sutra was stronger in Japan, compared to China and Korea. Actually, Lotus Sutra is a Buddhist scripture powerfully explaining the charitable deeds of transcribing Buddhist scriptures. Each person transcribing each chapter of the Lotus Sutra (Ilpumgyeong) among the 28 chapters developed in the Heian period, when the Lotus Sutra was transcribed. Splendor was earnestly pursued, because each person transcribed each chapter of the Lotus Sutra, and therefore various types of works were created.

      • 無等山 標高에 따른 季節別 昆蟲相에 關한 硏究(Ⅰ) : -春季分布相-

        丁聖淑,金美蓮,金奎眞,吳貞子 全南大學校 農漁村開發硏究所 1992 農業科學技術硏究 Vol.27 No.-

        無等山 標高에 따른 季節別 昆蟲相을 調査하기 위해 1991-1992年 2個年에 걸쳐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無等山의 봄에 分布하는 昆蟲種類는 總 10目 39科 120種이 調査되었다. 2. 標高別 調査에서는 100-500M에서 10目 37科 110種이, 500-900m에서는 9目 35科 101種이, 900-1200m에서는 5目 12科 18種이 調査되었다. 3. 표고에 따른 출현빈도가 높고 발생량이 많은 種은 100-500m 에서는 흰나비科의 줄흰나비(Artogeia napi), 배추흰나비 (Artogeia rapae), 배추흰나비 (Artogeia rapae), 네발나비科의 청띠신선나비 (kanisha canace), 애기세줄나비 (Neptis dsppho), 풍뎅이科의 검정풍뎅이 (Holotrichia kiotensis), 꿀벌科의 꿀벌(Apis melica), 뒤영벌科의 어리호박벌(Xylocopa appendiculata)로 밝혀졌고, 500-900m 사이에서는 네발나비科의 애기세줄나비(Neptis dssppho), 허리노린재科의 큰허리노린재(Molipteryz fulignosa), 집게벌레科의 노란다리민집게벌리(Euborellia pallopes), 꿀벌科의 꿀벌(Apis melifica)이었고 900-1200m에서는 부전나비科의 부전나비(Pelbejus angus), 꿀벌科의 꿀벌 Apis melifica), 길앞잡이科의 아이누길앞잡이(Cicindela gemmata)等이었다. 4. 무등산 정상인 1,000-1,200m 지대에서 봄에만 볼수있는 종으로서 호랑나비科의 이른봄애호랑나비(Luehdorfia puzilor), 흰나비과의 갈고리나비(Anthocharis scolymus) 2種이 관찰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sects fauna of Mt. Mudeung in spring season from 1991 to 1992. The results obtain summaries as follows. 1. The total of 120 species belongs to 39 families of 10 orders were investigated. 2. In different sea levels,10 orders 37 families 110 species at 100-500m. 9 orders 35 families 101 species at 500-900m and 5 orders 12 families 18 species at 900-1200m in sea level investigated respectively. 3. High grequency and population density of Insects by sea level were investigated : Artogeia rapae, Kanisha canace, Neotis dspho, Holotrichia kiotensis, Apis melifica and Xylocopa appendiculata in 100-500m. Plebejus angus, Apis melifica and Cicinedela gemmata in 900-1200m above sea level. 4. Both species of Luehdorfia puzilor and Anthocharis solymus were observed at 1000-1200m of Mt.Mudeung as species appeared only spring season.

      • 無等山 標高에 따른 季節別 昆蟲相에 關한 硏究(Ⅲ)

        吳貞子,金奎眞,金鐘培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4 農業科學技術硏究 Vol.29 No.-

        無等山의 標高에 따른 가을철(8월上旬-12월上旬)의 昆蟲相을 調査하기 위해 1991-1994년 4개년에 걸쳐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無等山에 秋季에 分布하는 昆蟲類는 總 9目 39科 123種이 調査되었다. 2. 標高別 調査에서는 100-500m에서는 8目 27科 83種이, 500-900m에서는 8目 28科 77種이, 900-1200m에서는 6目 15科 23種이 調査되었다. 3. 標高에 따른 出現頻度가 높고 發生量이 많은 種으로는 100-500m에서는 잎벌레科(Chrysomelidae)의 열점박잎벌레(Lewa decernpunctate), 노린재科(Pentatomidae)의 가시노린재(Carbula humerige), 허리노린재科(Corereidae)의 톱다리허리노린재(Riptortus dalates), 떼허리노린재(Coreidae), 매미충科(Cicadellidae)의 주걱매미충(Hicalus prasinus), 메뚜기科(Acrididae)의 섬나라메뚜기(Mongolitettix), 장날개메뚜기(Oxyajaponica), 모메뚜기(Tetrix japonica)이었다. 500-900m에서는 흰나비科(Pieridae)의 노랑나비(Colias erate), 잠자리科(Libellulidae)의 노란띠좀자리(Sympetrum pedemintranumelatum), 매미충科(Cicadellidae)의 주걱매미충(Hecalus prasinus), 말벌科(Vespidae)의 말벌(Vespa crabro), 무당벌레科(Coccinellidae)의 28점박이무당벌레(Epicalchus 28-macullata), 메뚜기科(Acridedae)의 참홍날개메뚜기(Bryodema tuberculatum), 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us lata)이었다. 900-1200m에서는 네발나비科(Lymphalidae)의 산은줄표범나비(Argynnis paphia), 잠자리科(Libellulidae)의 두점박이좀잠자리붙이(Symptrum ignotum), 동애등에科(Stratiomyiidae)의 동애등에(Ptecticus tenebrifer), 귀뚜라미科(Gryllidae)의 귀뚜라미(Scapoipedus aepereus)등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sect fauna of Mt. Mudeung in autumn season from 1991 to 1994. The results obstain summaries as follows. 1. The totoal of 123 species belongs to 39 families of 9 orders were investigated. 2. In different sea levels, 8 orders 27 families 83 species at 100- 500m and 8 orders 28 families 77 speciecs at 500-900m and 6 orders 15 families 23species at 900-1200m in sea level investigated respectively. 3. High Frequency and population density of insects by sea level were investigated ; Lesa decenpunctatam, Carbula humerige, Riptortus darates, Catpura lativentrio, Hecalus parasinus,Mongolotettix japonicas, Oxya japonica, Tetrix japonica in 100-500m, Colias erate, Sympetrum pedmontranumelatum, Hecalus prasinus, vespa crabro and Epiachus 28-maculata,Bryodema tuberculatum, Atractomorphus lata in 500-900m, Argynnis paphia, Sumpetrum ignotum, Plecticus tenebriter and Scapeipedus aepereus in 900-1200m above sea level.

      • KCI등재

        Age-Related Changes in Sulfur Amino Acid Metabolism in Male C57BL/6 Mice

        전장수,오정자,곽희찬,윤휘열,김형진,김영미,오수진,김상겸 한국응용약물학회 2018 Biomolecules & Therapeutics(구 응용약물학회지) Vol.26 No.2

        Alterations in sulfur amino acid metabolism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 number of common late-life diseases, which raises the possibility that metabolism of sulfur amino acids may change with ag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ge-related changes in hepatic metabolism of sulfur amino acids in 2-, 6-, 18- and 30-month-old male C57BL/6 mice. For this purpose, metabolite profiling of sulfur amino acids from methionine to taurine or glutathione (GSH) was performed. The levels of sulfur amino acids and their metaboli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2-, 6- and 18-month-old mice, except for plasma GSH and hepatic homocysteine. Plasma total GSH and hepatic total homocyste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month-old mice than those in the other age groups. In contrast, 30-month-old mice exhibited increased hepatic methionine and cysteine, compared with all other groups, but decreased hepatic S-adenosylmethionine (SAM), S-adenosylhomocysteine and homocysteine, relative to 2-month-old mice. No differences in hepatic reduced GSH, GSH disulfide, or taurine were observed. The hepatic changes in homocysteine and cysteine may be attributed to upregulation of cystathionine β-synthase and down-regulation of γ-glutamylcysteine ligase in the aged mice. The elevation of hepatic cysteine levels may be involved in the maintenance of hepatic GSH levels. The opposite changes of methionine and SAM suggest that the regulatory role of SAM in hepatic sulfur amino acid metabolism may be impaired in 30-month-old mice.

      • 독성물질의 세포사 기전 및 세포사 유발물질의 검색법 개발에 관한 연구(Ⅱ) : 망간 신경독성을 이용한 파킨슨증 모델의 세포사 Studies on the Mechanism of Parkinsonism induced by Manganese

        김종민,박창원,오정자,이보경,서경원,서수경,김규봉,김종원,김광진,김영옥,전범석,박찬웅,이선희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1960년대 이후 파킨슨병의 유발물질 중 한 후보로서 망간이 주목받으면서 많은 역학적, 병러학적 연구가 수행죄브다. 그러나 망간이 파킨슨병을 직접 일으키는지, 혹은 파킨슨병과 관련된 부위의 신경세포를 파괴시쿡 파킨슨증만을 초래하는 것인지가 아직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모델에서 행등학적 변화 측정 및 병리학적, 샐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망간의 과다노출글 따른 파킨슨병 유발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Sprague-Datylet· 렛드에 망간을 1, 2, 5, 10 mgAg/day의 응량으로 30일 등안 복강 투여하였을 때 모든 망간투여군에서 운동성 감소가 관찰되었다. 뇌조직의 망간 함량을 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결과 중뇌 흑질과 기저핵 선조체에서 망간 함량의 뚜렷한 증가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니슬염색체서 선조체의 신경세포수의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흑질의 TH효소 면역염색, GFAP 면역염색, 흑질과 선조체의 T릿효소 western blot 결과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망간-파킨슨증 모델에서 파킨슨증어 유발되는 기전은 흑질 도파민성 신경 세포의 신호를 받는 선조체 씬경세포의 사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망간 독성에 의한 파킨스증 모델에서는 파킨슨 병과는 달리 흑질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세포사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anganese(Mn) intoxication causes a parkinsonian syndrome.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Mn-induced parkinsonism from idiopathic Parkinson disease(IPD). Neuropathological descriptions on the brains with Mn intoxication showed the perferential damage in the globus pallidus and substantia nigra pars reticularis. Pathological reports o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SNpc), a mafor focus of pathologic changes in IPD, are discordant and controversial. The SNpc involvement is of critical importance for the elucidation of pathogenesis of IPD. Therefore, the neurodegeneration in SNpc was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model of Mn neurotoxicity.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with manganese chloride(1, 2, 5, 10 mg/kg/day, i.p.) for 30 days. Treated animals showed low levels of distance-traveled from locomotor activity tests. Ion chromatography revealed that Mn accumulation was significant in SN and basal ganglia in Mn-treated animals. Nissl staining showed neuronal loss of the striatum in all treated animals. The degree of neurodegeneration in S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yrosine hydroxylase(TH). The numbers of TH-positive cells on nigral sections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groups(P>0.05). The densities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immunoreactivity from SN were similar between groups. TH-westen blotting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reated animals and controls. In conclusion, the SNpc remains intact in Mn intoxication, and Mn-induced parkinsonism may be caused by damages of output pathways downstream to the nigrostriatal dopminergic system.

      • KCI등재

        치약 성분이 미세 혼합형/나노필러 함유 복합레진의 칫솔질 내마모성에 미치는 영향

        변선미,박정은,김경선,김태환,오정자,고승오,이민호 대한치과재료학회 202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연마제 성분이 다른 치약들로 칫솔질 마모시험을 시행하여 미세 혼합형 및 나노필러 복합레진의 표면 형태와표면 거칠기를 관찰하고, 내마모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미세 혼합형 필러가 함유된 2종의 복합레진(Z100 Restorative, Filtek Z250)과 나노필러가 함유된 1종의 복합레진 (Filtek Z350 XT)을 사용하였다. 칫솔질 마모시험을 위해 직경 10 mm, 두께 1 mm의 복합레진 시편 90개를 준비했다. pin-on-disk 구동방식의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여 작용력은 2 N, 100,000회 칫솔질을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치약은 연마제 성분(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탄산칼슘, 중탄산나트륨, 제올라이트-M)에 따라서 4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칫솔질 마모시험 후 시편의 표면 형태는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고, 원자힘현미경(AFM)으로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미세 혼합형 복합레진 그룹들의 표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마이크로 필러 입자들이 돌출되어 있고, 작은 분화구 형태의 결함들이 관찰되었다. 제올라이트-M을 함유한 치약으로 마모시험을 시행한 그룹들의표면 거칠기 값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5). 나노필러 함유 복합레진을 제올라이트-M이 함유된 치약으로 마모시험한 그룹에서 표면 거칠기 값이 유의하게(P<0.05) 가장 높았으나, 치약 종류와 상관없이 표면 거칠기가 0.1 µm 미만으로 낮은 값들을 나타냈다. 미세 혼합형 복합레진들의 표면에 비해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러워 보였다. 결과적으로, 나노필러 복합레진이 미세 혼합형 복합레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내마모성을 보였다. 이는 칫솔질 시의 마모 저항성이 재료의 임상적 내구성을나타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surface morphology and roughness of micro-hybrid and nano-filled resin composites and compare wear resistance by conducting a toothbrushing wear test with toothpastes with different abrasive ingredients. Two types of resin composites containing micro-hybrid fillers (Z100 Restorative, Filtek Z250) and one type of resin composite containing nanofillers (Filtek Z350 XT) were used. For the toothbrushing wear test, 90 resin composite samples with a diameter of 10 mm and a thickness of 1 mm were prepared. A force of 2 N and 100,000 cycles of brushing were performed using a pin-on-disk wear tester. The toothpastes used in the test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abrasive ingredients (hydroxyapatite, calc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and zeolite-M). After the toothbrushing wear test,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samples wa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Relatively large filler particles (micro size) protruded from the surface of the micro-hybrid resin composite groups, and small crater-shaped defects were observed. The surface roughness values of the groups that performed the wear test with toothpaste containing zeolite-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0.05). The surface roughness valu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st in the group where the nano- filled resin composite was wear-tested with toothpaste containing zeolite-M. However, regardless of the type of toothpaste, the surface roughness showed low values of less than 0.1 µm. The surface appeared uniform and smooth compared to the surface of micro-hybrid resin composites. Finally, the nano-filled resin composite showed relatively higher wear resistance than the micro-hybrid resin composite. This means that wear resistance during brushing may indicate the durability of the material in the clinic.

      • KCI등재

        양극산화와 순환 석회화전처리하여 개질한 티타늄 메쉬의 이반드로네이트 처리 효과

        변선미,김경선,신재우,오정자,김태환,장용석,이민호,배태성,안승근 대한치과재료학회 202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50 No.4

        티타늄 메쉬는 결손된 치조제의 증강 및 임플란트 주위 골의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티타늄의 생체불활성을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튜브 구조의 TiO2 층이 형성된 티타늄 메쉬에 인산칼슘 코팅층과 이반드로네이트를 탑재하여 생체활성도와 골재생 향상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티타늄 메쉬를 다음의 네 그룹으로 나누어 표면 처리를 시행하였다: (1) 무처리, (2) 나노튜브 TiO2 층 형성, (3) 나노튜브 TiO2 층 형성 후 순환 석회화전처리 (인산칼슘 코팅층), (4) 나노튜브 TiO2 층 형성 후 인산칼슘 코팅 및 이반드로네이트 탑재. 이반드로네이트의 생체 외 방출량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로 분석하였고, 생체활성도는 유사체액에 침지한 후 표면층의 변화를 X-선 회절기, 에너지 분산 분광계 및 고분해능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로 평가하였다. SBF에 침지된 (4) 그룹의 표면에는 수산화인회석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칼슘과 인의 함량도 증가하여 생체활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일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된 이반드로네이트는 골과 티타늄 메쉬의 골융합이 강화되는 메커니즘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나노구조의 티타늄메쉬 표면에 인산칼슘이 석출됨에 따라 생체활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결합된 이반드로네이트가 티타늄 메쉬의안정성을 개선하며 골재생을 유도하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itanium mesh is commonly employed to reinforce missing alveolar ridges and promote bone regeneration around implants. However, the bioinertness of titanium mesh must be improve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improving bioactivity and bone regeneration by loading a calcium phosphate coating layer and ibandronate onto a titanium mesh with a nanotube-structured TiO2 layer. The surface treatment of titanium mesh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1) No treatment; (2) Formation of nanotube TiO2 layer; (3) Cyclic calcification pretreatment (calcium phosphate coating layer) after the formation of a nanotube TiO2 layer; (4) Calcium phosphate coating and ibandronate loading after the formation of a nanotube TiO2 layer. The release amount of ibandronate was analyzed using a UV spectrophotometer, and bioactivity was assessed through XRD, EDS, and HR FE-SEM to observe changes in the surface layer after immersion in simulated body fluid (SBF). Hydroxyapatite wa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4) group immersed in SBF, and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 also increased over time. This result supported that bioactivity was improved. The continuous release of ibandronate over 10 days may contribute to realizing a mechanism that improves osseointegration between bone and titanium mesh. These results showed that bioactivity was improved as calcium phosphate precipitated on the surface of the nanostructured titanium mesh. Additionally, it is believed that combined ibandronate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stability of titanium mesh and promote bone re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